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615A -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615A
KR20050063615A KR1020030095034A KR20030095034A KR20050063615A KR 20050063615 A KR20050063615 A KR 20050063615A KR 1020030095034 A KR1020030095034 A KR 1020030095034A KR 20030095034 A KR20030095034 A KR 20030095034A KR 20050063615 A KR20050063615 A KR 20050063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roughness
map
classification
area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615A/ko
Publication of KR2005006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지역의 토지분류, 식생분류, 건물과 시설물들의 배치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지면 거칠기를 정확하게 산정하여 지면 거칠기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지면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지도, 수치지형도를 데이타베이스화하고, 피복분류별 지면거칠기, 식생분류에 따른 지면거칠기,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에 따른 지면거칠기를 측정하여 데이타베이스화하는 단계; 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지면 거칠기 지도의 정밀도에 대응하는 대상 지역을 구분할 격자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선정된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도, 수치지형도를 불러들여, 상기 설정된 격자간격으로 구분하는 단계; 각 격자영역별로 피복분류 또는 식생분류 또는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를 구분하여 상기 구축된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격자영역의 지면거칠기를 모아서 지면 거칠기지도를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urface roughnes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도/지리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 지역의 토지분류, 식생분류, 건물과 시설물들의 배치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지면 거칠기를 정확하게 산정하여 선택 지역의 거칠기 지도를 제공하는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이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정보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서, 크게 토지 정보시스템, 도시 정보시스템, 도면 자동화, 시설물 관리 분야로 나누어지지만, 토지·자원·환경·도시·해양·수산·군사·교통·통신·상하수도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이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 둘째 자료 레이더 구축, 셋째 자료 관리 과정, 넷째 자료 분석 및 조작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통계보고서·지도·도표 등을 작성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이 갖추어지면 다양한 공간 분석이 가능하고, 그래픽 정보나 관련 데이터베이스 등 각종 지형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도구와 조작도구를 이용해 방대한 공간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특수한 사용자를 위한 전용 매크로 언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밖에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부응할 수 있는 도면 검색 시스템을 통해 도면과 속성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종 정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도면의 반영구적 사용과 수작업 관리로 인한 인위적인 오차 배제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리 정보 시스템은 농업, 산업, 기상학등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학 분야에서, 지표면의 바람은 지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풍속의 연직구조가 큰 폭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수치기상모의, 풍력자원평가, 대기확산예측 그리고 풍하중산출과 같이 지형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바람장의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 신뢰성 있는 분석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표면의 거칠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풍속의 연직분포는 지표면 거칠기의 함수로 계산하는데, 이때, 지면거칠기를 잘못 산정함에 의하여 실제로는 5m/s인 풍속을 4.5m/s로 낮게 산출하였다면, 건축물 안정성과 관련된 풍하중은 20%, 풍력발전량은 30% 정도 더 낮게 산출됨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건축된 건축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풍력 발전 대상 지역의 선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지면 거칠기는 상기와 같이 미시규모 기상 수치모의에 의한 바람장 분석, 풍력발전 단지조성을 위한 풍력자원지도 작성, 대기환경 영향 평가를 위한 대기오염물질 확산예측실험, 건축물에 가해지는 풍하중 산출등과 같은 바람 환경의 변화특성을 분석하거나 평가하는데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이, 풍공학, 수치기상학, 대기환경학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지면거칠기지도가 필요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지면 거칠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마저도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기존에는, 지면 거칠기 정보가 필요한 경우, 대한건축학회에서 제공하는 “건축물 하중기준 및 해설”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현장 방문에 의하여 눈으로 관측하여, 지면 거칠기정보를 얻고 있으며, 현장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는 대상지역의 개괄적인 지역특성만을 참조하여 대상지역의 지면거칠기를 일률적으로 가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눈으로 관측하거나, 개괄적인 분류에 의해 가정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산정된 지면 거칠기 결과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지표면 거칠기의 오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풍력 발전 대상 지역의 선정에 오류를 발생시켜, 큰 재산 손실 및 인명손실까지 초래할 수 있다.
