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24B1 -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424B1
KR101621424B1 KR1020150155375A KR20150155375A KR101621424B1 KR 101621424 B1 KR101621424 B1 KR 101621424B1 KR 1020150155375 A KR1020150155375 A KR 1020150155375A KR 20150155375 A KR20150155375 A KR 20150155375A KR 101621424 B1 KR101621424 B1 KR 10162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individual object
sector
user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15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은 관리 서버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관리 서버는 주제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도시계획정보를 단위 섹션으로 개별화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통신 및 이와 관련된 후속 프로세싱을 처리하며, 관리 서버에 상응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 서버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표출영역에 필요한 최적화된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순차적 머징 등을 통하여 도시계획정보 등을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SYSTEM FOR DISPLAYING AND SHAR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본 발명은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속성정보, 위치정보 및 주제도 데이터 등의 도시계획정보를 단위 섹션별로 개별화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이미지 머징 등의 후속 프로세싱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양방향 피드백을 통하여 더욱 사용자 지향적 환경으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에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어, 거주 공간, 산업 공간, 도로, 철도 등의 기간 시설, 상수도, 하천, 산악, 토지, 임야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응용 시스템으로서, 지리적 환경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활동 및 그에 따른 지리적 공간 내지 영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내지 도시계획정보체계(UPIS,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는 이에 대한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도시계획정보체계(약칭하여 도시계획정보)는 국가적 단위에서 운용될 수 있는 통합 정보 체계로서,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상하수도 시설, 도로망 등에 대한 정보가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위치 체계와 결합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와 각 지형도, 지질도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해당 시설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정보 등은 물론, 다양한 정책적 기반에 의한 조서, 고시 정보 등이 계층적 내지 계통적으로 생성되는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와 속성정보 체계의 총체적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정보는 도시계획정책 수립, 지리 기반 행정업무에 대한 다양한 의사 결정을 통합 내지 수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화, 도시화 등의 설계, 정책 등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구, 교통, 자원 건물, 환경 등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계획, 정비, 친환경 정책 구현, 시설 관리 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현된다.
또한, 도시계획정보에는 시설, 지구, 영역 등에 관한 도시 계획의 다양한 고시, 조서, 도형, POI, 승인, 보류, 인가 등에 대한 각종의 데이터가 DB로 구축되며, 이를 고시, 조서 등의 속성 정보들은 법률에 기초한 도시계획에 따라 광역, 지역, 지구, 구역 및 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적 항목으로 분류되어 DB화된다.
도시계획정보는, 이러한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맵(map) 데이터로서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양한 주제도(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등)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들 주제도에는 토지 현황, 표고, 경사도, 지가, 지적, 지목 등의 기초 속성정보와 공간, 영역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 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사용자로 지칭한다)은 이와 같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주제도 데이터를 이용 및 확인하여 데이터 내지 정보 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도 데이터 등을 활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도시계획정보는 환경친화성 또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보장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토지의 환경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토지가 갖는 환경적 내지 사회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각종 토지이용계획이나 주요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조사인 토지적성평가에 주로 활용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는 기관 서버 또는 관리 서버에서 운용되며 사용자 등의 클라이언트가 이 관리 서버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 등을 전송받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주제도 데이터 및 도시계획정보는 다양한 정보가 총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방대한 데이터 집합체이며 이 데이터 전체를 전송받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신 트래픽이나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또는 사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데이터 전송 및 처리 프로세싱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등의 니즈와는 상관없이 모든 일체화된 데이터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이 모두 완료되는 시간이 더욱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2-0088011호(2002.11.25)에는 주제도의 생성 등에 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90335호(2011.11.30)에는 다양한 주제도를 비교할 수 있는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데이터 전송과 처리에 대한 효율적 방법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들 문헌 또한, 여전히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역 내지 범위 정보를 탄력적 내지 가변적으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시계획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위와 같은 데이터 전송 및 이에 대한 후속 프로세싱이 수행되므로 비효율적인 방법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있어 상술된 문제점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유비쿼터스 환경의 보편적 적용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장애, 트래픽 상황에 의한 전송속도 감소 등의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리소스는 상대적으로 저 사양(스펙)이므로 데이터 처리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므로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모바일 환경에 의한 데이터 전송 내지 공유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2-0088011호(2002.11.25)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90335호(2011.