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441B1 -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441B1
KR101375441B1 KR1020130144050A KR20130144050A KR101375441B1 KR 101375441 B1 KR101375441 B1 KR 101375441B1 KR 1020130144050 A KR1020130144050 A KR 1020130144050A KR 20130144050 A KR20130144050 A KR 20130144050A KR 101375441 B1 KR101375441 B1 KR 10137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line
index
score
indicator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석
이삼수
최민아
김정곤
조승연
유영화
이동건
최지인
기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3014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사회의 쇠퇴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쇠퇴지표를 설정한 후 이러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동일 시점에서의 다른 지역의 지표값들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진단하며, 일정기간마다 저장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율을 산정하여 동일한 지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얼마나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함으로써,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고려한 각 지역의 쇠퇴등급을 판단하여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URBAN REGENERATION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사회의 쇠퇴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쇠퇴지표를 설정한 후 이러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동일 시점에서의 다른 지역의 지표값들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진단하며, 일정기간마다 저장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율을 산정하여 동일한 지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얼마나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함으로써,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고려한 각 지역의 쇠퇴등급을 판단하여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재생이란, 산업구조변화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확장으로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정비와 함께 사회, 문화, 경제적인 여건을 재활성화시키는 전반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쇠퇴도시와 이러한 쇠퇴도시의 정비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일단, 철거 재개발위주의 주거지 정비사업으로 지역 커뮤니티 해체 및 주거 빈곤 개선의 효과가 미진하며,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로 개발이익의 극대화가 정비사업의 주된 목적이 됨에 따라, 도시의 생활문화 공간 및 시설 등의 기본 도시인프라시설의 확보 및 연계부족으로 비효율적 도시공간활용을 초래한다.
나아가, 단독 주택, 다세대다가구 밀집 지역의 물리적 환경 악화, 영구 임대단지 및 영세 연립 주택지의 슬럼화, 공공 공간 및 편익시설의 확보가 미흡, 공공 투자에 의한 기반시설의 상대적인 부족 및 관리 미흡으로 인한 노후화, 주변 공간 조직과 유리된 개별지구별 과밀개발 등 도시환경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쇠퇴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대한 장기 비전 없이 단기 수익성이 높은 고밀 주거, 주상복합에 치중하게 되며, 도시의 사회문화 환경 쇄신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시 정비에 대한 접근방식으로는 도시의 전반적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는 지역 산업의 쇠락에 따른 일자리 급감, 인구 누출, 민간 투자 기피에 따른 재생동력의 상실로 순차적인 문제가 가속되게 된다.
나아가, 쇠퇴도시의 도심부에 대한 비효율적인 토지이용으로 인해 바람직한 도시재생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사업성 위주의 개발로 원주민의 재정착률의 저하나 노후 주거지는 방치되는 문제, 특히 신도시개발 등 대도시외곽의 대규모 개발은 탄소배출저감에 취약한 도시구조로 개발 방향이 구현되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재개발, 재건축 중심의 획일화된 도시 재생은 도시쇠퇴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의한 신개발 정책도입으로 기존 도시구조의 변화를 유도하여 쇠퇴한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업성 약화로 인한 도시의 쇠퇴지역에 대하여 지역커뮤니티 강화를 통해 도시재생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도시재생방안은 도시여건에 따른 자족적, 내발적 도시 재생을 지향하며, 지역의 사회적 자본 활용 도시재생을 지향할 내재적 목표를 가져야 한다. 나아가 재정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패키지형 도시재생 방안 및 기존 인구 유출방지 및 신규 유입을 유도하며, 지역의 소득향상과 일차리 창출, 특히 탄소 배출저감 등 녹색지표와 연동하는 도시재생 방안에 부합하는 재생기법이 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전국도시(시군구)에 대한 쇠퇴도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쇠퇴지표와 그러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토대로 산정되는 각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진단함과 아울러, 연도별로 저장되는 쇠퇴지표들의 지표값들의 변화율을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도시의 쇠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에 의하여 최근에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이라는 주제의 논문(2011.07)이 LHI 저널을 통하여 개시되었고, RIA 기반의 도시쇠퇴진단 시스템 개발이라는 주제의 논문(2011.05)이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집을 통하여 개시되었으며, 대한주택공사에서 주관하는 도시재생정보화 발전전략 및 구축방안 세미나(2009.09.10.)를 통하여 도시재생을 위하 도시쇠퇴진단 등이 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논문 또는 세미나상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은 다수의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지역의 쇠퇴정보를 판단한다는 학술적인 접근에 국한되었는바, 도시재생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산출된 쇠퇴정도를 활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산업적인 노력과 시도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605호
LHI 저널,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2011.07)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집, RIA 기반의 도시쇠퇴진단 시스템 개발(2011.05) 도시재생정보화 발전전략 및 구축방안 세미나 자료,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쇠퇴진단(2009.09.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역사회의 쇠퇴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쇠퇴지표를 설정한 후 이러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동일 시점에서의 다른 지역의 지표값들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진단하며, 일정기간마다 저장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율을 산정하여 동일한 지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얼마나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함으로써,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고려한 각 지역의 쇠퇴등급을 판단하여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은,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물리적 노후화와 경제적 쇠퇴정도 및 인구 사회측면의 쇠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쇠퇴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다수의 쇠퇴지수를 합산하여 특정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저장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일정기간마다 저장하고, 그 일정기간 동안의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산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쇠퇴정도를 나타내는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동일 지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간별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 및 도시재생을 통하여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도시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잠재력 지표에 대한 잠재력 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합산하여 도시재생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진단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서버는,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의 개별적인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개별쇠퇴지표 설정부;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쇠퇴지표 항목들의 지표값을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받은 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에서 환산된 각 쇠퇴지표들의 지수화값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하는 개별쇠퇴지수 산출부; 및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쇠퇴지표의 쇠퇴지수를 취합하거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연산함에 차지하게 되는 각 쇠퇴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한 후, 각 쇠퇴지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해당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는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트 스코어(Z-score)로 환산하고, 상기 제트 스코어(Z-score)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1
