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47B1 -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47B1
KR101686847B1 KR1020160118989A KR20160118989A KR101686847B1 KR 101686847 B1 KR101686847 B1 KR 101686847B1 KR 1020160118989 A KR1020160118989 A KR 1020160118989A KR 20160118989 A KR20160118989 A KR 20160118989A KR 101686847 B1 KR101686847 B1 KR 10168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unit
evaluation
area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Priority to KR102016011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토지적성평가 대상이 되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를 산정하며, 산정된 산정지수를 기초로 설정되는 임계지수를 이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표준화방법의 분류에 따른 분석모형별 퍼지분석, 중력분석 및 비율분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분석지수를 산정하여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고 각각의 토지 지번에 대하여 필지의 개발 또는 보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토지적성지수를 부여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초데이터를 입력하고, 표준화지수의 생성 및 토지의 적성평가를 요청하면, 업무모듈부의 표준화지수생성부에 구비되는 경사도/표고산정부가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의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공간엔진부의 공간연산부에 의한 기본도와, 주제도 중 평가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유니온연산, 디졸브연산, 이레이즈연산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평가대상지가 아닌 지역인 제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대상 지역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근거하여, 산정지수를 산정하며,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를 이용하여 업무모듈부에 구비되는 표준화지수생성부의 표준화지수산정부가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E)로부터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지표별 표준화방법의 분류에 따른 분석모형별 퍼지분석, 중력분석, 비율분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를 근거로 분석지수를 생성하여 평가지표별 평가지수와, 표준화지수 및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함으로써, 공원계획 및 도시계획의 수립 시에 보전해야할 토지와 개발 가능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용도지역지구제와 토지이용 및 국토이용계획체계를 토지의 특성 관리 단위인 각 필지별 토지적성지수를 부여하여 관리함으로서 효율적인 도시계획 체계화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Using the Assessment Index Based On Fuzzy Analysis and Gravity Model Functions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to Provide a Basis for Urban Planning Including the Park Plan}
본 발명은 공원계획을 포함하여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관리계획의 입안단계에서 필요한 토지에 대한 토지적성을 부여하여 공원계획 및 도시계획의 입안단계에서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지적성평가 대상이 되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를 산정하며, 산정된 산정지수를 기초로 설정되는 임계지수를 이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표준화방법의 분류에 따른 분석모형별 퍼지분석, 중력분석 및 비율분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분석지수를 산정하여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고 각각의 지번이 부여된 토지에 대하여 필지의 개발 또는 보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토지적성지수를 부여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토지적성평가는 토지이용계획이나 공원계획 등 주요시설의 설치에 관한 도시계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토지의 환경 생태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토지가 갖는 환경적 사회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보전해야할 토지와 개발 가능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공원계획 및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하는 단계에서 실시하는 기초조사를 말한다.
토지적성평가는 용도지역이나 용도지구를 지정 또는 변경하는 경우, 일정한 지역 또는 지구 내에서 공원계획 및 도시계획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시계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즉, 도시개발사업 및 정비 사업에 관한 계획 또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 대해 비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기존 도시지역의 녹지지역까지를 포함하는 비시가화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에 의해 지정된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대하여 토지의 적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토지적성평가는, 토지가 보전되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어떤 용도로 개발 및 사용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입안구역의 토지를 그 입지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토지적성평가는 용도지역지구제와 토지이용 및 국토이용계획체계를 토지의 특성 관리 단위인 각 필지별 토지적성지수를 부여하여 관리함으로서 효율적인 도시계획 체계화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8011호(2002. 11. 25)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0335호(2011. 11.30)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424호(2016.05.16)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427호(2016.05.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시계획을 입안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들 간의 공간연산을 통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진행할 평가대상지를 추출함과 더불어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을 위한 지표군을 설정하여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토지적성지수를 부여하고, 이를 지도로 표현할 수 있는 도시계획에 필요한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기와.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요청하는 업무를 처리하는 업무모듈부와, 업무모듈부의 쿼리 요청에 따라 데이터 변환, 연산, 검색 및 저장을 수행하는 공간엔진부 및 업무모듈부와 공간엔진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토지적성평가시스템으로서, 인터페이스부는,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접속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위해 수집 및 정비된 기초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초데이터입력부와,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표준화지수 생성을 요청하는 표준화지수생성부 및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하는 토지적성평가요청부를 포함하며, 업무모듈부는, 기초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초데이터를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군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기초데이터를 공간엔진부를 통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며, 변환된 공간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등의 데이터 분류, 변환,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와,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의한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평가대상지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는 표준화지수생성부, 및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의한 토지적성평가 요청에 따라 입안구역 내의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따르면, 수집된 기초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연산 및 공간쿼리가 가능한 공간데이터 구조로 변환하여 저장함과 더불어, 저장된 공간데이터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이용한 공간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공간검색, 공간연산 및 수치연산을 수행하여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하여 이를 지도에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따르면, 공간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공간검색과 복잡한 공간연산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각 토지의 필지별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하여 지도로 표현할 수 있으며, 지도를 통하여 표현된 공간데이터를 활용하여 입안구역에 대한 토지적성평가를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따른 토지적성지수에 의하여 나타낸 지도를 이용하면, 토지의 적성을 빠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토지의 환경 생태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입안구역에 대한 개발여부 검토 시에 유용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른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 생성을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토지적성평가 요청에 따른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토지적성평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평가대상지추출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가대상지 추출을 위하여 유니온연산에 의한 주제도의 제외영역병합 결과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가대상지 추출을 위하여 디졸브연산에 의한 기본도의 동일 속성필드로 생성된 일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경사도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사도산정을 위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경사도산정을 위하여 교차판정요청에 의한 버퍼연산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표고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도시용지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용도전용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지가수준산정에 대한 세부 름도이다.
도 17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공통면적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공통거리지표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이다.
도 21은 도 21의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22는 각 필지와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에 따른 시설이용편익의 관계분석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표준화지수 생성결과에 따른 정규분포곡선상의 보전/개발 등급분류도이다.
도 24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서 토지적성평가요청에 따른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른 토지적성지수 생성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평가대상지의 특정 필지의 토지적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10), 업무모듈부(20), 공간엔진부(30) 및 공간데이터저장부(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기초데이터의 입력과, 표준화지수의 생성 및 토지의 적성평가를 요청하면, 상기 업무모듈부(2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요청된 표준화지수생성 및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여 표준화지수 및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하고, 뿐만 아니라 상기 업무모듈부(2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로부터 수집 및 정비되어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검토, 분류하고 상기 공간엔진부(30)를 통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업무모듈부(20)는 상기 공간엔진부(30)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의 공간검색 및 공간연산을 수행하고, 아울러, 상기 업무모듈부(20)는 상기 기초데이터를 공간 연산하여 변환한 공간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기 표준화지수생성 및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여 생성된 공간데이터인 표준화지수 및 토지적성지수를 공간엔진부(30)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는, 기초데이터입력부(12)와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 입안구역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 및 임계지수입력부(18)와 지도조회부(19)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10)는,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수집되어 정비된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를 입력받는 기초데이터입력부(12),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표준화지수생성을 요청받는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 및 입안구역 내의 토지적성평가를 요청받는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0)는,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임계지수를 입력받는 임계지수입력부(18)와, 토지적성평가가 완료된 입안구역의 지도를 요청하는 지도조회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모듈부(20)는, 데이터관리부(22)와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업무모듈부(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기초데이터에 대하여 공간정보, 속성정보 및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군에 따라 개발적성인지 보전적성인지 검토하여 분류 및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데이터관리부(22),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로부터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평가대상지에 대한 표준화지수의 생성을 위한 표준화지수생성부(24),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부터 입안구역 내의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엔진부(30)는, 공간연산부(32)와 공간데이터제어부(34) 및 공간검색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공간엔진부(30)는,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공간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에 수반되는 공간연산을 수행하는 공간연산부(32)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에 따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거나, 공간데이터가 추가적으로 발생되어 입력하는 경우와, 공간데이터가 변경되어 수정되거나, 공간데이터를 삭제한 경우 등의 공간데이터의 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공간데이터제어부(34), 공간쿼리를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공간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하는 공간검색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는, 기본도저장부(41), 주제도저장부(42), 지형도(등고/표고)저장부(43), 속성정보저장부(44) 및 기타 공간정보저장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는, 지방자치단계, 국토지리정보원, 환경부, 산림청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수집되어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연산 및 속성정보에 따라 공간검색이 가능한 공간데이터로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10), 업무모듈부(20), 공간엔진부(30) 및 공간데이터저장부(40) 각각에 대한 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가시스템에 접속하는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수행자 또는 관리자를 포함한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이며,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를 통하여 관련기관 즉, 지방자치단체, 국토지리정보원, 환경부, 산림청 등 관련기관으로 수집된 제반 기초데이터를 입력한다. 하기의 [표 1]과 같이 기초데이터를 공간정보도면의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다.
<공간정보도면의 종류별 분류>
도면의 종류 관련기관(출처) 비고(축척)
연속지적도 지방자치단체(KRAS)
지역지구도 지방자치단체(KRAS)
수치지형도 국토지리정보원 1 : 5,000
수치표고모델 국토지리정보원 격자간격 5m
생태자연도 환경부 1 : 25,000
임상도 산림청 1 : 5,000
산지구분도 산림청 1 : 5,000
경지정리지역현황도 한국농어촌공사
(농지공간지도서비스)
하수도정비기본계획도 지방자치단체(KRAS)
상기 기초데이터는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연속지적도, 지역지구도, 및 하수도정비기본계획도가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 및 수치표고모델 및 환경청의 생태자연도, 산림청의 임상도 및 산지구분도, 한국농어촌공사의 경지정리지역현황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평가지표가 되는 토지의 기초데이터를 평가지표의 구축항목별로 각각 구분하여 정비한 후 입력할 수 있다.
<기초데이터의 평가지표 구축항목에 따른 분류>
물리적 특성(지형) 공간적 입지특성(거리) 지역특성(비율)
- 경사도
- 표고
- 기개발지, 공공편익시설, 도로
- 공적규제지역, 호소, 저수지,
하천, 바닷가
- 경지정리지역
- 도시용지, 용고전용필지,
공시지가
- 공적규제지역, 보전산지,
생태자연도, 임상도
- 경지정리지역, 전답과수원,
농업진흥지역
- 수치표고모델
(격자간격5m)
- 지방자치단체 전산자료
- 개별법상 지정자료
- 경지정리지역현황도
- 농지공간지도서비스 자료
- 지방자치단체 전산자료
- 개별법상 지정자료
- 토지특성조사 전산자료
- 농지공간지도서비스 자료
또한, 하기의 [표 3]과 같이, 평가지표가 되는 토지의 기초데이터를 별도분류 구축항목별로 각각 구분하여 정비한 후 입력할 수 있다.
