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984A -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 Google Patents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984A
KR20110049984A KR1020090106780A KR20090106780A KR20110049984A KR 20110049984 A KR20110049984 A KR 20110049984A KR 1020090106780 A KR1020090106780 A KR 1020090106780A KR 20090106780 A KR20090106780 A KR 20090106780A KR 20110049984 A KR20110049984 A KR 20110049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arc
block
coastal erosion
inclin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알라스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알라스건설(주) filed Critical 정진호
Priority to KR102009010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984A/ko
Publication of KR2011004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와, 상기 제 1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으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벽을 포함한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제 1 경사벽과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본 발명은 블록 하나의 무게가 충분한 자중력을 갖기 때문에 해안가 등에 설치시 설치공정을 줄이면서도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결과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있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효과와, 경사면에 의해 유도되어 블록으로 유입되는 파도 등의 운동에너지가 블록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원호를 걸쳐 호상의 경사벽으로 부드럽게 유도 상승되어 빠져나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켜 물이 빠져나갈 때 해안침식 유발을 방지하는 효과와, 블록에 있어서 파도 등이 접촉하는 표면에 표면경도강화층을 고착하여 표면이 파도 등에 의해서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블록의 경제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해안침식방지블록, 해안침식, 파력감쇠

Description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BLOCK FOR PREVENTION OF COASTAL EROSION}
본 발명은 파력(波力) 감쇠를 통한 해안 침식 방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에 가해지는 파력을 효과적으로 감쇄하여 물이 빠질 때의 에너지를 줄여 물이 빠져나갈 때 물의 운동에너지로 인해 동시에 유출되는 모래, 자갈 등의 양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해안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 방지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침식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고 따라서 서로의 원인이 복합되어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주원인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산치수 사업에 의한 하천상류의 개발에 의한 공급 토사의 감소에 기인하며, 둘째, 항로 또는 항내 토사의 준설 및 해사 채취로 인해 발생되며, 셋째, 긴 직선상 해안에서의 항만·어항의 건설 및 석호 해수교환을 위한 도류제 등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연안 표사 저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해안침식의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은 해안 토사 평형상태 붕괴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천 토사 공급의 감소에 기인한 것이다.
원래 백사장의 모래는 하천으로부터 공급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먼바다 해저사구로 이동 소멸되어 언제나 공급과 손실이 평형을 이루면서 아름다운 백사장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경제, 사회가 발전하면서 하천상류의 댐과 하천구조물이 건설되고 골재채취 등이 실시됨에 따라 하천으로부터의 토사공급은 현저히 감소되어 공급은 없고 손실만 발생하는 백사장 유실현상이 초래되는 것이다. 문화가 발전된 선진국일수록 해안침식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이와 같은 하천정비가 앞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항로 또는 항내 토사의 준설 및 해사 채취 등이 해안 토사 평형상태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항로 및 항내에 쌓인 토사는 대개 어딘가의 해안백사장에서 온 것이므로 결국 그 토사를 준설 채취하여 다른 곳에 이용해버리면 결국 그 해안의 총 토사잔여량은 줄어드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이러한 준설토는 반드시 원유출처를 찾아 돌려주어야 한다. 이것을 샌드바이패스(Sand bypass)라고 하며, 최근 해안침식방지대책의 기본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동해안과 같이 연안 표사가 탁월한 해안에서는 국부적으로 항만 어항 등과 같은 해안구조물이 건설됨으로써 해안을 따라 평행하게 움직이는 연안 표사가 저지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 주변의 백사장 침식이 발생되고 항내에는 항내매몰 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현상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해안침식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방파제 등과 같은 구조물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설치된바 있다. 그러나 해안 침식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설치 한 그 구조물들은 오히려 해안 침식을 확장 가속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 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양한 것들 중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28356호에는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은 해안가 구축물을 지탱하여 그 붕괴를 방지해주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유닛을 이루는 직립옹벽의 전방에 파도와 이안류의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파도에너지감쇠 공간 구역을 만들어서, 파도와 이안류에 의한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은, 파도의 처오름을 막아주는 돌출부와 그 돌출부 상단에 가드레일 등을 입설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밑창판 및 파도 에너지 감쇠용 블록이 접합되는 접합 부위와 옹벽의 전도를 방지해주는 기초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는 직립옹벽과; 상기 직립옹벽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직립옹벽과 평행 상태로 일정 규모의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을 형성해 주는 월류벽이 있는 파도 에너지 감쇠용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직립옹벽과 파도 에너지 감쇠용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월류벽을 넘어서 일시에 돌입하는 세찬 파도를 가두어 그 파도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를 감쇠 시켜줌과 함께 파도에서 변환되는 이안류를 다수개의 배수용 슬릿을 통해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으로 배출시켜주는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과;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의 전방에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 을 형성해주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과 파도 에너지 감쇠용 블록 사이에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을 