(여기서, x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2
(이때,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인 10을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인 50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은,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입력받은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연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 상기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기간별 변화율을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화율 산정부;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지표값들에 대한 변화율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는 변화율 표준화부; 및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환산되는 각 쇠퇴지표별 표준점수를 합산하여 기간별 쇠퇴도를 연산하고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산출된 변화율이 평균에서 얼마만큼 일탈하였는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제트 스코어로 환산하고, 이와 같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각 쇠퇴지수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변화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에서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인 10을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인 50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는,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표준화된 각 쇠퇴지표들의 표준점수를 지표유형별로 합산하는 표준점수 합산부;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에서 합산된 지표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합산부; 및 지표유형의 합산된 표준점수를 등급화하여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쇠퇴등급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재력 진단시스템은,
도시재생을 통하여 기준시점의 쇠퇴도나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각 지역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다수의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잠재력 지표 설정부;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입력받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상호 비교 가능한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에서 변환된 잠재력 지표들의 지수화된 값을 비교하여 각 지역의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등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쇠퇴지표를 설정한 후 이러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동일 시점에서의 다른 지역의 지표값들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진단하며, 일정기간마다 저장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변화율을 산정하여 동일한 지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얼마나 쇠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함으로써,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고려한 각 지역의 쇠퇴등급을 판단하여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지역간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도시서비스의 불균형 정도와 물리적 기반시설의 노후 및 쇠퇴현황을 다수의 쇠퇴지표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에 의해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어, 도시별 공통성과 차별성을 고려한 도시재생 유형화 및 종합적 도시재생 전략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각종 유형의 지표값들을 표준화하여 쇠퇴지수를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쇠퇴지수에 의해 동일 시점에서의 다른 지역과의 비교뿐만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동일 지역의 쇠퇴정도 비교가 가능하게 하여 각 지역의 쇠퇴악화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직관적으로 인식된 쇠퇴정도 및 쇠퇴악화정도를 토대로 적합 도시재생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쇠퇴지수와 결합한 도시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재생 잠재력을 실시간으로 연동시키는 경우, 도시재생에 대한 우선대상지의 선정을 객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군구단위의 지표유형과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개별적인 쇠퇴지표들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구단위에서의 쇠퇴지수 산출을 위한 개별적인 쇠퇴지표들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재력 등급 산출을 위한 잠재력 지표들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지표별 분석의 예시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지표유형별 쇠퇴지표들의 예시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의하여 특정지역(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산출된 쇠퇴지수의 예시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노령화지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순이동률)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인구변화율)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평균교육년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독거노인가구비율)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1,000명당 기초생활보장수습자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지역(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특정 시점(2005년)에서의 쇠퇴지표(1,000명당 소년소녀가장가구원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도농복합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동안 도농복합지역의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전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동안 전국의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지표유형별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동안 지표유형별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여 나타내는 예시화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재개발 중심의 획일화된 도시재생방식에서 탈피하여, 객관적인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도시의 쇠퇴지수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 재생 대상 우선순위를 선정하거나 도시재생기법의 적용여부를 사용자가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한 적합성의 평가여부를 도시재생을 관장하는 단체에서 능동적으로 저장 관리하여 효율적인 도시재생 관련 정책 및 사업의 판단근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은,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물리적 노후화와 경제적 쇠퇴정도 및 인구 사회측면의 쇠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쇠퇴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다수의 쇠퇴지수를 합산하여 특정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100)과,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저장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일정기간마다 저장하고 그 일정기간 동안의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산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쇠퇴정도를 나타내는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동일 지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간별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200)과, 도시재생을 통하여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도시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잠재력 지표에 대한 잠재력 