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96A -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 Google Patents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196A
KR20070038196A KR1020050093214A KR20050093214A KR20070038196A KR 20070038196 A KR20070038196 A KR 20070038196A KR 1020050093214 A KR1020050093214 A KR 1020050093214A KR 20050093214 A KR20050093214 A KR 20050093214A KR 20070038196 A KR20070038196 A KR 2007003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stal
concrete
prevention system
erosion prevention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102005009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196A/ko
Publication of KR2007003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등에 관한 것으로, 해안가 제방의 전방에 파도와 이안류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공간 구역을 형성하여, 이안류 등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해안의 연혁과 주변 지역의 지형지물 및 해류의 방향과 복구된 해안의 이용 방법 등을 면밀히 조사 및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복구된 형태와 규모 및 이용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측량하여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 박기 기초 및 직접 기초 공사 등의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에 적합한 규모의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해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호안 블록, 바닥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을 필요한 개수만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복원하고자 하는 만큼 모래 등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이 축조될 해안가를 일정한 폭과 깊이로 굴착하여, 밑창 콘크리트(13)와 기초 콘크리트(15) 및 바닥판(18) 등을 타입 양생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내부에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 내부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에 타입 양생하는 기초 콘크리트(15)의 높이를 정확하게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 안에서 배근(16)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상기 기초 거푸집(14)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15)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 그 먹줄에 맞춰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8)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을 철거함과 함께 사석 등으로 제방(11a)의 기본 형태를 축조하는 단계와;
상기 축조된 기본 형태의 제방(11a) 표면에 방수용 부직포(17)를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표면에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등을 일정하게 깔아서 그 위에 바닥판(18)을 안착시켰을 때 기초 콘크리트(15)와 바닥판(18)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 즉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위에 바닥판(18)을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18) 주변의 방수용 부직포(17)의 뒷부분(11aa)을 사석으로 채워서 제방의 기본 형태를 완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용 부직포가 씌워진 제방(11a)의 경사면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호안 블록(19, 19a)을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 각각의 돌출부(18a, 18b) 사이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을 안착시켜서,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과 바닥판(18) 및 호안 블록(19) 사이에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을 형성하는 단계와;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주변을 토사로 되메우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등을 제공한다.
제방, 해안, 방파제, 호안 블록, 프리캐스트

Description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The structure of coastal erosion prevention system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stal erosion prevention system & relate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 차트
도 2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의 분해 입면도
도 2a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분해 단면도
도 3 내지 도 3d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입면도와 단면도
도 4 내지 도 22a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와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3a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 내에 모래가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입면도와 단면도
도 24 내지 도 26b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해안(해안 바닥) 11a, 11aa : 제방(기본 제방, 육지)
12 : 골 13 : 밑창 콘크리트
14 : 기초 거푸집 15 : 기초 콘크리트
16 : 철근(배근) 17 : 방수용 부직포
17a : 바닥 모래(또는 모르타르) 18 : 바닥판
18a, 18b : 돌출부 l8c : 바닥판의 계단
18d : 바닥판 계단의 수평면 18e : 바닥판 계단의 경사면
19, 19a : 호안 블록 l9b : 호안 블록의 수평면
19c : 호안 블록의 경사면 19d, 19dd : 체결용 고리
20 :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 20a : 배수구 형성용 홈(배수구)
20b :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경사진 전면
20c :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계단의 경사면
20d :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계단의 수평면
21 :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 22 : 유입된 모래
24, 24a, 24b : 이안류(흐름) 25 : 파도(쇄파) 26 : 바다
