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165A -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165A
KR20110049165A KR1020090106043A KR20090106043A KR20110049165A KR 20110049165 A KR20110049165 A KR 20110049165A KR 1020090106043 A KR1020090106043 A KR 1020090106043A KR 20090106043 A KR20090106043 A KR 20090106043A KR 20110049165 A KR20110049165 A KR 20110049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d
plan
plan information
electronic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446B1 (ko
Inventor
한동수
김경인
Original Assignee
한동수
김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수, 김경인 filed Critical 한동수
Priority to KR102009010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한 지번의 필지정보와 관련된 모든 개발지침을 제공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과,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번 추출과정을 자동화하여 다양한 계획정보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포함도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계획정보, 전자지도, 필지정보, 지번, 지번 추출, 개발지침

Description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본 발명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 이용행태, 법규 등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에 블록으로 연관시켜 표시하고, 이 계획정보에 포함된 필지정보의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한 지번의 필지정보와 관련된 모든 개발지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 또는 새로이 생성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모두 확인하고 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토지의 이용 및 개발을 위해 국가, 지자체, 법인, 개인 등은 다양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 개발의 효율적인 운용과 토지의 무분별한 개발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토지이용 계획정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농지법』에 의한 농지전용허가,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전용허가,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건축법』에 의한 건축기준, 지자체 각종조례, 『주택법』에 의한 최저주거기준, 『소방기본법』에 의한 소방력의 기준 등과 같은 다양한 계획 또는 기준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개발행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또한, 필지는 하나의 지번이 부여된 일정한 범위의 토지로서, 그 지번과 경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시한 지적도에 기록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어 전자지도에 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한 토지이용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영역 또한 이 전자지도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개발지침은 개발행위를 하고자 하는 토지의 이용과 관련된 계획, 이용 행태, 법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에 의한 건축지침, 색채지침, 조경지침, 녹지지침, 시설물지침, 광고물지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토지 소유주 또는 개발업자 등이 일정한 범위의 토지에서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그 토지에 지정된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사전에 충분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토지에서의 개발지침이 준수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상기한 개발지침이 누락되어 토지에서의 개발행위가 계획되고 실행되는 경우, 돌이킬 수 없거나 돌이킬 수 있다고 하여도 시간, 비용 등의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는 사례도 종종 있다.
이에 지번을 입력받아 이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의 행위제한 등을 포함한 도시계획 - 도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과 같이 다양한 계층으로 일정한 범위의 토지에 중복하여 지정될 수 있다. - 의 정보를 다양한 계층으로 포탈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각각의 계층에 따라 개발지침의 항목과 내용이 다르고 복잡하며 행정처리를 위한 관련 부서도 다양하여 토지 소유주, 계획가, 개발자 등이 해당 토지의 개발지침을 모두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며, 심지어 해당 토지에 대한 행정처리를 수행하는 행정가에게 있어서도 담당이 아닌 분야의 개발지침까지 모두 확인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한 포탈 사이트를 통한 행위제한 등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제공은 특정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에 지정된 대략의 도시계획에 대한 정보에 불과하고 모든 계 획정보를 나타낸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며, 주변지역 또는 여러 필지에 걸쳐 지정된 계획정보를 지적도 등과 연계하여 도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계획의 변경, 새로운 토지이용계획의 추가 등을 수행하는 경우 계획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통합하고 특정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의 계획정보를 빠짐없이 확인하여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계층의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자지도로부터 상기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통합
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종래의 시스템이 계층별로 다양하게 산재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데이터 체계와 관리부처 사이의 통합이 용이하지 않던 문제를 해결하도록 토지에 대한 전자지도에서의 지번을 기반으로 이 계획정보를 통합한다.
2.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표시하고 이 전자지도를 통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지번을 추출한다. 전자지도는 다수의 격자로 세분되 고 이 격자의 중심점이 계획정보 또는 필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3. 계획정보와 지번의 인덱스 배열 생성
계획정보와 전자지도를 통해 자동추출된 지번을 이용하여 지번을 이용한 계획정보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행렬의 형태로 형성한다. 이 배열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
토지이용 계획에 필지의 일부가 포함된 토지에 대하여 전자지도에서의 해당 지번의 필지정보가 어느 정도 계획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계산하여 포함도를 산출한다.