형성해주는 바닥판과; 파도 에너지 감쇠용 블록과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간 구역으로, 파도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 내에 돌입한 파도가 월류벽의 배수용 슬릿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안류로 변환되면 그 이안류를 넓게 확산시켜서 이안류의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과; 상기 직립옹벽의 침하 및 전도를 방지해주는 기초 콘크리트와 밑창 콘크리트 또는 기초 말뚝을 포함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은, 아래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많은 단점 및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상기 종래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 은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을 이루는 직립옹벽이 설치될 해안가를 일정한 폭과 깊이로 굴착하여 직립옹벽의 설치에 필요한 규모의 골을 만들고, 골 바닥에 밑창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며, 밑창 콘크리트 표면에 기초 거푸집을 가설한 다음 기초 거푸집의 내측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기초 콘크리트의 높이를 표시해주는 단계를 거쳐, 기초 거푸집 안에서 배근 작업을 시행한 후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기초 거푸집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입 양생하여 형성한 기초석 위에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기초석을 형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해안침식방지 시스템" 을 구성하는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직립옹벽, 바닥판, 해안바닥유실방지용블록, 파도에너지감쇠용블록)의 전체 두께가 얇고 따라서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을 구성하는 구성품 전체가 가벼워 자중력이 없는 관계로 해안가 모래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은 설치를 위한 별도 기초공사공정 등에 따른 사전 기초 작업공정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은 직립옹벽, 바닥판, 해안바닥유실방지용블록, 파도에너지감쇠용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각 부품을 조립순서에 따라 조립하는 것으로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다고 하여도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이 너울성 파도 등에 의해 구조물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거나 또는 조립상태가 해체되어 붕괴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해안침식방지 시스템"에 마련된 이완류에너지감쇠공간구역의 해안바닥유실방지용 블록의 후면 및 파도에너지감쇠공간구역의 월류벽 후면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직각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당한 운동에너지를 갖고 연속적으로 밀려 들어오는 파도의 운동에너지가 직각벽을 타고 돌아 나오지 못하고 직각벽에 강하게 부딪치기 때문에 유체의 자연스런 흐름을 방지하여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에 그대로 전달하기 때문에 자중력이 없는 프리케스트콘크리트유닛은 조립상태가 해체되거나 또는 밀려 들어오는 모래 등에 침 식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완류에너지감쇠공간구역의 해안바닥유실방지용 블록의 후면 및 파도에너지감쇠공간구역의 월류벽 후면에 부딪쳐 물과 함께 밀려나가지 못한 모래 등은 이완류에너지감쇠공간구역과 파도에너지감쇠공간구역에 쌓여 결과적으로 파도의 운동에너지 감쇠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안가 등의 모래 위에 설치가 비교적 간편하고 설치되어서는 자중력에 의해 그 설치상태를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블록의 제안이 필요하며, 밀려 들어오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부드럽게 유도하여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며, 결과적으로 밀려왔다 나가는 물에 의해 모래 등의 유출을 방지하여 해안침식을 방지하며, 특히, 해안침식방지 블록의 표면이 파도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서도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의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안침식방지 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블록 하나의 무게가 충분한 자중력을 갖도록 하여 해안가 등에 설치시 설치공정을 줄이면서도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있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경사면에 의해 유도되어 블록으로 유입되는 파도 등의 운동에 너지가 블록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원호와 호상의 경계벽에 의해 부드럽게 상승 유도되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켜 해안침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블록에 있어서 파도 등이 접촉하는 표면에 표면경도강화층을 고착하여 표면이 파도 등에 의해서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블록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원호를 갖고 상기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 점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와, 상기 제 1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으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부딪쳐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파력감쇠부와; 상기 제 1 경사벽이 끝나는 지점 후방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2 원호와, 상기 제 2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2 경사벽 및 상기 제 2 경사벽 상부에 제 3 원호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원호와 제 1 및 제 2 경사벽과 제 3 원호를 포함한 상기 제 1 및 제 2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원호와 제 1 및 제 2 경사벽과 제 3 원호를 포함한 상기 제 1 및 제 2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의해서도 목적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 하나의 무게가 충분한 자중력을 갖기 때문에 해안가 등에 설치시 설치공정을 줄이면서도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결과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있는 파력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사면에 의해 유도되어 블록으로 유입되는 파도 등의 운 동에너지가 블록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원호와 호상의 경사벽에 의해 부드럽게 상승 유도되어 빠져나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켜 물이 빠져나갈 때 해안침식 유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블록에 있어서 파도 등이 접촉하는 표면에 표면경도강화층을 고착하여 표면이 파도 등에 의해서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블록의 경제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설치상태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력 감쇠를 통한 해 안침식방지용 블록(10)(이하부터는 블록이라고 칭함)은, 콘크리트구조물로 형성되며, 그 크기는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해안가에서 발생하는 너울성 파도를 충분하게 막아줄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크기이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블록(10)은 해안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반복적으로 상호 측면을 접촉 고착하는 방법으로 설치되면 자중력에 의해 유동 없이 그 위치를 유지한다.
