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65B1 -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65B1
KR101632065B1 KR1020150116493A KR20150116493A KR101632065B1 KR 101632065 B1 KR101632065 B1 KR 101632065B1 KR 1020150116493 A KR1020150116493 A KR 1020150116493A KR 20150116493 A KR20150116493 A KR 20150116493A KR 101632065 B1 KR101632065 B1 KR 10163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ector
user cl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11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부;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 데이터 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부;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각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객체 정보 사이의 페어(pair) 정보 및 인접되어 결합되는 위치 데이터인 결합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징부; 및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SYSTEM FOR SHARING THEMATIC MAPS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DATA-DISTRIBUTED PROCESSING}
본 발명은 도시계획정보 내지 도시계획정보체계의 주제도 등을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효과적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대한 용량으로 구성되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속성 정보 등을 사용자의 니즈, 적용 범위, 우선순위 등에 부합되는 순차적 내지 분산적 데이터 처리와 전송 및 양방향 피드백을 통하여 더욱 사용자 지향적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에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어, 거주 공간, 산업 공간, 도로, 철도 등의 기간 시설, 상수도, 하천, 산악, 토지, 임야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응용 시스템으로서, 지리적 환경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활동 및 그에 따른 지리적 공간 내지 영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내지 도시계획정보체계(UPIS,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는 이에 대한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도시계획정보체계(약칭하여 도시계획정보)는 국가적 단위에서 운용될 수 있는 통합 정보 체계로서,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상하수도 시설, 도로망 등에 대한 정보가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위치 체계와 결합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와 각 지형도, 지질도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해당 시설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정보 등은 물론, 다양한 정책적 기반에 의한 조서, 고시 정보 등이 계층적 내지 계통적으로 생성되는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와 속성정보 체계의 총체적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정보는 도시계획정책 수립, 지리 기반 행정업무에 대한 다양한 의사 결정을 통합 내지 수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화, 도시화 등의 설계, 정책 등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구, 교통, 자원 건물, 환경 등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계획, 정비, 친환경 정책 구현, 시설 관리 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현된다.
또한, 도시계획정보에는 시설, 지구, 영역 등에 관한 도시 계획의 다양한 고시, 조서, 도형, POI, 승인, 보류, 인가 등에 대한 각종의 데이터가 DB로 구축되며, 이를 고시, 조서 등의 속성 정보들은 법률에 기초한 도시계획에 따라 광역, 지역, 지구, 구역 및 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적 항목으로 분류되어 DB화된다.
도시계획정보는, 이러한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맵(map) 데이터로서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양한 주제도(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등)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들 주제도에는 토지 현황, 표고, 경사도, 지가, 지적, 지목 등의 기초 속성정보와 공간, 영역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 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사용자로 지칭한다)은 이와 같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주제도 데이터를 이용 및 확인하여 데이터 내지 정보 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도 데이터 등을 활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는 기관 서버 또는 관리 서버에서 운용되며 사용자 등의 클라이언트가 이 관리 서버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 등을 전송받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는 다양한 정보가 총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방대한 데이터 집합체이며 이 데이터 전체를 전송받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신 트래픽이나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또는 사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데이터 전송 및 처리 프로세싱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등의 니즈와는 상관없이 모든 일체화된 데이터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이 모두 완료되는 시간이 더욱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2-0088011호(2002.11.25)에는 주제도의 생성 등에 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90335호(2011.11.30)에는 다양한 주제도를 비교할 수 있는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데이터 전송과 처리에 대한 효율적 방법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들 문헌 또한, 여전히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의 보편적 적용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장애, 트래픽 상황에 의한 전송속도 감소 등의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리소스는 상대적으로 저 사양(스펙)이므로 데이터 처리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므로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모바일 환경에 의한 데이터 전송 내지 공유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2-0088011호(2002.11.25)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90335호(2011.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서버 측에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개별 섹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개별 섹터를 기준으로 데이터 결합 내지 머징(merging)을 위한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요청 사항을 반영하여 통신 및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양 의존도를 최소화시켜 관리 서버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는 공유 시스템으로서, 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데이터저장부;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부;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 데이터 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부;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각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상호 인접되어 결합되어야 할 객체 정보 사이의 페어(pair) 정보 및 인접되어 결합되는 위치 데이터인 결합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징부;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되도록, 상기 객체 정보,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가공부는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위치 지점에 센터 POI를 삽입하여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는 표출부와, 상기 화면표시수단의 표출 화면에 대한 스크린 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스크린 샷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스크린 샷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 센터 POI에 해당하는 픽셀 사이의 이격 거리와 실제 상기 센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비율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속정정보 중 화면 비율에 따라 표출 여부가 차등적으로 정해지는 상기 속성정보의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저장하는 속성정보저장부; 및 상기 비율정보생성부가 생성한 현재 화면비율정보에 해당하는 표출범위정보를 상기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이용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표출범위정보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추출된 속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데이터 저장부는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정보를 더 부여하고, 각 개별 데이터 블록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상기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더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통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되,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삽입된 순서 정보에 의하여 각 개별데이터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머징부는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상기 스크린 샷 이미지와 상기 머징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매칭하여, 전송 누락된 객체 