<기초데이터의 별도분류 구축항목에 따른 분류>
자연보전 수질보전 계획보전
- 생태자연도 1등급,
별도관리지역
- 임상도 5영급 이상
- 국가 및 지방하천 300m
- 상수원 보호구역 1Km
- 유효 저수량 30만㎡ 호소 및
저수지 300m
- 재해발생위험지역,
경리정리지역
- 공적규제지역
- 공간 정책 및 계획상 보전이
필요한 지역
여기서, 상기 기초데이터라 함은, 데이터의 유형인 공간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정보에 따라, 좌표를 갖는 쉐이프(Shape)파일 및 구분자를 갖는 텍스트파일 등의 파일데이터와, 수치표고모델 등의 래스터(raster)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데이터는, 데이터의 공간정보 종류별로 좌표를 갖는 주제도, 연속지적도, 지형도(등고, 표고)로 구분되며, 데이터의 속성정보 종류별로는 개별공시지가를 갖는 파일데이터, 토지특성(토지지목인 대지, 임야 및 도로 등)을 갖는 파일데이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속성정보는 지역특성 및 공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개별공시지가전산자료’와‘국. 공유지대장전산자료” 그리고 각종 주제도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관련 대장자료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데이터는,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에 의하여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인지 여부 즉, X, Y 좌표정보를 갖고 있는지 여부와, 또한 상기 공간정보의 파일데이터는 개발적성인지 또는 보전적성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각 파일데이터 또는 래스터데이터는,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에 의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공간데이터로 포맷 변환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각 데이터의 형태별로 저장된다.
상기 변환된 공간데이터의 공간정보는, X, Y로 구성된 좌표정보를 갖고 있는 자료로서, 기본도, 주제도(용도에 따른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음) 및 등고/표고, 수치표고모델 등과 같은 지형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공간데이터 중에서 상기 기본도는, 상기 기초데이터 중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수집된 필지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연속지적도에 필지에 대한 속성정보를 갖는 개별공시지가정보를 결합시켜서 변환된 공간데이터로서,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다.
상기 변환된 공간데이터 중에서 상기 주제도는, 좌표정보와 속성정보를 갖는 영역데이터로서, 각종 용도지역지구도, 생태자연도, 공공편익시설도, 임상도 등이 이에 속하며,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다.
상기 변환된 공간데이터 중에서 지형도는, 등고/표고 및 수치표고모델 등 지형을 나타내는 공간데이터로서,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지형도저장부(43)에 저장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책을 수립하거나, 계획을 입안하거나, 관련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경우에 정보의 입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되는 기초데이터입력부(12),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 및 임계지수입력부(18), 지도조회부(1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접속하여 관련 업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는, 클라이언트단말기(1)를 통해 관련기관으로부터 수집 및 정비되어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기초데이터입력부(12)에 의한 기초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는, 표준화지수의 생성 및 토지적성평가를 위하여, 각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기초데이터에 포함된 토지의 개발정보 즉. 개발적성에 해당되는지 또는 보전적성에 해당되는지 토지의 적성구분에 필요한 어느 한 형태로 분류하고,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에 의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공간데이터에 의한 필지별 표준화지수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에 의한 표준화지수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공간데이터로부터 평가대상지를 추출하여 각 평지지표별 로 산정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산정지수에 임계지수를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에 의하여 표준화지수를 생성하여 이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에 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는, 도시개발에 있어서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업무모듈부의 토지적성평가부(26)에게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입안구역에 대한 개발적성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입안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의 구역데이터를 입력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입안구역에 해당하는 필지가 개발적성 및 보전적성인지 여부에 따른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하고, 상기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에 의하여 토지적성평가가 요청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상기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부터 입력된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데이터에 기초하여 토지적성평가가 요청된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입안구역에 대한 개발적성가능 여부 즉, 개발적성인지, 보전적성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입안구역 내에 존재하는 별도보전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고, 산정된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로부터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함으로써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한 후에, 상기 생성된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에 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업무모듈부(20)는, 데이터관리부(22),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부(26)를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기초데이터입력부(12),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 및 임계지수입력부(18), 지도조회부(1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 각각에 상응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는,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기초데이터를 평가지표군에 따라 개발적성인지 보전적성인지 분류하고, 분류된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 변환 및 변환된 공간데이터를 저장하는 등의 데이터를 분류. 저장 및 관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업무모듈부의 데이터관리부(22)는,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기초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받은 기초데이터를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평가지표군으로 분리하고 각 입력받는 기초데이터가 개발적성인지 보전적성인지 구분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속성값을 부여한다.
예로써,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발적성 중 필수지표인 경우에는 1에 해당되는 코드값을 부여하고, 개발적성 중 선택지표인 경우에는 2에 해당되는 코드값을 부여하고, 보전적성 중 필수지표인 경우에는 3에 해당되는 코드값을 부여하고, 보전적성 중 선택지표인 경우에는 4에 해당되는 코드값을 각각 부여하여 기초데이터별로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로의 데이터변환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서는 하기의 [표 4]와 같이, 평가지표군에 따른 토지의 개발 및 보전적성의 구분표에 의하여 평가지표를 구분할 수 있다. 즉, 평가대상 토지가 갖는 인문·사회·환경적 현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토지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지역특성 및 공간적 입지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분할 수 있다.
[표 4]와 같이 기초데이터로 입력된 토지는,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지표군으로써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에 해당하는 평가지표군을 필수지표와 선택지표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표 4]와 같은 적성구분에 따른 평가지표군의 필수지표와 선택지표를 이용하여 토지의 각 필지별로 종합적성지수 산정을 위한 개발적성지수와 보전적성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사시스템에 의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 평가대상이 되는 토지에 대한 평가지표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수지표와 선택지표를 사용하며, 필수지표는 개발적성과 보전적성별로 구분된 평가지표를 모두 이용하며. 선택지표는 개발적성과 보전적성별로 각각 2개씩 선정하여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평가지표군에 따른 토지의 개발 및 보전적성의 구분표>
적성구분 평가지표군
필수지표 선택지표
개발적성 경사도, 표고, 기개발지와의 거리,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도로와의거리
보전적성 경지정리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전,답,과수원면적비율, 농업진흥지역비율,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보전산지비율,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하천,호소,농업용저수지와의 거리, 바닷가와의 거리
여기서, 거리는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최단거리에 있는 시설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특히,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는, 상기 기초데이터 중에서 공간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공간정보의 유형인지 여부에 대한 체크 즉, 지도상의 토지에 대한 X, Y 좌표값을 갖는 공간정보 유형(예를 들면, 점, 선, 면의 유형별)에 적합한지 여부를 체크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로부터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지수를 생성하고, 이에 임계지수를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표준화지수를 생성하여 이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에 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술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대상지추출부(24a), 경사도/표고산정부(24b),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 지가수준산정부(24f), 전,답,과수원면적비율산정부(24g),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 임계지수설정부(24i), 및 표준화지수산정부(24j)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로 표준화지수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우선 먼저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 의한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평가대상지를 추출과정은 기본도에서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 중에서 시군구 단위의 전체지역 중에서 토지적성평가 범위에 해당하는 평가대상지만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도시군의 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하거나 도시군의 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비시가화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과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해당되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기본도와, 평가 제외대상지인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로 공간연산을 요청함으로써, 평가대상지가 아닌 지역인 제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대상 지역만을 공간연산(유니온연산, 디졸브연산, 이레이즈연산)을 수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된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 기본도와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공간쿼리를 요청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와, 주제도저장부(42)로부터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시켜야 할 제외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받고,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공간연산쿼리를 요청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 기본도와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공간연산(유니온 연산, 디졸브연산, 이레이즈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 의한 공간연산은, 먼저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가 주제도로부터 다수개의 제외영역을 우선적으로 병합하는 유니온(union)연산을 수행한 후, 상기 유니온 연산으로 생성된 제외영역(주거,상업,공업지역,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에 대한 병합결과 데이터를 융합하는 디졸브(dissolve)연산 및 기본도와 상기 디졸브연산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이레이즈(Erase)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미세필지를 제거하는 정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미세필지가 제거되어 정비된 평가대상지가 추출되면,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공간엔진부(30)에게 상기 미세필지가 제거되어 정비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저장을 요청하고,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는 평가대상지 저장 질의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요청하여 해당 평가대상지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경사도/표고 생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은 수치표고모델(DEM)(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지형도저장부(43)에 기 저장됨)을 이용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수치표고모델인 래스터데이터를 공간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벡터형태의 데이터인 벡터데이터로 변환 즉,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서 생성된 평가대상지와 상기 경사도/표고산정부(24b)로부터 생성된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를 연산 즉, 평가대상지별로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벡터 인터섹트(Vector Intersect) 연산하여 각각의 평가대상지별 경사도와 표고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경사도/표고가 경사도/표고의 산정지수로 되어,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 경사도”란 지표면과 지평면이 이루고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표고”란 평균해수면으로부터 특정지점까지의 수직고도를 의미한다.
상기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기본도로부터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를 이용하여 도시용지(주거용,상업업무용,주상복합,공업용으로 기재된 필지)를 추출하여 평가대상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법정동.리)의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면적비율(도시용지면적/최소행정구역면적)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도시용지면적비율이 도시용지면적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도시용지”는 개별공시지가조사를 위한 토지특성조사표에서 토지이용상황이 주거용상업업무용주상복합공업용으로 기재되는 필지를 의미하며, 따라서,“도시용지비율”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법정동리를 의미한다.)면적 내에서 도시용지의 면적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는, 최근 5년 이내에 보전용도의 지역에서 개발용도의 지역으로 변경된 용도가 전용된 필지의 면적비율을 산정한다. 따라서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와 5년 전의 개별공시지가를 이용하여 5년 전 개별공시지가에서 용도전용으로 구분된 필지를 코드값에 의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필지의 면적을 최소행정구역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용도전용비율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용도전용비율이 용도전용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용도전용”은 최근 5년 이내에 보전용도의 지역에서 개발용도의 지역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용도전용비율”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서 용도전용된 필지의 면적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보전용도의 지역"은 녹지지역(생산자연보전녹지)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및 보전관리지역생산관리지역을 의미하며, "개발용도의 지역"은 주거지역상업지역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개발진흥지구 및 계획 관리지역을 의미한다.
상기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 속성자료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을 이용하여 도시용지와 농업용지를 추출하고, 도시용지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버퍼(Buffer)를 생성하고, 생성된 버퍼와 농업용지를 중첩하여 중첩된 농업용지영역을 산정하고, 산정된 농업용지면적을 최소행정구역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도시용지인접비율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도시용지인접비율이 도시용지인접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도시용지 인접비율”이란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안에 있는 농업적 용도(전, 답, 과수원, 임야)인 필지들 가운데 도시용지와 접해있는 필지들의 합계면적이 당해 동리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농업적 용도 및 도시용지는 토지특성조사표에 기재된 것으로 한다.
상기 지가수준산정부(24f)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의 속성값 중에서 당해 개별공시지가의 속성자료의 공시지가와 면적을 이용하여 최소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각 필지의 [필지면적 * 공시지가]의 합을 최소행정구역 필지 전체면적(당해개별공시지가 면적 합계)으로 나누어 평균 공시지가를 산정하고, 최소행정구역 단위별 평균공시지가를 평균공시지가 중에서 가장 큰 값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하여 지가수준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지가수준이 지가수준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지가수준"은 해당 시군내 당해년도 평균개별공시지가가 최대치인 최소행정구역에 대한 평가대상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의 당해년도 평균개별공시지가의 비율을 말하며 토지 면적에 의하여 산정한다. 당해년도 개별공시지가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는 전년도 개별공시지가로 한다.
