KR20110051803A -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 Google Patents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803A
KR20110051803A KR1020090108573A KR20090108573A KR20110051803A KR 20110051803 A KR20110051803 A KR 20110051803A KR 1020090108573 A KR1020090108573 A KR 1020090108573A KR 20090108573 A KR20090108573 A KR 20090108573A KR 20110051803 A KR20110051803 A KR 2011005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urethane resin
oriented polyester
biaxially orien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352B1 (ko
Inventor
차종현
이문복
서정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광특성이 우수하고, 권취성이 우수하며, 외관특성이 우수한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프라이머층의 표면 레벨링성을 향상시킨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있어서,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10~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라이머층, 표면 레벨링성,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Description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BIAXIALLY-ORIENTED POLYESTER ADHESIVE FILM WITH THERMAL-REACTIVE WATER SOLUBLE URETHANE RESIN FOR IMPROVING SURFACE LEVELING PROPERTY}
본 발명은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광특성이 우수하고, 권취성이 우수하며, 외관특성이 우수한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전자 종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들 표시장치의 기판을 유리 기판 대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유리 기판을 대체하면 표시 장치의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디자인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며 연속 공정으로 제조할 경우 유리기판에 비해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높은 광투과도 및 권취성, 표면의 우수한 외관특성이 요구되며, 특히 후가공 공정에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 UV수지와의 부착력 향상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많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높은 광투과도를 위해 PET Film제막 시 용융압출 공정에서 사용하는 무기 입자를 제거하거나, 연신 배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경우, 제막생산에 따른 수율 감소나 PET 기재의 두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연신배율 조절에 따른 기재필름의 두께 불균일은 프라이머층의 두께 불균일성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프라이머층의 레벨링성 부족은 외관 품위의 불량 및 광특성 불량을 유발하며, 동시에 PET 기재와의 국부적인 부착력 부족 및 후가공 공정에서의 UV수지와의 부착력 부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의 레벨링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높은 광특성 및 권취성을 가지며, 향상된 레벨링성으로 인해 코팅후의 기재필름의 외관특성이 우수한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프라이머층의 표면 레벨링성을 향상시킨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있어서, 두께 50~300㎛의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10~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접착층은 87.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 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8.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및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로 이루어진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 값이 0.4~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은 65℃, 95%습도 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열수축은 TD및 MD방향으로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높은 광학적 특성 및 권취성과 외관특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 시의 UV수지와의 부착력을 높여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이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광학용 필름으로서, LCD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용 베이스 필름이나 백라이트용 베이스 필름, 하드 코트 가공이나 AR 필름용 베이스 필름 및 CRT에서 보호 필름 등으로서 유용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레벨링성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레벨링성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후가공 공정에서의 부착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성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사용되는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란, 통상의 사용하는 멜라민 또는 에폭시 경화제에 비해, 분자내에 수소결합성 작용기를 추가적으로 함유함으로써 플라스 틱 기재와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며, 경화제 상호간의 작용에 의하여 경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열반응형 수지 조성물 분자간의 극성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내습의 기능을 향상 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경우, 경화제로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고온에서 경화가 일어나는 열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경화제로는 아민형, 이미다졸형, 디히드라지드형이 사용할 수 있지만, 저장안정성 측면에서 디히드라지드형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형의 구체적인 예로 아지큐어 MY-24, 아지큐어MY-H, 아지큐어 MY-HK, 아지큐어 PN-23J, 아지큐어 PN-31J,아지큐어PN-40J(아지노모토사제품), 후지큐어 FXR-1020, 후지큐어 FXR-1030(후지카세이사제품) 등을 들 수 있고, 이미다졸형의 구체적인 예로 2-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시코쿠화성사제품) 등을 들 수 있고, 디히드라지드형의 구체적인 예로 아지큐어 VDH, 아지큐어 UDH(아지노모토사제품) ADH, SDH, DDH, IDH(오츠카화학사제품), NDH(일본히드라진 공업사제품) 등을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2개 이상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열반응형 우레탄 수지의 경우, 통상의 사용하는 멜라민 또는 에폭시 경화제에 비해, 분자내에 수소결합성 작용기를 추가적으로 함유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와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반응형 우레탄 수지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 -N=C=N-을 갖는다. 이는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도 2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와 열반응형 수지의 결합 개념도이다.
