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87B1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8887B1 KR102538887B1 KR1020230002672A KR20230002672A KR102538887B1 KR 102538887 B1 KR102538887 B1 KR 102538887B1 KR 1020230002672 A KR1020230002672 A KR 1020230002672A KR 20230002672 A KR20230002672 A KR 20230002672A KR 102538887 B1 KR102538887 B1 KR 1025388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st
- carbon
- business
- modul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13439 plan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8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280 vita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275 quality assur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GQPLMRYTRLFLPF-UHFFFAOYSA-N Nitrous Oxide Chemical compound [O-][N+]#N GQPLMRYTRLFLP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503 SF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56 soi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FZCNBIFKDRMGX-UHFFFAOYSA-N sulfur hexafluoride Chemical compound FS(F)(F)(F)(F)F SFZCNBIFKDRM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909 sulfur hexaflu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41000243771 Bursaphelenchus xylophi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31 Conife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52 Lar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590 Larix decidu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4206 Nema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659 dischar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49 good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72 nitrous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16 z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S310)단계,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S320)단계, 탄소흡수량 산출(S330)단계, 탄소배출권 승인(S340)단계, 계약 체결(S350)단계, 탄소배출권 부여(S360)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은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 모니터링모듈(4500), 사업계획 모듈(4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산주의 소득 증진, 정부.지자체 및 지역사회.기업 협력체계를 통한 탄소중립(Net-Zero) 실현과 산림을 활용한 자발적 탄소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산주의 소득 증진, 정부.지자체 및 지역사회.기업 협력체계를 통한 탄소중립(Net-Zero) 실현과 산림을 활용한 자발적 탄소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야탄소배출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탄소배출권(Certified Emission Reductions(CERs)) 또는 인증감축량은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탄소 배출 허용량을 초과한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반대로 탄소 배출을 적게 하는 기업은 남은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온실가스의 배출에 대한 권리. 교토의정서에 의해 국가별로 할당되며, 할당량을 초과하여 줄이거나 줄이지 못한 부분을 국가 간에 거래할 수 있는데, 이것을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라고 한다. 반대로 탄소를 줄여나간 업체는 줄인 만큼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도 있다. 교토의정서 지정 6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 메테인(CH4), 아산화질소(N2O), 과불화탄소(PFCs),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을 줄인 실적을 국제연합기후변화협약(UNFCCC)에 등록하면 감축한 양만큼 탄소배출권을 받게 된다.
즉,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사업을 해서 온실가스를 줄인 것을 국제연합(UN) 소속기구에게 확인 받으면, 탄소배출권(CER)을 받게 되며, 이를 배출권거래제(ET)를 통해 주식이나 채권처럼 거래소나 장외에서 매매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소를 거래하는 시스템이나 방법 또는 탄소 포집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는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7599호 "탄소배출량 측정 및 상쇄에 기반하는 탄소중립 지원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1)에서는 탄소배출량 측정 및 상쇄에 기반하는 탄소중립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탄소배출활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탄소배출활동정보를 기반으로 탄소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탄소배출활동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기설정된 단위기간당 전기사용량, 가스사용량, 수도사용량, 유류사용량 및 제품생산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은 탄소배출량 거래 지원에 관한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9092호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 및 방법" (특허문헌 2)에서는 탄소배출권 등록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CDM 사업에 대한 국가 승인서를 온라인으로 발행하는 국가 CDM 승인기구서버; 인증서를 온라인으로 발행하는 CDM 운영기구서버 및 CDM 집행위원회서버; CDM 사업제안서를 온라인으로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투자기업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2는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일련의 배출권 확보절차를 온라인 상에서 대행하는 시스템에 불과하다.
한편, 산림은 매우 중요한 이산화탄소 흡수원(Sink)이다.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나무와 토양에 저장합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매년 26억톤의 이산화탄소를 산림이 흡수하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간 4,56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국가 총배출량의 약 6.3%를 산림에서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산림에서의 탄소흡수원을 통한 탄소감소를 가치화하는 것으로서, 임야를 활용한 탄소배출권 투자를 임야탄소배출권(산림탄소상쇄제도) 이라 한다.
즉, 임야탄소배출권(산림탄소상쇄제도)은 탄소흡수원 증진활동을 통해 확보한 산림탄소흡수량을 산주, 사업주, 지방자치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시장에서 거래하거나, 사업주(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산주, 사업주, 지방자치단체(국가 또는 행정청)에 의한 산림조성 및 산림경영이나 산림복구 및 산지전용억제 또는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또는 목제품 이용 등과 같은 탄소흡수원 증진활동을 통해 확보한 산림탄소흡수량을 정부가 인증해주는 제도이다.
산림과 관련된 탄소모델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668호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 및 방법" (특허문헌 3)에서는 산림토양탄소의 동태를 모의 및 예측할 수 있는 산림토양탄소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임분생체량, 고사유기물 생산량, 및 고사유기물 분해량을 이용하여 산림토양탄소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3은 산림의 토양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66534호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특허문헌 4)에서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를 통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탄소 저장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4는 산림의 수목을 통해 탄소 저장량을 예측하는 것에 불과하다.
탄소배출권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특히 산림을 이용한 탄소흡수원 증진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나무를 많이 심고, 또 베어내지만 않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벌채 등을 통해 산림의 임령 및 밀도관리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산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산지(산림)에 대해 신규조림, 재조림, 식생복구, 갱신조림, 산불 피해지 조림, 목재제품 이용 등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산림에 대한 탄소흡수원을 적극적으로 관리를 통해 산주 경제적 이익도 창출 가능하고, 국가적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산림이 많은 먼적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더욱 산림을 통한 탄소흡수원을 활용 및 관리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다양한 방법에 대한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들이 개시되고 있거나, 산림에 대한 탄소흡수량이나 탄소보유량 측정방법 및 예측방법에 대한 선행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지만, 산림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 및 산림경영에 대한 자동화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경영 관련 법령을 준수하면서도 각 항목을 산출하는 변수들에 대한 기준의 정립, 산출방식, 보고서 양식에 있어 표준화 및 자동화를 기초로 산림경영 또는 탄소배출권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관리 및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산림경영 등록, 관리, 경영 및 예측에 대해 표준화 및 자동화 방법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로 된 산림경영관리 보고서 디지털화하여 산주나 사업주 및 관리 행정청에서 일원적으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산주의 소득 증진, 정부.지자체 및 지역사회.기업 협력체계를 통한 탄소중립(Net-Zero) 실현과 산림을 활용한 자발적 탄소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뭄, 홍수, 산불 등과 같은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산림 현황을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탄소중립에 대한 사업계획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산림에 있어 시간경과에 따라 수령 등의 고령화에 따른 벌채, 수종의 변경, 벌채를 통한 밀도 조정, 임령에 따른 수목의 교체 등과 같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탄소중립에 대한 사업계획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업계획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산주(10)의 산지에 대한 대상지(50)가 확정되면, 해당 산지에 대해 사업계획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S31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산림의 상태 및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계획 등을 수립해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출하는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S32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주(10)의 대상지(50)에 대하여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흡수량 산출모듈(4300)를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출하는 탄소흡수량 산출(S33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지(50)에 대한 최초 탄소흡수량 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의 승인여부 또는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탄소배출권 승인(S34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주(10) 및 사업주(20)가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S35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주(20)가 행정청(30)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승인받으면, 사업주(20)가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는 탄소배출권 부여(S36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계획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1)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처리, 분류 및 연산을 담당하는 산림경영 관리서버(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는 산주 이용부(11), 사업주 이용부(21) 및 행정청 이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계획 대상으로서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소배출권을 발생하기 위한 기본 정보들을 법령 규정에 맞도록 사업계획서 형식으로 작성하는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대상지(50)가 흡수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지(50)의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산주(10) 및 사업주(20)간 계약을 체결하는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지(50)에 대해 법령기준에 맞도록 계약기간 중에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그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의 변동을 확인하는 모니터링모듈(4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지(50)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과 관련된 사업계획에 대한 현황 및 변경을 갱신하는 사업계획 모듈(4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승인받고,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은,
탄소흡수량을 해당 대상지(50)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출값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탄소흡수량을 구하고, 여기에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 및 누출량을 차감하여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는 사업계획관리부(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계획관리부(5000)는 사업계획부(5100) 및 모니터링부(5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계획부(5100)는,
사업개요(5110), 사업적합성(51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140), 사업추진계획(5150), 비영속성 관리(5160), 모니터링 계획(5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부(5100)는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5180) 첨부자료(5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5200)는,
개요(5210), 사업이행(52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0), 환경적.사회적. 경제적 영향(5240),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5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적합성(5120)은 대상지 개요(5121), 대상지 면적 및 지역(5122), 토지이용계획 현황(5123),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5124),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5125), 대상지 임상정보(5126), 산림입지도(5127), 대상지 지형정보(5128), 기후정보(5129), 산사태위치정보(5130), 적정조림수종(5131), 임지생산능력(5132), 산림경영계획 현황(5133), 대상지 적합성(5134), 사업시작 및 사업기간(5135), 법률 제도적검토(5136), 경제적 요인 검토(5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140)은 구획정보(5141), 구획별 현장사진(5142), 표준지 정보(5143), 베이스라인 시나리오(5144), 이산화탄소 흡수량(5145), 이차적 배출(514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경영 등록, 관리, 경영 및 예측에 대해 표준화 및 자동화 방법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을 효율적으로 관리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산주나 사업주 및 관리 행정청에서 일원적으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산주의 소득 증진, 정부.지자체 및 지역사회.기업 협력체계를 통한 탄소중립(Net-Zero) 실현과 산림을 활용한 자발적 탄소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뭄, 홍수, 산불 등과 같은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산림 현황을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탄소중립에 대한 사업계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라 수령 등의 고령화에 따른 벌채, 수종의 변경, 벌채를 통한 밀도 조정, 임령에 따른 수목의 교체 등과 같은 대안을 통해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탄소중립에 대한 사업계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산주는 자신의 산지관리 및 산림경영계획을 일원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림탄소배출권을 함께 일원화하여 산주는 탄소배출권 발급을 위한 산림조사 및 흡수량 산정과 보고서 작성, 검인증 절차 진행 등 전문적인 산림 서비스를 사업주를 통해 제공 받고, 발급된 탄소배출권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국가공익적 측면에서도 국내 산림경영율을 높임으로써 지속가능한 탄소흡수원 조성 및 산림분야 국가 탄소감축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사용주체에 다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산주 이용부에 의한 산림정보 입력 화면이다.