상기 전,답,과수원면적비율산정부(24g)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에서 토지이용상황코드와 지목값을 이용하여 전,답,과수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면적의 합을 산정하고 최소행정구역으로 나눔으로써 전,답,과수원면적비율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전,답,과수원면적비율이 전,답,과수원면적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토지특성조사표에서 전답과수원으로 기재된 전체필지의 면적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농업진흥지역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임상도상위등급비율, 경지정리면적비율, 보전산지비율, 대체지표와 같은 각종 용도지역에 해당하는 최소행정구역면적에 대한 비율인 공통면적비율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공통면적비율이 공통면적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또한,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기개발지와의 거리,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경기정리지역과의 거리, 하천, 호소, 농업용 저수지와의 거리, 바닷가와의 거리 등 평가대상 필지로부터 각 공통거리지표 주제도까지의 직선 최단거리를 공간연산부(32)를 통한 최단거리 공간연산을 수행하여 최단거리값을 산정한다. 이때 산정된 공통거리지표가 공통거리지표의 산정지수로 되어,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여기서,“농업진흥지역”이란 농지법에 따라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보전하기 위하여 지정된 지역을 의미하며,“농업진흥지역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농업진흥지역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공적규제지역”은 각 개별법에서 보전용도로 지정된 다음의 지역 등을 말한다. 이 경우 문화재보호구역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호구역이 지정된 지정문화재의 점유면적을 포함하여 적용하며, 특별대책지역 Ⅰ권역 및 수변구역 중 하수도법에 의한 하수처리구역 및 하수처리예정구역은 공적규제지역에서 제외한다.“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공적규제지역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다만,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산정 시에 보전산지는 공익용산지와 임업용산지를 포함한 면적으로 한다.“공적규제지역 면적비율”을 평가지표로 사용하는 경우 공적규제지역과 생태자연도 별도관리지역과 중복되는 항목(자연공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과 그 보호구역, 야생동식물 특별보호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습지보호구역, 시도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의미함)은 생태자연도 상위등급비율산정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생태자연도”란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산하천내륙습지호소농지도시 등에 대해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1~3등급과 별도관리지역으로 4개로 등급화한 도면을 의미한다.“생태자연도 상위등급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생태자연도 1등급2등급별도관리지역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생태자연도의 “별도관리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시행령에 의하여 산림보호법 따른 산림보호구역,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그 보호구역을 포함한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과 같은 법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구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수산자원보호구역(해양에 포함되는 지역은 제외한다),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연안습지보호지역은 제외),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에 른 백두대간보호지역,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생태경관보전지역 및 같은 법에 따른 시도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의미한다.
“임상도”란 전국의 산림현황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작성된 지도를 의미한다.“임상도 상위등급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임상도 3영급 이상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경지정리면적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토지특성조사표에서 경지정리된 농지의 필지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보전산지”란 산지관리법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산지를 의미하며, “보전산지비율”이란 해당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보전산지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보전산지는 임업용산지와 공익용산지로 구분된다.
“기개발지”는 주거상업공업지역, 도시개발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관광휴양형은 제외할 수 있다), 택지개발지구 및 산업단지(농공단지 포함)로 지정된 곳을 의미하며, “공공편익시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반시설을 의미한다.“하천”이란 하천법에 의해 지정되는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종전 지방1급 하천에 한함)을 의미한다. “호소”란 하천 또는 계곡에 흐르는 물을 댐 또는 제방 등을 쌓아 가두어 놓은 물로서 만수위구역안의 유효저수량이 30만㎥이상인 호소를 의미한다. “농업용저수지”는 유효저수량 30만㎥이상의 저수지를 의미한다. “도로”는 도로법의 도로 및 도시·군계획도로(폭 8m 이상)를 의미하며, “도로와의 거리”는 평가대상 토지로부터 가장 근접한 최단거리를 산정한다. 다만, 고속국도의 경우는 IC로부터의 거리를 산정한다.“바닷가”란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해안선으로부터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역까지의 사이를 의미한다.
상기 임계지수설정부(24i)는,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조례 등의 참조가 필요한 지표와 중력분석에 의한 지표 및 이를 제외한 모든 평가지표의 분석방법에 따라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는, 모든 평가지표(예컨대, 경사도, 표고,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 등)의 산정지수로부터 각각의 평가지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값으로서,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는 퍼지함수와 중력모형함수를 이용하여 평가지수를 산정할 경우에 사용된다.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는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계지수의 설정방법에 따라 임계지수를 설정하는 경우에, 도시관리계획 입안권자는 당해 실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평가지표별 평가기준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적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서,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는 모든 평가지표의 분석방법에 따라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의 상/하위 20%에 해당되는 값으로 설정하며, 이때 최소 및 최대임계지수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자동 설정하여 제시하고, 단, 경사도, 표고, 공공편익시설과의거리(중력분석)인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지자체마다 규정한 임계지수를 적용하여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될 수 있는 임계지수입력부(18)를 통하여 임계지수를 입력하여 임계지수를 설정한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의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라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E)에 상기 자동 산정된 임계지수(T)를 적용하여 각각의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생성하고, 생성된 평가지수(Es)를 [표 4]의 평가지표군에 의하여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을 적성구분하고, 각 적성지수별로 합산 즉, 개발적성지수(D)의 합과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산정하고, 개발적성지수(D)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차감하여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필지별(즉, 평가대상지별)로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지수(Es)는 하기의 [표 5]에 나타낸 지표별 표준화방법에 의하여 각 평가지표를 상기 [표 4]에 의한 분류된 개발적성 및 보전적성별로 구분하여 퍼지분석 및 비율분석을 수행할 경우에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를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지표별 표준화방법의 분류>
적성 구분 평가지표 표준화방법
개발적성 필수지표 경사도 퍼지분석
표고 퍼지분석
기개발지와의 거리 퍼지분석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중력분석
선택지표 도시용지인접비율 비율분석
지가수준 비율분석
보전적성 필수지표 경지정리면적비율 비율분석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비율분석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비율분석
공적규제지역과의거리 퍼지분석
선택지표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비율분석
보전산지 비율 비율분석
상기 [표 5]에 의한 표준화방법에 따라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산정지수(E)로부터 상기 개발적성지수(D) 및 보전적성지수(C)를 각각 산정하고, 개발적성지수(D)들의 합을 산정하고, 또한 보전적성지수(C)들의 합을 산정한다.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종합적성지수는, 상기 [표 5]로부터 산정된 개발적성지수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의 합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정한다.
[수학식 1]
[종합적성지수(S)] = [개발적성지수(D)의 합] - [보전적성지수(C)의 합]
업무모듈부(20)의 상기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종합적성지수(S)를 근거로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 여기서, 표준화지수(Zi)는 "(평가대상의 토지의 종합적성지수(S) - 해당 시군의 평균종합적성지수(Sm)/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해당 시군의 종합적성지수(S)에 대한 표준편차(Zd)"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표준화지수(Zi)는 필지별로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계와 공간데이터저장부(40)로부터 해당 구역계에 해당하는 표준화지수(Zi)가 생성한 평가대상지를 근거로 하여 공간연산부(32)에 의한 인터섹트 연산을 수행하여 필지들의 토지적성지수(Land Suitability Index : LS)를 생성함으로써 입안구역에 대한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고, 생성된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입안정보저장부(45)에 저장한다.
공간엔진부(30)는, 공간연산부(32), 공간데이터제어부(34) 및 공간검색부(36)를 구비하여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쿼리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공간데이터의 공간연산,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 입력, 수정, 삭제 등에 따른 공간데이터의 저장. 공간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할 경우에 필요한 공간데이터 간의 공간/속성의 데이터 연산인 유니온(Union)연산, 디졸브(Dissolve)연산, 이레이즈(Erase)연산, 벡터 인터섹트(Intersect)연산, 버퍼(Buffer)연산 등의 공간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공간연산은,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와, 경사도/표고 생성 시에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 변환하는 벡터변환연산. 유니온연산, 디졸브연산, 이레이즈연산, 벡터 인터섹트연산을 수행하며, 도시용지인접비율 산정 시에 버퍼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에 따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거나, 공간데이터가 추가적으로 발생되어 입력하는 경우와, 공간데이터가 변경되어 수정되거나, 공간데이터를 삭제한 경우 등의 공간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또한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부(26)가 동작되어 생성된 공간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는,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 및 토지적성평가부(26)에 의해 요청되는 검색을 위한 공간쿼리에 기초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공간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는, 기본도저장부(41), 주제도저장부(42), 지형도(등고/표고)저장부(43), 속성정보저장부(44) 및 입안정보저장부(45)를 구비하며,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지방자치단계, 국토지리정보원, 환경부, 산림청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수집되고 정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연산 및 속성정보에 따라 공간쿼리 및 공간검색이 용이한 공간데이터로 저장한다.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는 공간정보, 속성정보 및 이미지정보와 같은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기초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공간정보는, X, Y로 구성된 좌표정보를 갖고 있는 자료로서, 기본도, 주제도, 등고/표고외 용도에 따른 주제도를 포함하며, 기본도는 기초데이터 중 지방자치단체의 필지의 경계를 구분 할 수 있는 연속지적도와 필지에 대한 속성정보를 갖는 개별공시지가정보로 이루어진다.
주제도의 경우 좌표 및 속성정보를 갖는 영역데이터로서 각종 용도지역지구도, 생태자연도, 공공편익시설도, 임상도 등이 이에 속하며, 지형도(등고/표고)와 같이 지형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경우 경사도 분석이나 표고자료로서 공간연산이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다.
공간데이터저장부(40)는 각종의 기본도를 저장하고 있는 기본도저장부(41), 각종의 주제도를 저장하고 있는 주제도저장부(42), 각종의 등고/표고를 저장하고 있는 지형도(등고/표고)저장부(43), 각종의 속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속성정보저장부(44), 및 입안구역데이터, 입안구역내의 기본도 및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 등을 저장하고 있는 입안정보저장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속성정보저장부(44)에 저장된 속성데이터는, 개별공시지가를 갖는 파일데이터, 토지특성(토지지목인 대지, 임야 및 도로 등)을 갖는 파일데이터 등의 기초데이터로부터 변환된 공간데이터이며, 지역특성 및 공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개별공시지가전산자료" 와 "국.공유지대장전산자료" 및 각종 주제도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관련 대장자료를 포함한다.
상기 입안정보저장부(45)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 입안구역의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할 경우에 입력되는 입안구역데이터와 상기 입안구역 내의 기본도, 및 토지적성평가부(26)에 의하여 생성된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해 입력하는 기초데이터가 업무모듈부(20)의 공간쿼리 요청에 따라 공간엔진부(30)에서 공간연산 및 공간쿼리가 가능한 공간데이터로 변환되어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 시스템에 접속하는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의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단말기(1)를 통하여 관련기관 즉, 지방자치단체, 국토지리정보원, 환경부, 산림청 등 관련기관으로 수집되어 정비된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기초데이터(좌표값을 갖는 쉐이프(Shape)파일 및 구분자를 갖는 텍스트파일 등의 파일데이터와, 수치표고모델 등의 래스터(raster)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에 입력한다(S20).