정보를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누락된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공유 시스템이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는 공유 방법으로서, 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데이터저장단계;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단계;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 데이터 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단계;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각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상호 인접되어 결합되어야 할 객체 정보 사이의 페어(pair) 정보 및 인접되어 결합되는 위치 데이터인 결합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징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되도록, 상기 객체 정보,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개별 데이터 블록들로 분산 내지 분리하고 이들 개별 데이터 블록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전송과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바를 차등적으로 반영하여 각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지향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기만 하는 일방적 프로세싱을 지양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표출 환경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 받아 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황에 최적화된 정보를 후속적으로 제공하거나 누락된 데이터 등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정확하게 재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데이터 처리에 대한 프로세싱 등은 하드웨어 리소스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서버 측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필요한 데이터 또한, 분산 내지 분리하여 개별화 내지 객체화시킴으로써, 도시계획정보의 확인 등을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사양(하드웨어 스펙)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통신 트래픽의 영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어 데이터 전송 및 프로세싱 처리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프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 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공유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유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유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이하 공유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를 통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기관 서버 또는 GIS 서버(300) 등과도 네트워크(5)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에 대한 데이터, 주제도에 대응되는 GIS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수신받아 관련 데이터와 함께 DB를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 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사용자로 지칭한다)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전송받는 사용자 측의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복수 개(200-1, 200-2,......,200-n)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씨,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 테블릿 등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사용자 측의 단말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지칭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5)는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다른 기관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인터넷, LAN,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유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프로세싱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공유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에서 주제도 데이터 등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210), 표출부(220), 화면표시수단(230) 및 이미지전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기초데이터저장부(110), 데이터가공부(120), 로데이터 저장부(130),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140), 선별부(150), 머징부(160) 및 전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대한 각 구성요소는 다양한 전기 전자 소자, 유닛, 모듈 등의 집합 내지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초데이터저장부(110)에는 위치정보, 속성 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가 저장된다(도 4의 S410). 상기 위치 정보는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공간, 영역 등에 해당하는 각 지점의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 정보로서, 절대적 좌표 체계에 의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GIS 정보 체계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해당 지점, POI의 고도 좌표 등을 포함한 3차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는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시설이나 지역/지구 등의 특성과 특징 등을 표상하는 정보로서, 정책 입안이나 계획에 대한 결정조서, 결정고시, 집행 관련고서, 집행 조서 등과 같은 정책에 대한 속성정보, 표고, 지적, 경사도, 등고선, 측지기준, 구역경계, 지적경계, 주요 건물, POI 등과 같은 특성에 대한 속성정보, 인구 밀도, 인구 변화량, 교통량, 생활권별 인구 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속성정보, 용도지역 분포, 토지이용 분포, 택지 개발 분포, 토지 소유 구분, 지가 분포 등과 같은 이용현황에 대한 속성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속성정보는 국가, 행정기관, 지자체(도, 시, 군, 구 등)와 같이 정책 집행 내지 계획 주체를 기준으로 한 다양한 조서, 고시 등이 계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역지구, 대지구, 중지구, 소지구 등과 같이 대상 공간의 너비에 따라 계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가공부(120)는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4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가공부(120)는 우선,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소정의 기준(크기, 영역, 우선순위, 정책 시행일의 우선일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각의 분리된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분리된 섹터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center) 및 외곽(outline)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110)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분석(parsing)하여 분리된 각 섹터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선별한다(S430). 나아가 각 섹터에 해당하는 속성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가공부(120)는 선별된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에 연결(link)시키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섹터마다의 섹터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섹터 이미지데이터 생성 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로데이터(raw data) 저장부(130)는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 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하나의 개별 데이터 블록으로 저장한다(S440).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를 개별 단위의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개별 단위의 섹터를 데이터 전송, 결합 등의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하나의 오브젝트(object)(객체)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니즈에 따라 데이터 전송, 데이터 가공 내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범위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연산 처리 등의 범위, 시간 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별부(150)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수신되면(S450), 상기 로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섹터위치정보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섹터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선별한다(S460).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표출영역정보는 특정 구역, 지구, 영역 등과 같이 특정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시, 군, 구, 면, 동 등과 같이 특정 행정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행정 구역이 그래픽 환경 등으로 선택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법 등에 의하여 표출영역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선별부(150)는 섹터위치정보 중 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섹터(섹터의 아이디 정보)를 선별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를 객체 정보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머징부(160)는 상기 섹터위치정보 즉, 섹터의 중심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섹터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표출영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 내지 머징(merging)시키기 위한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한다(S470).