도 4(a)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지형도 도면이다.
도 4(b)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임상정보 도면이다.
도 5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구성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세부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탄소거래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사업계획관리 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사업계획관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사업개요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1은 대상지 개요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대상지 면적 및 지역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3은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4는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5는 대상지 임상정보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6은 산림입지도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7은 산사태위치정보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8은 적정조림수종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산주 이용부에 의한 산림정보 입력 화면이다.
도 4(a)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지형도 도면이다.
도 4(b)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임상정보 도면이다.
도 5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구성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세부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탄소거래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사업계획관리 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사업계획관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사업개요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1은 대상지 개요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대상지 면적 및 지역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3은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4는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5는 대상지 임상정보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6은 산림입지도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7은 산사태위치정보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8은 적정조림수종 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유림 및/또는 국유림에 대한 자동화 및 표준화를 통한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야탄소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발명의 설명에서는 먼저 산림경영을 표준화하기 위한 자동화 기반을 통한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에 설명하고, 다음으로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하여 산주, 사업주 및 행정청이 임야탄소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탄소거래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주체는 산주(10), 사업주(20) 및 행정청(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주(10)는 사유림을 소유하고 있는 산림 소유주를 의미하며, 사업주(20)는 산림경영을 위탁받아 실시하는 위탁업체를 의미하고, 행정청(30)은 산림경영 또는 임야탄소배출권을 승인하기 위한 산림청과 같은 행정관청 또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가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사용주체에 다른 모식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은 크게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1),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처리, 분류 및 연산 등을 담당하는 산림경영 관리서버(3)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는 스마트폰, 넷북, 개인용PC 등을 포함하는 최광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 및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유무선 네트워크(2)를 통해 입출력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전송받게 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는 일반적인 광의의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는 산주 이용부(11), 사업주 이용부(21) 및 행정청 이용부(31)를 포함한다.
산주(10)는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데이터 등을 입출력 가능하고, 사업주(20)는 사업주 이용부(21)를 통해 데이터 등을 입출력 및 수정 가능하고, 행정청(30)은 행정청 이용부(31)를 통해 산림경영 여부를 승인하거나 입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 CPU, 저장부 및 연산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산림경영관리 모듈(2000) 및 산림경영관리부(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림경영관리 모듈(2000) 및 산림경영관리부(3000)는 산림경영 자동화 및 표준화 시스템을 통해 산림경영계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 및 사업계획관리부(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 및 사업계획관리부(5000)는 산림경영 자동화 및 표준화 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흐름도(S100)는 산주(10)에 의한 사유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단계(S120),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 산림경영 계약단계(S140),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S150), 최종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60) 및 산림경영 계획서 제출단계(S1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을 제공방법(S100)을 운영하는 주체에 따른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
도 3에서와 같이,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는 산주(10)가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사유림에 대한 산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사유림에 대한 주소 및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산주(10)는 산주 이용부(11)에 접근하여 로그인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하고, 사유림에 대한 임야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산주(10)가 사유림의 임야 정보를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위치정보만을 입력해서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한 산림경영 개시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업주(20)는 사업주 이용부(21)를 통해 부정확한 사유림 주소정보를 확인하거나, 산주(10)에게 이메일 등을 통해 정확한 주소정보를 요청할 수 있거나, 필요한 경우 토지대장과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확인 과정을 거쳐서 특정 사유림의 지번에 대한 산주(10)를 확인할 수 있다.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S120)
도 4에서와 같이, 산주(10)가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산지정보를 입력하면 산림경영 관리서버(3)의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사람의 판단이나 수작업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현행 법령에 맞도록 해당 산주(10)의 산지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정량화 및 도면에 의한 시각화가 이루어진다.
도 4(a)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지형도 도면이다.
도 4(b)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의해 형성된 산림조사대상지의 임상정보 도면이다.
즉, 산주(10)가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에서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해 산지 주소를 입력하면, 도4(a)에서와 같이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지형도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도4(b)에서와 같이 산림조사대상지(40)의 임상정보에 대한 도면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즉,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는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한 산림조사대상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토지 지적도 또는 임상도와, 산림조사대상지(40)의 공부 면적을 기록한 자료(자료의 형태는 종이 또는 디지털 자료를 포함한다.). 지형분석을 위한 표고·경사·방위 값을 가지는 GRID형태의 자료, 토양분석을 위한 수치주제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치주제도는 특정한 주제를 표현한 지도로서 일반도를 기초로 하여 일정한 색채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한 주제도를 GIS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여 공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사유림의 공간정보에 지적대장의 조사대상지 정보를 연결시켜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산림조사대상지(40) 도면을 생성한다. 즉, 지적대장에 대한 정보를 각각 인식하고 지번을 기준으로 산림조사대상지의 지적코드(PNU), 행정명(시/도, 시/군/구, 읍/면/동, 리), 지번, 지번의 공간 정보, 공부면적정보 및 대상지 도면을 확인한다. 이때, 지번, 임소반의 공간 정보, 지번의 지적면적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지적대장에서 지번, 지번의 공간 정보, 지번의 공부면적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어 반영된 지적데이터를 토대로 산지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도면 및 수목에 대한 정보 및 지형정보가 도면으로 형성되며, 그에 대한 최근 확보된 자료에 의해 수치화 및 정량화되어 표현된다.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따로 설명하도록 한다.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
상기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한 산림경영으로서 적합성 여부 판단은 최종 산림청과 같은 행정청(30)에서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하여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된 사전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산림경영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사전 적합성 판단을 하게 된다.
상기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을 통해 자동화 기반으로 산림경영 적합성을 판단하는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해당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관련 법률 정보나, 해당 산림조사대상지 근처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등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지, 또는 해당 산림조사대상지(40)가 자연보호지정구역이어서 사업이 불가능한 지역인지 여부 등을 모두 체크하게 된다.
이때, 적합여부에 대한 판단의 근거는 사업계획서에 들어갈 항목들을 미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된 자료들에 근거해서 보여주게 되고, 사업계획서 작성시 문제가 될 만한 결격 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산림경영이 적합하다 판정된 산림이더라도 사업성이 있는 위치여야 하고, 사업의 규모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사업하기 어려운 위치이거나, 규모가 너무 작으면, 산림경영에 부적합 판단이 될 수 있으며, 필지가 너무 작아서 사업성이 약한 경우, 인접 주위의 다른 산주들 필지를 묶어서 하나의 산림경영 단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산림경영 계약단계(S140)
상기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를 통해 사업성이 인정되면, 일단 해당 산주(10)의 사유림에 대해 산림경영을 산주(10) 및 사업주(20)는 위탁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위탁계약이 체결된 후 사업주(20)는 산주(10)의 해당 사유림에 대해 위탁받아 산림경영을 개시하면서, 산림경영관리 모듈(2000) 및 산림경영관리부(3000)를 통해 산림에 대한 벌목이나 간벌과 같은 산림경영계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 및 사업계획관리부(5000)를 통해 탄소배출권 거래와 같은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S150)
상기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에서 산림경영이 적합하다는 판단하에 산림경영 계약단계(S140)를 통해 산주(10) 및 사업주(20)가 산림경영 위탁계약을 체결하면, 산주(10)가 입력한 사유림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확인한다.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력되는 산출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들이 일일별 갱신되는 것이 아닌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므로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하여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와 현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정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동화를 통한 산림경영을 표준화하기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산림경영이 지속되는 과정에서 산림경영관리 모듈(2000) 및 산림경영관리부(3000)를 통해 산림에 대한 벌목이나 간벌과 같은 산림경영계획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현장기초자료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으며,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 및 사업계획관리부(5000)를 통해 탄소배출권 거래와 같은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주기적으로 현장기초자료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때,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생성된 구획(42) 또는 표준지(41)를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매목데이터 (흉고직경)등을 사업주(20)는 사업주 이용부(21)를 통해 입력하면,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00)인 입력모듈(110)을 통해 업로드 된다.
한편, 현장조사는 공공데이터를 기초로 실시간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드론을 통한 사진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최종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60)
이 단계는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에 대한 보완단계로서 현장조사 후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S150)를 통해 산림경영 적합성에 대해 재판단하는 단계이다.