본 발명은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해안가 제방의 전방에 파도와 이안류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공간 구역을 형성하여, 파도와 이안류에 의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해안의 침식과 퇴적 현상은, 바다 쪽에서 밀려오는 파도와 그 파도가 해안에 부딪혀서 변환된 이안류 및 조류·해류·바람·하천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연안류의 작용에 의하여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는 자연 현상으로, 이와 같은 침식과 퇴적 현상이 균형을 이루면서 해안선은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여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방파제와 도류제 및 해안 도로와 같은 인공 구조물이 구축됨과 함께 상기 구조물로 인하여 파도와 이안류 및 연안류 등의 세기와 방향이 바뀌면서 예기치 못한 해안에서의 침식과 퇴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상기 해안 침식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국가와 수많은 사람들이 방파제와 이안제 및 돌제와 잠제 같은 구조물을 개발 설치해 왔다. 그러나 해안 침식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설치 한 그 구조물들은 오히려 해안 침식을 확장 가속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도와 이안류의 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공간 구역이 해안 제방의 전방에 형성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와 본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해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로는, 해안의 연혁과 주변 지역의 지형지물 및 해류의 방향과 복구된 해안(11)의 이용 방법 등을 면밀히 조사 및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복구된 형태와 규모 및 이용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측량하여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 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에 적합한 규모의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해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호안 블록, 바닥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을 필요한 개수만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복원하고자 하는 만큼 모래 등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이 축조될 해안가를 일정한 폭과 깊이로 굴착하여, 밑창 콘크리트(13)와 기초 콘크리트(15) 및 바닥판(18) 등을 타입 양생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내부에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 내부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에 타입 양생하는 기초 콘크리트(15)의 높이를 정확하게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 안에서 배근(16)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상기 기초 거푸집(14)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15)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 그 먹줄에 맞춰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8)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을 철거함과 함께 사석 등으로 제방(11a)의 기본 형태를 축조하는 단계와;
상기 축조된 기본 형태의 제방(11a) 표면에 방수용 부직포(17)를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표면에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등을 일정하게 깔아서 그 위에 바닥판(18)을 안착시켰을 때 기초 콘크리트(15)와 바닥판(18)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 즉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위에 바닥판(18)을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18) 주변의 방수용 부직포(17)의 뒷부분(11aa)을 사석으로 채워서 제방의 기본 형태를 완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용 부직포가 씌워진 제방(11a)의 경사면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호안 블록(19, 19a)을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 각각의 돌출부(18a, 18b) 사이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을 안착시켜서,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과 바닥판(18) 및 호안 블록(19) 사이에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을 형성하는 단계와;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주변을 토사로 되메우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 2 형태로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침하 등을 방지해주는 밑창 콘크리트(13) 및 기초 콘크리트(15)와;
사석 등으로 축조된 제방의 사면을 덮어씌워주는 방수용 부직포(17)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깔아지는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와;
상기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위에 안착되면서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 개의 체결용 고리(19d)가 있고, 일측에는 계단(18c)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바닥판(18)과;
전면이 계단(19b, 19c)으로 되어 있고,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체결용 고리(19dd)가 있으면서, 상기 방수용 부직포(17) 위에 깔아지는 다수개의 호안 블록(19)과;
전면이 경사면(20b)으로 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수구용 홈(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계단(20c, 20d)으로 되어 있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과:
상기 바닥판(18)과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구역으로, 사면의 호안 블록(19)을 타고 흘러내리는 반사파 즉 이안류(24, 24b)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6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 차트며,
도 2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의 분해 입면도로서,
해안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배면(20c, 20d)과 호안 블록(19)의 전면(19b, 19c) 및 바닥판(18)의 일부분이 계단(18c)으로 되어 있고, 그 계단은 일반 계단의 수직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경사면(18e, 19c, 20c)으로 되어 있는데, 이같이 수직면을 경사면(18e, 19c, 20c)으로 만든 이유는 해안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호안 블록(19)의 전면과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배면 및 바닥판(18)의 일부분을 일반 계단과 같이 만들 경우에는 그 계단의 수직면이 바다(26)와 육지(11a)를 왕래하는 작은 생물체의 통행을 제한하는 즉 바다와 육지(11a)를 연결하는 자연 생태계를 단절시키는 문제를 야기 할뿐만 아니라 파도로부터 호안 블록이 받는 충격이 커지면서 호안 블록(19)이 유실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파도(25)의 충격도 줄이면서 사람들의 해안 출입은 물론 바다와 육지를 왕래하는 작은 생물의 이동까지도 용이하도록 호안 블록(19)의 전면과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배면 및 바닥판(18)의 일부분을 일반적인 계단 형태로 만들되 계단의 수직면에 해당되는 부분들을 경사면(18e, 19c, 20c)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홈은 바닥판(18) 상단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을 안착시켰을 때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밑면과 바닥판(18) 사이에 배수구(20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 며, 그 배수구(20a)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에 유입된 이안류(24, 24a, 24b)의 일부(24a)를 해안 바닥(11)의 밑을 통해 바다(26) 쪽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a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분해 단면도며,