상기 (S20)단계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데이터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받은 기초데이터를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군에 따라 개발적성인지 보전적성인지 구분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기 위한 속성값을 부여하고, 데이터 유형에 따라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하며, 특히, 공간자료의 경우에는 지도상의 토지에 대한 X, Y 좌표값을 갖는 공간자료 유형(예를 들면, 점, 선, 면의 유형별)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한다(S22).
상기 (S22)단계 이후에, 상기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에 의하여 검토된 기초데이터의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가 공간연산 및 공간쿼리가 가능한 데이터형식인 공간데이터로 변환 및 변환된 공간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S24, S26).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준화지수의 생성요청에 따른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의 생성을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하여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의 생성을 요청한다(S30).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기 (S30)단계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에 필요한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되는 평가대상지추출부(24a)가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 및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기 저장된 기본도와,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시켜야 할 제외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로부터 평가대상지를 추출한다(S3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S31)단계에서,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된 평가대상지추출부(24a)가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 기본도와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공간쿼리를 요청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와,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시켜야 할 제외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받고, 공간쿼리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 기본도와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공간연산(유니온 연산, 디졸브연산, 이레이즈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 의한 공간연산은, 먼저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가 주제도로부터 다수개의 제외영역을 우선적으로 병합하는 유니온(union)연산을 수행한 후, 상기 유니온 연산으로 생성된 제외영역(주거,상업,공업지역,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에 대한 병합결과 데이터를 융합하는 디졸브(dissolve)연산 및 기본도와 상기 디졸브 연산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이레이즈(Erase)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미세필지를 제거하는 정비를 수행하면,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공간엔진부(30)에게 미세필지가 제거되어 정비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저장을 요청하고,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는 평가대상지 저장 질의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요청하여 해당 평가대상지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상기 (S31)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해당되는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를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복수로 구비되는 각각의 평가지표별 산정부들에 의하여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 및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산정한다(S32).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S32)단계에서, 상기 [표 4]에서의 경사도/표고,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공통면적비율(경지정리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농업진흥지역비율,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보전산지비율) 및 공통거리지표(기개발지와의 거리,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하천/호소/농업용저수지와의 거리, 바닷가와의 거리) 등의 평가대상지에 해당되는 각각의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는,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되는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경사도/표고산정부(24b),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 지가수준산정부(24f), 전,답,과수원면적비율산정부(24g),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 각각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 및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산정하는 것이다.
상기 (S32)단계에서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로부터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임계지수설정부(24i)는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를 설정한다(S33).
상기 (S33)단계에서 설정된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를 각 평가지표별 평가모형(퍼지분석, 비율분석, 중력분석)에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생성한다(S34).
상기 (S34)단계에서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로부터 상기 [표 5]에 의한 표준화방법에 따라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개발적성지수(D) 및 보전적성지수(C)를 각각 산정한 후, 산정된 개발적성지수(D)들의 합 및 보전적성지수(C)들의 합을 산정하고, 상기 [표 5]를 참조하여 산정된 개발적성지수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의 합으로부터 상술한 [수학식 1]인 [종합적성지수(S)] = [개발적성지수(D)의 합] - [보전적성지수(C)의 합]에 의하여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한다(S35).
상기 (S35) 단계에서 산정된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상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가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S36).
상기 (S36)단계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생성된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S37).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함에 따른 입안구역의 토지에 대한 토지적성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시개발에 있어서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통하여 입안구역의 구역데이터를 입력하고, 입안구역 내의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한다(S40).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상기 (S40)단계에 따른 토지적성평가 요청에 따라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입안구역에 대한 입안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통하여 입력된 입안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의 구역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입안구역에 해당하는 필지가 개발적성인지 여부, 보전적성인지 여부 및 별도보전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해서 체크한다(S42).
즉,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에게 별도보전 해당 여부에 대한 공간쿼리를 요청하고, 공간엔진부(30)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로부터 검색된 별도보전 해당 여부 결과를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해당 필지에 대한 별도보전 해당 여부의 추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한 별도보전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입안구역 내의 평가대상지별 필지의 면적과 표준화지수(Zi)를 곱하여 합산한 후 구역계의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S44).
이후,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생성된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Zi)를 검토 대상이 되는 입안구역의 표준정규분포상에 적용하여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LS)를 생성한다(S46).
이때,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생성된 입안구역 내의 평가대상지별 토지적성지수(LS)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입안정보저장부(45)에 저장한다(S48).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토지적성평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10)의 기초자료입력부(12)를 통하여 수집 정비된 기초데이터를 입력한다(S100).
상기 (S100)단계에 따라 기초데이터가 입력되면, 업무모듈부(20)의 데이터관리부(22)는 상기 입력된 기초데이터를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기초데이터를 공간검색 및 공간쿼리가 가능한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S110).
한편,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표준화지수 생성을 요청하면, 표준화지수의 생성을 위한 요청쿼리가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로 전달된다(S120).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기 (S120)에 따라 토지의 개발적성과 보전적성 여부에 따른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와 공간연산부(32)에 의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로부터 토지적성평가의 대상이 되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한다(S130).
즉,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가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 중 기본도와 주제도로부터의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시켜야할 제외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연산(유니온연산, 디졸브연산 및 이레이즈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고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기 (S130)에 따라, 추출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표준화지수 산정을 위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기 저장된 공간데이터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 및 공간연산부(32)에 의하여 해당 평가대상지의 경사도/표고생성, 도시용지비율산정, 용도전용비율산정,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 지가수준산정,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 및 공통면적비율 및 공통거리지표산정을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되는 각 평가지표별 산정부들에 의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각각의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E)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S140).
상기 (S140)단계 이후에 상기 업무모듈부(20)의 임계지수설정부(24i)를 통하여 상기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설정한다(S150).
업무모듈부(20)의 임계지수설정부(24i)에 의한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값으로서, 즉, 상기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모형인 퍼지분석 및 비율분석을 수행할 경우에 이용되며,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치로 조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150)단계와 같이 상기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가 설정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단계 (S140)에서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를 각각의 평가지표별로 분석되는 평가모형(퍼지분석 및 비율분석)에 따른 분석과정에서 상기 (S150)에서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를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급간별로 구분하여 점수치를 부여함으로써 급간별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급간별 평가지수(Es)로부터 상기 [표 5]에 의한 표준화방법에 따라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개발적성지수(D) 및 보전적성지수(C)를 각각 산정한 후, 산정된 개발적성지수(D)들의 합 및 보전적성지수(C)들의 합을 산정하고, 상기 [표 5]를 참조하여 산정된 개발적성지수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의 합으로부터 상술한 [수학식 1]인 [종합적성지수(S)] = [개발적성지수(D)의 합] - [보전적성지수(C)의 합]에 의하여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한다(S170).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S170) 단계에서 산정된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를 토지평가대상이 되는 대상필지에 적용, 즉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표준정규분포상의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S180).
상기 (S190)단계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생성된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S190).
상기 (S190)단계 이후에,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에 평가대상이 되는 구역데이터를 입력하여 업무모듈부(20)에게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한다(S200).
업무모듈부(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부터의 토지적성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구역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구역 내에 별도보전여부의 필지를 고려한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를 생성한다(S210).
상기 (S210)단계에서 산정된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로부터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LS)를 생성하고,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입안정보저장부(45)에 저장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완료한다(S220).
상기 (S200)단계 내지 (S220)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통하여 도시개발을 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데이터를 입력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한다(S200).
업무모듈부(20)는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부터 입력된 도시개발을 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나서,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상기 입력되어 전송된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데이터에 근거하여 입안구역데이터에서 별도보전지역들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 중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필지별 표준화지수와 면적이 포함된 공간정보와,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주제도 중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엔진부(30)에 구비되는 공간연산부(32)의 공간연산기능을 이용하여 기본도에서 별도보전지역들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는 인터섹트연산을 수행한다.
즉,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와,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엔진부(30) 공간연산부(32)의 공간연산 중 인터섹트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에서 상기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모듈부(20)는 별도보전지역이 제외된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의 면적과 표준화지수(Zi)를 곱하여 합산하여 구역계의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를 생성한다(S210).
이후, 업무모듈부(20)는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등급구간)를 해당 입안구역에 적용하여 토지적성지수(LS)를 생성하고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입안정보저장부(45)에 저장하여 입안구역의 토지적성평가를 완료한다(S220).
이하에서는 이하에서는 상기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의한 토지적성평가를 참조하여 각 평가지표별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세부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평가대상지추출에 대한 세부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가대상지 추출을 위하여 유니온연산에 의한 주제도의 제외영역병합 결과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평가대상지 추출을 위하여 디졸브연산에 주제도의 동일 속성필드로 생성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대상지 추출과정은, 도 1의 토지적성평가시템에서 클라이언트단말기(1)에 의한 표준화지수생성 요청에 따라 해당 평가대상지를 대상으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해당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1의 토지적성평가시템에서,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하여 표준화지수생성 요청을 하면,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된 평가대상지추출부(24a)가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와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로부터 평가대상지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는, 시군구 단위의 전체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공간데이터로부터 시군구 단위의 전체지역 중에서 토지적성평가 범위에 해당하는 평가대상지, 즉 도시군의 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하거나 도시군의 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활용하며, 비시가화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과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해당되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로 표준화지수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우선 먼저 상기 요청에 따라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 즉,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된 평가대상지추출부(24a)가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기본도에서 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외하는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에 구비된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에게 기본도 및 평가 제외대상지인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으로 이루어진 평가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공간쿼리를 요청하면, 요청된 공간쿼리에 의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가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와,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해당 기본도에서 제외시켜야 할 평가제외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 기본도와 평가제외영역의 데이터에서 제외영역 병합의 공간쿼리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요청한다.
상기의 제외영역 병합의 공간쿼리 요청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주제도저장부(42)로부터 제공된 주제도에서 해당 기본도 중 제외시켜야할 제외영역인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외영역을 우선적으로 병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다수개로 이루어진 제외영역에 대한 병합과정은 공간엔진부(30)는 공간연산 중에서 유니온(union)연산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유니온연산은 두 도형(feature)간의 유니온도형을 생성한다. 이때, 속성값은 모두 유지되어야 하고, 필드는 순번 형식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시도와 같이, 상기 유니온(union)연산 방식은, 도 7의 좌측도면과 같이 2개의 도형과 2개의 필드로 형성된 F1 도형과 한 개의 도형과 2개의 필드로 형성된 F2 도형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두개의 도형(F1, F2)을 유니온연산에 의하여 공간연산을 수행하게 되면, 우측도면과 같이 4개의 도형을 갖는 F3 도형이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F3 도형의 필드는 F1 도형의 필드와 F2 도형의 필드가 통합되어 4개의 필드를 갖도록 설정되도록 하는 연산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 의한 유니온연산에 의하여 제외영역(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들을 모두 병합하는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상기와 같은 유니온연산으로 생성된 평가제외영역에 대한 병합 결과를 융합하는 디졸브연산 및 이레이즈연산을 수행하는 공간쿼리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요청한다.
상기의 디졸브연산 및 이레이즈연산의 공간쿼리 요청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상기 제외영역에 대한 병합 결과로부터 디졸브(dissolve)연산을 수행한 후, 상기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시군구 전체에 해당되는 기본도로부터 상기 디졸브연산 결과인 평가제외영역을 제거하는 이레이즈(Erase)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 의하여 공간연산의 방식 중에서 디졸브(dissolve)연산은 다음과 같다.