산림경영 계획서 제출단계(S170)
현재 산림의 상태와 산림경영 계획 등을 수립해서 산림경영계획서를 산림청과 같은 행정청이나 지자체에 제출 및 신고하여 산림경영을 허가받게 된다.
이때, 산주(10)가 스마트 기기(1)의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사유림에 대한 지번을 입력하면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100)인 입력모듈(111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되고, 행정청(30)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100)인 출력모듈(1120)을 통해 산림경영계획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산주(10)의 요청에 의해 개시되면, 사업주(20)가 확인을 하고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에 의해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 현황조사를 하여 산림경영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산림경영 계획서를 완성하고 저장 및 갱신 가능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행정청(30)이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유림에 대해 적용을 하기 위한 것이나, 국유림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가능하다.
다만, 사유림에서의 산주(10)가 개인 또는 법인인 것과는 달리 국유림에 적용시에는 산주(10)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산주(10)가 입력한 지번으로 사유림이 특정된 후 데이터베이스화 된 정보를 토대로 산림정보를 정량화 및 시각화하는 산림경영 관리서버(3)에서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구성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와 같이,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은 크게 입출력 모듈(1100), 산지확정 모듈(1200),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 법령 관리 모듈(1500), 이벤트 관리 모듈(1600), 적합성 판단 모듈(1700)을 포함한다. 또한, 사업계약 모듈(1800) 및 정정 모듈(1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지확정 모듈(1200),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 법령 관리 모듈(1500), 이벤트 관리 모듈(1600)은 국토부, 산림청, 환경청, 기상청 등을 통해 확보한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국토 이용 현황, 농업용지 또는 산림용지, 상수도 보호구역 또는 관광지에 대한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0)은 산주(10)가 스마트 기기(1)의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사유림의 지번을 입력하거나, 해당 지번에 대한 산림청이나 환경부 등에 보관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정보 등을 입력가능하도록 하고, 각종 보고서 및 산림경영 계획서 등을 출력하는 모듈이다.
산지확정 모듈(12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를 특정한 후 인접지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정하고, 정확한 면적을 특정하는 모듈이다.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은 좌표(1310), 고도(1320), 강수(1330), 일조(1340), 토양(1350) 및 토지경사도(1360) 등의 기초조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된 자료를 반영하여 산림조사대상지(40)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종정보, 임분밀도 등을 통해 임지생산능력을 산출하는 모듈이다.
법령 관리 모듈(1500)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산림경영에 관련된 현행 법령을 통해 산림경영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이벤트 관리 모듈(16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정보, 지형정보, 산림정보, 관계법령 이외의 병충해와 같은 특별한 이벤트가 있었는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림경영 적합성 여부 판단에 반영하는 모듈이다.
적합성 판단 모듈(17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정보, 지형정보, 산림정보, 관계법령, 이벤트정보 등을 종합하여 자동으로 산림경영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또한, 산림경영에 대한 면적에 따른 사업성이 부족한 경우 인접지의 산림을 하나로 묶어 산림경영이 가능하도록 판단할 수도 있다.
사업계약 모듈(1800)은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 이후 산주(10) 및 사업주(20)가 산림경영 위탁계약을 위한 모듈이다.
정정 모듈(1900)은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산지, 지형, 산림 등에 대한 정보에 대해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차이점을 반영하여 정정하기 위한 모듈이다.
도 6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에 대한 세부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 각각의 모듈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입출력 모듈(1100)
입출력 모듈(1100)은 산주(10)가 스마트 기기(1)의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사유림의 지번을 입력하거나, 해당 지번에 대한 산림청이나 환경부 등에 보관된 산지정보,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정보 등을 입력가능하도록 하고, 각종 보고서 및 산림경영 계획서 등을 출력하는 모듈이다.
상기 입출력 모듈(1100)은 입력모듈(1110) 및 출력모듈(1120)을 포함한다.
입력모듈(1110)은 산주(10)가 스마트 기기(1)의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사유림의 지번을 입력하게 되면 그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한다. 필요한 경우 토지대장 및 등기부등본 등의 확인 과정을 거쳐서 토지대장 및 등기부등본을 입력 및 저장한다.
또한, 입력모듈(1110)은 사업주(20)가 스마트 기기(1)의 사업주 이용부(21)를 통해 국토부, 산림청, 환경청, 기상청 등을 통해 수집한 산지정보,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정보와 같은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도록 입력한다.
즉, 산지확정 모듈(1200)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산지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때, 산림조사대상지(40)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국유재산기본도, 종이지적도, 수치지적도, 종이임야도, 수치임야도와 산림조사대상지의 공부 면적을 기록한 자료(자료의 형태는 종이 또는 디지털 자료를 포함한다.), 지형분석을 위한 표고·경사·방위 값을 가지는 GRID형태의 자료, 토양분석을 위한 수치주제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좌표(1310), 고도(1320), 강수(1330), 일조(1340), 토양(1350), 경사도(1360) 등과 같은 기초정보를 국토부, 기상청, 환경부 등으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또한,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수종정보(1410), 임분밀도(1420)와 같은 산림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또한, 법령 관리 모듈(1500)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산림경영과 관련된 현행 법령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또한, 이벤트 관리 모듈(1600)에서 이용가능하도록 병충해발병여부, 수계인접여부, 새로운 도로예정지여부, 새로운 터널예정지여부, 상수도 보호구역 지정여부, 관광특구지정여부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출력모듈(1120)은 각종 보고서 및 산림경영 계획서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듈로서, 행정청(30)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100)인 출력모듈(1120)을 통해 산림경영계획서를 출력할 수 있다.
산지확정 모듈(1200)
산지확정 모듈(12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를 특정한 후 인접지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정하고, 정확한 면적을 특정하는 모듈이다. 즉, 표준지(41) 및 구획(42)을 설정하는 모듈이다.
상기 산지확정 모듈(1200)은 위치 특정 모듈(1210), 위치 확정 모듈(1220) 및 면적 특정 모듈(1230)을 포함한다.
위치 특정 모듈(1210)은 산지조사대상지를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주(10)가 자신의 사유림에 대한 지번을 입력하면 이미 입출력 모듈(1100)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된 토지 지적도 또는 임상도에 따라 산지조사대상지가 특정될 수 있다.
위치 확정 모듈(1220)은 산지조사대상지를 3D지도상에서 정확히 확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산지조사대상지(40)에 대해 정확한 확정의 필요성은 지적도의 경계는 국가에 등록된 지적의 경계이므로 변경되어서는 안된다. 반면, 구획(42)의 좌표는 WGS좌표계(위경도 좌표계)로 소숫점 이하 15자리까지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주어진 좌표를 조금이라도 움직일 경우 좌표지점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산지조사대상지(40)는 지적(임야) 내에서만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경계지적이 변동되어서는 안되는데, 경계지 내부의 면적을 구획해서 사업을 해야 하므로 내부 구획의 무결성이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인접 경계와의 중복이나 또는 유실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산지조사대상지에 대한 확정의 필요성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치 확정 모듈(1220)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① 지적의 외부경계(boundary)좌표는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고, ② 지적의 내부를 분할(partition)하는 경계부는 하나로 일치시켜서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에디터가 boundary 를 공유한다. ③ 다음으로, 영역을 합치거나 분할할 때도 경계부의 좌표를 자동으로 판단해서 일치시킨다. ④ 이때, 3D 지도를 이용해서 구획(42)을 수정가능하도록 구현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3D화면에서도 지적 경계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⑤ 한편,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현장 사진 등을 3D 지도위에 올려놓고 영역을 편집할 수 있게 된다.
면적 특정 모듈(1230)은 상기 위치 확정 모듈(1220)에 의해 산지조사대상지 경계를 정확히 확정하면 해당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면적 특정 모듈(1230)은 공지된 GIS에 대한 폴리곤을 이용하는 디지타이징과 같은 기법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은 좌표(1310), 고도(1320), 강수(1330), 일조(1340), 토양(1350) 및 토지경사도(1360) 등에 대한 기초조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를 반영하여 산림조사대상지(40)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즉, 국가 지적도 DB, 임야 지적 데이터, 산지구분도, 임상도, 토양구분도, 산림입지도, 산사태위험지도, 적정조림도, 임지생산능력도, 기후데이터, 산불데이터, 자연보호지구데이터, 수치지형도 (수고,경사도,방위각(raster to postGIS)), 임도망도, 하천망도, 국가시군읍면도, PNU산림소실도, 드론을 통한 데이터, 위성 데이터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를 통해 산지조사대상지(40)에 대해 좌표(1310), 고도(1320), 강수(1330), 일조(1340), 토양(1350) 및 토지경사도(1360) 등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3D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산림의 좌표(1310)는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지적도의 각 지번별 좌표값을 shape 형태(3중 배열 형태의 벡터값)로 DB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구획 데이터를 기초로 산림의 기초 정보들을 postGIS의 함수형 쿼리를 이용해 기하학적인 벡터 공간과 해당 공간의 성질값을 불러와 계산해서 나온 결과값들을 이용할 수 있다.