5. 지번을 통해 검색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 통합 제공
계획정보에 포함된 계획, 법규, 제한 등의 다양한 요소에 따른 개발지침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지번을 통해 검색된 계획정보와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제공한다. 계획정보와 연계하여 개발지침을 저장하되 상기한 요소별로 세분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전자지도와 연계되어 입력된 계획정보로부터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게 함으로써 지번을 기반으로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수동으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며 지번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계층의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2.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형성함으로써 지번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속도를 증가시키고,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를 이용할 경우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추가되는 계획번호 또는 지번에 대한 수용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3.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통합을 수행함으로써, 개발자는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할 지역의 현황에 맞게 해당 계획을 조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4. 세분된 격자에 대한 중심점을 사전에 모두 산출하고 이 중심점을 동일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것끼리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경우, 필지의 지번 추출을 모든 중심점에서 반복하지 않고 이미 추출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하여는 지번추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지번 추출을 간략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격자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이용되는 경우,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프로세스 처리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5. 전자자도에서의 두 영역 사이의 포함도를 산출함으로써 토지이용 개발을 위한 보다 정확한 자료를 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토지이용 계획들 사이의 적절한 조절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6. 특정한 계획정보에 관련된 특정한 필지의 포함도를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원소로 저장하는 경우 저장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가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요소에 대응되는 개발지침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발지침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개발지침 생성을 모듈화하여 계획정보의 증가에 따른 개발지침의 증가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 개발정보 통합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은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DB(230), 계획정보 검색부(250),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계획정보 입력부(210)는 행정법규 시스템(110), 토지이용계획 시스템(120), 도시개발 관리시스템(130) 등으로부터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 법규, 이용행태 등을 포함한 계획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계획정보의 입력 과정에서 전자지도 시스템(190)을 이용하여 상기한 계획정보와 관련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연계되어 계획정보 DB(Database)(230)에 저장된다. 이 계획정보 입력부(210)는 전자지도 시스템(190)에서 제공받은 CAD(Computer-Aided Design) 형태 등의 전자지도를 제시하고 이 전자지도에 상기한 계획정보와 관련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미리 준비된 상기한 계획정보의 경계선 등이 입력된 파일을 전송받도록 하여 상기한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계획정보에는 고유한 번호인 계획번호를 부여하여 다른 계획정보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며, 계획정보에 따른 다양한 개발지침도 계획정보의 요소별로 나누어 이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이 개발지침으로는 계획정보가 그대로 이용되기도 하고, 계획정보에 포함된 계획, 법규, 이용행태 등의 각각의 요소에 따른 별도의 규제사항, 지침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지번추출부(220)는 상기한 계획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받은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으로부터 이 영역에 포함된 필지정보의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상기한 필지정보는 지적도에서의 필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대한 경계선과 그 필지에 해당하는 지번, 지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지번은 상기한 계획정보와 연계되어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한 계획정보에 부여된 계획번호와 추출된 지번에 대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행렬의 형태로 생성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계획정보 DB(230)에 저장하도록 하기도 한다.
계획정보 DB(230)는 상기한 계획정보, 계획에 따른 개발지침, 전자지도 연계정보, 추출된 지번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계획정보 검색부(250)는 지번을 이용하여 상기 지번추출부(220)에 의해 생성 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수행한다. 검색된 계획정보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계획정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통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개발지침 제공부(260)는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에서 검색된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의 각각의 요소에 따른 개발지침을 종합하여 제공한다.
관리자(20)는 관리단말(290)을 통해 상기한 계획정보를 입력하고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을 관리한다. 도 1에서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과 관리단말(29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개념적인 것이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개발자(30)는 조회단말(300)을 통해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 또는 시행하기 위해 상기한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을 이용하며, 행정가, 토지소유주, 건축가 등을 포함한다. 조회단말(3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을 통해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 연결되며, 각각의 부처에서 수립한 토지이용 계획을 직접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2.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전자지도(5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 지번(530), 지목(550)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필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먼저,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은 전자지도(500)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연계된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500)에서의 영역을 계획 경계선(610)으로 구분하여 전자지도(500)와 연계시킨다. 도 4는 전자지도(500)에 연계되어 자연환경보전지역, 도로예정지구, 하수처리구역 등이 계획정보로 입력된 것을 도시한다.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계획 경계선 P1, 도로예정지구는 계획 경계선 P2, 하수처리구역은 계획 경계선 P3으로 각각 표시되었다.