위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록(10)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경사면(20)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20)은 바다로부터 밀려 들어오는 물 등이 경사면(20)에 쉽게 안내되어 블록(10)으로 접근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사면(20)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블록(10)의 타단 영역 구간에는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31)와, 제 1 원호(31)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32)으로 이루어진 파력감쇠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파력감쇠부(30)는 경사면(20)을 통하여 블록(10)의 제 1 원호(31)로 유입되는 물이 제 1 원호(31)의 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도되고 이어 호상의 제 1 경사벽(32)에 부딪쳐 상승 유도되는 것으로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는 감쇠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원호(31)를 원호(圓弧)로 형성한 것은 제 1 원호(31)로 밀려 들어오는 물은 유체이기 때문에 유체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제 1 원호(31)에서 원호(圓弧)를 따라 수회 회전하는 것으로서 물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킬 목적이며, 1차 감쇠된 물의 운동에너지는 제 1 경사벽(32)에 접촉 상승 유도되면서 2차적으로 감쇠된 후 물이 빠져나가므로 결과적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모래 등이 물 과 함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 제 1 원호(31)를 원호(圓弧)로 형성한 것은 너울성 파도가 발생하면 물과 함께 모래 등이 제 1 원호(31)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때 제 1 원호(31)에 잔재한 물과 모래 등은 반복적으로 유입되는 물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모래 등은 제 1 원호(31)의 원호(圓弧)를 따라 쉽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은 경사면(20)에 의해 물의 유입을 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유입된 물의 운동에너지는 제 1 원호(31) 및 제 1 경사벽(32)에 의해 1~2차 감쇠되어 빠져나가는 것으로서 모래 등의 유출을 방지하여 해안침식을 최소화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블록(10)에 물이 접촉하는 면 즉, 경사면(20)과, 제 1 원호(31) 및 제 1 경사벽(32)을 포함한 파력감쇠부(30)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고착된 표면경도강화층(40)을 형성함으로써 블록(10)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표면경도강화층(40)은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며, 이들 외에도 블록의 표면을 파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재질로서 표면경도강화층(4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a)을 해안가에 설치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블록(10a)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 후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20a)을 형성하여 밀려오는 파도를 쉽게 블록(10a) 측으로 접근시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면(20a)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블록(10a)의 타단 영역 구간에는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31a)와, 제 1 원호(31a)로부터 상측을 향해 호상의 제 1 경사벽(32a)으로 이루어진 제 1 파력감쇠부(3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 1 파력감쇠부(33)는 경사면(20a)을 통하여 블록(10a)의 제 1 원호(31a)로 유입되는 물이 제 1 원호(31a)의 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도되고 이어 제 1 경사벽(32a) 부딪치면서 상승 유도되는 것으로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는 감쇠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원호(31a)를 원호(圓弧)로 형성한 것은 제 1 원호(31a)로 밀려 들어오는 물은 유체이기 때문에 유체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제 1 원호(31a)에서 원호(圓弧)를 따라 수회 회전하는 것으로서 물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킬 목적이며, 1차 감쇠된 물의 운동에너지는 호상의 제 1 경사벽(32a)에 접촉 상승하면서 2차적으로 감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a)은 제 1 경사벽(32a)이 끝나는 지점 후방으로부터 블록(10a)의 타단 영역 구간에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2 원호(31b)와, 제 2 원호(31b)로부터 상측을 향한 호상의 제 2 경사벽(32b)과 제 3 원호(31c)로 이루어진 제 2 파력감쇠부(34)를 더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도 제 2 원호(31b)를 원호(圓弧)로 형성한 것은 제 2 원호(31b)로 밀려 들어오는 물은 유체이기 때문에 유체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제 2 원호(31b)에서 원호(圓弧)를 따라 수회 회전하는 것으로서 물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 킬 목적이며, 3차 감쇠된 물의 운동에너지는 제 2 경사벽(32b)에 접촉 상승하면서 제 3 원호(31c)에서 4차적으로 감쇠 된 후 물이 빠져나가므로 결과적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모래 등이 물과 함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이 도 1 내지 도 3에서 개시된 블록(10) 보다 최소화되며 이와 같은 블록(10a)은 너울성 파도가 잦은 해안가에 설치함으로써 해안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따른 블록(10a)에 물이 접촉하는 면 즉, 상기 경사면(20a)과, 제 1 원호(31a) 및 제 1 경사벽(32a)을 포함한 제 1 파력감쇠부(33)와, 제 1 경사벽(32a)이 끝나는 지점 후방으로부터 블록(10a)의 타단 영역 구간에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2 