산림의 고도(1320)는 수치지형도의 데이터와 등고선 데이터(10m단위)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수치지형도의 데이터는 산림지역의 평균 고도를 구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등고선도는 산림의 고도와 경사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주제도로 제공할 때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최근의 지도들은 온라인을 통한 3D 입체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고, 본 서비스에서도 3D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산림의 입체 모형을 돌려가면서 볼 수 있어서 고도와 경사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산림의 강수(1330) 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조사 발표하는 전국의 측량소 데이터를 종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약 200여 곳의 기상 관측소가 있고, 해당 관측소는 기상관측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매일매일의 관측된 공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공개 데이터를 통해 최근 10년 동안의 데이터를 평균해서 강수 데이터를 산정한다. 특히 관측소의 위경도 좌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사업을 하는 장소에서 가까운 곳의 관측소를 찾아서 그곳의 관측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일조(1340) 데이터도 강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기상청 관측소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토양(1350)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림입지토양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토양도는 전국의 산림을 동일 성질의 토양형으로 묶어서 구획한다. 현지조사를 시행할 때 현지 토양에 대한 조사를 별도로 확인하도록 되어 있고, 현지 토양과 맞지 않는 경우 별도로 수정해 토양형을 수정할 수 있다.
토지경사도(1360) 데이터는 수치지형도에 나오는 경사값을 30m 단위의 정사각형 구역을 DB화 하여 보관후 조사가 필요한 산림에 대해 postGIS 의 query 함수로 값을 이용한다.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종정보(1410), 임분밀도(1420) 등을 통해 임지생산능력(1430)을 산출하는 모듈이다.
산림정보는 현장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 즉 사업계약이 체결되기 전에는 국가 임상도와 토양도, 수치지형도 등의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판단한다.
한편, 사업계약이 체결된 이후에는 현지 기초조사를 나가게 되고, 현장의 표준지에서 조사된 데이터를 취합해 판단한다.
현장의 데이터는 표준지의 모든 수목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화된 수치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 및 각종 계측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기초데이터로 저장한다.
향후 이런 데이터는 다른 산림의 데이터를 예측/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모든 수목에 고유 번호(uuid)를 부여하고, 이후 주기적인 관측을 통해 수목의 생장 변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수종정보(1410)는 수목의 종류(수종), 수목의 연령(수령), 수목간의 인접여부, 단위면적당 수목의 개체수 등에 대한 정보를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수종정보(1410)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국가 수목코드에 기초해 해당 수목이 어느 수목의 분류에 속하는지를 파악해 조사할 수 있다. 구획 내에 지정한 표준지 데이터를 전수조사 하여 분류된 수목마다 조사된 값의 평균(m 3/ha)에 전체 구획의 면적(ha)을 곱하면 해당 나무의 재적량을 산출할 수 있다.
임분밀도(1420)는 수목의 양, 종류, 분포 (재적 / 입목본수 / 흉고단면적 / 수관점유면적 / 입목도 / 상대밀도 / 임분밀도지수 / 상대임분밀도)등에 대한 정보를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임분밀도(1420)는 나무마다 밀도를 별도로 측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입목수목재적표에 근거해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평균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목재의 기본 밀도나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뿌리함량비, 탄소함량비 등은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입목수간재적표의 자료를 근거로 한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목마다 해당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목에 대한 평균값이 변경되면 언제든지 바뀐 내용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임지생산능력(1430)은 해당 산림에서 해당 수목이 어느 정도로 잘 자라는지를 나타내는 지위지수에 따라 결정이 될 수 있다. 해당 토양의 지위지수는 토양도의 수목별 지위지수를 참고하지만, 수목마다 적용가능한 지위지수 등급의 차이가 있고, 지위지수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대표수종의 생장량을 근거로 토지의 지위지수를 역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즉, 조사 수목의 나이와 재적량을 근거로 해당 표준지의 해당 수목에 대한 지위지수를 가장 근접한 값으로 예측하고, 그 지위지수 값을 근거로 조사지 내의 같은 수종에 대해서는 같은 지위지수값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토양도의 지위지수는 침엽수와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에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한 지위지수는 토양도의 지위지수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토양도의 지위지수와 비교할 수 있는 방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법령 관리 모듈(1500)
법령 관리 모듈(1500)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산림경영에 관련된 현행 법령을 통해 산주(10)가 요청하는 사유림에 대해 산림경영이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상기 관련 법령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어 산림경영을 위한 기준으로서 반영될 수 있다.
한편, 현재의 법령은 토지이음 사이트의 법령 정보를 크롤링해 와서 그것을 다시 DB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법령은 시스템이 자동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관리자가 해당 법령을 읽고 해당 법령에 저촉되는 사유가 없는지를 판단해주어야 한다.
이때, AI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한다면, 학습을 통해 AI가 먼저 판단을 하고, 사람이 판단된 내용을 검토하는 방향으로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벤트 관리 모듈(1600)
이벤트 관리 모듈(16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정보, 지형정보, 산림정보, 관계법령 이외의 병충해와 같은 특별한 이벤트가 있었는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에 반영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산주(10)가 요청한 산지조사대상지(40)와 관련하여 병충해가 있었는지 여부, 도로예정지에 포함되는지 여부, 상수도 보호구역 예정지 인지 여부, 관광특구 예정지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산림조사대상지(40)가 위치정보, 지형정보, 관계법령 등에 의해서는 산림경영이 적합하더라도 병충해가 그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는 등의 이벤트 발생시 산림경영이 부적합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산지에 대한 내용이 변경될 경우, 이벤트로 감지해서 프로젝트 관리자나, 해당 변경 내용에 관련된 요청 사업들에 자동으로 알림이 통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적합성 판단 모듈(1700)
적합성 판단 모듈(1700)은 산림조사대상지(40)에 대한 위치정보, 지형정보, 산림정보, 관계법령, 이벤트정보 등을 종합하여 자동으로 산림경영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또한, 적합성 판단 모듈(1700)은 현재까지 정리된 데이터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확인을 하고 저촉되는 내용이 없는지를 판단하고 적합하다면 적합 판정을 내린다. 적합하지 않다면 부적합한 사유를 통지하고 사업지에서 배제하게 된다.
적합성 판단 기준은 해당 산림의 용도, 사업이 법에 저촉되는지 여부, 사업성 등을 고려한다.
또한, 산림경영에 대한 면적에 따른 사업성이 부족한 경우 인접지의 산림을 하나로 묶어 산림경영이 가능하도록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적합성 판단시 일부 영역은 적합성을 자동으로 판단해 줄 수도 있지만, 관련 법률 등의 변경 때문에, 현재는 관리자가 제공된 판단정보를 통해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사업계약 모듈(1800)
사업계약 모듈(1800)은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 이후 산주(10) 및 사업주(20)가 산림경영 위탁계약을 위한 모듈이다.
사업계약 모듈(1800)은 산림 사업을 요청한 사람(산주(10))이 계약의 당사자가 되고, 요청시 다른 사람을 대표자를 통해 계약을 할 수도 있다. 대표자는 산주이거나 다른 산주들을 대표한다는 위임장을 첨부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전산화 되어 있고, 메신저나 이메일 등을 통해 자동으로 알림이 가며 인터넷을 통해 모두 비대면으로 원격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산주(10)가 계약서의 내용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수정을 요청한다면 수정된 계약서를 재전송해 수정된 계약서로 계약을 계속 진행할 수도 있게 된다.
정정 모듈(1900)
정정 모듈(1900)은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산지, 지형, 산림 등에 대한 정보에 대해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차이점을 반영하여 정정하기 위한 모듈이다.
산지 지형이나 산림, 기타 모든 GIS 관련 데이터들은 모두 GIS 서버와 DB에 포함된다.
또한, 관련 기관의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면, DB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수정반영할 수 있다.
다만, 이미 진행된 사업에는 변경된 내용이 자동으로 반영되지는 않기 때문에 자동 검색을 통해 현재 진행중이거나 진행할 계획인 사업에 변경된 내용을 적용할 사업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조사해 통보할 수도 있다.