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시계획정보를 단위 섹션으로 개별화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통신 및 이와 관련된 후속 프로세싱을 처리함으로써 통신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사양에 대한 의존성을 최소화시키고 사용자마다의 요청 사항을 가변적이고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필요한 범위에서만 데이터 전송 및 후속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계획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출시키는 인프라 구조를 더욱 사용자 지향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리 서버 사이의 정보 피드백을 통하여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를 표출하는 표출시스템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표출시스템의 관리 서버는 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데이터저장부;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 이미지데이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부;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및 섹터위치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객체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부;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각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를 개별객체블록 단위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전송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전송한 객체 정보 및 전송 시간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하는 전송정보저장부; 및 상기 주제도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주제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프로세싱이 진행되도록 상기 데이터 가공부 및 로데이터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개별객체블록이 갱신된 시간 정보를 각 개별객체블록마다 생성하여 저장하는 갱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표출시스템의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표출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제2전송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표출요청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개별 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는 블록데이터 저장부; 상기 수신된 개별객체블록에 수록된 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싱부; 상기 파싱된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개별객체블록의 각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되, 각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각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는 머징부; 및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결합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블록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표출요청신호에 의하여 n번째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수신되면, 1 이상 n-1번째 수신되어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 중 상기 n번째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와 동일한 섹터 아이디 정보를 가지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는 n번째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동일한 섹터 아이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는 독립된 어드레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갱신저장된 각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각 섹터위치정보를 상기 표출영역정보와 매칭하는 매칭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머징부는 상기 매칭 결과 상기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객체블록을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제2전송부는 상기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추가가 필요한 추가영역정보를 포함한 표출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머징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영역정보를 포함한 표출요청신호의 회신으로 제2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와 상기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 서버의 전송부는 상기 선별부에서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가 선별되면, 상기 선별된 복수 개 섹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들의 집합인 아웃라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아웃라인 정보를 상기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 전송에 선행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아웃라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아웃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상기 표출영역에 대한 아웃라인을 표출하는 아웃라인 표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 서버의 로데이터 저장부는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객체블록에 공통 아이디정보를 더 부여하고, 각 개별객체블록의 크기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상기 각 개별객체블록에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 서버의 전송부는 상기 공통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경우, 각 개별객체블록에 삽입된 순서 정보에 의하여 각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머징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개별객체블록의 각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표출부는 순차적으로 결합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 서버의 전송부는 상기 아웃라인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 전송에 선행하여 상기 순서정보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아웃라인 표출부는 상기 전송된 순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표출된 아웃라인 내 영역 중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다음 순서로 표출될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영역에 대한 알람 정보를 화면표시수단으로 순차적으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대하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시계획정보를 복수 개의 단위 섹터로 개별화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해당하는 개별화된 단위 섹터의 데이터들만을 대상으로 데이터 통신 및 이와 관련된 후속 프로세싱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전송 및 프로세싱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 내지 최적화시킬 수 있어 통신과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각 섹터별로 저장 및 갱신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도 각 섹터들에 대한 머징 프로세싱 및 도시계획정보를 조합시킬 수 있어 도시계획정보를 화면표시수단 등에 표출시키는 프로세싱을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지 않은 특정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만을 추가적으로 관리 서버로 요청하여 피드백 받을 수 있어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주제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도시계획정보가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되는 순차적 과정을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싱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내지 인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사양에 대한 의존성을 최소화시키고 사용자마다의 요청 사항을 