이 머징관계 데이터는 상호 결합시킬 대상이 되는 섹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물론, 결합되는 섹터 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정확한 결합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머징부(160)는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상호 인접되어 결합되어야 할 객체 정보 사이의 페어(pair) 정보 및 인접되어 결합되는 위치 데이터인 결합위치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머징관계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전송부(170)는 상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머징관계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480).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는 종래와는 달리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전송하므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전체 데이터 집합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된 바와 같이 객체 정보,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정보 및 이들을 서로 연계/결합시키기 위한 머징관계데이터와 같이 분산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개별화된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단위로 프로세싱할 수 있어 연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송 오류, 장애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재전송할 수 있어 통신 환경에 더욱 강인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유 시스템(100)의 전송부(170)가 객체 정보, 개별 데이터 블록의 정보 및 머징관계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표출부(22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인터페이스부(I/O)(210)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시수단(230)으로 표출시키며, 나아가 해당 섹터에 대한 속성 정보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화면표시수단(230)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현재 화면표시수단(230)에 표출되는 현황을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의 현황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해당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가공부(120)는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때, 각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위치 지점에 중앙을 표상하기 위한 소정의 센터POI를 삽입하여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이미지 전송부(240)는 이 센터POI가 삽입되어 표출되는 표출화면의 스크린 샷(캡쳐 이미지)을 생성하여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510).
이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으로부터 화면표시수단(230)의 표출 화면에 대한 스크릿 샷 이미지가 전송되면, 본 발명의 비율정보생성부(180)는 전송된 스크린 샷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 센터 POI에 해당하는 픽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연산하고, 실제 상기 센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기 복수 개 센터 사이의 실제 거리를 연산한다.
이와 같이 화면 표출 상태에서의 센터 POI의 이격 거리와 실제 이격 거리가 연산되면 본 발명의 비율정보생성부(180)는 이들 사이의 비례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비율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현재 화면비율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520).
화면비율정보는 수치, 그래픽 등을 통하여 화면표시수단(230) 등으로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시수단(230)을 통하여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를 확인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확인하고 있는 주제도 데이터 등의 정확한 비율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스크롤 수단 등을 통하여 현재 자신의 화면표시수단(230)에 표출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 이에 따른 스크릿 샷 이미지가 생성되어 전송되고 상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 프로세싱에 의하여 정확한 현재 화면비율정보가 다시 피드백되므로 화면 크기가 조정되는 경우에도 정확한 화면비율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화면비율정보는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 독립적으로 생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양 방향 통신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은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의 현재 화면에 대한 비율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속성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로 구성되며 계통적 내지 계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로서 그 자체로서도 상당한 데이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속성정보가 분리되지도 않음은 물론, 도시계획정보의 다양한 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집합체로서 전체 데이터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되므로 전송 속도를 상당히 저하시키고, 통신 오류 가능성이 높아짐은 물론, 모든 데이터가 오류 없이 전송된다고 하여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사양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방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여야 하므로 연산 처리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 표출 상태에 따라 차등적으로 해당 속성정보를 선별하고 전송하도록 하여 속성정보 전송 및 처리 또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범위에 최적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정보저장부(190) 및 추출부(192)에 대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속성정보저장부(190)는 상기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속성정보 중 화면 비율에 따라 표출 여부가 차등적으로 정해지는 속성정보의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저장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속성정보는 정책 입안 등의 행위 주체, 대상 공간의 너비 등에 따라 계통적 내지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넓은 영역의 주제도 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에서 확인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해당하는 속성정보가 전송되어 표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주제도 데이터를 확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해당하는 속성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현재 상태에 부합되는 데이터만이 전송되도록 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서의 데이터 처리의 속도와 효율성이 제고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기준표출범위정보는 상술된 바와 같이 현재화면의 표출 수준에 따른 속성정보의 표출범위를 정하는 기준 정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부(192)는 앞서 설명한 비율정보생성부(190)가 생성한 현재 화면비율정보에 해당하는 표출범위 정보를 상기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이용하여 선별하고(S530)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출상태에 부합되는 속성정보가 표출되는 범위가 선별되면 선별된 표출범위정보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다(S540).