한편, 변경된 내용을 자동 수정을 하고, 수정된 이력 내용을 별도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방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입출력 모듈(1100), 산지확정 모듈(1200),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 법령 관리 모듈(1500), 이벤트 관리 모듈(1600), 적합성 판단 모듈(1700) 및/또는 사업계약 모듈(1800), 정정 모듈(1900)을 포함하는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해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단계(S120),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 산림경영 계약단계(S140),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S150), 최종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60) 및 산림경영 계획서 제출단계(S170)에 의해 구축 및 운영된 자동화 및 표준화된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을 통해 산림경영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자동화된 산림경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주(10), 사업주(20) 및 행정청(30)은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탄소거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동화된 산림경영 표준화 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탄소거래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산림경영'은 단순히 어떤 산지에 대해 어떤 수목이 얼마나 존재하는 뿐만 아니라, 그 지역의 토양, 기후, 생육조건 등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출 및 관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업계획' 이라는 용어는 산주(10)가 보유하는 산지에서 발생되는 탄소흡수량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사업주(20)가 운영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업계획(탄소거래)서비스를 통해 사업주(20)는 산주(10)의 산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탄소흡수량을 유지 및 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산림탄소배출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발생한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탄소배출거래방법과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탄소거래서비스) 제공방법(S300)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 제공방법(S300)에 대한 흐름도는 크게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S310)단계,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S320)단계, 탄소흡수량 산출(S330)단계, 탄소배출권 승인(S340)단계, 계약 체결(S350)단계, 탄소배출권 부여(S360)단계 및/또는 사업계획 갱신 및 관리(S370)단계를 포함한다.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S310)단계
산주(10)의 산지에 대한 대상지(50)가 확정되면, 해당 산지에 대해 사업계획 적격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는 산림경영 표준화를 위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제공방법(S100)에서 산림정보 입력단계(S11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단계(S120)를 통해 정량화한 후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에서와 같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적용하기 적당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하는 과정(S100)의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S130)에서 판단된 적합성 여부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선정된 대상지(50)에 대하여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적용하기에 적합한지를 재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법령 관리 모듈(1500), 이벤트 관리 모듈(1600)을 통해,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관련 법률 정보나, 해당 산림조사대상지 근처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등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지, 또는 해당 대상지(50)가 자연보호지정구역이어서 사업이 불가능한 지역인지 여부 등을 모두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산림정보를 자동화하기 위한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기초정보 분석모듈(130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롭게 기초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산림정보를 자동화하기 위해 저장된 산림정보 산출모듈(1400)의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롭게 산림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조사값을 통해 적합여부에 대한 판단의 근거는 사업계획서에 들어갈 항목들을 미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된 자료들에 근거해서 보여주게 되고, 사업계획서 작성시 문제가 될 만한 결격 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산림경영관리 모듈(2000)의 갱신모듈(2300)을 통해 산림에 대한 벌목이나 간벌과 같은 산림경영을 통해 갱신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의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모듈(4100)에 의해 적격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S320)단계
현재 산림의 상태 및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계획 등을 수립해서 사업계획서비스를 산림청과 같은 행정청이나 지자체에 제출 및 신고하여 임야탄소배출권을 허가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산주(10)가 스마트 기기(1)의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산지에 대한 지번을 입력하면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100)인 입력모듈(111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되고, 사업계획서 작성모듈(4200)에 의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게 되고, 행정청(30)은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의 입출력 모듈(1100)인 출력모듈(1120)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탄소흡수량 산출(S330)단계
산주(10)의 대상지(50)에 대하여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흡수량 산출모듈(4300)를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출 후 저장한다.
즉, 해당 대상지(50)의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산림정보 등을 통해 해당 대상지(50) 산림에 의해 탄소가 얼마나 흡수되어 탄소배출이 감소되는지를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최초 사업계획서에 따른 탄소흡수량은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모듈(4500)에 의해 변화된 탄소배출량을 재산출할 수 있게 된다.
탄소배출권 승인(S340)단계
대상지(50)에 대한 최초 탄소흡수량 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의 승인여부 또는 유지여부를 결정하여 탄소배출권을 승인하게 된다.
즉, 대상지(50)에 병충해 또는 산불로 삼림의 손실이 있는 경우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탄소배출권은 최초 승인된 탄소흡수량의 감소로 인해 탄소배출권 승인 기준에 미달하게 되면 승인이 취소될 수도 있는 것이다.
산주(10)의 산지인 대상지(50)를 관리하는 것과는 별개로 탄소흡수량을 근거로 탄소배출권을 승인받고,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는 후술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계약 체결(S350)단계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모듈(4100)은 대상지(50)가 사업계획에 적합한지에 대한 적격성 여부를 판단하고, 탄소흡수량 산출모듈(4300)이 산출한 탄소흡수량에 의해 탄소배출권을 승인 받게 되면 산주(10) 및 사업주(20)는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산주(10) 및 사업주(20)의 탄소배출권 사업계획계약은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를 통해 체결하게 된다.
탄소배출권 부여(S360)단계
사업주(20)가 행정청(30)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승인받으면, 사업주(20)는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게 된다.
승인받은 탄소배출권을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는 후술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사업계획 갱신 및 관리(S370)단계
상기 과정을 통해 산주(10)의 대상지(50)를 통한 탄소흡수량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 및 탄소배출권은 주기적으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의 수정 및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 및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계약기간내 사업계획을 유지하고 갱신 및 관리하는 것은 사업계획 모듈(4600)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화된 산림경영 표준화 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탄소거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은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모듈(4100),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 탄소배출량 산출 모듈(4300),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 모니터링 모듈(4500), 사업계획 모듈(4600),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계획 대상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은 탄소배출권을 발생하기 위한 기본 정보들을 법령 규정에 맞도록 사업계획서 형식으로 작성하는 기능을 하고,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대상지(50)가 흡수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하고,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은 산주(10)의 해당 산지인 대상지(50)의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산주(10) 및 사업주(20)간 계약을 체결하는 기능을 하고, 모니터링 모듈(4500)은 해당 대상지(50)에 대해 법령기준에 맞도록 계약기간 중에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그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고, 사업계획 모듈(4600)은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과 관련된 사업계획에 대한 현황 및 변경된 갱신내용을 나타내는 모듈이다. 또한,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은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승인받고,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 각각의 모듈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계획 대상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기초정보는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공공데이터 및 현지조사관리값에 의한 구획(42) 및 표준지(41)에 대한 위치 및 면적을 확정한 후 해당 산림경영 대상지(50)의 좌표(1310), 고도(1320), 강수(1330), 일조(1340), 토양(1350) 및 경사도(1360) 등과 같은 기초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산림경영 대상지(50)의 수종 / 연령 / 인접여부 / 개체수를 통한 수종정보(1410), 수목의 양, 수목의 종류, 수목의 분포 (재적 / 입목본수 / 흉고단면적 / 수관점유면적 / 입목도 / 상대밀도 / 임분밀도지수 / 상대임분밀도)와 같은 임분밀도 (1420) 및 임지생산능력(1430)인 지위지수에 대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산림정보는 수종정보(1410), 임분밀도(1420) 및 임지생산능력(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종정보(1410)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국가 수목코드에 기초해 해당 수목이 어느 수목의 분류에 속하는지를 파악해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수목의 종류(수종), 수목의 나이(임령), 수목의 높이(수고), (치수 / 소경목 / 중경목 / 대경목)경급, 총축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분밀도(1420)는 수목의 양, 종류, 분포 (재적 / 입목본수 / 흉고단면적 / 수관점유면적 / 입목도 / 상대밀도 / 임분밀도지수 / 상대임분밀도)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법령정보는 탄소배출권과 관련된 산지계획에 관련된 현행 법령을 통해 대상지(50)에 대해 산림경영이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함하며, 상기 관련 법령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어 산림경영을 위한 기준으로서 반영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해당 대상지(50)에 사업계획 범위에서 특정한 병충해, 수해 또는산불 등의 이벤트가 있었는지를 반영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은 탄소배출권을 발생하기 위한 기본 정보들을 시행 법령 규정에 맞도록 사업계획서 형식으로 작성하는 기능을 한다.
즉, 산주(10)의 대상지(50)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예측하고,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사업계획 실시에 대한 적격성 여부를 판단한 후 행정청(30)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 위한 작성 모듈이다.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대상지(50)가 흡수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탄소흡수량은 해당 대상지(50)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출값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탄소흡수량을 구하고, 여기에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 및 누출량을 차감하여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산출한다.
베이스라인 이산화탄소 흡수량(
Rt
)
본 방법론은 법률에서 정한 기준 벌기령에 따라 벌채가 이루어지는 것을 베이스라인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100년간 예상되는 지상부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평균 탄소흡수량을 구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량으로 산정한다. 베이스라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다음의 수식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기호 | 정의 | 단위 |
Rt | t기간의 베이스라인 이산화탄소 흡수량 | tCO2-eq |
ΔC BSL , i | 구획 i의 연간 베이스라인 탄소축적 변화량의 합 | tC |
CV BSL , i , y | y년도 구획 i의 베이스라인 지상부 및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축적 |
tC |
V BSL , i , y | y년의 베이스라인 줄기 바이오매스 재적 | m 3 |
Ymax*?* | 임분수확표의 수종별 최대 임령 | 년 |
BEF |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 - |
RR | 뿌리 함량비 | - |
WD | 목재기본밀도 | tdm/m 3 |
CF | 탄소함량비 | tC/tdm |
i | 산림구획(1, 2, 3, ..., i) | - |
t | 사업기간(또는 모니터링 기간) | - |
y | 연도 | - |
3.664 | 이산화탄소와 탄소의 질량비 | tCO2/tC |
사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
Bt
)
사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은 벌기령 연장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한다. 사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다음의 수식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기호 | 정의 | 단위 |
B t | t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흡수량 | tCO2-eq |
ΔC i , t | 사업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탄소축적 변화량의 합 |
tC |
CV i , y | y년의 지상부 및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축적 | tC |
V i , y | y년의 줄기 바이오매스 재적 | m 3 |
BEF |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 - |
RR | 뿌리 함량비 | - |
WD | 목재기본밀도 | tdm/m 3 |
CF | 탄소함량비 | tC/tdm |
i | 산림구획(1, 2, 3, ..., i) | - |
t | 사업기간(또는 모니터링 기간) | - |
y | 연도 | - |
3.664 | 이산화탄소와 탄소의 질량비 | tCO2/tC |
이와 같이 산정하여 베이스라인 탄소 흡수량 및 사업후 연간 탄소 흡수량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시각화 할 수 있다.
상기 식에 근거하여 연차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값은 아래의 표와 같다.