가변적이고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마다의 필요한 범위에서만 데이터 전송 및 후속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계획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출시키는 인프라 구조를 더욱 사용자 지향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출 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표출 시스템의 주요 일 구성인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출 시스템의 주요 일 구성인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되는 표출 방법에 대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머징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이하 표출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출시스템(1000)은 관리 서버(1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를 주요 구성으로 채용한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를 통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등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피드백 받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현재 상태 및 환경 등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기관 서버 또는 GIS 서버(300) 등과도 네트워크(5)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계획정보에 대한 데이터, 주제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GIS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수신받아 관련데이터와 함께 DB를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 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사용자로 지칭한다)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가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전송받는 사용자 측의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복수 개(200-1, 200-2, ...... 200-n)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씨,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 테블릿 등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가 통신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사용자 측의 단말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지칭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5)는 본 발명의 표출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1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사이 또는 다른 기관 서버(300)와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인터넷, LAN,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출시스템(1000)의 구체적인 구성, 프로세싱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출 시스템(1000)의 주요 일 구성인 관리 서버(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표출 시스템(1000)의 주요 일 구성인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기초데이터저장부(110), 데이터가공부(120), 로데이터저장부(130),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140), 선별부(150), 전송부(160), 갱신제어부(170) 및 전송정보저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와 상응하는 구성인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의 정보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입력 인터페이스(210), 제2전송부(220), 관리 서버(100)와의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I/O부(230), 매칭부(240), 블록데이터저장부(250), 파싱부(260), 머징부(270), 표출부(280), 아웃라인표출부(290) 및 화면표시수단(2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프로세싱 등을 설명하고 후속하여 도 3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관리 서버(100)와 함께 본 발명의 표출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일 구성인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프로세싱 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관리 서버(1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대한 각 구성요소는 다양한 전기 전자 소자, 유닛, 모듈 등의 집합 내지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기초데이터저장부(110)에는 위치정보, 속성 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복수 개의 도시계획정보에 대한 주제도 데이터가 저장된다(도 4의 S420). 상기 위치 정보는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공간, 영역 등에 해당하는 각 지점의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 정보로서, 절대적 좌표 체계에 의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GIS 정보 체계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해당 지점, POI의 고도 좌표 등을 포함한 3차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정보 등은 기관 서버(300)로부터 온라인 통신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 여부 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 회신으로 갱신된 도시계획정보 등이 전송(S410)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는 주제도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시설이나 지역/지구 등의 특성과 특징 등을 표상하는 정보로서, 정책 입안이나 계획에 대한 결정조서, 결정고시, 집행 관련고서, 집행 조서 등과 같은 정책에 대한 속성정보, 표고, 지적, 경사도, 등고선, 측지기준, 구역경계, 지적경계, 주요 건물, POI 등과 같은 특성에 대한 속성정보, 인구 밀도, 인구 변화량, 교통량, 생활권별 인구 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속성정보, 용도지역 분포, 토지이용 분포, 택지 개발 분포, 토지 소유 구분, 지가 분포 등과 같은 이용현황에 대한 속성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속성정보는 국가, 행정기관, 지자체(도, 시, 군, 구 등)와 같이 정책 집행 내지 계획 주체를 기준으로 한 다양한 조서, 고시 등이 계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역지구, 대지구, 중지구, 소지구 등과 같이 대상 공간의 너비에 따라 계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가공부(120)는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430 및 S435).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가공부(120)는 우선,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소정의 기준(크기, 영역, 우선순위, 정책 시행일의 우선일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각의 분리된 섹터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분리된 섹터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center) 및 외곽(outline)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110)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분석(parsing)하여 분리된 각 섹터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선별한다(S430). 나아가 각 섹터에 해당하는 속성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가공부(120)는 선별된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 이미지데이터에 링크(link)시키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섹터마다의 섹터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섹터 이미지데이터 생성 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로데이터(raw data) 저장부(130)는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섹터 위치정보 및 해당 섹터의 속성정보 등을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하나의 개별객체블록으로 저장한다(S440 및 S445).