추출된 속성정보는 본 발명의 전송부(170)에 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되며(S550)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전송된 상기 속성정보를 사용자의 표출신호입력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화면표시수단(230)에 표출한다. 사용자가 마우스 등으로 특정 섹터의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위치에 해당하는 속성정보가 팝업되도록 하는 방식 등 속성정보를 표출하는 방법은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로데이터저장부(130)는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정보를 더 부여하고, 각 개별 데이터 블록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상기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더 삽입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섹션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하게 설정된다고 하여도 주제도 이미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 용량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나아가 개별 데이터 블록에 함께 저장되는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등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개별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경우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섹션이 정책적 중요도 등에 따라 다른 섹션에 비하여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고 사용자 등이 정한 기준에 따라 섹션들의 중요도 등이 서로 다를 수 있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로데이터저장부(130)는 이와 같이 데이터 블록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데이터 블록에 더 삽입시켜 저장한다(도 4의 S442). 이 경우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송부(170)는 특정한 주제도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션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에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복수 개 섹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통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되,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삽입 저장된 순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순서 정보에 의하여 각 개별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482).
이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각 개별데이터 블록의 아이디 정보와 연계된 순서 정보를 선행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통신 에러 등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는 개별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 및 재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머징부(16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사용자가 요청한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섹터들의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한 머징 이미지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머징 이미지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출되는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결합된 이미지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유 시스템(100)에서도 머징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된 스크린 샷 이미지 데이터와 대비할 수 있고 이러한 대비를 통하여 전송 누락된 객체 정보가 무엇인지 정확히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요청하였던 데이터가 완전히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머징부(160)에서 생성된 머징 이미지 데이터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된 스크린 샷 이미지 데이터를 대비하여 누락된 객체 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전송부(170)는 상기 전송 누락된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다시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공유시스템
110 : 기초데이터저장부 120 : 데이터가공부
130 : 로데이터저장부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선별부 160 : 머징부
170 : 전송부 180 : 비율정보생성부
190 : 속성정보저장부 192 : 추출부
200 : 사용자 클라이언트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표출부
230 : 화면표시수단 240 : 이미지전송부

Claims (10)

  1.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는 공유 시스템으로서,
    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데이터저장부;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위치 지점에 센터 POI를 삽입하여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부;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 데이터 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부;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상호 인접되어 결합되어야 할 객체 정보 사이의 페어(pair) 정보 및 인접되어 결합되는 위치 데이터인 결합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머징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징부;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되도록, 상기 객체 정보,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머징관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머징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는 표출부와, 상기 센터POI가 삽입되어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표출되는 표출 화면에 대한 스크린 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스크린 샷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스크린 샷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 센터 POI에 해당하는 픽셀 사이의 이격 거리와 실제 상기 센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비율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속정정보 중 화면 비율에 따라 표출 여부가 차등적으로 정해지는 상기 속성정보의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저장하는 속성정보저장부; 및
    상기 비율정보생성부가 생성한 현재 화면비율정보에 해당하는 표출범위정보를 상기 기준표출범위정보를 이용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표출범위정보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추출된 속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데이터 저장부는,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정보를 더 부여하고, 각 개별 데이터 블록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상기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더 삽입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통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경우,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삽입된 순서 정보에 의하여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징부는,