상기 디졸브연산은, 지정한 속성 필드에 따라 동일한 속성을 갖는 도형들을 하나의 도형으로 통합하고 속성값을 재산정한 결과를 생성한다. 디졸브연산을 수행한 후에 상기 이레이즈연산에 의하여 기본도에서 디졸브연산을 수행한 결과인 평가제외영역을 삭제시키어 생성된 결과가 토지적성평가 대상의 평가대상지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도와 같이, 상기 디졸브연산 방식은, 도 8의 좌측도면과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갖고 경계선으로 구분되어 467개의 도형을 갖고 있는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좌측도면과 같은 다양한 색상을 갖는 필지에 대하여 디졸브연산을 수행하면 우측도면과 같이 동일한 색상을 갖은 도형끼리 통합하여 하나의 경계선 내에 포함되는 도형으로 묶어서 25개의 도형을 갖는 구역으로 재형성하는 연산방식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유니온연산, 디졸브연산 및 이레이즈연산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한 후에, 상기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생성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정비를 수행한다.
즉,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 의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정비는 미세필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미세필지는 기본도 정비가 완벽하지 못하여 용도지역지구가 필지선에 맞지 않아서 생기는 필지 또는 공간연산(예컨대, 두개의 필지를 합치는 경우)시에 발생되는 오차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필지를 제거하는 과정에 의한 평가대상지의 정비과정은, 우선 평가대상지의 형상폭을 산출하여 0.36m 미만이면 해당 도형을 제거하고, 도형 면적이 0.5m2 이하이면 해당 도형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 의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정비가 완료되면, 업무모듈부(20)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는, 공간엔진부(30)에게 미세필지가 제거되어 정비되어 생성된 평가대상지에 대한 저장을 요청하고,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는, 평가대상지 저장쿼리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요청하여 생성된 해당 평가대상지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9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경사도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경사도산정을 위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경사도산정을 위하여 교차판정요청에 의한 버퍼연산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도/표고산정부(24b)에 의한 경사도 산정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하여 경사도산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은 수치표고모델 데이터와 평가대상지를 이용하여 필지별 경사도를 산정하고 최종적으로 필지별 경사도 산정지수를 산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해당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경사도생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아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지형도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 DEM)을 이용한다.
여기서,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서 고도값을 수치의 형태로 기록한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수치표고모델은 도 10과 같이 보통 지형도의 등고선을 토대로 수치표고모델을 형성한다. 또는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 자료의 입체분석을 통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5m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치표고모델은 지표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지형의 고도값을 수치로 나타내어 저장한 후 이를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측 지도의 인덱스와 같이 전국을 5m*5m 셀로 나누고 각 셀별로 셀의 위치를 의미하는 X, Y값과 높이를 의미하는 Z값으로 표현한 데이터를 말한다.
먼저, 클라이언트단말기(1)로부터의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한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기와 같이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대상지역인 평가대상지를 평가대상지추출부(24a)로부터 추출하여 생성 저장한 다음에, 생성된 평가대상지 내의 지형들에 대한 경사도를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에 의하여 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에게 요청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평가대상지추출부(24a)로부터 추출되어 생성 저장된 평가대상지와, 지형도(등고/표고)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수치표고모델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상기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제공된 수치표고모델로부터 경사도생성을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요청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슬로프변환에 의하여 경사값을 갖는 슬로프(Slope)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생성된 래스터데이터인 슬로프데이터를 공간좌표인 X, Y의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벡터형태의 데이터인 벡터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벡터변환을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요청하여,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의 공간변환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의 공간변환 연산을 수행한 후에,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벡터변환된 슬로프데이터에 대하여 교차판정을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요청한다.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업무모듈부(20)로부터의 교차판정 요청에 의해 버퍼(Buffer)연산 및 대상필지와 벡터 변환된 슬로프데이터 간의 인터섹트(Intersect)연산 등의 공간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의 각 필지별 경사도를 산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도에서와 같이, 상기 공간연산부(32)에 의한 버퍼(Buffer)연산은, 해당 필지에 대한 필지선을 이용하여 버퍼선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생성과정은, 파란색 선 테두리로 이루어진 다각형 도형의 필지선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필지선의 테두리 외곽으로 간격을 설정하여 주면, 즉 해당 도형의 필지선의 테두리에 간격값 즉 0.0011m 만큼 보다 넓게 설정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란색 선 테두리로 이루어진 다각형 도형과 모양은 같지만 간격값 0.0011m에 해당되는 넓어진 면적 즉, 빨간색 테두리로 이루어진 도형을 형성하는 것이 버퍼를 생성하는 연산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상기와 같은 버퍼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인터섹트(Intersect)연산을 수행한다. 즉, 인터섹트연산은 상기 버퍼연산 결과와 벡터 변환된 슬로프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연산부(32)에 의한 인터섹트연산은, 상기 도 11의 예시도에서와 같이, 아래의 (a)로부터 (p)로 이루어진 사각형이 벡터 변환된 슬로프데이터이고, 여기에 상기 버퍼연산 결과인 빨간색 테두리로 이루어진 도형을 상호 겹쳐서 상기 중첩되는 도형만을 추출하는 것이 인터섹트 연산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섹트로 연산한 결과를 살펴보면, 상기 도 11에서 중첩되는 도형인, 도형 (a)와, 도형(d) 및 도형 (p)를 제외한 나머지 도형을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각 도형이 갖는 경사도에 대한 평균을 산정하면 이것이 파란색 테두리로 이루어진 다각형 도형 즉 해당 필지에 대한 경사도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경사도가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경사도의 산정지수로 된다.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산정된 필지별 경사도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2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표고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도/표고산정부(24b)에 의한 표고 산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하여 표고산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은 수치표고모델 데이터와 평가대상지를 이용하여 필지별 표고를 산정하고 최종적으로 필지별 표고 산정지수를 산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해당 평가대상지에 대하여 표고생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아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구비되는 지형도(경사도/표고)저장부(43)에 기 저장된 수치표고모델(DEM)을 이용한다.
여기서, 수치표고모델(DEM)은 상기 도 9와 같은 경사도 산정 시에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단말기(1)로부터의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한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상기와 같이 표준화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대상지역인 평가대상지를 평가대상지추출부(24a)로부터 추출하여 생성 저장한 다음에, 생성된 평가대상지 내의 지형들에 대한 표고를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에 의하여 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 경사도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경우와 동일 및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표고인 평균해수면으로부터 특정지점까지의 수직고도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대상지별 표고데이터를 생성하며, 경사도/표고생성부(24b)는 생성된 표고데이터를 벡터로 변환하기 위해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 변환하는 연산을 요청하면, 위해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상기 생성된 래스터데이터인 표고데이터를 공간좌표인 X, Y의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벡터형태의 데이터인 벡터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래스터데이터/벡터데이터로의 공간변환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경사도/표고생성부(24b)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변환된 벡터데이터와 평가대상지의 교차판정을 요청하면,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업무모듈부(20)로부터의 교차판정 요청에 의해 대상필지의 버퍼(Buffer)연산 후에 대상필지와 벡터 변환된 표고데이터 간의 인터섹트(Intersect)연산 등의 공간연산을 수행하여 평가대상지의 각 필지별 표고를 산정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표고가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표고의 산정지수로 되며, 업무모듈부(20)의 경사도/표고산정부(24b)는, 상기 산정된 필지별 표고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3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도시용지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도시용지비율산정은, 최소행정구역 단위(법정동리)를 기준으로 도시용도에 해당하는 면적비율을 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20)의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서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를 이용하여 도시용지를 구분하고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데이터의 추출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토지이용상황코드는, 주거용은 10, 상업은 20 주상복합용은 30, 및 공업용은 40이다.
상기 도시용지의 추출 요청쿼리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무모듈부(20)로 제공한다.
업무모듈부(20)의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는, 공간검색부(36)로부터 제공된 기본도에서 최소행정구역(법정동.리)의 면적을 구하고, 추출된 도시용지데이터를 근거로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내의 도시용지면적의 합을 구하여 도시용지비율(즉, 도시용지면적/최소행정구역면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도시용지비율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도시용지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도시용지비율산정부(24c)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도시용지비율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4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용도전용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용도전용비율산정은, 최소행정구역 단위(법정동리)를 기준으로 용도전용된 면적비율을 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20)의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최근 5년 전 개별공시지가를 이용하여 보전용도에서 개발용도로 변경된 용도전용데이터를 요청한다.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 및 공간검색부(36)는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로부터 최소행정구역(법정동.리)의 면적을 구하고,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추출된 용도전용데이터를 근거로 최소행정구역내의 용도전용 필지 면적의 합을 구하여 용도전용비율을 생성한다.(용도전용면적/최소행정구역면적)
이와 같이 생성된 용도전용비율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용도전용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용도전용비율산정부(24d)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용도전용비율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5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도시용지인접비율은, 최소행정구역 단위(법정동리)를 기준으로 농업용지의 필지 중 도시용도의 필지와 접해 있는 면적비율을 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20)의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서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를 이용하여 도시용지를 구분하고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데이터의 추출 및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서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농업용지 추출을 요청한다. 여기서, 농업용지 토지이용상황코드는 [ 50: 전, 60 : 답, 70 :임야] 이다.
상기 도시용지의 추출 요청쿼리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평가대상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무모듈부(20)의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로 제공하며, 상기 농업용지의 추출 요청쿼리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에게 요청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로부터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 면적 내에 존재하는 농업용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무모듈부(20)로 제공한다.
상기 제공된 도시용지데이터와 농업용지데이터에 근거하여 업무모듈(20)의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에게 추출되어 제공된 도시용지데이터에 대한 공간연산(예컨대, 버퍼연산)에 으한 도시용지 버퍼의 생성 요청과, 생성된 버퍼와 농업용지로 추출된 데이터를 중첩하여 버퍼경계에 포함되거나 걸치는 도시용지인접데이터 추출을 요청한다.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상기 교차판정 요청에 따라 추출된 도시용지에 대한 버퍼(Buffer)연산에 의해 버퍼를 생성하여 단일도면으로 변환한 후, 그 변환결과를 업무모듈부(20)의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로 제공한다.
또한,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생성된 버퍼와 농업용지로 추출된 데이터를 중첩하여 버퍼경계에 포함되거나 걸치는 도시용지인접데이터를 추출한 후에, 추출된 도시용지인접 필지의 최소행정구역별 면적의 합을 구하여 최소행정구역면적으로 나누어 도시용지인접비율을 산정한다.(도시용지인접비율면적/최소행정구역면적)
이와 같이 생성된 도시용지인접비율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도시용지인접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24e)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도시용지인접비율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6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지가수준산정에 대한 세부 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지가수준산정은, 최소행정구역 단위(법정 동리)를 기준으로 필지의 당해년도 공시지가 수준을 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20)의 지가수준산정 (24f)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서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각 필지의 면적과 공시지가를 요청한다.
업무모듈부(20)의 지가수준산정부(24f)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에 대한 평균공시지가, 즉, 최소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각 필지의 [필지면적*공시지가]의 합/최소행정구역의 필지 전체면적(당해개별공시지가 면적 합계)에 의하여 평균공시지가를 산정한다.