연도 | 사업기간 |
베이스라인
탄소 저장량( tC ) |
사업 후
탄소 저장량(tC) |
탄소 흡수량
증감( tC ) |
이산화탄소
흡수량( tCO 2 ) |
2022 | 1 | 293.10 | 293.10 | 0.00 | 0.00 |
2023 | 2 | 301.49 | 301.49 | 8.39 | 30.75 |
2024 | 3 | 52.08 | 309.69 | 8.20 | 30.05 |
2025 | 4 | 59.00 | 317.69 | 7.99 | 29.29 |
2026 | 5 | 65.91 | 325.53 | 7.84 | 28.73 |
2027 | 6 | 62.55 | 333.11 | 7.58 | 27.79 |
2028 | 7 | 69.95 | 340.39 | 7.27 | 26.65 |
2029 | 8 | 77.23 | 347.43 | 7.05 | 25.83 |
2030 | 9 | 84.47 | 354.27 | 6.84 | 25.05 |
2031 | 10 | 91.70 | 360.97 | 6.69 | 24.53 |
2032 | 11 | 98.86 | 367.43 | 6.46 | 23.67 |
2033 | 12 | 105.92 | 373.62 | 6.19 | 22.68 |
2034 | 13 | 112.89 | 379.61 | 6.00 | 21.97 |
2035 | 14 | 119.83 | 385.48 | 5.86 | 21.49 |
2036 | 15 | 126.76 | 391.19 | 5.71 | 20.93 |
2037 | 16 | 124.76 | 396.70 | 5.51 | 20.18 |
2038 | 17 | 131.80 | 402.01 | 5.31 | 19.45 |
2039 | 18 | 138.78 | 407.08 | 5.07 | 18.57 |
2040 | 19 | 145.73 | 412.02 | 4.94 | 18.11 |
2041 | 20 | 152.68 | 416.85 | 4.84 | 17.72 |
2042 | 21 | 159.57 | 421.41 | 4.56 | 16.69 |
2043 | 22 | 168.62 | 425.77 | 4.36 | 15.96 |
2044 | 23 | 178.31 | 429.95 | 4.19 | 15.33 |
2045 | 24 | 187.95 | 433.99 | 4.03 | 14.78 |
2046 | 25 | 198.91 | 437.95 | 3.96 | 14.52 |
2047 | 26 | 208.81 | 441.66 | 3.71 | 13.60 |
2048 | 27 | 218.57 | 445.08 | 3.42 | 12.52 |
2049 | 28 | 227.94 | 448.31 | 3.23 | 11.84 |
2050 | 29 | 237.01 | 451.12 | 2.82 | 10.32 |
2051 | 30 | 246.49 | 453.91 | 2.79 | 10.22 |
계 | - | 453.91 | 160.82 | 589.23 | |
평균 | 6.94 | 386.83 | 5.36 | 19.64 |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은 산주(10)의 해당 산지인 대상지(50)의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산주(10) 및 사업주(20)간 계약을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듈은 산주 이용부(11) 및 사업주 이용부(12)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메신저나 이메일 등을 통해 자동으로 알림이 가며, 인터넷을 통해 모두 비대면으로 원격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산주(10)가 계약서의 내용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수정을 요청한다면 수정된 계약서를 재전송해 수정된 계약서로 계약을 계속 진행할 수도 있게 된다.
모니터링모듈
(4500)
모니터링모듈(4500)은 해당 대상지(50)에 대해 법령기준에 맞도록 사업계획 계약기간 중에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그 모니터링 결과 변경된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공공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산지, 지형, 산림 등에 대한 정보에 대해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차이점을 반영할 수 있다.
산지 지형이나 산림, 기타 모든 GIS 관련 데이터들은 모두 GIS 서버와 DB에 포함된다.
또한, 관련 기관의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면, DB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수정반영할 수 있다.
또한, 사업주(20)가 사업주 이용부(21)를 통해 현지조사 후 모니터링 결과를 수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산주(10)가 직접 산주 이용부(11)를 통해 대상지(50)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사업주(2)의 승인을 통해 수정할 수도 있다.
사업계획 모듈(4600)
사업계획 모듈(4600)은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과 관련된 사업계획에 대한 현황 및 변경된 갱신내용을 구성하는 모듈이다.
즉,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 현황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사업계획부(5000)의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은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에 의해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승인받고,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은 탄소배출권을 구매하거나 양도 또는 판매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산림경영 관리서버(3)에서 자동화된 산림경영 표준화 시스템을 통해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계획관리부(50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사업계획관리부(50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사업계획관리부(5000)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전체를 나타내는 사업계획부(5100) 및 주기적 모니터링 결과를 구성하는 모니터링부(52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업계획부(5100)는 사업계획 모듈(4600)에 의해 운용될 수 있고, 사업개요(5110), 사업적합성(51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140), 사업추진계획(5150), 비영속성 관리(5160), 모니터링 계획(5170),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5180), 첨부자료(5190)를 포함하여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전체를 나타낸다.
사업개요(5110)
도 10은 사업개요(5110)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사업개요(5110)는 각각의 대상지(50)에 대한 사업자, 사업기간, 참여유형 (거래형, 비거래형), 사업유형 (신규조림/재조림, 산림경영, 식생복구,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이용, 목제품이용, 산지전용억제), 산림면적,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림탄소흡수량 배분비율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사업적합성(5120)
사업적합성(5120)은 사업계획 적격성 여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대상지 개요(5121)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대상지 개요(5121)는 대상지(50)의 주소, 사업유형, 필지, 지적면적, 대상지 면적 등을 포함한다.
도 12는 대상지 면적 및 지목(5122)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대상지 면적 및 지목(5122)은 대상지(50)에 대한 지도, 총면적 등을 포함한다.
토지이용계획 현황(5123)에서는 농림지역, 보전관리지역으로 건축물의 용도·종류 및 규모 등의 제한을 시·군 조례에서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또는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산지관리법과 같은 다른 법령 등에 따른 지역·지구와 저촉여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13은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5124)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5124)은 대상지(50)를 임업용 산지, 공익용 산지, 준보전산지, 보전산지, 미분류로 구분하면서 면적 및 비율을 포함한다.
도 14는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5125)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5125)에서 산림의 기능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태적 안정을 기반으로 하여 국민경제 활동에 필요한 양질의 목재를 지속적·효율적으로 생산·공급하기 위한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재생산 또는 산사태, 토사유출, 대형 산불, 산림병해충 등 각종 산림재해에 강한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산림재해방지 또는 다양한 휴양기능을 발휘하고, 종다양성이 풍부하고 경관이 다양한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산림휴양 또는 도시와 생활권 주변의 경관 유지 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생활환경보전 또는 수자원 함양기능과 수질 정화기능이 고도로 증진되는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수원함양 또는 산림내 보호할 가치가 있는 산림자원이 건강하게 보전될 수 있는 산림으로 육성하기 위한 자연환경보전으로 구분한다.
도 15는 대상지 임상정보(5126)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소나무 / 잣나무 / 낙엽송 / 기타활엽수 / 기타 참나무 / 침활혼효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6은 산림입지도(5127)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토양조성을 나타내기 위해 갈색건조산림토양, 갈색약건산림토양, 갈색적윤산림토양, 기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상지 지형정보(5128)는 대상지(50)에 대한 표고, 경사도, 방위를 포함하는 지형을 나타내고, 기후정보(5129)는 대상지에 대한 기온 강수 등의 기후 정보를 포함하고, 도 17은 산사태위치정보(5130)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산사태 에 대한 1등급 내지 5등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도 18은 적정조림수종(5131)화면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적정조림수종(5131)은 대상지(50)에 따른 조림하기에 적합한 수종에 대한 면적 또는 비율을 포함한다.
임지에 대한 생산능력을 1급지 내지 5급지로 도면에 표시하여 면적 또는 비율을 포함하는 임지생산능력(5132)을 포함하고, 산림경영계획 현황(5133)을 포함한다.
또한, 산림계획 사업대상지 적합성 기준 및 적합여부에 대한 법적 근거를 이용하여 적격성 여부를 포함하는 대상지 적합성(5134)을 포함하고, 해당 사업의 사업시직 및 사업기간을 나타내는 사업시작 및 사업기간(5135)을 포함하고, 산림의 탄소흡수량과 관련한 법률 제도적 검토(5136)를 포함하고, 경제적 요인 검토(5137)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140)
해당 대상지(50)에 대한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산정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구성하며, 구획정보(5141), 구획별 현장사진(5142), 표준지 정보(5143), 베이스라인 시나리오(5144), 이산화탄소 흡수량(5145), 이차적 배출(5146)등을 포함한다.
구획정보(5141)는 사업대상지(50)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행정구역, 자연경계, 도로 등을 고려하여 대상지를 구획화하고, 능선, 하천, 도로 등 자연경계나 도로 등 고정시설을 고려하여 구획하고, 다음으로 지형지물, 유역경계, 경영목적, 수종 등에 따라 구획하여 구성한다.
사업대상지는 행정구역과 임상별 수종을 고려하여 수종별로 구획하였으며, 동일 수종이라도 임령이 상이한 경우에는 임령별로 세분화한다는 기준에 따라 임령별로 구획하여 구성하고, 구획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치지적도, 수치지형도, 수치임상도, 항공사진 등을 활용하고 GIS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구획화 실시 후, 본 사업이 불가능한 제외지(제지, 경작지 등)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산림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면적을 대상으로 하여 구획을 구성하고, 현장 산림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구성한다.
대상지(50)에 대한 면적, 수종 및 비율, 임령, 지위지수를 포함한다.
구획별 현장사진(5142)은 대상지(50)별 현장 사진을 포함한다.