    상기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각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결합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상기 스크린 샷 이미지와 상기 머징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매칭하여, 전송 누락된 객체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누락된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의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16493A 2015-08-19 2015-08-19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KR10163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93A KR101632065B1 (ko) 2015-08-19 2015-08-19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93A KR101632065B1 (ko) 2015-08-19 2015-08-19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065B1 true KR101632065B1 (ko) 2016-06-20

Family

ID=5635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493A KR101632065B1 (ko) 2015-08-19 2015-08-19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085A (zh) * 2016-11-21 2018-05-29 鲸彩在线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地图分享方法及装置
KR102111348B1 (ko) * 2019-12-06 2020-05-1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시계열 트래킹 및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11349B1 (ko) * 2019-12-06 2020-05-1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객체 지향적 데이터의 분산처리와 계층적 머징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19530B1 (ko) * 2020-05-11 2020-06-0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요소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39133B1 (ko) * 2020-05-11 2020-07-29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데이터 정합 처리와 계층적 객체의 랜더링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WO2021108904A1 (en) * 2019-12-02 2021-06-10 Wsp Global Inc. Railway management system with data repository
WO2023153812A1 (ko) * 2022-02-08 2023-08-17 주식회사 마인드포지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11A (ko) 2001-05-15 2002-11-25 주식회사 타스테크 통계 및 분석을 위한 주제도 작성 방법
KR101086446B1 (ko) *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90335B1 (ko) 2011-08-0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KR20130094764A (ko) * 2013-08-01 2013-08-26 (주) 씨이랩 랜드마크 기반의 poi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6424A (ko) * 2014-01-17 2015-07-28 네이버 주식회사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11A (ko) 2001-05-15 2002-11-25 주식회사 타스테크 통계 및 분석을 위한 주제도 작성 방법
KR101086446B1 (ko) *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90335B1 (ko) 2011-08-0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KR20130094764A (ko) * 2013-08-01 2013-08-26 (주) 씨이랩 랜드마크 기반의 poi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6424A (ko) * 2014-01-17 2015-07-28 네이버 주식회사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085A (zh) * 2016-11-21 2018-05-29 鲸彩在线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地图分享方法及装置
WO2021108904A1 (en) * 2019-12-02 2021-06-10 Wsp Global Inc. Railway management system with data repository
KR102111348B1 (ko) * 2019-12-06 2020-05-1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시계열 트래킹 및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11349B1 (ko) * 2019-12-06 2020-05-1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객체 지향적 데이터의 분산처리와 계층적 머징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19530B1 (ko) * 2020-05-11 2020-06-0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요소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39133B1 (ko) * 2020-05-11 2020-07-29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데이터 정합 처리와 계층적 객체의 랜더링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WO2023153812A1 (ko) * 2022-02-08 2023-08-17 주식회사 마인드포지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065B1 (ko)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KR101621424B1 (ko)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Barik et al. FogGIS: Fog Computing for geospatial big data analytics
KR102160990B1 (ko)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Gill et al. Getting virtual 3D landscapes out of the lab
CN104567894B (zh) 用于提供地图数据的装置和方法及其系统
KR101621427B1 (ko) 순차적 전송을 이용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CN112784002B (zh) 一种虚拟场景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58230A (ko) 감시카메라 배치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99136B1 (ko)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네트워크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910185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privacy protection based on geofence networks
Morton et al. Virtual city models: Avoidance of obsolescence
KR101571284B1 (ko) 도시계획정보의 사용자 지향적 표출 시스템
Kang et al. Managing construction schedule by telepresence: Integration of site video feed with an active nD CAD simulation
KR101621428B1 (ko) 순차적 머징을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Cader et al. Overcoming data scarcity for energy access planning with open data–the example of Tanzania
CN117115381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iu et al. A visual analytics approach to scheduling customized shuttle buses via perceiving passengers’ travel demands
US109282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volumetric indoor location geocoding
KR101632066B1 (ko) 동일 주제도 데이터의 공통 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2139133B1 (ko) 데이터 정합 처리와 계층적 객체의 랜더링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Song et al. A study on application of open platform of spati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KR101621430B1 (ko) 공통 아이디 정보의 공유 적용을 통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의 시계열 표출시스템
CN104182434A (zh) 地图上区间指定系统
Coors et al. MoNa 3D–mobile navigation using 3D city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