업무모듈부(20)의 지가수준산정부(24f)는, 산정한 평균공시지가를 근거로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에 대한 지가수준 즉, [최소행정구역 단위별 평균공시지가/max(평균공시지가)* 100]에 의하여 지가수준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지가수준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지가수준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지가수준산정부(24f)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지가수준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7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은, 최소행정구역 단위(법정동리)를 기준으로 전, 답, 과수원에 해당하는 면적비율을 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모듈(20)의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부(24g)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서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를 이용하여 전,답,과수원에 해당하는 필지와 면적데이터의 추출을 요청한다.
상기 전,답,과수원에 해당하는 필지와 면적데이터의 추출을 요청쿼리에 따라,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에 속해 있는 전,답,과수원에 해당하는 필지와 면적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무모듈부(20)로 전달되고, 업무모듈부(20)의 전,답,과수원면적비율산정부(24g)로 제공하면, 제공된 전,답,과수원에 해당하는 필지와 면적데이터를 근거로 최소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각 필지 면적의합을 최소행정구역의 필지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면적비율을 산정한다(즉, 전,답,과수원면적/최소행정구역면적)
이와 같이 생성된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부(24g)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8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공통면적비율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에 의한 공통면적비율의 산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공통면적비율 산정과정은 농업진흥지역도, 공적규제지역도, 생태자연도, 임상도, 경지정리구역도, 보전산지도등 산정방식이 동일한 주제도의 면적비율을 산정을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산정과정이다.
업무모듈(20)의 공통면적비율/거리지표산정부(24h)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를 통하여 면적비율을 산정하고자 하는 주제도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요청하여 제공받는다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상기 추출된 각 용도지역의 경계도에 근거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각 용도지역의 병합을 요청한다.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는, 상기 병합 요청쿼리에 따라, 농업진흥지역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임상도상위등급비율, 경지정리면적비율, 보전산지비율, 대체지표 등과 같은 각종 용도지역중 산정하고자 하는 해당 주제도의 병합을 공간연산인 유니온연산으로 수행한 후에, 그 병합결과(예컨대, 용도지역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값, 예로써, 임상도4영급은 4로, 임상도5영급 5로,임상도6영급 6과 같이 각각에 대한 구분값 포함)를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로 제공한다.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주제도의 각 용도지역별 공부면적과 병합결과(용도지역 구분값)를 근거로 하여 병합된 도형별 공부면적 분할값을 산정한 후에 최소행정구역별 면적비율로부터 공통면적비율을 산정한다. 즉, [(병합된 도형의 공부면적)/(최소행정구역의면적)]에 의하여 산정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공통면적비율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공통면적비율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g)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공통면적비율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19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공통거리지표산정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에 의한 공통거리지표의 산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공통거리지표를 산정하기 위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에 쿼리요청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되어 있는 공통거리지표 즉, 기개발지와의 거리,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경기정리지역과의 거리, 하천,호소,농업용 저수지와의 거리, 바닷가와의 거리 등이 포함된 각 주제도중 산정하고자 하는 주제도를 추출하여 제공받는다.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상기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로 제공받은 각각의 공통거리지표가 포함된 주제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평가대상지의 필지별 무게중심점을 추출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h)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평가대상지의 필지별 무게중심점과 공통거리지표에 해당되는 [기개발지와의 거리,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경기정리지역과의 거리, 하천,호소,농업용 저수지와의 거리, 바닷가와의 거리]의 주제도간의 직선 최단거리 즉, 다시 말해서 평가대상 필지로부터 각 공통거리지표 주제도까지의 직선 최단거리를 연산하여 최단거리값을 산정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각 주제도와 평가대상지의 필지별 최단거리값이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공통거리지표의 산정지수가 되며, 업무모듈부(20)의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24g)는, 상기 산정된 해당 평가대상지의 평가지표인 공통거리지표의 산정지수를 공간엔진부(30)의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도 20은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에 따른 표준화지수 생성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며, 도 22는 각 필지와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에 따른 시설이용편익의 관계분석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표준화지수 생성결과에 따른 정규분포곡선상의 보전/개발 등급분류도이다.
도 1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을 참고하고, 도 20 및 도 21을 설명하면,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의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14)를 통하여 평가대상지에 대한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이 발생되면,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생성부(24)는 다음과 같이 각 단계별로 수행한다.
[Step 1단계] :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평가대상지추출부(24a)에 의한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Step 2단계] :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각 평가지표산정부들(24b ~ 24h)에 의하여 각 평가지표(즉, 표 1에 열거한 각종의 평가지표)별로 산정지수(E)를 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Step 3단계] :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임계지수설정부(24i)에 의한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Step 4단계] :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에 의하여 각 평가지표별로 표준화방법 중 평가모형(퍼지분석/비율분석/중력분석)에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를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산정한 후, 산정된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이용하여 평가지표별로 평가모형에 따라 평가지수(Es)를 생성한다.
[Step 5단계] : 상기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는 상기 [표 5]에 의해 평가지표가 개발적성에 해당하는 경우 개발적성지수(D)가 되고 보전적성인 경우 보전적성지수(C)가 되고, 각 지수별로 개발적성지수(D)들의 합 및 보전적성지수(C)들의 합을 산정한다.
[Step 6단계] : 상기 [표 5]를 참조하여 산정된 개발적성지수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의 합으로부터 [종합적성지수(S)] = [개발적성지수(D)의 합] - [보전적성지수(C)의 합]에 의하여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한다.
[Step 7단계] : 상기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
상기 [Step 1단계] 및 [Step 2단계]의 과정은 상기 도 6 내지 도 18의 각 설명을 참조하고, 이하에서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tep 3단계] 내지 [Step 7단계]에 대하여 과정별로 도 1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tep 3단계] :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 의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는, 모든 평가지표(예컨대, 경사도, 표고,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 등)에 대한 각각의 분석지수(Ea)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값으로서,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퍼지함수와 중력모형함수를 이용한 분석지수(Ea)를 산정할 경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적성평가지표별 임계지수(T)는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계지수의 산정방법에 따라 임계지수를 산정하되, 경우에 따라서 도시관리계획 입안권자는 당해 실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지표별 평가기준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적용된 임계지수(T)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에서는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조례 등의 참조가 필요한 지표와 중력분석에 의한 지표를 제외한 모든 적성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임계지수(T)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 지자체마다 규정에 의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조례 등의 참조가 필요한 지표와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지표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단말기가(1)가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되는 임계지수입력부(18)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변경된 각 평가지표별 임계지수(T)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은,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계지수의 산정방법에 따라 임계지수를 자동으로 산정하는 경우에는,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업무모듈부(20)의 임계지수설정부(24i)가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모든 평가지표의 분석방법에 따라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로부터 공간연산부(32)를 통하여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의 상/하위 20%에 해당되는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며, 이때 최소 및 최대임계지수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자동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으로 설정되는 산정지수의 최소 및 최대의 임계지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최소 및 최대의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는, 퍼지분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각 공통거리지표의 산정지수(E) 중에서 상하위 20%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하고, 비율분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각 비율지표의 산정지수(E) 중에서 상하위 20%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업무모듈부(20)의 임계지수설정부(24i)는 상기 자동으로 설정된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은, 지자체마다 규정에 의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 조례 등의 참조에 따라 지자체마다 다른 경우 즉, 경사도, 표고인 경우와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변경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가(1)가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되는 임계지수입력부(18)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변경된 각 평가지표별 임계지수(T)를 설정하여 입력하면, 업무모듈부(20)의 임계지수설정부(24i)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된 임계지수(T)를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Step 4단계] :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에 의하여 각 평가지표별로 표준화방법 중 평가모형(퍼지분석/비율분석/중력분석)에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적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산정한 후, 산정된 분석지수(Ea)를 이용하여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생성한다.
임계지수설정부(24i)에서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가 산정되면, 업무모듈부(20)는 이를 근거로 모든 평가지표(예컨대, 경사도, 표고,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공통면적비율 및 공통거리지표 등)에 대한 분석지수(Ea) 및 평가지수(Es)를 생성한다.
상기 산정지수의 임계지수(T) 설정에 따른 모든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의 산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평가지표(즉, 표 1에 열거한 각종의 평가지표)별로 상기 산정된 산정지수(E)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정된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적용하여 각 분석모형에 따른 분석지수(Ea)를 산정한다.
업무모듈부(20)에 구비되는 표준화지수생성부(24)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평가지표별로 상기 산정된 산정지수(E)로부터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표 5] 지표별 표준화방법의 분류에 따른 분석모형별 퍼지분석, 중력분석, 비율분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평가모형에 따른 퍼지분석, 비율분석 및 중력분석에 따른 각각의 분석지수(Ea)를 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퍼지분석 산정방식에 따른 분석지수(Ea)
평가지표가 경사도, 표고, 기개발지와의 거리,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인 경우에는 퍼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산정한다.
상기 퍼지분석에 따른 분석지수(Ea)는, 최소임계지수 미만의 산정지수를 갖는 평가대상지는 100을 입력하고, 최대임계지수 초과의 산정지수를 갖는 평가대상지는 0을 입력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한다. 그 이외 평가대상지는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로 설정한 최소임계지수, 최대임계지수 및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른 퍼지분석지수를 산정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한다.
[수학식 2]
{[ 1 + [ COS [ 2* [ [(산정지수 - 최소임계지수)/(최대임계지수 - 최소임계지수)] * [ π / 2 ] ] ] ] / 2 } * 100
여기서, π = 3.14이다.
또한, 퍼지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각 공통거리지표 총 상하위 20%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고, 비율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각 비율지표 중 상하위 20%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에서는,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를 설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들로서, 물리적 특성지표(표고, 경사도)와 공간적 입지성지표(기개발지와의 거리,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를 대상으로 퍼지함수를 이용하여 0-1까지의 연속된 척도로 표준화한다.
개별필지에 대한 퍼지분석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3](monotonically decreasing의 경우) 및 [수학식 4](monotonically increasing의 경우)에 기재된 각 함수를 적용하여 소속도를 산정한 값이고, 후에 그 값에 100을 곱한 것이 평가지수(Es)이다
[수학식 3]
μ = 1(ω<a)
μ = {(1+cos2[((ω-a)/(b-a))×π/2)]}/2*((a≤ω≤b))
μ = 0(ω>b)
여기서, a는 최소임계지수, b는 최대임계지수, ω는 산정지수, μ는 퍼지분석지수이다.
[수학식 4]
μ = 0(ω<a)
μ = cos2a = cos2[(1-(ω-a)/(b-a))×π/2)]*(a≤ω≤b)
μ = 1(ω>b)
여기서, a는 최소임계지수, b는 최대임계지수, ω는 산정지수, μ는 퍼지분석지수이다.
예로써, 각 개별필지에 대한 퍼지분석지수는 다음과 같다.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 최소임계지수] : 20이고, 최대임계지수 : 100이며, 평가지표의 산정지수 : 30인 경우에, 해당 지역의 외곽경계와 개별필지 중심점과의 거리를 GIS기법을 이용하여 필지를 부여한 지수가 평가지표의 산정지수(ω=30)가 되며,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하여 퍼지분석지수(μ=0.69)가 자동으로 산정되고, 상기 산정된 퍼지분석지수(μ=0.69)에 100을 곱한 69가 평가지수(Es)가 된다.