이와 같이 전자지도(500)와 연계되어 입력되는 계획정보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계획정보 DB(230)에서 고유한 번호인 계획번호를 부여받아(S150)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이 계획번호는 계획정보 DB(230)에서 중복되지 않는 것이면 되고, 관리자(20)가 임의로 부여하거나 시스템에서 랜덤하게 생성하여 부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환경보전지역은 RN-001, 도로예정지구는 TR-034, 하수처리구역은 AS-027의 계획번호를 부여받았다.
이어서, S100 내지 S150을 통해 입력받은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필지의 지번을 상기한 전자지도(500)를 통해 추출한다(S200). 이 S200은 입력된 계획정보로부터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게 해 주는 것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추후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추출된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필지의 지번을 계획정보 DB(230)에 상기 계획정보의 계획번호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 DB의 모식도이다. 입력된 계획정보의 계획번호(700)와 전자지도(500)를 통해 추출된 지번이 연계되어 저장되고, 계획이름, 계획종류, 계획정보에 대한 경계선 정보 등이 더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모식도이다. 도 5을 통해 설명한 계획정보 DB(230)의 데이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계획정보는 여러 지번에 걸쳐 지정되고 이 각각의 계획정보에 포함된 지번 또한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계획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계획번호와 필지를 식별할 수 있는 지번을 이용하여 행렬 형태의 인덱스 배열을 형성한다(S300). 이렇게 함으로써 지번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더욱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 전체 계획정보와 필지정보에 대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렬의 원소의 값이 드물게 나타나는 희소행렬(Sparse Matrix)의 형태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이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저장되고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소행렬 및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형태의 인덱스 배열은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를 이용할 경우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추가되는 계획번호(700) 또는 지번(530)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이 형성되고 나면, 지번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관련된 계획정보를 검색(S400)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검색된 계획정보로부터 관련된 개발지침을 생성(S450)하고, 입력받은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을 제공한다(S500). 이 S400 내지 S500을 통해 개발자(30)는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할 지역의 현황에 맞게 해당 계획을 조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추후 ‘5.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의 통합 제공’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 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의 실시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지도(500)를 다수의 격자(grid)로 세분한다(S21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격자로 세분된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격자로 세분하였으나 지번 추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육각형 등의 다른 형태의 격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크기와 모양이 변하는 가변형 격자로 세분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S210은 계획정보와 관련된 범위에 한정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드의 크기는 계획정보 또는 필지정보를 나타내는 영역보다 작게 하여 지번 추출의 정확도를 보장하여야 하고, 그 크기를 작게할 수록 정확도가 증가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그리드를 너무 작게 하면 지번추출을 위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부담이 가중되므로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의 성능을 고려하여 격자의 크기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세분된 격자의 중심점을 산출한다(S220).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격자로 전자지도(500)를 세분하였으므로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대한 2차 평면에서의 좌표가 각각 (a, b), (a, d), (c, b), (c, d)라고 할 때 그 무게중심에 대한 2차 평면에서의 좌표는 ((a+c)/2, (b+d)/2)가 되며, 이 무게중심을 세분된 격자의 중심점으로 이용하게 된다. 격자의 모양이 정육각형 등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중심점을 산출하는 방법도 달라지게 됨은 당연하며 그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격자에 대한 넓이도 같이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격자의 중심점이 산출되면 이 격자에 대한 중심점의 좌표가 계획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별한다(S2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점 포함여부 판별원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계획 경계선(610)에 대한 중심점 C1(v, w)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우선 2차원 평면에서 중심점 C1(v, w)에 대한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연장선과 계획 경계선(610)과의 최근접 교점의 좌표를 각각 2개씩 구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점 C1(v, w)의 연장선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X1(x1, w), X2(x2, w)가 되고 y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Y1(v, y1), Y2(v, y2)가 된다. 이렇게 구해진 각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의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중심점 C1(v, w)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x1 < v ≤ x2 ------ ①
y1 < w ≤ y2 ------ ②
이 경우 ①은 참이나 ②가 거짓이 되어 중심점 C1(v, w)은 계획경계선(610)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격자에 대하여 S220을 수행하게 된다.