표준지 정보(5143)는 표준점에 대한 표준지 번호에 대한 수종, 지위, 재적 ha(m3), 흉고직경, 수고, 임령을 포함하고, 구획번호별 구획면적, 조사비율, 좌표 표준지 번호를 포함한다.
베이스라인 시나리오(5144)는 베이스라인 흡수량은 임야탄소배출권(산림탄소상쇄사업)이 시행되지 않고 현재의 관리체계가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서 사업대상지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의 변화값을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흡수량(5145)은 해당 대상지(50)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출값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탄소흡수량을 구하고, 여기에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 및 누출량을 차감하여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산정한 결과를 포함한다.
이차적 배출(5146)은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의미하며,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600t CO2/30yr 이하의 사업의 경우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을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의 5%로 산정하고, 누출량은 2%를 적용하며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600t CO2/30yr을 초과한 경우 실제 사업활동에 따른 배출량과 실제 누출 잠재량을 조사한 값을 포함한다.
사업추진계획(5150)
산림갱신 또는 숲가꾸기 또는 임목생산과 같은 계획에 대한 세부내용을 포함한다.
비영속성
관리(5160)
비영속성 관리(5160)는 산불 발생 가능성, 산사태 발생 가능성, 병해충 피해 가능성 등에 대하여 사업기준년 이전 10년치를 통계로 예측한 값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계획(5170)
모니터링 계획(5170)은 5년 주기로 30년의 모니터링 계획을 설정하고, 모니터링 범위는 ① 산림바이오매스 생장에 의한 탄소흡수량, ② 산림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탄소배출량, ③ 사업활동 및 누출에 따른 배출량, ④ 산림전용 및 훼손 여부, ⑤ 환경·사회·경제적 영향을 포함한다.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5180)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5180)는 환경적영향(5181), 사회적영향(5182), 경제적영향(5183), 이해관계자의 영향(5184)을 포함한다.
첨부자료(5190)
첨부자료(5190)는 구획 shape 파일, 표준지 shape 파일, 토지이용계획서, 임야대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5200)는 모니터링 모듈(4500)에 의해 운용될 수 있고, 개요(5210), 사업이행(52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0),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영향(5240),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5250), 품질보증 및 관리(5260)를 포함하여 주기적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낸다.
개요(5210)
개요(5210)는 사업개요(5111), 산림경영 대상지현황(5212), 모티터링 개요(5213)를 포함하고, 사업개요(5111)는 사업주(20), 산주(10), 대상지(50)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하고, 산림경영 대상지 현황(5212)은 대상지(50) 위치 및 범위, 대상지의 토지이용계획, 대상지의 토지대장 이력, 대상지의 일반현황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개요(5213)는 사업계획서상의 모니터링 계획, 모니터링 계힉의 변경사항, 모니터링 기간 및 책임자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이행(5220)
사업이행(5220)은 사업이행현황(5221), 사업계획 대비 변경사항(5222)을 포함하고, 사업이행현황(5221)은 산림갱신, 숲가꾸기, 임목생산 여부 등을 구분하여 포함하고, 사업계획 대비 변경사항(5222)은 사업계획의 변경사항을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0)는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근거자료(5231), 사업활동 및 누출에 따른 배출(5232), 표본점 일반정보(5233),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4)을 포함하고,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근거자료(5231)는 모니터링 항목의 내용, 모니터링 장비, 산림조사 방법, 표준지 조사, 재적생장량 산정방법 등을 포함하고, 사업활동 및 누출에 따른 배출(5232)은 모니터링 항목의 내용을 포함하고, 표본점 일반정보(5233)는 대상지 표본점 위치도, 표본점에 대한 일반정보, 매목조사 정보 (수종, 흉고직경, 수고, 중심점 거리, 방위, 임령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4)은 (a)이산화탄소흡수량, (b)베이스라인 이산화탄소흡수량, (c)산림탄소상쇄사업을 통한 총 이산화탄소흡수량, (d)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 (e)누출량, (f)이산화탄소 순흡수량, (g)버퍼흡수량 예치율, (h)발급 가능한 산림탄소흡수량을 포함한다.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영향(5240)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영향(5240)는 환경적 영향평가(5241), 사회적 영향평가(5242), 경제적 영향평가(5243)를 포함한다.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5250)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5250)는 산지전용여부(5251), 과다 벌채 여부(5252)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품질보증 및 관리(5260)
품질보증 및 관리(5260)는 모니터링에 대한 품질 보증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기기(클라이언트) 2 : 유무선 네트워크
3 : 산림경영 관리서버
10 : 산주(산림 소유주) 11 : 산주 이용부
20 : 사업주(위탁업체) 21 : 사업주 이용부
30 : 행정청(산림청) 31 : 행정청 이용부
40 : 산림조사대상지 41 : 표준지
42 : 구획
50 : 산림경영 대상지
1000 : 산림정보 자동화모듈
1100 : 입출력 모듈
1110 : 입력모듈 1120 : 출력모듈
1200 : 산지확정 모듈
1210 : 위치 특정 모듈 1220 : 위치 확정 모듈
1230 : 면적 특정 모듈
1300 : 기초정보 분석모듈
1310 : 좌표 1320 : 고도
1330 : 강수 1340 : 일조
1350 : 토양 1360 : 경사도
1400 : 산림정보 산출모듈
1410 : 수종정보 1420 : 임분밀도
1430 : 임지생산능력
1500 : 법령 관리 모듈
1600 : 이벤트 관리 모듈
1700 : 적합성 판단 모듈
1800 : 사업계약 모듈
1900 : 정정 모듈
4000 : 사업계획관리 모듈
4100 :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
4200 :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
4300 :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
4400 :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
4500 : 모니터링모듈
4600 : 사업계획 모듈
4700 : 탄소배출권 관리모듈
5000 : 사업계획관리부
5100 : 사업계획부
5110 : 사업개요
5120 : 사업적합성
5121 : 대상지 개요 5122 : 대상지 면적 및 지목
5123 : 토지이용계획 현황 5124 :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
5125 :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 5126 : 대상지 임상정보
5127 : 산림입지도 5128 : 대상지 지형정보
5129 : 기후정보 5130 : 산사태위치정보
5131 : 적정조림수종 5132 : 임지생산능력
5133 : 산림경영계획 현황 5134 : 대상지 적합성
5135 : 사업시작 및 사업기간 5136 : 법률 제도적검토
5137 : 경제적 요인 검토
5140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141 : 구획정보 5142 : 구획별 현장사진
5143 : 표준지 정보 5144 : 베이스라인 시나리오
5145 : 이산화탄소 흡수량 5146 : 이차적 배출
5150 : 사업추진계획
5160 : 비영속성 관리
5170 : 모니터링 계획
5180 :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
5181 : 환경적영향 5181 : 사회적영향
5183 : 경제적영향 5184 : 이해관계자의 영향
5190 : 첨부자료
5200 : 모니터링부
5210 : 개요 5211 : 사업개요
5212 : 산림경영 대상지현황 5213 : 모니터링 개요
5220 : 사업이행 5221 : 사업이행현황
5222 : 사업계획 대비 변경사항
5230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231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근거자료
5232 : 사업활동 및 누출에 따른 배출
5233 : 표본점 일반정보
5234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240 : 환경적.사회적. 경제적 영향
5241 : 환경적 영향평가 5242 : 사회적 영향평가
5243 : 경제적 영향평가
5250 :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
5251 : 산지전용여부 5252 : 과다 벌채 여부
5260 : 품질보증 및 관리
S100 :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제공방법
S110 : 산림정보 입력단계
S120 :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단계
S130 :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
S140 : 산림경영 계약단계
S150 :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
S160 : 최종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
S170 : 산림경영 계획서 제출단계
S300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 제공방법
S310 :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단계
S320 :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단계
S330 : 탄소흡수량 산출단계
S340 : 탄소배출권 승인단계
S350 : 계약 체결단계
S360 : 탄소배출권 부여단계
S370 : 사업계획 갱신 및 관리단계
3 : 산림경영 관리서버
10 : 산주(산림 소유주) 11 : 산주 이용부
20 : 사업주(위탁업체) 21 : 사업주 이용부
30 : 행정청(산림청) 31 : 행정청 이용부
40 : 산림조사대상지 41 : 표준지
42 : 구획
50 : 산림경영 대상지
1000 : 산림정보 자동화모듈
1100 : 입출력 모듈
1110 : 입력모듈 1120 : 출력모듈
1200 : 산지확정 모듈
1210 : 위치 특정 모듈 1220 : 위치 확정 모듈
1230 : 면적 특정 모듈
1300 : 기초정보 분석모듈
1310 : 좌표 1320 : 고도
1330 : 강수 1340 : 일조
1350 : 토양 1360 : 경사도
1400 : 산림정보 산출모듈
1410 : 수종정보 1420 : 임분밀도
1430 : 임지생산능력
1500 : 법령 관리 모듈
1600 : 이벤트 관리 모듈
1700 : 적합성 판단 모듈
1800 : 사업계약 모듈
1900 : 정정 모듈
4000 : 사업계획관리 모듈
4100 :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
4200 :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
4300 :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
4400 :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
4500 : 모니터링모듈
4600 : 사업계획 모듈
4700 : 탄소배출권 관리모듈
5000 : 사업계획관리부
5100 : 사업계획부
5110 : 사업개요
5120 : 사업적합성
5121 : 대상지 개요 5122 : 대상지 면적 및 지목
5123 : 토지이용계획 현황 5124 : 대상지 산지구분 현황
5125 : 대상지 산림기능 구분 5126 : 대상지 임상정보
5127 : 산림입지도 5128 : 대상지 지형정보
5129 : 기후정보 5130 : 산사태위치정보
5131 : 적정조림수종 5132 : 임지생산능력
5133 : 산림경영계획 현황 5134 : 대상지 적합성
5135 : 사업시작 및 사업기간 5136 : 법률 제도적검토
5137 : 경제적 요인 검토
5140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141 : 구획정보 5142 : 구획별 현장사진
5143 : 표준지 정보 5144 : 베이스라인 시나리오
5145 : 이산화탄소 흡수량 5146 : 이차적 배출
5150 : 사업추진계획
5160 : 비영속성 관리
5170 : 모니터링 계획
5180 :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 평가
5181 : 환경적영향 5181 : 사회적영향
5183 : 경제적영향 5184 : 이해관계자의 영향
5190 : 첨부자료
5200 : 모니터링부
5210 : 개요 5211 : 사업개요
5212 : 산림경영 대상지현황 5213 : 모니터링 개요
5220 : 사업이행 5221 : 사업이행현황
5222 : 사업계획 대비 변경사항
5230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231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근거자료
5232 : 사업활동 및 누출에 따른 배출
5233 : 표본점 일반정보
5234 :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
5240 : 환경적.사회적. 경제적 영향
5241 : 환경적 영향평가 5242 : 사회적 영향평가
5243 : 경제적 영향평가
