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534A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534A
KR20090117534A KR1020080043632A KR20080043632A KR20090117534A KR 20090117534 A KR20090117534 A KR 20090117534A KR 1020080043632 A KR1020080043632 A KR 1020080043632A KR 20080043632 A KR20080043632 A KR 20080043632A KR 20090117534 A KR20090117534 A KR 2009011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onstruction value
ecological construction
geographic information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면
남경필
남택우
김호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534A/ko
Publication of KR2009011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2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0)에 저장된 정보 및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와,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 처리하는 지리정보 처리부(10)와,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 및 상기 지리정보 처리부(10)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입출력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은 평가구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지표 및 가중치를 선정하는 단계와, 개별 시나리오를 선정하는 단계와, 평가항목을 분석하는 단계와,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 처리하는 단계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지리정보처리부에 의해 정확한 생태건설가치 평가가 가능하고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생태건설가치에 대한 비교 및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생태건설가치, 지리정보시스템, 다기준 의사결정법

Description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System for Evaluating Ecological Construction Value us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지역의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산출하고 평가하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 생태문제는 대기, 수질, 토양오염으로 대표되는 환경오염의 문제뿐만 아니라 도시열섬현상과 도시홍수를 포함한 도시기후 변화 및 생물서식공간의 오염과 파괴가 야기하는 도시 생태계의 균형파괴를 초래하는 광범위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균형파괴는 기존의 도시개발과 건축으로 인한 것으로서 생활의 질 저하는 물론 경제적인 성장과 국토의 지속적인 개발을 가로막는 주요요인이 되고 있 다. 이는 본질적으로 공간개발과 환경보전 문제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공간계획체계의 미비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과밀개발과 생태계 파괴의 근본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기존의 공간계획체계를 국토차원에서 도시, 건축에 이르기까지 환경친화적 공간계획체계로 전환하는 일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공간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시개발사업에 적용가능한 생태건설가치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환경친화적 도시건축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건설가치지표를 기준으로 개발된 도시건축모델에 의하는 경우, 단지개발 계획단계에서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생태건설가치 변화를 평가, 분석하여 지도상에서 확인하고 가장 생태친화적인 개발계획을 최적안으로 선정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생태건설가치지표를 이용한 도시건축모델을 찾아볼 수 없으며, 다양한 평가결과 및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이나 평가방법에 대한 시도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개발사업의 설계단계 및 완료 후 생태건설가치에 대한 비교 및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은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할 구역을 선정하여 입력하는 평가구역 선정단계;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입력하는 평가기준 선정단계;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입력하는 시나리오 선정단계; 상기 평가기준 및 상기 시나리오에 의해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분석단계; 상기 분석단계에 의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 처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및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가기준 선정단계는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지표선정단계와, 상기 지표에 대한 개별가중치를 선정하는 가중치 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중치 선정단계는 상기 지표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선정하지 않 으면 기입력된 평균치를 개별 가중치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석단계는 상기 지표에 상기 가중치를 곱해서 나온 결과로 생태건설가치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는 상기 분석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항목별로 해당 지리상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GIS) 상에 표현하는 지리정보 처리부;및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상기 지리정보 처리부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상기 지리정보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표시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는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평가지표에 개별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는 기입력된 시나리오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리정보처리부는 위성 또는 인터넷을 통해 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 의하면,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지리정보처리부에 의해 정확한 생태건설가치 평가가 가능하고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생태건설가치에 대한 비교 및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을 통해 획득된 지역의 각종 정보 저장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정보가 갱신되는 지리정보처리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지리정보처리부(10)는 지역 내 건물, 도로 등의 지형도, 하천도, 등고 선도, 행정구역경계도, 기온현황도, 정밀토양도 등과 같은 지리적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각 지점을 표시하며 각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지리정보처리부(10)에 대한 데이터는 인공위성 또는 인터넷을 통해 획득,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처리부(10)가 처리하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는 상기 지리정보처리부(10)에서 처리하는 지리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가중치값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에 의해 저장되는 데이터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는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평가지표를 산출한다. 다기준 의사결정법이란 상충되는 복수의 기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법으로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다양하고 이해관계가 복잡한 환경문제를 보다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하면 개발로 인한 자연,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제도 함께 고려할 수 있으며,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과정에 내재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기준 의사결정법은 사업성격에 따라 기준을 다양화하여 평가항목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대상 사업에 대한 특성화된 평가를 할 수 있다. 다기준 의사결정법은 브레인스토밍→계층구조의 설정→가중치의 설정→측정→검토로 이루어진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수행하는 사업에 대해 어떠한 평가항목이 필요하며 어떤 특성이 주로 반영되어야 하는지 결정한다. 그리고, 기준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충분한 설명을 하여 하위기준과 상위기준을 구분하고 계층구조를 구성한다. 그 다음 사업의 특성에 따라 의사결정참여자들의 상대적 중요도 또는 선호도를 조사하여 가중치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비일관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드백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생태환경을 평가하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평가지역의 점수를 산출한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되는 평가지표의 항목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8033387714-PAT00001