이와 관련하여 도시계획정보, 주제도 데이터 등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갱신제어부(170)는 기초데이터저장부(110), 데이터가공부(130) 및 로데이터 저장부(150) 등을 제어하여, 도시계획정보, 주제도 데이터 등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주제도 데이터, 도시계획정보 등을 기준으로 각 구성의 프로세싱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갱신제어부(170)는 갱신이 이루어진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데, 특히 주제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부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이 갱신된 영역에 대응되는 섹터의 개별객체블록이 갱신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갱신제어부(170)는 각 개별객체블록마다 갱신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갱신여부 또는 갱신 시간을 개별객체블록마다 구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를 개별 단위의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개별 단위의 섹터를 데이터 전송, 결합 등의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하나의 오브젝트(object)(객체)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니즈에 따라 데이터 전송, 데이터 가공 내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범위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연산 처리 등의 범위, 시간 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선별부(150)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수신되면(S450 및 S460), 상기 로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섹터위치정보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섹터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선별한다(S470).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표출영역정보는 특정 구역, 지구, 영역 등과 같이 특정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시, 군, 구, 면, 동 등과 같이 특정 행정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행정 구역이 그래픽 환경 등으로 선택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법 등에 의하여 표출영역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선별부(150)는 섹터위치정보 중 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섹터(섹터의 아이디 정보)를 선별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를 객체 정보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즉, 사용자가 필요로 하여 요청한 영역에 대한 객체 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전송부(160)는 상기 선별된 객체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즉, 복수 개 섹터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를 개별객체블록을 하나의 전송 대상 내지 단위로 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480).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 사용자가 요청한 표출영역정보는 언제든지 서로 다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상술된 바와 같이 섹터를 기준으로 개별화하여 개별객체블록으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개별객체블록의 유기적인 조합(combination)에 의하여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모든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더욱 조속하고 정확하게 전송 내지 피드백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마다 사용자가 요청한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개별객체블록이 전송되면, 본 발명의 전송정보저장부(180)는 해당 데이터가 전송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식별정보, 전송한 객체 정보 및 전송된 시간 정보 등을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다(S490).
향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해당 섹터의 개별객체블록에 대한 갱신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송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된 해당 개별객체블록이 전송된 시간 정보와 앞서 설명된 갱신제어부(170)에서 저장하고 있는 개별객체블록마다의 갱신 시간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해당 개별객체블록의 갱신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가 전송 후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갱신된 개별객체블록을 정확히 선별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다시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방대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는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전송하므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별화된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단위로 프로세싱할 수 있어 연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송 오류, 장애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재전송할 수 있어 통신 환경에 더욱 강인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싱에 상응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구성 및 프로세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앞서 설명된 관리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제2전송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21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S450) 이 표출영역정보를 수록한 표출요청신호를 I/O부(230)를 통하여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46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출요청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즉,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개별객체블록이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면(도 5의 S500)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저장부(250)는 수신된 복수 개의 개별객체블록을 각 개별객체블록마다 독립되어 상호 구분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를 저장한다(S510).
블록데이터저장부(250)에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파싱부(260)는 상기 저장된 각 개별객체블록에 수록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파싱(parsing)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520).
파싱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머징부(270)는 각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에 대한 파싱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즉, 개별객체블록에 수록된 각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확인을 통하여 각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각 섹터위치정보의 아웃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한다(S530). 필요한 경우 섹터위치정보에 수록된 각 섹터의 센터에 대한 실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들의 결합(merging)이 완료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표출부(280)는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결합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295)에 표출한다(S540).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n은 2 이상의 자연수)번째(현재) 표출요청신호에 의하여 n번째로 관리 서버(100)로부터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수신되면(도 6의 S610) 즉, n번째 이전인 1 이상 n-1번째(현재 시점 기준 과거)로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던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와 대비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620).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관리 서버로 표출요청신호를 복수 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표출요청신호에 의한 회신으로 개별객체블록이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모든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도 있으나, 메모리 저장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개별객체블록을 단위로 한 프로세싱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아이디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한 아이디를 가지는 데이터)은 갱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신(最新)의 정보가 갱신되어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는 n번째(현재)로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각 개별객체블록의 섹터 아이디 정보를 확인하여 1 이상 n-1번째(과거) 수신되어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 중 동일한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이미 존재한다면(S630), 현재 수신된(n번째 수신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최신의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현재 수신된(n번째 수신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로 해당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한다(S640).