도 3은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측면도며,
도 3a는 도 3의 A-A선 종단면도며,
도 3b는 도 3의 A-A선 횡단면도며,
도 3c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정면도며,
도 3d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배면도며,
도 4 내지 도 22a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4는 침식된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4a는 침식된 해안(11, 11a)의 부분 단면도며,
도 5는 매립(양빈)해서 원래의 해안으로 복구시킨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5는 매립해서 원래의 해안으로 복구시킨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6은 밑창 콘크리트(13)와 기초 콘크리트(15)를 타입 양생하기 위해 골(12)을 만든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6a는 밑창 콘크리트(13)와 기초 콘크리트(15)를 타입 양생하기 위해 골(12)을 만든 해안(11, 11a)의 부분 단면도며,
도 7은 골(12) 안에 기초 거푸집(14)이 가설된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7a는 골(12) 안에 기초 거푸집(14)이 가설된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8은 기초 거푸집(14) 내부에 밑창 콘크리트(13)가 타입 양생된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8a는 기초 거푸집(14) 내부에 밑창 콘크리트가 타입 양생된 해안의 부분 단면도로서,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입하기 이전에 골 바닥에 부직포 등을 깔아서 밑창 콘크리트(13)의 타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밑창 콘크리트를 타입하기 이전에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지반 개량용 파일을 박거나 일반적인 지반 개량 작업(본 특허 출원서는 직접 기초 공사의 적용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 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는 말뚝 박기 기초 공사 등 일반적인 지반 개량 작업이 적용되는 것까지를 포함 한다)을 우선 시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는 밑창 콘크리트 상단에서 배근(16) 작업이 이루어진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9a는 밑창 콘크리트(13) 상단에서 배근(16) 작업이 이루어진 해안의 부분 단면도로서, 배근(16) 작업 이전에 기초 거푸집(14)의 내측 표면에 기초 콘크리트(15)의 높이를 나타내주는 먹줄 표시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계속해서, 도 10은 밑창 콘크리트(13) 상단에 기초 콘크리트(15)가 타입 양생된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10a는 밑창 콘크리트(13) 상단에 기초 콘크리트(15)가 타입 양생된 해안(11, 11a)의 부분 단면도며,
도 11은 기초 거푸집(14)이 제거된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11a는 기초 거푸집(14)이 제거된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12는 사석으로 제방(11a)의 기본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표면에 방수용 부직포(17)를 깔아놓은 해안(11, 11a)의 부분 입면도며,
도 12a는 사석으로 제방(11a)의 기본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표면에 방수용 부직포(17)를 깔아놓은 해안(11, 11a)의 부분 단면도며,
도 13은 기초 콘크리트(15)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바닥 모래(17a) 등을 깔아놓은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13a는 기초 콘크리트(15)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바닥 모래(17a)를 깔아놓은 해안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표면에 바닥 모래(17a) 대신에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깔아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와 도 15는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가 깔려 있는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에 바닥판(18)을 안착시킨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14a와 도 15a는 바닥 모래(17a)가 깔려 있는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에 바닥판(18)을 안착시킨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16은 제방의 바닥판 주변(11aa)을 모래 등으로 채워서 제방의 기본 구조물을 완성시킨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16a는 제방의 바닥판 주변(11aa)을 모래 등으로 채워서 제방의 기본 구조물을 완성시킨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17과 도 18 및 도 19는 방수용 부직포가 깔려 있는 제방의 경사면에 호안 블록(19, 19a)을 깔고 있는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17a와 도 18a 및 도 19a는 방수용 부직포(17)가 깔려 있는 제방의 경사면에 호안 블록(19, 19a)을 깔고 있는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0과 도 21은 바닥판의 상단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이 안착된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20a와 도 21a는 바닥판(18)의 상단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이 안착된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2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의 전방을 되메워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22a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의 전방을 되메워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3 내지 도 23a는 완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23은 완공 이후 파도와 바람의 작용으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 안에 모래(22) 등이 유입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해안의 부분 입면도며,
도 23a는 완공 이후 파도와 바람의 작용으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 안에 모래(22) 등이 유입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4 내지 도 24a는 완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24는 파고가 낮은 평상시 해안의 쇄파(25)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4a는 파고가 낮은 평상시 해안의 이안류(24)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5는 파고가 높을 때의 쇄파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5a는 파고가 높을 때의 이안류(24, 24a)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6은 파고가 매우 높을 때의 쇄파(25)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며,
도 26a 내지 도 26b는 파고가 매우 높을 때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에 유입되어 있던 모래가 유출되는 과정 및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의 기능 등을 나타낸 해안의 부분 단면도다.