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합산하여 도시재생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진단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100)에서 산출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는 동일 시점에 특정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지역에서 조사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지수화한 후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과 비교하여 쇠퇴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200)에서 산출되는 기간별 쇠퇴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일지역이 어느 정도 쇠퇴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지역에 대하여 시기를 달리하여 조사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율에 의해 그 지역이 기간별로 쇠퇴하는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100)은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이나 지구에 대한 쇠퇴정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며,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의 개별적인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와,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쇠퇴지표 항목들의 지표값을 입력받은 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와,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에서 환산된 각 쇠퇴지표들의 지수화값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하는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와,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쇠퇴지표의 쇠퇴지수를 취합하거나 각 쇠퇴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한 후 쇠퇴지수를 취합하여 해당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는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각 지역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수의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군구단위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지표 항목들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단위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지표 항목들을 각각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넓은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시군구단위의 쇠퇴지표와 좁은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지구단위의 쇠퇴지표를 각각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특정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함에 있어 유사한 조건하의 지역들 상호간을 비교하면서 상대적인 낙후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시군구단위의 쇠퇴지표는 행정구역상 시, 군, 또는 자치구 등의 영역 전체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지구단위의 쇠퇴지표는 행정구역상 읍면동 단위 또는 집계구 단위의 영역에 대한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시군구단위의 쇠퇴지표를 나타내는 도 2에서는 먼저 지표유형을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으로 크게 분류하고, 각 지표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세부적인 쇠퇴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처럼 특정 지표유형과 그 지표유형을 판단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세부적인 쇠퇴지표들을 각각 설정함으로써 개별적인 쇠퇴지표 항목들에 대한 쇠퇴지수 뿐만 아니라, 해당 쇠퇴지수가 각 지역의 쇠퇴정도에 기여하는 분야, 즉 유형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지표유형별 가중치의 부여도 가능하게 되어 도시재생을 위해 선행적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표유형 중 인구사회를 판단하기 위한 개별적인 쇠퇴지표(지표명)로는 노령화지수, 순이동률, 인구변화율, 평균교육년수, 독거노인가구비율,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천인당) 및 소년소녀가장가구원수(천인당), 고령인구수, 노년부양비, 세입자가구 비율, 경제활동인구 등을 설정하고, 지표유형 중 산업경제를 판단하기 위한 개별적인 쇠퇴지표(지표명)로는 총종사자수(천인당) 증감율, 도소매업종사자수(천인당), 제조업종사자 비율, 고차산업종사자 비율, 주요산업별 종사자수, 총사업체수 증감율, 도소매업체 증감율, 제조업체 증감율, 사업체당 종사자수 , 지방세액(1인당), 의료보험료, 재정자립도, 지가변동률(상업), 지가변동률(주거) 등을 설정하고, 지표유형 중 물리환경을 판단하기 위한 개별적인 쇠퇴지표(지표명)로는 노후주택비율, 신규주택비율, 공가율, 소형주택비율, 주거면적(1인당), 가구당 평균 사용방수, 주택보급율, 노후건축물 비율, 주택매매가격종합지수, 부동산 공시지가, 도로연장(1인당), 접도율 등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구단위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지표의 경우 시군구단위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처럼 지표유형과 쇠퇴지표를 함께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읍면동과 같은 작은 규모에서는 지표유형별 판단을 위한 지표값들의 신뢰도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표유형 없이 쇠퇴지표들의 합에 의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3에서는 지구단위 중 읍면동 단위의 경우에는 쇠퇴지표(지표명)로서 인구변화율,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 노령화지수, 고령인구수, 노년부양비, 세입자가구 비율, 경제활동인구, 도소매업종사자수(천인당), 총종사자수(천인당) 증감율, 제조업 종사자 비율, 주요산업별 종사자수, 총사업체수 증감율, 도소매업체 증감율, 제조업체 증감율, 사업체당 종사자수, 노후주택비율, 신규주택비율, 공가율, 소형주택비율, 가구당 평균사용방수, 노후건축물 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도로연장(1인당), 접도율 등을 설정하고, 지구단위 중 집계구 단위의 경우에는 쇠퇴지표(지표명)로서 고령인구수, 노년부양비, 경제활동인구, 주요산업별 종사자수, 총사업체수 증감율, 노후주택비율, 과소필지, 부동산공시지가, 접도율 등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 2에 나타난 지표유형이나 각 쇠퇴지표들 및 도 3에 나타난 각 쇠퇴지표들의 경우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다수의 지표들 중 일 예에 불과한바,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에서 설정되는 각 쇠퇴지표 항목들은 추후 사회나 지역의 발전 정도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는 각 쇠퇴지표들의 등급을 5등급 또는 10등급으로 나누고, 각 등급에 해당하는 범위의 지표값들을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구변화율의 경우 해당 시군구 또는 읍면동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의 증가정도가 높을 경우에는 1등급으로 설정하고, 증가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10등급을 설정하며, 그 사이의 등급에도 적절한 범위를 할당함으로써, 통계청의 발표자료로부터 획득한 해당 지역의 인구변화율이 쇠퇴정도를 판단함에 있어 어느 정도의 쇠퇴지수를 갖게 되는지 등급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는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지표값들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에서 입력 받은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은 측정치가 상이하고 분야와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쇠퇴지표들간의 비교, 종합을 위해서는 측정단위를 같은 척도로 변환하는 지수화과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는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표준점수인 제트 스코어(Z-score) 방식으로 지수화하여 환산하고, 상기 제트 스코어(Z-score) 방식에 의한 지수화값을 T점수 산정방식으로 보정하여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값은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에서 표준점수로 환산된 값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는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트 스코어(Z-score) 방식으로 지수화하여 표준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3
이때,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에서 입력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트 스코어(Z-score) 방식으로 환산된 지수화값은 표준점수로서 소수점 이하의 숫자와 음수를 갖게 되는 단점이 있는바,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는 이러한 제트 스코어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제트 스코어(Z-score)를 결과 값이 주로 0~100 사이의 값을 갖는 형태로 나타나 확인과 설명이 용이한 T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T점수는 현재 수능표준점수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있어 흔히 수능표준점수 산정방식으로도 불린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4
이때, 상기 수학식 2에서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T점수(T score)는 원점수 분포를 변환시켜 놓은 환산점수로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제트 스코어(z)에 표준편차(σ)를 곱하고 그 값에 평균값(m)을 더하여 산출된다.