만약, n번째 수신된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 중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된 개별객체블록과 동일한 아이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개별객체블록이 포함되어 있다면 즉, 이전에 한 번도 전송된 적이 없는 신규의 개별객체블록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 신규의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는 기존 어드레스와는 다른 독립된 어드레스에 신규의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650).
이와 같은 프로세싱에 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는 서로 다른 섹터 아이디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저장되며, 후속적으로 동일한 섹터 아이디의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전송되면 동일 어드레스에 갱신되고, 신규의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전송되면 신규의 어드레스에 저장되므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중첩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면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도 관리 서버(100)에서 생성된 각 섹터에 대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표출 프로세싱에 충분히 반영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매칭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 개별객체블록의 섹터위치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도 7의 S700).
매칭 프로세싱 결과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대응되는 섹터(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이미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다면(S710), 상기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한다(S720).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입력한 표출영역정보에 대응하는 섹터 데이터가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 전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만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제2전송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표출영역정보 중 기 저장된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영역만으로 구성된 추가영역정보를 생성하고(S730) 이 추가영역정보가 포함된 표출요청신호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740).
이 추가영역정보가 포함된 표출요청신호가 관리 서버(100)로 수신되면 관리 서버(100)는 앞서 설명된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추가영역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인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선별하고(S750) 이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760).
상기 생성된 추가영역정보의 영역 너비가 사용자가 입력한 표출영역정보의 영역 너비 이하일 것이므로 전송되고 프로세싱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은 물론, 이에 대한 후속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추가영역정보를 포함한 표출요청신호의 회신으로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전송되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머징부(270)는 상기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와 상기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한다(S770). 이와 같은 프로세싱으로 결합된 머징 이미데이터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표출부(280)에 의하여 화면표시수단(295)로 표출된다(S780). 상기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블록데이터 저장부(250)의 독립된 어드레스에 저장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시수단(295)로 표출영역에 해당하는 전체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가 표출되기 전에 표출영역에 대한 아웃라인에 대한 표출이 먼저 선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였던 표출영역이 정확히 관리 서버(100)로 전송되었는지는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표출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 형태 등에 대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전송부(160)는 관리 서버(100)의 선별부(150)에서 표출영역정보에 부합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객체 정보)가 선별되면, 상기 선별된 복수 개 섹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 중 섹터 이미지 데이터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들의 집합인 아웃라인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복수 개 섹터들에 대한 아웃라인정보를 앞서 설명한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 전송에 선행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아웃라인 표출부(290)는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아웃라인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아웃라인정보를 이용하여 화면표시수단(295)에 상기 표출영역에 대한 아웃라인을 먼저 표출한다.