원호(31b)와, 제 2 원호(31b)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2 경사벽(32b)과 제 3 원호(31c)로 이루어진 제 2 파력감쇠부(34)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고착된 표면경도강화층(40a)을 형성함으로써 블록(10a)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표면경도강화층(40a)은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며, 이들 외에도 블록의 표면을 파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재질로서 표면경도강화층(4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블록에 별도의 옹벽(100)을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해안에 접한 도로, 주택 등에 시공되어 옹벽을 블록으로 대신할 수 있으며, 자중력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블록의 붕괴원인인 블록 하부의 골재 유출을 최소화하여 블록의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줄여 사회, 경제적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너울성 파도 등에 의한 해안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설치상태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
10, 10a : 블록 20, 20a : 경사면
30 : 파력감쇠부 31, 31a : 제 1 원호
31b : 제 2 원호 31c : 제 3 원호
32, 32a : 제 1 경사벽 32b : 제 2 경사벽
33 : 제 1 파력감쇠부 34 : 제 2 파력감쇠부
40, 40a : 표면경도강화층

Claims (2)

  1.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와, 상기 제 1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으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1 원호 및 제 1 경사벽을 포함한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제 1 원호 및 제 1 경사벽과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
  2.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와, 상기 제 1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 으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부딪쳐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파력감쇠부와;
    상기 제 1 경사벽이 끝나는 지점 후방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타단 영역 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2 원호와, 상기 제 2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2 경사벽 및 상기 제 2 경사벽 상부에 제 3 원호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원호와 제 1 및 제 2 경사벽과 제 3 원호를 포함한 상기 제 1 및 제 2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원호와 제 1 및 제 2 경사벽과 제 3 원호를 포함한 상기 제 1 및 제 2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용 블록.
KR1020090106780A 2009-11-06 2009-11-06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KR20110049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80A KR20110049984A (ko) 2009-11-06 2009-11-06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80A KR20110049984A (ko) 2009-11-06 2009-11-06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84A true KR20110049984A (ko) 2011-05-13

Family

ID=4436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780A KR20110049984A (ko) 2009-11-06 2009-11-06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9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8780A (zh) * 2019-08-30 2019-11-19 天津大学 一种自带消能的防波堤
KR20230082103A (ko)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8780A (zh) * 2019-08-30 2019-11-19 天津大学 一种自带消能的防波堤
KR20230082103A (ko)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6161B (zh) 一种泥石流防治系统
KR101678143B1 (ko)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3819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N211446777U (zh)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CN104594290A (zh) 一种软体排沉排施工方法
CN105862662B (zh) 一种曲边拱形防波堤
CN105804006A (zh) 一种兼顾景观的岸滩防护结构
CN205776073U (zh) 一种兼顾景观的岸滩防护结构
KR20110049984A (ko)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JP2002309539A (ja) 港湾における養浜構造と砂止堤
Burcharth et al. Types and functions of coastal structures
KR100973090B1 (ko) 교량 보호용 선박 통행유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100932665B1 (ko) 하천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블록 시설물
JP5669192B2 (ja) 岸壁構造または護岸構造
KR100696066B1 (ko) 해안방호시설용 옹벽구조물
JP5427867B2 (ja) 津波対策用岸辺構造
KR20090079572A (ko) 파랑에너지 용출형 철근콘크리트 조립 말뚝식 블록.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CN104612106A (zh) 一种透水型土工软体排结构
JP6659489B2 (ja) 防波構造物
JP2005133301A (ja) 石樋魚道と石積堰堤とからなる治水堰堤、及びその構築工法
JP7212660B2 (ja) 沿岸漂砂による堆積及び侵食を低減する沿岸構造物
JP2013234544A (ja) 津波防潮堤および津波防潮堤の施工方法
JPH1150426A (ja) 消波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防波堤並びに消波構造体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