이와 같이 지표의 특이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T점수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이 유사한 지역이 안정적으로 도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외에도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비교할 수 있는 다양한 표준화 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은 도시의 쇠퇴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나, 통계연보, 사업체노동실태현황, 전국 지가변동률 조사결과 등을 통계청이나,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또는 한국감정원 등 공공기관에서 발표하는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존하여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지표유형과,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지표명과, 각 지표를 연산하는 산출식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예일뿐인바 그러한 지표명과 산출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공공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을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100)에서 각 공공기관의 서버에 통신망 상에서 연결된 후 각 지표값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는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에서 환산된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각 쇠퇴지표에 대한 개별적인 쇠퇴지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이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120)에서 표준점수로 환산된 후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는 각 지표값들을 토대로 해당 쇠퇴지표에 대한 각 지역들의 개별적인 쇠퇴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는 공공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로부터 획득한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이 입력되면 해당 지표값에 해당하는 각 쇠퇴지표의 등급을 쇠퇴지수로서 산출한 후 각 지표값 및 환산된 표준점수(제트 스코어 또는 T점수)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에서 통계청이나,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한국감정원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발표하는 쇠퇴지수들의 지표값을 등급화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기관들간의 데이터 교류 또는 데이터 이용이 극히 제한적이었던 종래와는 달리 모든 지표값들이 특정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가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에서 다수의 등급에 해당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 범위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에서는 쇠퇴지수를 판단하기 위한 등급만을 설정해 놓고,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에서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과 표준점수(제트 스코어 또는 T점수)를 수신하여 최고값을 1등급으로 설정하고, 최저값을 10등급으로 설정한 후 각 등급간의 차이를 균등하게 할당함으로써, 각 지역에 할당될 등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에서 표준점수로 환산된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수신한 후 쇠퇴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각 등급에 해당하는 지표값과 표준점수(제트 스코어 또는 T점수)의 범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개별쇠퇴지수 설정부에서 각 쇠퇴지수에 해당하는 지표값들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는 것보다 지역간의 상대적인 쇠퇴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140)는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개별적인 쇠퇴지수를 통합하여 해당 지역의 종합적인 쇠퇴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종합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이러한 종합쇠퇴지수를 다른 지역들의 종합쇠퇴지수와 비교하여 해당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얼마나 쇠퇴하였는가를 보여주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140)는 특정 지역에 대한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에 따라 산출된 개별적인 쇠퇴지수를 합하여 종합쇠퇴지수를 연산하고, 그 종합쇠퇴지수에 해당하는 등급을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나타내는 등급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110)에서 다수의 쇠퇴지표를 인구사회, 산업경제 및 물리환경으로 이루어진 지표유형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지표유형별 쇠퇴지수의 총합을 연산하고 각 지표유형의 등급을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지표유형별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지표유형별로 지역의 쇠퇴정도를 분석할 경우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거나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쇠퇴정도가 심한 지표유형의 개선에 주력할 수 있게 되어 균형적인 도시발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140)는 다수의 지표유형이 종합쇠퇴지수를 산출함에 기여하는 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각 지표유형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구사회의 경우에는 0.3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산업경제의 경우에는 0.4의 가중치를 부여하며, 물리환경의 경우에는 0.3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산업경제의 쇠퇴여부가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쇠퇴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중치의 설정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도 6에 개시된 수치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농촌지역과 같이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의 활성화가 어려울 경우에는 산업경제의 가중치를 0.3으로 낮추고, 인구사회의 가중치를 0.4로 높이는 등 해당 지역의 지역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5년이 기준시점으로 선택된 경우, 그 시점의 지표값으로 저장되어 있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과 쇠퇴지수 등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활성화되어 표출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130)에서는 공공기관 등에서 매년 또는 일정기간마다(예를 들어, 1년 마다 또는 5년 마다) 발표되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입력받아 연도별 지표값으로 저장하고 각 시점에서의 쇠퇴지수를 산출하여 저장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지표별 분석의 예시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지표유형별 쇠퇴지표들의 예시화면이다. 이처럼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이나 이를 토대로 산출된 개별쇠퇴지수 및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나타내는 등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그러한 기준시점의 쇠퇴도가 산출된 지표유형이나 쇠퇴지표들의 지표값과 쇠퇴지수를 보면서 도시재생을 위한 개선방향을 위한 정책 등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①은 대메뉴를 선택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의 쇠퇴진단을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퇴진단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의 도시재생시 발전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잠재력 진단이나, 지표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②는 쇠퇴진단을 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해당 지역의 쇠퇴정도를 쇠퇴지표별로 분석(지표별 분석)할 것인지 또는 지표유형별로 분석(진단유형별 분석)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영역으로서, 시군구단위와 지구단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③은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선택한 기준시점에서의 분석영역(지표유형)을 이루는 다수의 쇠퇴지표들이 표출되는 영역으로서, 각 쇠퇴지표들의 개별적인 쇠퇴지수와 그에 따른 각 쇠퇴지표의 등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④는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선택한 지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선택한 지역이 지도상에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나 운영자가 지역을 선택함에 있어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⑤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선택한 지표유형(분석지표 선택)을 이루는 다수의 개별적인 쇠퇴지표가 표출되는 영역으로서, 특정 지역의 쇠퇴정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접속하였을 경우에는 이미 지표값이 입력되어 쇠퇴지수가 산출된 쇠퇴지표들만이 표출되도록 구성되고,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의 관리자가 개별쇠퇴지표 설정부를 통하여 접속하였을 경우에는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쇠퇴지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의해 관심지역이나 관심지표에 대한 쇠퇴현황이나 전국 시군구의 종합적인 쇠퇴현황을 쉽게 진단하고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을 행정구역별, 유사집단별, 시군구별 비교로 설정하여 표출시킴으로써, 관심지역의 다양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쇠퇴진단을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쇠퇴지표를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과 같이 지표유형별로 선택하여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통합된 종합진단도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이 활성화되어 표출되는 특정지역(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산출된 쇠퇴지수의 예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택된 지역인 전라북도 전주시의 전체행정구역이 나타나면서 전주시를 이루는 각 동들의 기준시점의 쇠퇴도가 등급화되어 표출됨으로써, 전주시를 이루는 각 동들의 쇠퇴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전주시의 도시재생을 위해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지자체 내의 특정 읍면동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쇠퇴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은 색을 달리하여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등급이 낮을수록 붉은 색으로 표현하고 등급이 높을수록 노란색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색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2005년 지표값에 의해 산출된 개별적인 쇠퇴지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내는 것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에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분석지역으로 선택하고, 2005년을 기준시점으로 설정한 후, 인구사회 지표유형을 이루는 각 쇠퇴지표에 대하여 산출된 쇠퇴지수를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나타낸다.