본 발명의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해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과 그것의 시공 방법 등으로 침식된 해안에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완공을 했을 때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이 이안류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므로 해안 바닥의 침식을 줄일 수 있다.
둘째;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외관이 미려하기 때문에 설치 이후에 해안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셋째; 설치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은 부등 침하 등으로 형태에 변형이 생겨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을 사용하는 조립식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복구와 재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
넷째;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을 사용하는 조립식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파도에 의한 공사장의 유실 피해를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해안의 연혁과 주변 지역의 지형지물 및 해류의 방향과 복구된 해안(11)의 이용 방법 등을 면밀히 조사 및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복구된 형태와 규모 및 이용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측량하여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의 지질을 조사하여 말뚝 박기 기초 또는 직접 기초 공사의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에 적합한 규모의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해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호안 블록, 바닥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을 필요한 개수만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을 복원하고자 하는 만큼을 모래 등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이 축조될 해안가를 일정한 폭과 깊이로 굴착하여, 밑창 콘크리트(13)와 기초 콘크리트(15) 및 바닥판(18) 등을 타입 양생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골(12)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골(12) 내부에 기초 거푸집(14)을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 내부에 밑창 콘크리트(13)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의 내측에 수평 상태의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에 타입 양생하는 기초 콘크리트(15)의 높이를 정확하게 표시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 안에서 배근(16)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하여 상기 기초 거푸집(14)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15)를 타입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 표면에 먹줄치기를 하여, 이후 그 먹줄에 맞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8)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거푸집(14)을 철거함과 함께 사석 등으로 제방(11a)의 기본 형태를 축조하는 단계와;
    상기 축조된 기본 형태의 제방(11a) 표면에 방수용 부직포(17)를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표면에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등을 일정하게 깔아서 그 위에 바닥판(18)을 안착시켰을 때 기초 콘크리트(15)와 바닥판(18)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 즉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위에 바닥판(18)을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방의 바닥판(18) 주변 즉 방수용 부직포(17)의 뒷부분(11aa)을 모래 등으로 채워서 제방의 기본 형태를 완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용 부직포가 씌워진 제방(11a)의 경사면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호안 블록(19, 19a)을 깔아주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 각각의 돌출부(18a, 18b) 사이에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을 안착시켜서,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과 바닥판(18) 및 호안 블록(19) 사이에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을 형성하는 단계와;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주변을 토사로 되메우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2.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침하 등을 방지해주는 밑창 콘크리트(13) 및 기초 콘크리트(15)와;
    사석 등으로 축조된 제방의 사면을 덮어씌워주는 방수용 부직포(17)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5)의 상단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깔아지는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와;
    상기 바닥 모래(17a) 또는 모르타르 위에 안착되면서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과 제방(11a)의 사면에 깔려 있는 호안 블록(19)을 연결 시켜주는 계단(18c)이 있고,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 개의 체결용 고리(19d)가 있는 다수개의 바닥판(18)과;
    전면이 계단(19b, 19c)으로 되어 있고,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체결용 고리(19dd)가 있으면서 상기 방수용 부직포(17) 위에 깔려지는 다수개의 호안 블록(19)과;
    전면이 경사면(20b)으로 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수구용 홈(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계단(20c, 20d)으로 되어 있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과:
    상기 바닥판(18)과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구역으로, 사면의 호안 블록(19)을 타고 흘러내리는 반사파 즉 이안류(24, 24b)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감쇠시켜주는 이안류 에너지 감쇠 공간 구역(21) 등으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체결용 고리(19d)가 있는 바닥판(18)은,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출부(18a, 18b)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계단(18c)이 있는 바닥판(18)은,
    크기가 작은 생물들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일반 계단의 수직면에 해당되는 부분들이 경사면(18e)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해안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이 계단으로 되어 있는 호안 블록(19)은,
    크기가 작은 생물들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계단에 부딪치는 파도의 충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일반 계단의 수직면에 해당되는 부분들이 경사면(19c)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해안 출입이 용이하도록 배면이 계단으로 되어 있는 해안 바닥 유실 방지용 블록(20)은,