더불어, 동일 지역이라고 할지라도 토지이용도, 식생분포도, 및 건물군 분포특성에 따라 공간적인 분포특성이 상이해지고, 식물생장의 계절적인 영향에 따라 시간적으로도 공간적인 분포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야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현재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이를 감안한 지표면 거칠기 정보의 제공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상 지역의 토지분류, 식생분류, 건물과 시설물들의 배치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지면 거칠기를 정확하게 산정하여 지면 거칠기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지면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지도, 수치지형도를 데이타베이스화하고, 피복분류별 지면거칠기, 식생분류에 따른 지면거칠기,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에 따른 지면거칠기를 측정하여 데이타베이스화하는 단계; 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지면 거칠기 지도의 정밀도에 대응하는 대상 지역을 구분할 격자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선정된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도, 수치지형도를 불러들여, 상기 설정된 격자간격으로 구분하는 단계; 각 격자영역별로 피복분류 또는 식생분류 또는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를 구분하여 상기 구축된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격자영역의 지면거칠기를 모아서 지면 거칠기지도를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격자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격자 구역내의 토지 피복 지도 데이타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이 속하는 피복분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 속하는지, 아니면 주거/공업/상업분류에 속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 속할 경우, 해당 녹지자연지도에서 해당 격자영역을 읽어들여, 식생분류를 판단하고, 지면 거칠기 DB의 해당 식생분류에 대응하는 지면거칠기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주거/공업/상업지역에 속하는 경우, 해당 수치지형도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의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건물의 평균높이를 적용하여 지면거칠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나 주거/공업/상업지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지면거칠기DB에서 해당 피복분류에 대응하는 지면거칠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모든 격자영역에 대하여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복분류 선정단계는, 설정된 격자영역내에 여러 종류의 피복분류가 존재하는 경우, 면적 평균과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해당 격자영역내에서 가장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피복분류를 해당영역의 대표 피복분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산정된 지면거칠기지도를 수치정보 형태로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발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이 적용된 지리 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은 지면 거칠기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토지피복지도 DB, 녹지 자연 지도 DB, 수치 지형도 DB, 및 지면 거칠기 DB가 구축되어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지면 거칠기 지도 작성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가 보관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 CD-ROM과 같은 기억장치(10)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20) 및 RAM(30)과, 상기 기억장치(10)에 구축된 지면거칠기 지도 작성용 S/W를 불러들여, 다음에 설명한 지면 거칠기 지도 작성 절차를 수행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다음에 설명한 대상 지역 선택이나 격자 간격 선정시 해당 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50)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의해 작성된 지면 거칠기 지도를 도표 또는 지도 형식 또는 수치형식으로 보이기 위한 표시장치(60) 및 출력장치(7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표시장치(60)는 일반적으로 모니터가 사용되며, 출력장치(70)로는 일반적으로 프린터등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지리 정보 시스템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으로서,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지도 그리고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격자간격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하여 지면거칠기를 산출하고, 각 격자의 지면거칠기를 모아서 이를 지도 형태 또는 수치형태등,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상기에서, 기억장치(10)에 저장되는 토지 피복 지도는 한국 또는 국제 공인 기관에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숲, 초지, 콘크리트 포장등과 같은 지표면의 상태를 표시한 지도로서, 일반적으로 환경관리를 위한 전형적인 주제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토지피복지도를 통하여, 토지공간에 대한 피복변화의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국토의 공간구조의 실태를 파악하고 변환추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환경분야에서는 지역·유역·권역별 오염부하량과 환경용량 산출등에 활용될 수 있다. 토지피복지도의 피복 분류 체계는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국토이용, 공간계획 등의 여타 분야에서 요구하는 항목들을 반영하여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의 3단계 피복분류체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대분류항목으로는 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등이 있으며, 중분류항목에서는 시가화건조지역을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 위락시설지역, 교통지역, 공공시설지역으로 구분하고, 농업지역을 논, 밭, 하우스재배지, 과수원, 기타재배지로 구분하며, 나머지,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에 대해서는 여러 종류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기억장치(10)의 녹지자연지도DB는 지표공간에 위치한 녹지fmf 식생분류별로 표시하여 나타낸 녹지자연지도를 데이타베이스화한 것이며, 더불어, 수치지형도DB는 지표면상에 건물의 위치 및 용도등을 표시한 수치지형도를 데이타베이스화한 거이다.