도 8에서는 노령화지수를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7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9에서는 순이동률을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7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인구변화율을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6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는 평균교육년수를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8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독거노인가구비율을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8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3에서는 1,000명당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를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8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4에서는 1,000명당 소년소녀가장 가구원수를 쇠퇴지표로 할 경우 쇠퇴지수가 7등급으로 산출되었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지역의 쇠퇴정도를 분석함에 있어,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을 포함하는 모든 지표유형에 대한 쇠퇴정도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각 지표유형별 쇠퇴정도 또한 파악할 수 있으며,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쇠퇴지표별 쇠퇴지수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200)은,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입력받은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연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210)와, 상기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기간별 변화율을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화율 산정부(220)와,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지표값들에 대한 변화율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는 변화율 표준화부(230)와,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환산되는 각 쇠퇴지표별 표준점수를 합산하여 기간별 쇠퇴도를 연산하고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210)는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쇠퇴지수의 지표값을 연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각 쇠퇴지수의 지표값에는 연도가 매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쇠퇴지표의 연도별 지표값들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간별 변화율을 연산한 후, 그 변화율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는 1년 단위로 변화율을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지역의 쇠퇴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각 쇠퇴지표들의 변동폭이 크지 않음이 일반적이며 지표데이터의 출처가 5년 단위의 센서스조사를 기반으로 구축되어있어, 5년 또는 10년 단위로 기간별 변화율을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5년 단위로 기간별 변화율을 산정하고자 할 경우, 2005년에서 2010년에 이르기까지 변화된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의 변화율을 연산하여 기간별 변화율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는 각 지역의 전체적인 등급의 변화율만을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어느 부분의 쇠퇴정도가 가속화되고 있는지 판단하기 쉽지 않은바, 쇠퇴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각 쇠퇴지표마다 지표값의 변화율을 연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는 변화율을 판단하고자 설정한 단위 기간 동안의 전체적인 변화율만을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일정한 단위 기간 동안의 변화율을 누적한 후 그 평균값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각 쇠퇴지표의 변화율을 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화율 추출을 위한 단위기간을 5년으로 설정할 경우, 200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동안의 변화율과, 2005년에서 2010년에 이르는 동안의 변화율을 각각 연산한 후 두 변화율의 평균을 연산함으로써 10년에 걸친 변화율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230)는 상이한 값으로 이루어져 상호 비교나 취합이 어려운 다수의 쇠퇴지표들에 대한 지표값의 변화율을 표준화하기 위해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산출된 변화율을 표준점수인 제트 스코어(Z-score)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230)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에서 산출된 변화율이 평균에서 얼마만큼 일탈하였는가를 볼 수 있도록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제트 스코어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별쇠퇴지수 표준화부(120)에서 와는 달리,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230)에서 변화율을 제트 스코어(Z-score)로 환산하기 위하여,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각 쇠퇴지수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변화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230)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환산된 제트 스코어(Z-score)를 상술한 수학식 2에 의해 결과 값이 주로 0~100 사이의 값을 갖는 형태로 나타나 확인과 설명이 용이한 T점수로 환산하여, 상기 변화율 산정부(220)에서 연산된 변화율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상태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외에도 변화율을 표준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얼마나 쇠퇴지표의 각 지표값이 얼마나 쇠퇴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표준화 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는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에 대한 비교 및 합산이 가능하도록 각 쇠퇴지표별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율을 표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240)는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표준화된 각 쇠퇴지표들의 표준점수를 지표유형별로 합산하는 표준점수 합산부(241)와,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에서 합산된 지표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합산부(242)와, 지표유형의 합산된 표준점수를 등급화하여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쇠퇴등급 산정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241)는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환산된 각 쇠퇴지표의 표준점수를 쇠퇴지표별로 합산하고, 다수의 쇠퇴지표들이 지표유형을 이룰 경우에는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쇠퇴지표들의 표준점수를 합하여 각 지표유형의 표준점수를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지표유형이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에서 설정한 것처럼 인구사회 영역, 산업경제 영역 및 물리환경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각 지표유형을 이루는 쇠퇴지표들의 표준점수를 합산하여 각 지표유형의 표준점수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중치 부여 합산부(242)는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241)에서 연산된 각 지표유형의 표준점수 합산값들을 토대로 지역의 쇠퇴지수를 진단함에 있어서, 각 지표유형이 쇠퇴지수를 산출함에 기여하는 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각 지표유형의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가중치 부여 합산부(242)는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구비된 종합쇠퇴지수 산출부와 같이 기간별 쇠퇴도를 진단함에 있어서도 인구사회 영역의 경우에는 0.3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산업경제 영역에는 0.4의 가중치를 부여하며, 물리환경의 영역에는 0.3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지역의 특성에 따라 각 지표유형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한 후 가중치가 반영된 각 지표유형 영역의 표준점수를 합산하여 기간별 쇠퇴도의 쇠퇴지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쇠퇴등급 산정부(243)는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241)에서 합산된 각 지표유형별 표준점수 합산값에 각 지표유형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연산된 쇠퇴지수를 미리 설정된 등급과 비교하여 기간별 쇠퇴도를 나타내는 쇠퇴등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나 운영자는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쇠퇴도를 진단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기간별 흐름에 따른 쇠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도농복합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 