    크기가 작은 생물들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일반 계단의 수직면에 해당되는 부분들이 경사면(20c)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
KR1020050093214A 2005-10-05 2005-10-05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KR20070038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214A KR20070038196A (ko) 2005-10-05 2005-10-05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214A KR20070038196A (ko) 2005-10-05 2005-10-05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96A true KR20070038196A (ko) 2007-04-10

Family

ID=3815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214A KR20070038196A (ko) 2005-10-05 2005-10-05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19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83B1 (ko) * 2006-09-28 2007-08-2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KR100898042B1 (ko) * 2008-01-25 2009-05-1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리프와 이의 시공 방법
WO2011044556A3 (en) * 2009-10-09 2011-09-09 Pierce Jr Webste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CN103938583A (zh) * 2014-03-07 2014-07-23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土石坝护坡及其施工方法
WO2014137752A1 (en) * 2013-03-04 2014-09-12 Pierce Webster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8985896B2 (en) 2009-10-09 2015-03-24 Webster Pierce, Jr. Water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9885163B2 (en) 2009-10-09 2018-02-06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CN111335290A (zh) * 2020-02-27 2020-06-2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适用于淤泥质地基的海上人工岛结构及施工方法
KR102307464B1 (ko) * 2020-12-16 2021-10-06 주식회사 동강개발 하천 보호용 설치 구조물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83B1 (ko) * 2006-09-28 2007-08-2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KR100898042B1 (ko) * 2008-01-25 2009-05-1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리프와 이의 시공 방법
US10669684B2 (en) 2009-10-09 2020-06-02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WO2011044556A3 (en) * 2009-10-09 2011-09-09 Pierce Jr Webste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US11326317B2 (en) 2009-10-09 2022-05-10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8985896B2 (en) 2009-10-09 2015-03-24 Webster Pierce, Jr. Water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10787779B2 (en) 2009-10-09 2020-09-29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9410299B2 (en) 2009-10-09 2016-08-09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9732491B2 (en) 2009-10-09 2017-08-15 Webster Pierce, Jr. Water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9885163B2 (en) 2009-10-09 2018-02-06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US10221534B2 (en) 2009-10-09 2019-03-05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US10450712B2 (en) 2009-10-09 2019-10-22 Webster Pierce,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WO2014137752A1 (en) * 2013-03-04 2014-09-12 Pierce Webster Jr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CN103938583A (zh) * 2014-03-07 2014-07-23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土石坝护坡及其施工方法
CN103938583B (zh) * 2014-03-07 2015-03-25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土石坝护坡及其施工方法
CN111335290A (zh) * 2020-02-27 2020-06-2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适用于淤泥质地基的海上人工岛结构及施工方法
KR102307464B1 (ko) * 2020-12-16 2021-10-06 주식회사 동강개발 하천 보호용 설치 구조물
KR20220087347A (ko) * 2020-12-16 2022-06-24 주식회사 동강개발 하천 보호용 설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819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N105507335B (zh) 钢板桩围堰基坑封底结构及施工方法
JP6370295B2 (ja) 盛土の補強構造とその築造方法
CN111270698A (zh) 一种用于山区采砂河道内桥梁桩基外露病害的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4575800B2 (ja) 堤防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CN109610405A (zh) 半月坑状水陂及其施工方法
CN109487748A (zh) 临近建筑物深河槽岸墙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10080234A (zh) 一种在软土地基深基坑二次中心岛开挖的方法
CN112982296B (zh) 用于边坡防护的桩箱式挡墙的施工方法
CN212223936U (zh) 一种用于山区采砂河道内桥梁桩基外露病害的防护结构
KR101097055B1 (ko) 주철 판넬로 축조된 사방댐과 골막이 및 그 축조방법
KR20060028356A (ko)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N112900364B (zh) 导流洞出口对岸道路边坡的防冲刷抗滑结构及其施工方法
CN217174589U (zh) 一种河道治理防洪装置
KR100691502B1 (ko) 수중구조물용 세굴 방지구 및 이를 이용한 수중구조물의세굴부위 보수방법
RU2770187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ооружения в подруслов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рек и каналов в городской застройке
KR200369898Y1 (ko) 수중구조물용 세굴 방지구
CN114108555B (zh) 一种河道抢险吸力式组合桩坝施工方法
KR102493308B1 (ko) 블록 조립형 케이슨 시공방법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CN113202050B (zh) 一种老旧河堤挡墙整治结构及方法
KR20110049984A (ko)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KR19990076289A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와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특수 세굴방지대의 제조방법
KR100707723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McRae et al. Urban Waterfront Redevelopment Incorporating Sea Level Rise Considerations, Edmonds, Washing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