Figure 112009069266732-PAT0000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면, 이러한 방법으로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중합반응을 위해 주석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에 의한 메커니즘은 정확하지 않지만,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말단기와의 반응을 촉진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내습성의 특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코팅액이 사용가능하며, 기재 필름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필요량 사용하여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에는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pH조절제는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층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의 필름 위에 수지 바인더 등과 함께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 때 수지가 도포된 층의 두께는 0.05 ~ 1.0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0~0.50㎛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10㎛ 미만이면 코팅이 되지 않아 접착력을 잃어버리거나 광학적 특성이 나빠지고 0.50㎛를 초과하면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외관에 얼룩이 발생하고, 제막시 PET 필름이 찢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팅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코팅액에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러한 첨가제로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 프라이머층에 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비교적 적은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하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30㎚미만이 되면 미세입자가 시트나 필름에서 주행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투입의 효과를 주지 못하며, 미세입자의 평균입경이 500㎚를 초과하게 되면 헤이즈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입자의 크기는 3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은 87.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8.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및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로 이루어진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 값이 0.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은 65℃, 95%습도 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의 제품대비 접착력이 나쁘면 제품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열수축은 TD 및 MD방향으로 0.8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펠렛을 135℃에서 6시간 감압건조(1.3hPa)한 후, 이를 압출기로 공급한 다음, 약 280℃에서 시트상으로 용융압출하고, 표면온도 20℃로 유지한 금속 롤 상에서 급냉 고화하여 두께 1925㎛의 캐스팅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캐스팅필름을 가열된 롤 군(roll group) 및 적외선 히터 100℃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 군으로 종방향으로 3.2배 연신비로 연신하여 일축배향 PET 필름을 얻어 이를 기재로 사용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리버스 롤법으로 일축배향 PET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계속해서 필름을 클립으로 단부에 파지하고, 열풍영역으로 도입하고, 건조하였다. 그 후 130℃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비로 연신하고, 240℃에서 열고정한 다음, 200℃에서 3%의 횡완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두께 188㎛인 광학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은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 필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다음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의 레벨링성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87.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8.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 필름의 두께를 2200㎛, 제막 후 필름의 두께를 25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후 도포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1의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25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 필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다음 도포하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93.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2.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25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 필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다음 도포하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91.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4.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실시예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25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 필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다음 도포하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85.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실시예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25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 필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다음 도포하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80.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5.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코팅외관을 측정하였다. 형광등 및 삼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용액의 코팅상태를 육안을 통해 상/중/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기재와 프라이 머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접착되어 있는 표면에 셀룰로오즈계 접착성 테스트 시료를 도포시키고, 건조오븐기에 30초간, 150℃에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필름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 2㎜ 정사각형들을 배치한다. 절단선은 접착층을 통과해 기재 필름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깊게 만든다. 절단선이 있는 필름에 셀로판 테잎(No. 405, NICHIBAN제; 넓이: 24㎜)을 붙이고, 벨벳을 이용하여, 테잎을 문질러서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수직으로 테잎을 떼어낸다. 접착층에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다음 수학식에 의해 접착력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69266732-PAT00002
또한, 65℃, 95%습도 하에서 96시간 후의 내습성 평가를 위한 접착력 테스트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열수축(Heat Shrinkage)을 측정하였다. 열수축(Heat shrinkage)은 가장자리 길이가 10cm인 스퀘어 필름 샘플(square film sample)에서 결정된다. 견본(specimen)들은 한 가장자리가 기계 방향에 평행하여 움직이고, 한 가장자리는 기계방향에 수직하여 움직이는 방법으로 제거된다. 견본들은 정확하게 측정되고(가장자리 길이 L0은 각 기계 방향 TD 및 MD, L0 TD 및 L0 MD를 위해 결정됨), 공기 순환이 되는 건조 캐비넷 안에서 언급된 수축온도(여기서는150℃)로 30분간 열 조절된다. 견본은 제거되고 실내 온도에서 정확하게 측정된다(가장자리 길이 LTD 및 LMD). 수축은 다음의 방정식을 따라 계산된다:
수축(Shrinkage)[%]MD = 100·(L0 MD- LMD)/ L0 MD
수축(Shrinkage)[%]TD = 100·(L0 TD- LTD)/ L0 TD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코팅두께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프라이머층의 코팅두께는 UV-vis spectrophotometer 를 이용하였다. (SHIMADZU 사의 UV-3600) 측정파장의 범위는 300-3000nm로 정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파장의 값은 아래의 식을 통하여 두께가 계산된다.