동안 도농복합지역의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준시점의 쇠퇴도의 분석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의 도농복합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와 함께 각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가 색으로 표현됨으로써, 2010년 당시 전국에 있는 도농복합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현황을 용이하게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할 필요성이 높은 지역을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간별 쇠퇴도의 분석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의 도농복합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와 함께 10년 동안(2000년 ~ 2010년)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도가 각 쇠퇴등급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현됨으로써, 도농복합지역이라는 유사한 환경에 있는 여러 지역들의 기간별 쇠퇴현황을 용이하게 분석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쇠퇴가 가속화되는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추가적인 쇠퇴방지를 위한 우선적인 조치가 필요한 지역을 보다 용이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쇠퇴등급의 완화여부를 통하여 도시의 개선여부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전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 동안 전국의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사용자가 전국에 대한 기준시점의 쇠퇴도의 분석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 지도와 함께 각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가 색을 달리 하여 표현됨으로써, 2010년 당시 전국의 기준시점의 쇠퇴현황을 용이하게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할 필요성이 높은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국에 대한 기간별 쇠퇴도의 분석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 지도와 함께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도가 각 쇠퇴등급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현됨으로써, 전국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함께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쇠퇴되어 기준시점의 쇠퇴도가 높으면서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쇠퇴정도도 심한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서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시점(2010년)에서 지표유형별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간(2000년 ~ 2010년) 동안 지표유형별 기간별 쇠퇴도를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이때, 도 19와 도 20은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의 지표유형별 쇠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9에서는 2010년의 지표유형별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등급화하여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도 20에서는 2000년 ~ 2010년 동안의 지표유형별 기간별 쇠퇴도를 등급화하여 그래픽으로 나타낸다.
즉,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의 종합적인 쇠퇴정도를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지표유형별 쇠퇴정도도 등급화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지역의 쇠퇴지표별 쇠퇴정도도 등급화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정지역이 특정 지표유형 또는 특정 쇠퇴지수에서 크게 쇠퇴되었음을 또는 개선되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재력 진단시스템(300)은, 도시재생을 통하여 기준시점의 쇠퇴도나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각 지역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다수의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잠재력 지표 설정부(310)와,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입력받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상호 비교 가능한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320)와,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에서 변환된 잠재력 지표들의 지수화된 값을 비교하여 각 지역의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등급 산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310)는 사회, 경제, 환경 등 여러 측면에서 성장 및 지속적 개발과, 유지 및 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지표들을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지역의 잠재력 지표들에 대한 지표값을 원본데이터(raw date)로 입력받을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310)는 각 지역의 인적기반, 경제기반, 생활기반, 사회문화기반을 잠재력 지표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유형으로 설정하고, 각 지표유형에 속하는 다수의 잠재력 지표들을 세부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잠재력 지표유형 중 상기 인적기반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인적 및 지적자원이 어느 정도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 학력수준 등의 지식인프라를 판단할 수 있도록, 대졸인구비율, 여성종사자비율, 20세미만 인구성장률, 및 투표율을 잠재력 지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잠재력 지표유형 중 상기 경제기반은 해당 지역의 경제적 수준 및 역량을 의미하며, 지역경제수준, 정책개발능력 등이 이를 대표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 지역의 경제기반을 판단하기 위하여,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 재정자립도, 특허출원건수, 1인당 주민세, 및 경제활동인구대비 종사자수를 잠재력 지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잠재력 지표유형 중 상기 생활기반은 도시생활에 바탕이 되는 공공서비스 지원시설을 의미하며, 공공시설, 시설간의 연계, 정보인프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특정 지역의 생활기반을 판단하기 위하여, 1인당 공원면적, 도로밀도, 1만인당 공무원수, 건축허가면적 증감률, 및 주민등록인구 전출입률을 잠재력 지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잠재력 지표유형 중 상기 사회문화기반은 도시재생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자본 및 장소적 가치를 의미하며, 역사문화유산, 문화인프라, 장소이미지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특정 지역의 사회문화기반을 판단하기 위하여, 폐기물재활용률, 1만인당 사회복지시설수, 1만인당 문화체육시설수, 1만인당 축제건수 및 비영리단체수를 잠재력 지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320)는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입력받아 각 지표값들을 상호간의 비교가 가능한 표준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320)에서 입력받은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은 측정치가 상이하고 분야와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잠재력 지표들간의 비교, 종합이 불가능한바, 다수의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같은 척도로 변환하는 지수화과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표준점수로 환선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320)는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표준점수인 제트 스코어(Z-score) 방식으로 지수화하여 환산하고, 상기 제트 스코어 방식에 의한 지수화값을 T점수 산정방식으로 보정하여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320)는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제트 스코어 방식으로 지수화함으로써, 먼저 각 지표값들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표준점수로 환산되어 산출된 제트 스코어 결과 값을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재력 지표의 지표값들을 T점수로 환산함으로써, 상기 잠재력 등급 산출부(330)는 산출된 T점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 잠재력 지표들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잠재력 지표에 대한 등급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특정 지역의 잠재력 유무, 특히 어느 지표유형에서의 잠재력이 큰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시재생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잠재력 등급 산출부는 산출된 T점수가 가장 낮은 등급을 5등급으로 설정하고, T점수가 가장 높은 등급을 1등급으로 설정하며, 5등급과 1등급 사이의 T점수 차이를 균분하여 2~4등급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T점수가 가장 낮은 최하등급을 3등급 또는 5등급으로 설정한 후 다른 지역에 대하여 산출된 잠재력 지표의 T점수를 최하등급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등급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국 