그리고, 상기 기억장치(10)에 구비된 지면거칠기DB에는 상기 토지 피복 분류에 있어서, 대분류 및 중분류, 세분류 피복도 각각에 대한 지면거칠기가 현장검증, 데이타누적, 경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또한, 피복분류중, 녹지/초지/산지 항목에 대해서는 각각의 구체적인 식생분류에 따른 지면거칠기가 현장검증, 데이타누적, 경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또한,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해서는, 수치고도에 따른 지면거칠기가 데이타베이스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지면 거칠기 지도를 작성함에 있어서 격자단위로 지면거칠기를 산출함으로써 수치기상모델이나 대기확산모델과 같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입력됨에 있어서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전산입력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로서, 이하 상기 흐름도를 참조하여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대분류 및 중분류, 세분류 피복도 각각에 대한 지면거칠기, 녹지/초지/산지 항목에 대해서는 각각의 구체적인 식생분류에 따른 지면거칠기,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에 따른 지면거칠기를 산출하여, 데이타베이스화한다(S100).
지면 거칠기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을 선정한다(S101). 상기 대상 지역의 선정은 지면 거칠기 지도가 필요한 지역을 지역명 등을 입력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면 거칠기 지도의 정밀도와 관련된 격자 간격을 설정한다(S102). 상기 격자 간격 설정은 선정된 대상 지역을 구분할 격자크기나, 격자의 수를 설정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격자의 갯수가 커질 수 록 정밀도는 높아지고, 격자의 크기는 작아질 수 록 정밀도가 높아진다. 상기 격자 간격 설정은 대상 지역의 선정 전에 이루어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지역이 선정되면, 상기 도 1에 보인 것과 같은 기억장치(10)로부터 선정된 대상지역의 토지 피복지도와, 녹지자연지도와, 수치지형도를 불러들이고, 상기 설정된 격자 간격으로 대상 지역의 구분하여, 지면 거칠기 지도를 작성할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된 각 격자별로 토지 피복지도, 녹지자연지도, 수지지형도의 데이타에 근거하여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대상지역에서 소정의 격자를 선정하여(S103), 상기 선정된 격자 구역내의 토지 피복 지도 데이타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이 속하는 피복분류를 산정한다(S104). 이때, 설정된 격자영역내에 여러 종류의 피복분류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면적 평균과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해당 격자영역내에서 가장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피복분류를 해당영역의 대표 피복분류로 선정한다.
상기와 같이 격자영역의 피복 분류가 선정되면, 선정된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 속하는지, 아니면 주거/공업/상업분류에 속하는 지를 판별한다(S105,S106).
이는 초지/초지/산지에서는 식생분류별로 지면 거칠기가 달라지며, 주거/공업/상업지역에서는 건물의 밀도 및 높이에 따라서 지면 거칠기가 달리지기 때문에, 각각의 조건에 맞는 정확한 지면 거칠기를 산정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국토지리원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지도는 작성연대에 따라 수역, 시가화건조지역, 나지, 습지, 녹지/초지, 산림지역, 농업지역 등 7가지로 분류하는 대분류와 23가지로 분류하는 중분류, 48가지로 분류하는 세분류가 표시된다.