Figure 112008033387714-PAT00002
Figure 112008033387714-PAT00003
Figure 112008033387714-PAT00004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평가되는 항목은 크게 생태건전성, 도시 지속성, 수환경, 어메니티로 분류할 수 있다. 생태건전성은 해당지역의 생태적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발지역, 자연지역, 반자연지역 등으로 구분되어 해당지역의 친생태지역의 분포비율 및 분포형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시 지속성은 해당지역의 도시요건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해당지역의 도로포장 비율, 인공녹지 비율, 동물의 이동경로 및 대기상태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수환경은 해당지역의 수생환경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생지의 분포 및 이용형태 및 수질 등을 복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어메니티는 해당지역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용성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거주 밀도, 주차비율, 녹지공간비율, 사회, 문화 프로그램 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되는 평가지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가중치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생태건전성, 도시지속성, 수환경 및 어메니티는 각각 총점이 100점이 되도록 하여 점수의 총합계가 400점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각 평가지표의 수치와 곱해져서 생태환경에 대한 총 평가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되는 평가지표는 생태환경의 부분별 특징을 평가할 수 있도록 산정된 지표로서, 부분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이외의 평가지표도 부가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입출력부(40)를 통해 표시된다. 상기 입출력부(40)에 의해 평가지표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입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그래프, 도표, 및 지형도 등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40)를 통해 자료의 입력이나 편집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의 평가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생태건설가치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를 하게 될 평가구역을 선정한다. 평가구역이 선정되면 다기준 의사결정법에서 브레인스토밍에 해당하는 평가기준선정단계를 실시한다. 평가기준선정단계는 평가구역에 대한 평가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지표를 개별적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지표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부여한다.
평가기준 선정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목표를 위한 대단위의 평가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평가항목을 더욱 세분화시켜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지표선정단계를 실시한다. 사용자는 입출력부(40)를 통해 지표선정 및 가중치 부여를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지표의 상호관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별도로 지표를 선정하지 않으면 표 1에 기재된 지표를 기준으로 자동선정될 수 있다.
지표가 설정되면 설정된 지표에 대한 개별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입력단계가 실시된다. 이는 선정된 지표에 대한 평가가치가 각각 상이하므로, 그에 따라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표 및 가중치를 설정하는 평가기준 선정단계가 완료되면, 평가할 대상에 대한 개별적인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시나리오 설정단계를 실시한다. 평가대상구역은 각 영역 별로 생태보호 정도와 개발 정도가 모두 상이하다. 가령, 어느 영역은 개발의 정도가 높고, 어느 영역은 생태보호 정도가 높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개별적인 시나리오를 각각 설정한다. 시나리오는 특정 영역의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거나 특정 영역의 지표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는 등의 방법을 통해 개별화될 수 있다.
개별시나리오가 설정되면, 평가항목을 분석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는 입력된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한 점수를 환산한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는 각 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총 점수가 400점이 되도록 하며,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하나의 수치로 표현함으로써 정량화한다.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30)에 의한 결과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 및 도표 등에 의해 표현된다.
도 5는 각각의 시나리오 별로 산출된 점수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각각의 시나리오는 입력된 판단기준을 근거로 점수를 산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각각의 평가지표, 영역 등에 대한 결과를 표 및 그래프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결과는 지리정보처리부(10)에 의해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입력된다. 상기 지리정보처리부(10)는 각각의 산출결과를 지리상에 표시하고 그 결과를 색채나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를 표시하고, 각 지역에 대한 산출결과를 색채로 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가지역에 대한 각 항목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향후 개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판단하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에 의해 평가구역에 대한 신뢰성있는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할 수 있고, 지리정보 처리부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지리정보에 표시하여 검토할 수 있으므로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생태건설가치에 대한 비교 및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평가분석이 가능하므로 보다 광범위한 평가분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의 평가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서 지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인 프로그램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서 선정된 지표의 관계를 보인 프로그램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 의해 평가된 시나리오별 결과를 보인 프로그램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도표 및 그래프로 나타낸 프로그램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나타낸 프로그램 화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지리정보 처리부 20: 데이터베이스부
30: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40: 입출력부