이와 같이 아웃라인이 선행되어 표출된 후, 관리 서버(100)로부터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이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머징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표출부(280)에 의하여 상기 선행되어 표출된 아웃라인 내부에 순차적으로 표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로데이터저장부(130)는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정보를 더 부여하고, 각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상기 각 개별객체블록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섹션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하게 설정된다고 하여도 주제도 이미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 용량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나아가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되는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등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 크기 내지 용량은 경우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섹션이 정책적 중요도 등에 따라 다른 섹션에 비하여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고 사용자 등이 정한 기준에 따라 섹션들의 중요도 등이 서로 다를 수 있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로데이터저장부(130)는 이와 같이 개별객체블록의 크기 및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데이터 구성의 순서에 대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데이터 블록에 더 삽입시켜 저장한다. 이 경우 동일한 주제도 데이터에서 분리된 각 개별 데이터 블록에 공통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전송부(16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출영역정보에 의하여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되, 각 개별객체블록에 삽입 저장된 순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순서 정보에 의하여 각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특정 주제도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통 아이디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을 선별하고 이들 선별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각 순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서 정보에 입각하여 순차적으로 전송되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머징부(270)는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개별객체블록의 각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나아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표출부(280)는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머징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화면표시수단(295)로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전체 개별객체블록이 모두 수신되기 전이라도 머징이 이루어지는 순서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표출영역에 대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데이터 등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100)의 전송부(160)는 상기 아웃라인 정보를 가장 먼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고, 그 후 상기 순서 정보를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각 개별데이터 블록의 아이디 정보와 연계된 순서 정보를 선행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통신 에러 등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는 개별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 및 재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순서 정보가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 전송에 앞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되면, 순차적으로 표출될 섹터에 대한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확인 등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아웃라인 표출부(290)는 순서 정보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표시수단(295)에 표출된 아웃 라인 내 영역 중 앞으로 화면표시수단(295)에 표출될 섹터 이미지 데이터 등의 영역에 대한 알람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출한다. 이러한 알람 정보의 표출은 차순으로 표출될 영역에 음영이 반복되도록 하거나 색상을 변화시키는 방법 및 팝업 창에 의한 영역 안내정보 고지 등의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의 표출시스템
100 : 관리 서버
110 : 기초데이터저장부 120 : 데이터가공부
130 : 로데이터저장부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선별부 160 : 전송부
170 : 갱신제어부 180 : 전송정보저장부
200 : 사용자 클라이언트
210 : 입력 인터페이스 220 : 제2전송부
230 : I/O부 240 : 매칭부
250 : 블록데이터 저장부 260 : 파싱부
270 : 머징부 280 : 표출부
290 : 아웃라인표출부 295 : 화면표시수단
300: 기관 서버

Claims (1)

  1.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리 서버 사이의 정보 피드백을 통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를 공유 및 표출하는 표출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위치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제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데이터저장부;
    상기 복수 개 주제도 데이터 각각을 대상으로 복수 개의 섹터로 분리한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 이미지데이터의 센터 및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 위치 정보인 섹터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분리된 섹터에 해당되는 속성정보를 해당 섹터 이미지데이터에 링크시키는 데이터 가공부;
    각 섹터마다 독립된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섹터 이미지데이터 및 섹터위치정보를 해당하는 각 섹터 아이디 정보에 연계하여 개별객체블록으로 저장하는 로데이터 저장부;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공유요청신호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표출영역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섹터의 아이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를 개별객체블록 단위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전송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전송한 객체 정보 및 전송 시간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하는 전송정보저장부; 및
    상기 주제도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주제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프로세싱이 진행되도록 상기 데이터 가공부 및 로데이터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개별객체블록이 갱신된 시간 정보를 각 개별객체블록마다 생성하여 저장하는 갱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출영역정보가 포함된 표출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전송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표출요청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개별 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는 블록데이터 저장부;
    상기 수신된 개별객체블록에 수록된 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싱부;
    상기 파싱부의 파싱된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개별객체블록의 각 섹터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되, 각 개별객체블록에 저장된 섹터위치정보의 아웃 라인에 대한 실제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는 머징부; 및