이러한 토지 피복 분류중에서, 식생과 관련된 초지/녹지/산지 영역은 해당영역에서 생장하는 식생분류에 따라 지면거칠기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격자 영역의 식생분류를 녹지자연지도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 얻어진 해당 격자 영역의 식생분류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지면거칠기DB로부터 대응하는 지면 거칠기 정도를 설정한다(S107). 이때, 부가적으로 계절을 지정하면, 계절별 식물생장의 경향에 따라서 지면거칠기를 차등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생분류별 식물 생장 경향에 따른 지면 거칠기는 미리 수치화되어 지면 거칠기 DB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해당 격자영역의 피복 분류가 주거/공업/상업지역인 경우로 판별되면, 수치지형도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의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건물의 평균높이를 적용하여 지면거칠기를 산정한다(S108). 이때, 수치지형도로부터 건물 및 시설물의 레이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하게 되며, 필요시 등고선 레이어로부터 수치고도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수치지형도의 건물 및 시설물 레이어에 추가적으로 건물 및 시설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지역별 분류 그리고 건물 및 시설물의 분류에 따른 높이를 해당 격자에 배정하여, 지면 거칠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해당 격자영역의 피복 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도 속하지 않고, 주거/공업/상업지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S104)에서 설정된 피복분류(세분류)에 따라서, 상기 거칠기DB로부터 지면 거칠기값을 검출하여 선정한다(S109).
상술한 지면 거칠기 선정 단계들(S103~S109)는 대상 지역내에 모든 격자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 결과, 대상 지역내의 모든 격자 영역내의 지면 거칠기의 선정이 완료되면(S110), 최종적으로 대상지역 전체의 지면거칠기 정보가 확보되며, 대상 지역의 지도에, 좌표정보와 함께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함으로서, 지면 거칠기 지도를 완성하고(S111), 이를 표시장치(60) 또는 출력장치(70)로 출력시킨다. 지면 거칠기의 표시는, 예를 들어, 지면 거칠기 등급별로 색상이나 명암을 달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지면거칠기 지도를 작성할 대상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의 1:25,000 축척 토지피복지도로서, 대분류 체계에 의해 토지이용도가 분류되어, 피복분류별로 각각 다른 색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토지 피복 지도를 설정된 격자간격, 예를 들어, 250m 간격의 격자계를 생성하여 격자 영역별 피복분류에 따라서 지면거칠기를 산정하게 된다.
도 4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토지 피복 지도와 동일한 지역의, 동일 비율(1:25,000)로 축척된 녹지자연도로서, 설정된 간격(250m)으로 동일하게 구분하여 된 각 격자영역별 식생분류를 표시한다. 이는, 상기 도 3에 나타낸 토지피복지도에서 피복 분류가 녹지/초지/산지인 경우, 해당 격자영역에 대한 식생분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보인 토지피복지도와 동일 지역에 있어서의 동일 축척 비율을 갖는 수치지형도로서, 해당 대상 지역의 건물 및 시설물 레이어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도 3에 보인 토지피복지도에서, 토지분류가 주거/상업/공업지역으로 나타낸 격자 영역에서의 건물의 배치간격 및 높이를 구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보인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도, 수치지형도를 조합하여, 대상 지역의 각 격자영역내의 지면 거칠기를 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에 보인 대상지역에서의 지면 거칠기를 동일한 축적비율로 나타내는 지면 거칠기 지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완성된 지면거칠기지도를 기타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운용될 수 있는 출력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도 6은 그중에서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하여 흑백 색상의 농도에 따라 지면거칠기의 고저를 표시한 것이다. 즉, 흰색은 지면거칠기가 아주 적은 영역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바다영역에 해당되며, 농도가 짙은 부분은 산림지역으로 지면거칠기가 큰 곳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영역을 지정한 격자간격으로 구분하여 해당영역의 토지분류 및 식생종류, 식생의 계절적인 변화 및 건물과 시설물의 배치에 따라 변화하는 지면거칠기를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운용할 수 있는 형태의 공간분포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풍공학 분야에서 건물 및 시설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의 산정, 미시기상학 분야에서 국지적인 바람장 특성분석 및 풍력발전 단지조성을 위한 풍력자원지도 작성, 대기환경분야에서 국지의 대기오염물질 확산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필수적인 입력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상기 분야의 최종 결과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리정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토지피복지도의 일예를 보인 그림이다.