[II] 비율분석 산정방식에 따른 분석지수(Ea)
평가지표가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경지정리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전,답,과수원면적비율, 농업진흥지역비율,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보전산지비율인 경우에는 비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산정한다.
비율분석에 따른 분석지수(Ea)는, 임계지수로 설정한 최소임계지수. 최대임계지수 및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에 따른 비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한다.
따라서 비율분석에 의한 분석지수(Ea)는 임계지수로 설정한 최소임계지수와, 최대임계지수 및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수학식 5]를 통하여 분석한다.
[수학식 5]
[[(100 -20) / (최대임계치 - 최소임계치]*[산정지수 - 최소임계지수] + 20]
[III] 중력분석 산정방식에 따른 분석지수
상기의 각 평가지표들과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중력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지수(Ea)를 산정한다.
또한 중력분석은 평가지표의 산정지수(E)에 대한 거듭제곱값에 의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한다.
한편, 중력모형함수를 통한 분석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A단계] : 평가지표의 산정지수(E)가 임계지수(T) 이하일 때에 산정되는 분석지수(Ea)를 살펴보면, 해당 필지가 공공편익시설과 1Km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직접적인 이용권에 포함되므로 만점을 부여한다.
[B단계] : 평가지표의 산정지수(E)가 임계지수(T) 이상일 때에 산정되는 분석지수(Ea)를 살펴보면, 해당 필지가 공공편익시설과 멀어질수록 중심시설 이용의 편이성이 낮아지므로 개발적성지역 후보지로서의 잠재력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6]의 중력모형을 통하여 분석한다.
[수학식 6]
Pudp = 100/공공편익시설과의 최단거리(Km)2
여기서, Pudp는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에 대한 중력모형지수이다.
한편, 상기 중력모형함수를 통한 분석에 있어서, 평가지수(혹은 백분위수)(Es)는 분석지수(Ea)를 5등급으로 구분하여 급간별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Km)가 1Km 이하인 필지는 100점을 적용하고, 그 외의 지역은 비율 분포에 따라 산정된다.
또한, 중력모형함수를 이용한 분석에 대한 평가지수(Es)의 범위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6]과 같이 5등급으로 구분하여 급간별로 산정한다.
< 표준정규분포상의 평가지수(Es)의 범위(예)>
비율분포 1 이하 1∼2 이하 2∼3 이하 3∼4 이하 4 초과
평가 100점 25∼99점 11 ∼24점 6 ∼ 10점 1 ∼ 5점
즉, 예를 들어, 평가지표의 분석지수의 비율분포가 1이하이면 평가지수는 100점이고, 비율분포가 1 ~ 2이하이면 평가지수는 25 ~ 99점이고, 비율분포가 2 ~ 3이하이면 평가자수는 11 ~ 24점이고, 비율분포가 3 ~ 4이하이면 평가지수는 6 ~ 10점이고, 비율분포가 4초과이면 평가지수는 1 ~ 5점이다.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산정지수(E)의 임계지수(T) 설정에 따른 모든 평가지표별 분석지수(Ea)를 산정한 후에는 각 평가별 분석지수(Ea)에 의하여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
평가지표가 경사도인 경우에는 해당지역에서 도출된 퍼지함수에 기초하여 평가대상토지의 경사도/ 표고에 대한 평가지수(Es)는 다음의 [표 7]과 같이 급간별로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
<경사도/표고의 급간별 평가지수(Es)>
경사도/표고(도) 5미만 5∼10 미만 10∼15 미만 15∼20 미만 20 이상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65 65미만∼35 35미만∼0 0
평가지표가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농업진흥지역비율,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보전산지비율, 공통면적비율인 경우에는 최소행정구역단위인 법정동리별로 산정하며, 그 비율값이 소속 시군내의 모든 법정동리별 비율값의 분포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다음의 [표 8]과 같이 급간별로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
<각종 면적비율의 급간별 평가지수(Es)>
해당 시군의
상위분포 범주
상위 20% 미만 20∼40% 미만 40∼60% 미만 60∼80% 미만 80∼100%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80 80미만∼60 60미만∼40 40미만∼40
또한, 평가대상토지별로 산정된 평가지표 중에서 공공편익시설과의 공통거리지표는 해당 지역에서 도출된 중력모형에 기초하여 그 평가대상지까지의 최단거리에 대한 점수치를 상기와 같이 산정하여 사용한다. 그 외의 입지특성 측정지표는 해당 지역에서 도출된 퍼지함수에 기초하여 그 최단거리에 대한 점수치를 다음의 [표 9] 같이 급간별로 평가지수(Es)를 산정한다.
<각종 입지특성 급간별 평가지수(Es)>
공공편익시설과의거리(Km) 1 미만 1∼2 미만 2∼3 미만 3∼4 미만 4 이상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25 25미만∼11 11미만∼6 6 미만
기개발지와의거리(Km) 1 미만 1∼1.5 미만 1.5∼2 미만 2∼3 미만 3 이상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65 65미만∼35 35미만∼0 0
경지정리지역과의거리(Km) 0.5 미만 0.5∼1 미만 1∼1.5 미만 1.5∼2 미만 2 이상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65 65미만∼35 35미만∼0 0
공적규제지역과의거리(Km) 0.2 미만 0.2∼0.5 미만 0.5∼1 미만 1∼1.5 미만 1.5 이상
개발적성관련
평가지수(Es)
100점 100미만∼65 65미만∼35 35미만∼0 0
도 22에 도시된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와 시설이용편익의 관계분석도와 같이,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공공편익시설이용의 편익이 높아지기 때문에 개발입지 잠재력이 높으며,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가 멀수록 개발 잠재력이 떨어지고 보전가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산정된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Step 5단계] : 상기 생성된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는 상기 [표 5]에 의하여 평가지표가 개발적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는 개발적성지수(D)가 되고, 만약 평가지표가 보전적성인 경우, 상기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는 보전적성지수(C)가 되며, 각 지수별로 개발적성지수(D)들의 합 및 보전적성지수(C)들의 합을 산정한다.
상기와 같이 퍼지분석, 중력분석, 비율분석이 종료되어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가 생성되면,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평가지표가 개발적성지표인 것들에 대해서는 개발적성지수(D)의 합을 산정하고, 평가지표가 보전적성지표인 것들에 대해서는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상기 [표 5]에 의한 표준화방법에 따라 평가대상지별로 각각 산정한 후, 상기 산정된 평가대상지별로 각 평가지표별 개발적성지수(D)의 합과,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한다.
[Step 6단계] : 상기 [표 5]를 참조하여 산정된 개발적성지수(D)의 합과 보전적성지수(C)의 합에 의하여, [수학식 1]의 [종합적성지수(S)] = [개발적성지수(D)의 합] - [보전적성지수(C)의 합]에 따른 계산과정에 의하여 평가대상지별로 평가지표에 대한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한다.
즉, 업무모듈부(20)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와 같이 개발적성지수(D)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차감하여 산정된 종합적성지수(S)를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Step 7단계] : 상기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
즉,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산정된 종합적성지수(S)를 근거로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 여기서, 표준화지수(Zi)는 "(평가대상의 토지의 종합적성지수 - 해당 시군의 평균종합적성지수)/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해당 시군의 종합적성지수에 대한 표준편차"로 생성할 수 있다.
업무모듈부(20)의 표준화지수산정부(24j)는, 상기 산정된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공간데이터제어부(34)를 통하여 각 필지별로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한다.
결국, 도 23에 도시된 표준정규분포곡선에서와 같이, 추후에 평가대상 토지는 보전적성이 강하고 약함에 따라(즉, 개발적성이 강하고 약함에 따라) 등급구간별로 가, 나, 다, 라, 마 등급 중에서 어느 한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는 토지적성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별 종합적성지수(S)를 기초로 토지적성지수(LS)를 구분하는 과정에서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곡선상의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필지를 5개의 토지적성지수(LS)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토지적성지수(LS)는 상위등급으로 갈수록 보전적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하위등급으로 갈수록 개발적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가-등급은 보전적성이 매우 높고, 마-등급은 개발적성이 매우 높다. 상기 토지적성지수(LS)에서 가-등급과 가까울수록 보전이 강한 토지이용으로 마-등급에 가까울수록 개발적성이 강한 토지이용으로 각각 분류하여 도시관리계획 입안의 기초가 되는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4는 도 5의 토지적성평가 시퀀스도에서 토지적성평가요청에 따른 입안구역의 토지적성지수 생성에 대한 시퀀스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표준화지수 생성요청에 따른 토지적성지수 생성에 대한 세부흐름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평가대상지의 특정 필지의 토지적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1)가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되는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이용하여 입안구역의 토지에 대한 토지적성지수(LS)를 요청하여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업무모듈부(20)에 구비된 토지적성평가부(26)에 의한 입안구역의 토지에 대한 토지적성지수(LS)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 1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를 통하여 도시개발을 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계파일을 입력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한다.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엔진부(30)의 공간검색부(36)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0)의 토지적성평가요청부(16)로부터 입력된 도시개발을 하고자 하는 입안구역에 대한 구역계파일에 기초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40)로부터 입안구역에 해당하는 필지의 표준화지수(Zi)와, 해당 입안구역에 대한 기본도와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가 포함된 주제도를 제공받아 입안구역데이터에서 별도보전지역들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공간엔진부(30)의 공간연산부(32)를 이용하여 기본도에서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기본도 중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필지별 표준화지수와 면적이 포함된 속성정보와,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주제도 중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엔진부(30) 공간연산부(32)의 공간연산기능을 이용하여 기본도에서 별도보전지역들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기 위한 인터섹트연산을 수행한다.