Claims (10)

  1.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할 구역을 선정하여 입력하는 평가구역 선정단계;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입력하는 평가기준 선정단계;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입력하는 시나리오 선정단계;
    상기 평가기준 및 상기 시나리오에 의해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분석단계;
    상기 분석단계에 의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 처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및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준 선정단계는
    상기 평가구역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지표선정단계와,
    상기 지표에 대한 개별가중치를 선정하는 가중치 선정단계를 포함하는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선정단계는
    상기 지표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선정하지 않으면 기입력된 평균치를 개별 가중치로 선정하는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지표에 상기 가중치를 곱해서 나온 결과로 생태건설가치를 분석하는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처리단계는
    상기 분석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항목별로 해당 지리상에 표시하는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7.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다기준 의사결정법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GIS) 상에 표현하는 지리정보 처리부;및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상기 지리정보 처리부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 및 상기 지리정보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표시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평가지표에 개별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건설가치 예측처리부는
    기입력된 시나리오에 의해 생태건설가치를 평가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처리부는
    위성 또는 인터넷을 통해 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KR1020080043632A 2008-05-09 2008-05-09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KR20090117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32A KR20090117534A (ko) 2008-05-09 2008-05-09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32A KR20090117534A (ko) 2008-05-09 2008-05-09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34A true KR20090117534A (ko) 2009-11-12

Family

ID=4160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32A KR20090117534A (ko) 2008-05-09 2008-05-09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53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5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8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CN113112152A (zh) * 2021-04-13 2021-07-13 南京经纬地诚土地规划咨询有限公司 一种国土空间规划现状评估方法
KR102464915B1 (ko) * 2022-01-27 2022-11-09 주식회사 알에이에이피 공간분석과 사업비검토 관련 결과보고서 생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46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경사도/표고생성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9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도시계획입안 구역에 대한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5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대상지 추출을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8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표준화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KR101686847B1 (ko) * 2016-09-19 2016-12-1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평가지표의 퍼지분석 및 중력모형함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공원계획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CN113112152A (zh) * 2021-04-13 2021-07-13 南京经纬地诚土地规划咨询有限公司 一种国土空间规划现状评估方法
KR102464915B1 (ko) * 2022-01-27 2022-11-09 주식회사 알에이에이피 공간분석과 사업비검토 관련 결과보고서 생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elmans et al. Complexity and performance of urban expansion models
Zhang et al. Simulation and analysis of urban growth scenarios for the Greater Shanghai Area, China
Real et al.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n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still not useful for informing policy planning: an uncertainty assessment using fuzzy logic
KR20090117534A (ko)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태건설가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Barreira-González et al. Configuring the neighbourhood effect in irregular cellular automata based models
Assumma et al.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ology to measure ecological and economic landscape states for territorial transformation scenarios: An application in Piedmont (Italy)
Bosurgi et al. Pavement condition information modelling in an I-BIM environment
Kazemi-Beydokhti et al. 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domain for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using the ANP-OWA method in GIS
KR102538887B1 (ko)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Moghadam et al. A mixed methodology for defining a new spatial decision analysis towards low carbon cities
Haara et al. Analyzing uncertainties and estimating priorities of landscape sensitivity based on expert opinions
Sarabi et al. The nature-based solutions planning support system: A playground for site and solution prioritization
CN111539764A (zh) 基于次模函数的大数据多址选择方法
Ghodousi et al. Air Quality Management in Tehran Using a Multi-Dimensional Decision Support System.
Dragicevic et al. Space, time, and dynamics modeling in historical GIS databases: a fuzzy logic approach
Akgul Bridge management in Turkey: a BMS design with customised functionalities
Amador-Jiménez et al. Roads performance modeling and management system from two condition data points: case study of Costa Rica
Quinn et al. Mapping uncertainty from multi-criteria analysis of land development suitability, the case of Howth, Dublin
KR20050063615A (ko)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Panou et al. A fuzzy multicriteria evaluation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tunnels vis-à-vis surface roads: theoretical aspects—part I
Gandini et al. Adaptation to flooding events through vulnerability mapping in historic urban areas
CN111506879A (zh) 一种基于多源感知数据的人口空间化测算方法、装置
Kim Development of an optimization technique for a potential surface of spatial urban growth using deterministic modeling methodology
Moghadam et al.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Urban Energy Plann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Methodological Approach
McCausland The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IS applications as decision support tools for ecologically aware infrastructur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