S230의 결과 격자의 중심점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판별된 경우 이 중심점이 포함된 필지의 지번을 추출한다(S250). 도 10의 중심점 C2(x, y)는 S230의 결과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판별된 후,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고 이 필지정보에 포함된 지번을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S230에서 중심점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중심점 C2(x, y)의 연장선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X3(x3, y), X4(x4, y)가 되고 y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Y3(x, y3), Y4(x, y4)가 된다. 이렇게 구해진 각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2의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중심점 C2(x, y)가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x3 < x ≤ x4 ------ ③
y3 < y ≤ y4 ------ ④
이 경우 ③과 ④가 모두 참이 되어 중심점 C2(x, y)는 해당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 필지정보에 대한 포함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중심점 C2(x, y)에 가까운 필지정보에 대해서만 확인하도록 그 범위를 제 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중심점 C2(x, y)가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고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도 포함되는 것이 확인되면, 계획 경계선(610)에 해당하는 계획정보의 계획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필지정보에 포함된 143-21의 지번이 저장되도록 한다.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계획 경계선(610)과 관련된 계획정보의 계획번호가 AS-027이라고 하면 상기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에서 계획번호 AS-027과 지번 143-21에 해당하는 원소에 ‘1’을 저장한다. 만약 해당 계획번호 또는 지번이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에 없다면 해당 계획번호 또는 지번을 추가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중심점 C3에 대해서도 상기한 과정을 통해 지번추출을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 중심점 C3는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되어 이 중심점 C3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상기한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다른 지번을 가진 인접한 필지정보에는 포함될 것이므로 다른 필지에 대한 경계선을 이용하여 중심점 C3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자동 지번추출 방법은 지번을 기반으로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수동으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계획정보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분된 격자에 대한 중심점을 사전에 모두 산출하고 이 중심점을 동일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것끼리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경우, S250에 의한 필지의 지번 추출을 모든 중심점에서 반복하지 않고 이미 추출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하여는 지번추출 과정을 생략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격자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이용되는 경우, 격자의 필지정보에 대한 포함여부의 확인을 계획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화가 적은 필지정보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의 프로세스 처리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4.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원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 과정은 상기한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에서 계획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추출된 지번의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계획정보와 다른 계획정보 사이의 포함도를 포함하여 두 영역 사이의 중첩도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먼저, 특정한 영역 X에 포함된 격자의 중심점의 집합을 Center(X)라고 하고, 특정한 집합 S에 포함된 원소의 개수를 N[S]라고 하면, 영역 B가 영역 A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포함도(A, B)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포함도(A, B) = N[Center(A) ∩ Center(B)] / N[Center(B)]
이 포함도는 0 이상,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0은 포함되지 않음을, 1은 모두 포함됨을 의미한다. 여기에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렇게 산출된 특정한 계획정보에 관련된 특정한 필지의 포함도는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원소로 저장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저장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가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에서의 142-3의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는 AS-027의 계획정보에 그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서, 142-3의 지번을 가진 필지의 경계선에 그 중심점이 포함되는 격자의 개수는 모두 78개이고 그 중에서 17개가 AS-027의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따라서, 142-3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정보의 AS-027의 계획정보에 대한 포함도는 ‘17/78 = 0.22’와 같이 계산된다. 백분율로 나타내면 22%가 된다.
이와 같은 포함도 산출 방법을 통해 필지의 일부가 토지이용 계획에 포함된 경우의 그 포함도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자료를 개발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계획정보 사이의 중첩도를 산출하여 새로운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할 경우 그 범위를 적절히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토지이용 계획들 사이의 적절한 조절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5.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의 통합 제공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이용하여 지번을 이용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신속하게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검색된 계획정보를 리스트로 제공하고 이 리스트에서 특정 계획정보를 선택하면 그 상세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색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에 관련된 모든 계획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계획정보로부터 개발자(30)가 준수해야할 개발지침을 종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개발지침의 생성을 위해서는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요소에 대응되는 개발지침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발지침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모든 계획정보에 대한 별도의 개발지침을 저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 별도로 구분되면 충분하고 물리적으로 상기한 계획정보 DB(230)에 같이 위치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개발지침 생성을 모듈화하여 계획정보의 증가에 따른 개발지침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전자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연계된 전자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 DB의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의 실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격자로 세분된 전자지도.
도 9는 도 8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점 포함여부 판별원리를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원리를 도시한 모식도.