ndcosθ = (λRmin / 4)
n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굴절율이며, 상기 UV-vis spectrophotometer의 입사각은 cos 5도이며, 측정 결과의 파장값을 λRmin 에 넣어 두께 d를 계산한다. 측정한 광학두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에 사용된 코팅용액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광학적 특성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전투과율과 Hz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5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PET두께
(㎛)
코팅외관
(상/중/하)
접착력
(%)
열수축
MD(%)/TD(%)
코팅두께
(nm)
광특성
(TT/Hz)
실시예1 188 100 0.8/0.7 165 92.2/0.5
실시예2 250 100 0.8/0.6 200 92.3/0.5
비교예1 250 75 0.7/0.6 68 87.0/1.1
비교예2 250 85 0.7/0.5 85 88.2/1.3
비교예3 250 100 0.8/0.5 620 93.4/0.4
비교예4 250 100 0.7/0.5 935 93.6/0.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들에 비해 기재와의 코팅외관 및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코팅두께 및 광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4의 경우 접착력은 우수하나, 코팅 후 PET기재 표면의 관찰 시 얼룩과 같은 형태로 코팅외관 불량이 발생하여 제품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비교예 1, 2에서와 같이 부착력이 100%가 나오지 않으면 제품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높은 광학적 특성 및 권취성과 외관특성의 우수한 효과가 있고, 또한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 시의 UV수지와의 부착력을 높여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이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광학용 필름으로서, LCD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용 베이스 필름이나 백라이트용 베이스 필름, 하드 코트 가공이나 AR 필름용 베이스 필름 및 CRT에서 보호 필름 등으로서 유용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와 열반응형 수지의 결합 개념도이다.

Claims (6)

  1. 프라이머층의 표면 레벨링성을 향상시킨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있어서,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10~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은 87.0중량%의 물과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가 20.0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8.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1.0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 1.0중량% 및 탄산수소나트륨이 16.6중량%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수분산액 2.0중량%로 이루어진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 값이 0.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은 65℃, 95%습도 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열수축은 TD 및 MD방향으로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1축 연신 후 도 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20090108573A 2009-11-11 2009-11-11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61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73A KR101619352B1 (ko) 2009-11-11 2009-11-11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73A KR101619352B1 (ko) 2009-11-11 2009-11-11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03A true KR20110051803A (ko) 2011-05-18
KR101619352B1 KR101619352B1 (ko) 2016-05-11

Family

ID=4436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573A KR101619352B1 (ko) 2009-11-11 2009-11-11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645A (ko)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학필름
KR20140091814A (ko) * 2013-01-11 2014-07-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382A1 (ja) * 2004-11-29 2006-06-0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ロール
JP4257610B2 (ja) * 2005-01-28 2009-04-22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645A (ko)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학필름
KR20140091814A (ko) * 2013-01-11 2014-07-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352B1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600B (zh) Optical continuum
TWI550001B (zh) Optical continuum
TWI486388B (zh) 光學用聚酯薄膜
KR102052843B1 (ko)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KR102248947B1 (ko) 광학 적층체
WO2014156879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581970B (zh) 積層薄膜及其製造方法
KR101834069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35331A (ko) 광학 적층체
JP2014044390A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101218146B1 (ko) 광학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080263B1 (ko)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TW201829198A (zh) 光學積層體
KR101619351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110051803A (ko)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100081568A (ko) 표면경도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619356B1 (ko) 내수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619349B1 (ko) 수용성 공중합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090060467A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101623075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038650A (ko) 휘도와 투명성이 향상된 다목적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0919A (ko) 내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619358B1 (ko) 내수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080064278A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466758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