    상기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가 결합된 머징 이미지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으로 표출하는 표출부; 및
    사용자로부터 표출영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갱신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섹터위치정보를 상기 표출영역정보와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제2전송부는,
    상기 매칭부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갱신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매칭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추가영역정보를 포함한 표출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머징부는,
    상기 매칭부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갱신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매칭한 결과, 상기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객체블록을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며, 상기 매칭부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갱신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의 섹터위치정보와 상기 표출영역정보를 매칭한 결과, 상기 표출영역정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영역정보를 포함한 표출요청신호의 회신으로 제2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와 상기 제2개별객체블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섹터의 이미지데이터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블록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표출요청신호에 의하여 n번째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가 수신되면, 1 이상 n-1번째 수신되어 저장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 중 상기 n번째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 데이터와 동일한 섹터 아이디 정보를 가지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는 상기 n번째 복수 개 개별객체블록의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동일한 섹터 아이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개별객체블록 데이터는 독립된 어드레스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섹터의 개별객체블록에 대한 갱신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의 전송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개별객체블록이 전송된 시간 정보와 상기 갱신제어부에서 저장된 개별객체블록마다의 갱신 시간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해당 개별객체블록의 갱신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섹터의 개별객체블록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된 후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갱신된 개별객체블록을 선별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KR1020150155375A 2015-11-05 2015-11-05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KR10162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75A KR101621424B1 (ko) 2015-11-05 2015-11-05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75A KR101621424B1 (ko) 2015-11-05 2015-11-05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494A Division KR101571284B1 (ko) 2015-08-19 2015-08-19 도시계획정보의 사용자 지향적 표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424B1 true KR101621424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375A KR101621424B1 (ko) 2015-11-05 2015-11-05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4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5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8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CN112949413A (zh) * 2021-02-04 2021-06-11 北京大学 基于街景图片的城市景观要素分类及地方性度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46B1 (ko) *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90336B1 (ko) * 2011-08-1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46B1 (ko) *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90336B1 (ko) * 2011-08-1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5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8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CN112949413A (zh) * 2021-02-04 2021-06-11 北京大学 基于街景图片的城市景观要素分类及地方性度量方法
CN112949413B (zh) * 2021-02-04 2021-11-02 北京大学 基于街景图片的城市景观要素分类及地方性度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424B1 (ko)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KR101621427B1 (ko) 순차적 전송을 이용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1632065B1 (ko) 데이터 분산처리 기반에 의한 도시계획정보의 주제도 공유 시스템
Chakraborty et al. Open data for informal settlements: Toward a user׳ s guide for urban managers and planners
US202202440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US8996523B1 (en) Forming quality street addresses from multiple providers
CN103620661B (zh) 基于用户的移动路径来部分更新地图数据的系统和方法、服务设备和终端设备及记录介质
KR101571284B1 (ko) 도시계획정보의 사용자 지향적 표출 시스템
CN104067231A (zh) 使用虚拟交换代理控制网络接口
KR101621428B1 (ko) 순차적 머징을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US11910185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privacy protection based on geofence networks
Kamisan et al. UiTM campus bus tracking system using Arduino based and smartphone application
KR20150089806A (ko) Cim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한 도시공간 관리, 심의, 평가 및 허가를 위한 vr-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cim 시뮬레이션 방법
US201403798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ospatial Assets
EP3782037B1 (en) Off-viewport location indications for digital mapping
Pissourios Survey methodologies of urban land uses: An oddment of the past, or a gap in contemporary planning theory?
KR101632066B1 (ko) 동일 주제도 데이터의 공통 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Haq et al. Space syntax investigation of Lubbock, a grid-like American city and some insights into isotropic layouts
CN117115381A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621430B1 (ko) 공통 아이디 정보의 공유 적용을 통한 토지적성평가용 도시계획정보의 시계열 표출시스템
US20140101179A1 (en) Mapping Infrastructure Layout Between Non-Corresponding Datasets
Isikdag et al. Integration of GEO-sensor feeds and event consumer services for real-time representation of IoT nodes
KR102139133B1 (ko) 데이터 정합 처리와 계층적 객체의 랜더링을 이용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Ma et al. Service coverage optimization for facility location: considering line-of-sight coverage in continuous demand space
CN104182434A (zh) 地图上区间指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