Claims (9)

  1.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 상기 전자지도는 토지를 적어도 고유한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로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이미지로 표시한 것 또는 상기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이다. - 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 - 상기 계획번호는 상기 계획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이다. - 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번 추출과정은,
    상기 전자지도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 또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격자로 세분하는 전자지도 그리딩과정;
    상기 전자지도 그리딩과정에서 세분된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산출하는 중심점 산출과정;
    상기 중심점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가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격자가 지시하는 토지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로 판별하는 포함여부 판별과정;
    상기 포함여부 판별과정에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로 판별된 상기 토지를 지시하는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중첩 판별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 산출과정에서의 상기 중심점은,
    상기 전자지도의 평면상에서 상기 격자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격자의 무게중심에 대한 좌표가 상기 중심점에 대한 좌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첩 판별과정 이후에,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임의의 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격자 중에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임의의 한 필지정보의 포함도를 산출하는 포함도 산출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과정에서의 상기 배열은,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에 대한 행렬로 구성되며,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정보가 검색된 경우에,
    상기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각각의 계획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이 상기 전자지도에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발지침 생성과정 이전에,
    상기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법규 또는 기준에 대응되어 준수되어야 하는 행위제한 또는 지침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고,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법규 또는 기준에 대응되는 상기 행위제한 또는 상기 지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합하여 상기 개발지침 생성과정에서의 상기 개발지침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106043A 2009-11-04 2009-11-04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8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ko) 2009-11-04 2009-11-04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ko) 2009-11-04 2009-11-04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65A true KR20110049165A (ko) 2011-05-12
KR101086446B1 KR101086446B1 (ko) 2011-11-25

Family

ID=4436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ko) 2009-11-04 2009-11-04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4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84B1 (ko) 2016-01-19 2017-01-06 한국국토정보공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CN114169672A (zh) * 2021-10-26 2022-03-11 港华能源投资有限公司 能源规划的分区方法及相关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48B1 (ko) * 2014-12-15 2017-02-01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역계획모델에 대한 탄소 배출량 표출 시스템
KR101571284B1 (ko) * 2015-08-19 2015-11-24 (주)지오투정보기술 도시계획정보의 사용자 지향적 표출 시스템
KR101632065B1 (ko) * 2015-08-19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KR101632066B1 (ko) * 2015-11-05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동일 주제도 데이터의 공통 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1621424B1 (ko)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KR101621427B1 (ko)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순차적 전송을 이용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1621430B1 (ko)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공통 아이디 정보의 공유 적용을 통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의 시계열 표출시스템
KR101621428B1 (ko)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순차적 머징을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51B1 (ko) 2001-02-19 2004-08-04 김광우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포함한건축물의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84B1 (ko) 2016-01-19 2017-01-06 한국국토정보공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CN114169672A (zh) * 2021-10-26 2022-03-11 港华能源投资有限公司 能源规划的分区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446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46B1 (ko)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Cheng et al. Automating utility route design and planning through GIS
CN107038259A (zh) 一种构造交通路网数据的作业方法及其系统
CN114971597B (zh) 基于bim的算量和计量支付的公路造价计算系统及方法
KR101885959B1 (ko)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354267A (zh) 实现多类型规划方案“多规合一”电子报批的方法
KR100783567B1 (ko) 법규 및 환경 분석결과가 반영된 공동주택 단지의배치설계방법
Adebayo et al. Investigating retail property market dynamics through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s
Morova et al. Pavement management systems application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ethod
CN112990774A (zh) 山地村镇开发边界划定综合绩效评估方法和系统、存储介质
CN112883139A (zh) 基于gis矢量计算的空间数据与业务数据自动校验方法
Kang et al. Development of improved 4D CAD system for horizontal works in civil engineering projects
CN115063175A (zh) 店铺服务范围划定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4351230B2 (ja) 設計書データ生成システム及び設計書データ生成方法
JP6568989B1 (ja) 固定資産管理システム
KR102212140B1 (ko) 건설 인허가 협의서류 검증 방법 및 시스템
Ogryzek Simulator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a tool for selecting the optimal use of land
Colomb et al. Parcel Manager: a parcel reshaping model incorporating design rules of residential development
Al-Bayati et al.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raffic in Al-Mada’an city using rerouting technique
JP3728417B2 (ja) 交通安全施設管理システム
US20220277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wide building code for all jurisdictions having authority to adopt and enforce building cod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jurisdiction with authority for building code adoption and enforcement at the location of real property and the supplying of the building code for real property to the user
Akin CAD/GIS integration: rationale and challenges
CN115375107B (zh) 一种感知设施规模设置方法及系统
JP4698447B2 (ja) 囲繞地通行権についての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Shin et al. Case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 construction site layout plan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