여러 지역에 대한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산출하여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잠재력 등급을 산출한 후 잠재력 등급이 높은 지역 및 잠재력 등급이 높은 지표유형에 대한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각 지역의 주민참여 정도를 반영하기 위한 공공참여 서비스도 함께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주민들의 공공참여가 가능하도록 주민참여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여 주민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주민참여 지리정보시스템을 웹 기반으로 구축하고 각 지역의 물리적 현황과 다른 지역의 쇠퇴정도 또는 잠재력 등급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주민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민들의 공공참여가 가능하도록 상기 주민참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과 아울러,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의사를 취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에서는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주민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주민들에게 꼭 전달해야 하는 공지사항 등은 SNS 등을 통하여 실시간 전달하고, 주민들의 접근이 자유로운 게시판이나 포럼 형태의 서비스를 통하여 주민 워크샵, 설문조사 등 도시재생 사업 주체와의 원활한 의견교환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민들의 의사를 직접 물어서 결졍해야 하는 경우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주민들이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등에 접속한 후 진행되는 투표를 통하여 도시재생 사업에 주민의사가 반영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
110 - 개별쇠퇴지표 설정부
120 -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
130 - 개별쇠퇴지수 산출부
140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
200 -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
210 -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
220 - 변화율 산정부
230 - 변화율 표준화부
240 -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
241 - 표준점수 합산부
242 - 가중치 부여 합산부
243 - 쇠퇴등급 산정부
300 잠재력 진단시스템
310 잠재력 지표 설정부
320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
330 잠재력 등급 산출부

Claims (10)

  1. 각 지역의 쇠퇴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물리적 노후화와 경제적 쇠퇴정도 및 인구 사회측면의 쇠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쇠퇴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다수의 쇠퇴지수를 합산하여 특정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에 저장된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일정기간마다 저장하고, 그 일정기간 동안의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산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쇠퇴정도를 나타내는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지수를 산출한 후, 동일 지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쇠퇴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쇠퇴등급인 기간별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 및
    도시재생을 통하여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와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도시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에 해당하는 지표값이 입력되면 각 잠재력 지표에 대한 잠재력 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합산하여 도시재생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진단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시점의 쇠퇴도 진단시스템은,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의 개별적인 쇠퇴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개별쇠퇴지표 설정부;
    상기 개별쇠퇴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쇠퇴지표 항목들의 지표값을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받은 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에서 환산된 각 쇠퇴지표들의 지수화값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각 쇠퇴지표에 대한 쇠퇴지수를 산출하는 개별쇠퇴지수 산출부; 및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쇠퇴지표의 쇠퇴지수를 취합하거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연산함에 차지하게 되는 각 쇠퇴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한 후, 각 쇠퇴지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해당 지역의 기준시점의 쇠퇴도를 산출하는 기준시점의 쇠퇴도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쇠퇴지표값 표준화부는 각 쇠퇴지표들의 지표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트 스코어(Z-score)로 환산하고, 상기 제트 스코어(Z-score)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4007128131-pat00005

    (여기서, x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14007128131-pat00006

    (이때,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인 10을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인 50을 나타낸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진단시스템은,
    상기 개별쇠퇴지수 산출부에서 입력받은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을 연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
    상기 연도별 지표값 저장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쇠퇴지표의 지표값들의 기간별 변화율을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화율 산정부;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지표값들에 대한 변화율을 표준점수로 환산하는 변화율 표준화부; 및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환산되는 각 쇠퇴지표별 표준점수를 합산하여 기간별 쇠퇴도를 연산하고 각 지역의 기간별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산출된 변화율이 평균에서 얼마만큼 일탈하였는가를 볼 수 있도록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각 쇠퇴지표들의 변화율을 제트 스코어로 환산하고, 이와 같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7

    (여기서, x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각 쇠퇴지수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상기 변화율 산정부에서 연산된 변화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8

    (이때,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인 10을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인 50을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별 쇠퇴도 산정부는,
    상기 변화율 표준화부에서 표준화된 각 쇠퇴지표들의 표준점수를 지표유형별로 합산하는 표준점수 합산부;
    상기 표준점수 합산부에서 합산된 지표유형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합산부; 및
    지표유형의 합산된 표준점수를 등급화하여 쇠퇴등급을 산출하는 쇠퇴등급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력 진단시스템은,
    도시재생을 통하여 기준시점의 쇠퇴도나 기간별 쇠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각 지역의 잠재력을 판단하기 위한 다수의 잠재력 지표 항목들을 설정하는 잠재력 지표 설정부;
    상기 잠재력 지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입력받아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상호 비교 가능한 지수화값으로 변환하는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에서 변환된 잠재력 지표들의 지수화된 값을 비교하여 각 지역의 잠재력 등급을 산출하는 잠재력 등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력 지표값 표준화부는 각 잠재력 지표들의 지표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트 스코어(Z-score)로 환산하고, 상기 제트 스코어(Z-score)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T점수로 환산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3107376417-pat00009

    (여기서, x는 각 잠재력 지표의 지표값을 나타내고,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 잠재력 지표의 지표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07376417-pat00010