도 4는 녹지자연지도의 일예를 보인 그림이다.
도 5는 수치지형도의 일예를 보인 그림이다.
도 6은 상기 도 3~도 4에 보인 지역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얻어진 지면 거칠기 지도이다.

Claims (3)

  1.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지도, 수치지형도를 데이타베이스화하고, 피복분류별 지면거칠기, 식생분류에 따른 지면거칠기,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에 따른 지면거칠기를 측정하여 데이타베이스화하는 단계;
    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지면 거칠기 지도의 정밀도에 대응하는 대상 지역을 구분할 격자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선정된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녹지자연도, 수치지형도를 불러들여, 상기 설정된 격자간격으로 구분하는 단계;
    각 격자영역별로 피복분류 또는 식생분류 또는 건물 및 시설물 항목에 대한 수치고도를 구분하여 상기 구축된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격자영역의 지면거칠기를 모아서 지면 거칠기지도를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격자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격자 구역내의 토지 피복 지도 데이타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이 속하는 피복분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 속하는지, 아니면 주거/공업/상업분류에 속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에 속할 경우, 해당 녹지자연지도에서 해당 격자영역을 읽어들여, 식생분류를 판단하고, 지면 거칠기 DB의 해당 식생분류에 대응하는 지면거칠기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주거/공업/상업지역에 속하는 경우, 해당 수치지형도로부터 해당 격자 영역의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건물의 평균높이를 적용하여 지면거칠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피복분류가 녹지/초지/산지나 주거/공업/상업지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지면거칠기DB에서 해당 피복분류에 대응하는 지면거칠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모든 격자영역에 대하여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분류 선정단계는
    설정된 격자영역내에 여러 종류의 피복분류가 존재하는 경우, 면적 평균과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해당 격자영역내에서 가장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피복분류를 해당영역의 대표 피복분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KR1020030095034A 2003-12-22 2003-12-22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KR20050063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034A KR20050063615A (ko) 2003-12-22 2003-12-22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034A KR20050063615A (ko) 2003-12-22 2003-12-22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615A true KR20050063615A (ko) 2005-06-28

Family

ID=3725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034A KR20050063615A (ko) 2003-12-22 2003-12-22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615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41B1 (ko) * 2007-03-08 2009-03-12 주식회사 유비시스템 산지의 능선 분류 시스템 및 그 능선 분류 방법
KR101339444B1 (ko) * 2012-11-22 2013-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351997B1 (ko) * 2012-04-05 2014-01-15 (주)유엔이 생태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0459B1 (ko) * 2013-02-22 2014-09-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CN108088420A (zh) * 2016-11-23 2018-05-29 北京地林远景信息技术有限公司 天地图/谷歌地图配合地面摄影测量摄站影像覆盖估算方法
KR20190057024A (ko) * 2019-03-19 2019-05-2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도시 미기상과 미기후 환경 관리를 위한 국지기후유형 산출 방법 및 시스템
CN111861222A (zh) * 2020-07-22 2020-10-3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获取面向区域尺度风力侵蚀的耕地与草地粗糙度的方法
KR20200136535A (ko) * 2019-05-27 2020-1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역적 토지피복 변화 기댓값을 이용한 격자 단위 토지피복 변화 추정 방법
KR20200142342A (ko) 2019-06-12 2020-12-22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려 영역 내 지표면의 대표 표면거칠기 도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3516763A (zh) * 2021-05-26 2021-10-19 中国再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大尺度精细化地貌数字化模拟方法和装置
CN113516763B (zh) * 2021-05-26 2024-05-24 中国再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大尺度精细化地貌数字化模拟方法和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41B1 (ko) * 2007-03-08 2009-03-12 주식회사 유비시스템 산지의 능선 분류 시스템 및 그 능선 분류 방법