즉, 업무모듈부(20)의 토지적성평가부(26)는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기본도저장부(41)에 저장된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와,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주제도저장부(42)에 저장된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엔진부(30) 공간연산부(32)의 공간연산 중 인터섹트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에서 상기 별도보전지역의 영역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업무모듈부(20)는 별도보전지역이 제외된 입안구역에 해당되는 기본도의 면적과 상기 공간데이터저장부(40)로부터 제공된 입안구역에 해당하는 필지의 표준화지수(Zi)를 곱하여 합산하여 구역계의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한다. 업무모듈부(20)는 입안구역의 표준화지수(등급구간)를 해당 입안구역에 적용하여 토지적성지수(LS)를 생성하고 이를 공간데이터저장부(40)의 입안정보저장부(45)에 저장하여 입안구역의 토지적성평가를 완료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평가대상지별 등급이 생성됨에 따라, 해당 평가대상지(예컨대, 필지)의 토지적성지수는 도 26의 범례와 같이 각 등급에 따라 고유의 색으로 표현하여 A와 같이 표현되며, B와 같이 특정 필지를 선택하여 필지별 세부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B필지의 토지적성평가에 의해 생성된 결과를 살펴보면, 선택된 필지의 개발적성지수(D)와 보전적성지수(C)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개발적성지수(D)와 보전적성지수(C)에 의하여 종합적성지수(S)와 표준화지수(Zi)는, Zi=[- 0.56770811] 이기 때문에 정규분포곡선에서 보전적성이 강함 방향으로 2등급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터페이스부(10)의 지도조회부(19)에 의한 지도의 조회요청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클라이언트단말기 10 : 인터페이스부
12 : 기초데이터입력부 14 : 표준화지수생성요청부
16 : 토지적성평가요청부
20 : 업무모듈부 22 : 데이터관리부
24 : 표준화지수생성부 24a : 평가대상지추출부
24b : 경사도/표고산정부 24c : 도시용지비율산정부
24d : 용도전용비율산정부 24e :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
24f : 지가수준산정부
24g :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부
24h : 공통면적비율/공통거리지표산정부
24i : 임계지수설정부 24j : 표준화지수산정부
26 : 토지적성평가부
30 : 공간엔진부 32 : 공간연산부
34 : 공간데이터제어부 36 : 공간검색부
40 : 공간데이터저장부 41 : 기본도저장부
42 : 주제도저장부 43 : 지형도(등고/표고)저장부
44 : 속성정보저장부 45 : 입안정보저장부

Claims (1)

  1. 클라이언트단말기와.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요청하는 업무를 처리하는 업무모듈부와, 업무모듈부의 쿼리 요청에 따라 데이터 변환, 연산, 검색 및 저장을 수행하는 공간엔진부 및 업무모듈부와 공간엔진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토지적성평가시스템으로서,
    인터페이스부는, 클라이언트단말기가 접속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위해 수집 및 정비된 기초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초데이터입력부와, 토지적성평가를 위하여 표준화지수 생성을 요청하는 표준화지수생성부 및 토지적성평가를 위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요청하는 토지적성평가요청부를 포함하며,
    업무모듈부는, 기초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초데이터를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군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기초데이터를 공간엔진부를 통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며, 변환된 공간데이터를 공간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등의 데이터 분류, 변환,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와,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의한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평가대상지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생성하는 표준화지수생성부, 및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의한 토지적성평가 요청에 따라 입안구역 내의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는 토지적성평가부를 포함하며;
    공간엔진부는, 업무모듈부에 구비되는 데이터관리부, 표준화지수생성부 및 토지적성평가부가 요청하는 토지적성평가에 활용되는 공간데이터의 공간연산 및 데이터변환을 수행하는 공간연산부와, 업무모듈부가 요청하는 공간데이터의 입력, 수정,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에 공간데이터저장부에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의 특성에 따라 저장 관리하는 공간데이터제어부와, 업무모듈부의 요청에 따라 공간데이터저장부로부터 공간조건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하는 공간검색부를 포함하며,
    공간데이터저장부는, 기초데이터 중에서 지방자치단체별 필지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연속지적도와 필지에 대한 속성정보를 갖는 개별공시지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도가 저장되는 기본도저장부와, 좌표 및 속성정보를 갖는 영역데이터로서 각종 용도지역지구도, 생태자연도, 공공편익시설도, 임상도 등의 주제도가 저장되는 주제도저장부와, 지형도(등고/표고)와 같이 지형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경우 경사도 분석이나 표고데이터 등의 지형도(등고/표고)가 저장되는 지형도저장부를 포함하며, 공간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는 공간데이터는 공간연산 및 속성정보에 따라 공간쿼리 및 공간검색이 용이한 데이터로 저장되며,
    표준화지수생성부는,
    공간데이터저장부의 기본도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도와 주제도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간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통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평가대상지추출부와;
    평가대상지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가대상지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지별로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통하여 각각의 경사도와 표고의 산정지수를 생성하는 경사도/표고산정부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 내의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로부터 도시용지를 추출하고, 평가대상의 토지가 속한 최소행정구역의 면적 내에 존재하는 도시용지면적비율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도시용지비율산정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최근 5년 이내 보전용도의 지역에서 개발용도의 지역으로 변경된 용도전용된 필지의 면적비율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용도전용비율산정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 내의 기본도의 토지이용상황코드 및 지목코드로부터 도시용지와 농업용지를 추출하고, 도시용지에 대한 버퍼를 생성하고, 생성된 버퍼와 농업용지를 중첩하여 중첩된 농업용지영역을 산정하고, 산정된 농업용지면적을 최소행정구역면적으로 나누어 도시용지인접비율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도시용지인접비율산정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의 기본도의 속성값 중 당해 개별공시지가의 속성자료의 공시지가와 면적으로부터 최소행정구역에 포함되는 각 필지의 [필지면적 * 공시지가]의 합을 최소행정구역 필지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평균 공시지가를 산출하고, 최소행정구역 단위별 평균공시지가를 평균공시지가 중 가장 큰 값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하여 지가수준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지가수준산정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공간데이터저장부의 기본도에서 토지이용상황코드와 지목코드로부터 전,답,과수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면적의 합을 산출하고 최소행정구역으로 나눔으로써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전,답,과수원 면적비율산정부;
    공간엔진부의 공간검색부와 공간연산부를 이용하여 각종의 용도지역에 해당하는 최소행정구역면적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평가대상 필지로부터 각 거리지표 주제도까지의 직선 최단거리를 산정하여 최단거리값을 추출하여 공통면적비율 및 거리지표의 산정지수를 산정하는 공통면적비율 및 거리지표산정부;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지가수준, 전,답,과수원면적비율, 공통면적비율을 평가지표 분석방법에 따라 임계지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임계지수설정부; 및
    표준화지수생성요청에 따라 각 평가지표별로 산정된 산정지수(E)와 자동 설정된 임계지수(T)를 이용하여 각 평가지표별 평가모형(퍼지분석/비율분석/중력분석)에 따라 분석지수(Ea)를 산정하고, 산정된 분석지수를 급간별로 산정하여 각 평가지표별 평가지수(Es)를 산정하고, 산정된 평가지수로부터 개발적성지수의 합과 보전적성지수의 합을 산정하고, 개발적성지수(D)의 합에서 보전적성지수(C)의 합을 차감하여 종합적성지수(S)를 산정하며, 산정된 평가대상지의 종합적성지수(S)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상의 평가대상지별 표준화지수(Zi)를 생성하는 표준화지수산정부;를 포함하며,
    업무모듈부의 표준화지수생성부에 구비되는 표준화지수산정부는, 평가지표가 경사도, 표고, 기개발지와의 거리,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인 경우에는, 최소임계지수 미만의 산정지수를 갖는 평가대상지는 100을 입력하고, 최대임계지수 초과의 산정지수를 갖는 평가대상지는 0을 입력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며, 그 이외 평가대상지는 산정지수의 임계지수로 설정한 최소임계지수, 최대임계지수 및 각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에 기초하여 수학식 [{[ 1 + [ COS [ 2* [ [(산정지수 - 최소임계지수)/(최대임계지수 - 최소임계지수)] * [ π / 2 ] ] ] ] / 2 } * 100] 에 따른 퍼지분석에 의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며, 평가지표가 도시용지비율, 용도전용비율, 도시용지인접비율, 경지정리면적비율, 생태자연도상위등급비율, 공적규제지역면적비율, 전,답,과수원면적비율, 농업진흥지역비율, 임상도 상위등급비율, 보전산지비율인 경우에는, 임계지수로 설정한 최소임계지수. 최대임계지수 및 평가지표별 산정지수(E)에 의하여 수학식 [[(100 -20) / (최대임계치 - 최소임계치]*[산정지수 - 최소임계지수] + 20]에 따른 비율분석에 의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며, 각 평가지표들과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를 분석하는 경우에 상기 평가지표의 산정지수(E)를 이용한 중력분석에 의하여 분석지수(Ea)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20160118989A 2016-09-19 2016-09-19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989A KR101686847B1 (ko) 2016-09-19 2016-09-19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989A KR101686847B1 (ko) 2016-09-19 2016-09-19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847B1 true KR101686847B1 (ko) 2016-12-16

Family

ID=5773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989A KR101686847B1 (ko) 2016-09-19 2016-09-19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845A (zh) * 2020-05-22 2020-09-08 武汉理工大学 一种考虑完整性和可操作性的应急预案有效性评估方法
KR20230001305A (ko) * 2021-06-28 2023-01-04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CN117252745A (zh) * 2023-11-20 2023-12-19 河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共服务设施选址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11A (ko) 2001-05-15 2002-11-25 주식회사 타스테크 통계 및 분석을 위한 주제도 작성 방법
KR20090117534A (ko) * 2008-05-09 2009-11-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KR101090335B1 (ko) 2011-08-0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KR101375441B1 (ko) * 2013-11-25 2014-03-17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KR101621427B1 (ko)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순차적 전송을 이용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1621424B1 (ko)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11A (ko) 2001-05-15 2002-11-25 주식회사 타스테크 통계 및 분석을 위한 주제도 작성 방법
KR20090117534A (ko) * 2008-05-09 2009-11-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KR101090335B1 (ko) 2011-08-02 2011-12-07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동일한 지도화면상에서 도시계획도를 포함한 복수개의 다양한 주제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는 지리정보의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터치플래너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KR101375441B1 (ko) * 2013-11-25 2014-03-17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KR101621427B1 (ko)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순차적 전송을 이용한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 표출시스템
KR101621424B1 (ko)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도시계획정보의 공유 표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845A (zh) * 2020-05-22 2020-09-08 武汉理工大学 一种考虑完整性和可操作性的应急预案有效性评估方法
KR20230001305A (ko) * 2021-06-28 2023-01-04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596476B1 (ko) 2021-06-28 2023-10-31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CN117252745A (zh) * 2023-11-20 2023-12-19 河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共服务设施选址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7252745B (zh) * 2023-11-20 2024-03-12 河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共服务设施选址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848B1 (ko)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Perpiña et al. Multicriteria assessment in GIS environments for siting biomass plants
Larsen et al. Developing nationwide avalanche terrain maps for Norway
CN111210142A (zh) 一种景观综合管理单元划分方法
KR101686847B1 (ko)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6B1 (ko)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5B1 (ko)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Mohammed et al. Sanitary Landfill Siting Using GIS and AHP.
Lee et al. GIS based optimal impervious surface map generation using various spatial data for urban nonpoint source management
CN115409673A (zh) 基于生态安全格局的城市绿地生态网络构建方法
KR100953219B1 (ko) Gis를 이용한 예비 토취장 후보지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aiswal et al. Geospatial multi-criteria decision based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solid waste disposal using topsis algorithm
Suleiman et al. Optimal route location by least cost path (LCP) analysis using (GIS) a case study
SULEMANA et al. Multi-criteria selection of suitable institutional solid waste collection sites: a case of KNUST campus, Kumasi, Ghana
Aghayev et al.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eodatabase in river flood mapping
Marciak et al. In search of ancient pre-Roman imperial roads: state of research and some methodological recommendations
Mahdi et al. Evaluating Roads Network Connectivity for Two Municipalities in Baghdad-Iraq
MIKLÓS et al. 17. Application of GIS in studying the drainage basin of the Ipoly river
Kumar et al. Understanding urban environment in Northwest Himalaya: Role of geospatial technology
Fonseca GIS for a Two-Million People City in Three Years
Aditya et al. Collaborative mapping of detailed geospatial data for disaster and climate resilience in Indonesia
Chukwuocha et al. Deline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b-catchments of Owerri, South East Nigeria, Using GIS
Al-Rawabdeh et al. A GIS-EIP Model for a Mechanic Industrial Zone Site Selection in Al-Mafraq City, Jordan
Leitão Landscape capacity evaluation and visual impacts simulation. A GI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