    (이때, S는 구하고자 하는 T점수인 표준점수를 나타내고, z는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제트 스코어(Z-score)를 나타내며, σ는 표준편차인 10을 나타내고, m은 평균값인 50을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 주민들의 공공참여가 가능하도록 웹 기반으로 구축된 주민참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더 포함하여, 주민들이 다른 지역의 쇠퇴정도 및 잠재력 등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의사를 취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주민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주민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공지사항을 SNS로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KR1020130144050A 2013-11-25 2013-11-25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KR10137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50A KR101375441B1 (ko) 2013-11-25 2013-11-25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50A KR101375441B1 (ko) 2013-11-25 2013-11-25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441B1 true KR101375441B1 (ko) 2014-03-17

Family

ID=5064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050A KR101375441B1 (ko) 2013-11-25 2013-11-25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44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927066B1 (ko) * 2017-09-11 2018-12-10 (주)동림피엔디 도시조사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 구축서버를 포함하는 도시조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27067B1 (ko) * 2017-09-11 2019-03-07 (주)동림피엔디 도시조사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도시조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02921A (ko) 2018-02-27 2019-09-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도시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6342A (ko) * 2018-03-08 2019-09-18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33492B1 (ko) 2021-07-16 2021-12-01 주식회사 엔터즈컴퍼니 미디어 기반의 챗봇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15751A (ko) *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5754A (ko) *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586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리정보 기반 도시지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5600A (ko) *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상권정보 제공장치, 서비스장치 및 상권정보 제공단말
KR20120097935A (ko) * 2011-02-28 2012-09-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의 적합성 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586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리정보 기반 도시지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5600A (ko) *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상권정보 제공장치, 서비스장치 및 상권정보 제공단말
KR20120097935A (ko) * 2011-02-28 2012-09-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의 적합성 평가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927066B1 (ko) * 2017-09-11 2018-12-10 (주)동림피엔디 도시조사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 구축서버를 포함하는 도시조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27067B1 (ko) * 2017-09-11 2019-03-07 (주)동림피엔디 도시조사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도시조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02921A (ko) 2018-02-27 2019-09-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도시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6342A (ko) * 2018-03-08 2019-09-18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33472B1 (ko) 2018-03-08 2020-07-13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5751A (ko) *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5754A (ko) *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12343B1 (ko) * 2020-07-31 2022-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65598B1 (ko) * 2020-07-31 2022-11-0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492B1 (ko) 2021-07-16 2021-12-01 주식회사 엔터즈컴퍼니 미디어 기반의 챗봇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41B1 (ko)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Caselli et al. Do oil windfalls improve living standards? Evidence from Brazil
Carli et al. Measuring and managing the smartness of cities: A framework for classifying performance indicators
McCrea et al. What is the strength of the link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of urban quality of life?
Martinez The use of GIS and indicators to monitor intra-urban inequalities. A case study in Rosario, Argentina
Duzgun et al. An integrated earthquak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urban areas
Uhlmann et al. Prioritising indicators of cumulative socio-economic impacts to characterise rapid development of onshore gas resources
Ozgen et al. Measuring cultural diversity and its impact on innovation: Longitudinal evidence from dutch firms
Tsai et al. The spatial interactions between public transport demand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in the Sydney Greater Metropolitan Area
KR102373276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공공 시설물의 입지 선정 장치 및 방법
Oliveira et al. Analysis of freight trip generation model for food and beverage in Belo Horizonte (Brazil)
Prades et al. Factors determining waste generation in Spanish towns and cities
Kim et al. Measuring changes in urban functional capacity for climate resilience: Perspectives from Korea
Mvongo et al. Assessing water service performances in rural sub-Saharan Africa environment: The case studies of two councils of the southern and eastern regions of the Republic of Cameroon (Central Africa)
Dwyer Cost-benefit analysis
Jamali et al. Urban resilience assessment using hybrid MCDM model based on DEMATEL-ANP method (DANP)
Varouqa Risks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line services and their impact on the financial costs of road projects in Jordan
Dayyani et al. The identification and zoning of areas having rural deteriorated textures in the Tehran province by using KDE and GIS
Rolheiser et al. Beyond density: municipal expenditure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development
Fattahi et al. An evaluation model for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levels in a water supply domain: case study–water supply in Hamedan
Rongerude et al. Cores and peripheries: Spatial analysis of housing choice voucher distributio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Region, 2000–2010
Mohamed et al. Data Completeness Analysis of Malaysian Education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hite et al. The 2011 Census taking shape: the selection of topics and questions
Ali et al. Implementing total quality management concepts to LAND administration system in Pakistan
Ferreira et al.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a patent-and trademark-based analysis for the eu reg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