KR101351997B1 (ko) * 2012-04-05 2014-01-15 (주)유엔이 생태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9444B1 (ko) * 2012-11-22 2013-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440459B1 (ko) * 2013-02-22 2014-09-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CN108088420A (zh) * 2016-11-23 2018-05-29 北京地林远景信息技术有限公司 天地图/谷歌地图配合地面摄影测量摄站影像覆盖估算方法
KR20190057024A (ko) * 2019-03-19 2019-05-2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도시 미기상과 미기후 환경 관리를 위한 국지기후유형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6535A (ko) * 2019-05-27 2020-1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역적 토지피복 변화 기댓값을 이용한 격자 단위 토지피복 변화 추정 방법
KR20200142342A (ko) 2019-06-12 2020-12-22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려 영역 내 지표면의 대표 표면거칠기 도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1861222A (zh) * 2020-07-22 2020-10-3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获取面向区域尺度风力侵蚀的耕地与草地粗糙度的方法
CN111861222B (zh) * 2020-07-22 2023-11-1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获取面向区域尺度风力侵蚀的耕地与草地粗糙度的方法
CN113516763A (zh) * 2021-05-26 2021-10-19 中国再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大尺度精细化地貌数字化模拟方法和装置
CN113516763B (zh) * 2021-05-26 2024-05-24 中国再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大尺度精细化地貌数字化模拟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chtel et al. Generating WUDAPT Level 0 data–Current status of production and evaluation
Zheng et al. GIS-based mapping of Local Climate Zone in the high-density city of Hong Kong
Brousse et al. WUDAPT, an efficient land use producing data tool for mesoscale models? Integration of urban LCZ in WRF over Madrid
Vivoni et al. Generation of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based on hydrological similarity
US10830750B2 (en) Functional soil maps
Mander et al. Coherence and fragmentation of landscape patterns as characterized by correlograms: A case study of Estonia
CN111667183A (zh) 一种耕地质量监测方法及系统
Steinnocher et al. Estimating urban population patterns from stereo-satellite imagery
CN108764527A (zh) 一种土壤有机碳库时空动态预测最优环境变量筛选方法
Preston et al. Not all brownfields are equal: A typological assessment reveals hidden green space in the city
CN115994685A (zh) 一种国土空间规划现状评估方法
KR20050063615A (ko)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면 거칠기 지도 제공 방법
Lamichhane et al. Land use land cover (LULC) change projection in Kathmandu valley using the clue-s model
Grenier et al. Accuracy assessment method for wetland object-based classification
Xu et al. Evaluation method and empirical application of human activity suitability of land resources in Qinghai-Tibet Plateau
KR102526361B1 (ko) 지역단위의 폭염 및 한파에 대한 지표면효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Liu et al. Vegetation mapping for regional ecological research and management: a case of the Loess Plateau in China
Farinha-Marques et al. A sampling methodology to facilitate biodiversity assessment in public green spaces
Burian et al. High-resolution dataset of urban canopy parameters for Houston, Texas
Shi et al. Effects of urban green spaces landscape pattern on carbon sink among urban ecological function areas at the appropriate scale: A case study in Xi’an
Sharma et al. Urban Green Space Planning and Development in Urban Cities Using Geospatial Technology: A Case Study of Noida
CN115758856A (zh) 一种景观格局及气候变化对流域未来水质影响的研究方法
CN114781199A (zh) 水源涵养对气候变化的响应分析方法、装置、介质和设备
García-Pardo et al. Urban classification of the built-up and seasonal variations in vegetation: A framework integrating multisource datasets
Mukherjee Delineating fringe by global diversity value: A case study on Barasat municipality,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