5250 :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
5251 : 산지전용여부 5252 : 과다 벌채 여부
5260 : 품질보증 및 관리
S100 :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제공방법
S110 : 산림정보 입력단계
S120 : 산림정보 자동화모듈(1000)에 의한 정량화 및 시각화단계
S130 :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
S140 : 산림경영 계약단계
S150 : 현장기초자료 확보 및 정정단계
S160 : 최종 산림경영 적합성 판단단계
S170 : 산림경영 계획서 제출단계
S300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계획서비스 제공방법
S310 :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단계
S320 :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단계
S330 : 탄소흡수량 산출단계
S340 : 탄소배출권 승인단계
S350 : 계약 체결단계
S360 : 탄소배출권 부여단계
S370 : 사업계획 갱신 및 관리단계
Claims (7)
- 산주(10)의 산지에 대한 대상지(50)가 확정되면, 해당 산지에 대해 사업계획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S310)단계;
현재 산림의 상태 및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계획 등을 수립해서 사업계획서비스를 제출하는 사업계획 보고서 제출(S320)단계;
산주(10)의 대상지(50)에 대하여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흡수량 산출모듈(4300)을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출하는 탄소흡수량 산출(S330)단계;
대상지(50)에 대한 최초 탄소흡수량 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의 승인여부 또는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탄소배출권 승인(S340)단계;
산주(10) 및 사업주(20)가 임야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S350)단계;
사업주(20)가 행정청(30)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승인받으면, 사업주(20)가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는 탄소배출권 부여(S360)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1)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처리, 분류 및 연산을 담당하는 산림경영 관리서버(3)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1)는 산주 이용부(11), 사업주 이용부(21) 및 행정청 이용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산림경영 관리서버(3)는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을 포함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계획관리 모듈(4000)은,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계획 대상으로서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격성 판단 모듈(4100);
탄소배출권을 발생하기 위한 기본 정보들을 법령 규정에 맞도록 사업계획서 형식으로 작성하는 사업계획서 작성 모듈(4200);
대상지(50)에 대한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통해 대상지(50)가 흡수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
대상지(50)의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산주(10) 및 사업주(20)간 계약을 체결하는 사업계획 계약체결모듈(4400);
대상지(50)에 대해 법령기준에 맞도록 계약기간 중에 기초정보, 산림정보, 법령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그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의 변동을 확인하는 모니터링모듈(4500);
대상지(50)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과 관련된 사업계획에 대한 현황 및 변경을 갱신하는 사업계획 모듈(4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탄소흡수량 산출 모듈(4300)은,
탄소흡수량은 해당 대상지(50)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출값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와 지하부 산림바이오매스의 탄소흡수량을 구하고, 여기에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량 및 누출량을 차감하여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산출된 탄소흡수량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승인받고, 산주(10)에게 탄소배출권을 부여하고, 탄소배출권을 갱신 및 관리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모듈(4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3)는 사업계획관리부(50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계획관리부(5000)는 사업계획부(5100) 및 모니터링부(52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계획부(5100)는
사업개요(5110), 사업적합성(51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140),
사업추진계획(5150), 비영속성 관리(5160), 모니터링 계획(5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5200)는
개요(5210), 사업이행(5220),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5230), 환경적.사회적. 경제적 영향(5240), 산지전용 및 훼손 여부(5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경영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2672A KR102538887B1 (ko) | 2023-01-09 | 2023-01-09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2672A KR102538887B1 (ko) | 2023-01-09 | 2023-01-09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8887B1 true KR102538887B1 (ko) | 2023-06-01 |
Family
ID=8677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2672A KR102538887B1 (ko) | 2023-01-09 | 2023-01-09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888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23182A (zh) * | 2023-06-30 | 2023-08-01 |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生态果园的构建和生产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
CN117422004A (zh) * | 2023-12-19 | 2024-01-19 | 武汉东方骏驰精密制造有限公司 | 基于神经网络的碳势预测方法及系统 |
KR102689062B1 (ko) * | 2023-12-22 | 2024-07-26 | (주)띵스파이어 | 인공위성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삼림조성 카본크레딧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1083A (ko) * | 2008-04-21 | 2009-10-26 | 윤형식 |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 및 방법 |
KR101390668B1 (ko) | 2012-04-12 | 2014-05-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림토양탄소모델 |
KR102294743B1 (ko) * | 2021-01-05 | 2021-08-27 | 이준 | 탄소 중립 기반 관광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KR20220066534A (ko) | 2020-11-16 | 2022-05-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
KR20220143435A (ko) * | 2021-04-16 | 2022-10-25 | 김해원 | 토지 복원 및 농법에 의한 탄소배출권의 크라우드 매매 플랫폼 시스템 |
KR102467599B1 (ko) | 2022-08-26 | 2022-11-17 |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 탄소배출량 측정 및 상쇄에 기반하는 탄소중립 지원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2023
- 2023-01-09 KR KR1020230002672A patent/KR1025388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1083A (ko) * | 2008-04-21 | 2009-10-26 | 윤형식 |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 및 방법 |
KR100949092B1 (ko) | 2008-04-21 | 2010-03-22 | 윤형식 | 탄소배출권 등록 관리시스템 및 방법 |
KR101390668B1 (ko) | 2012-04-12 | 2014-05-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림토양탄소모델 |
KR20220066534A (ko) | 2020-11-16 | 2022-05-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
KR102294743B1 (ko) * | 2021-01-05 | 2021-08-27 | 이준 | 탄소 중립 기반 관광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KR20220143435A (ko) * | 2021-04-16 | 2022-10-25 | 김해원 | 토지 복원 및 농법에 의한 탄소배출권의 크라우드 매매 플랫폼 시스템 |
KR102467599B1 (ko) | 2022-08-26 | 2022-11-17 |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 탄소배출량 측정 및 상쇄에 기반하는 탄소중립 지원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23182A (zh) * | 2023-06-30 | 2023-08-01 |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生态果园的构建和生产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
CN116523182B (zh) * | 2023-06-30 | 2023-12-08 |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生态果园的构建和生产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
CN117422004A (zh) * | 2023-12-19 | 2024-01-19 | 武汉东方骏驰精密制造有限公司 | 基于神经网络的碳势预测方法及系统 |
CN117422004B (zh) * | 2023-12-19 | 2024-04-02 | 武汉东方骏驰精密制造有限公司 | 基于神经网络的碳势预测方法及系统 |
KR102689062B1 (ko) * | 2023-12-22 | 2024-07-26 | (주)띵스파이어 | 인공위성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삼림조성 카본크레딧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8887B1 (ko) |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 |
Breidenbach et al. | A century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in Norway–informing past, present, and future decisions | |
Briber et al. | Tree productivity enhanced with conversion from forest to urban land covers | |
Georgopoulou et al. | A multicriteria decision aid approach for energy planning problems: the case of renewable energy option | |
Bloniarz | The use of volunteer initiatives in conducting urban forest resource inventories | |
Montfort et al. | From land productivity trends to land degradation assessment in Mozambique: Effects of climate, human activities and stakeholder definitions | |
KR20210084184A (ko) | 나무심기 입지 분석 장치 및 방법 | |
Dawidowicz et al. | Land administration system and geoportal service for the need of a fit-for-purpose national urban greenery management system (UGMS). The concept for the EU member state of Poland | |
KR102580376B1 (ko) | 자동화 기반의 산림경영 표준화시스템 | |
Othmer et al. | Numerical modelling of the urban climate as an integrated part of environmental assessments | |
Kavvada et al. | EO4SDG: A GEO Initiative on Earth Observ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
Min et al. | Landscape Evaluation of Forest Park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 |
Dawidowicz et al. | Is it possible to create a unified urban greenery management system (UGMS) on a national scale? The concept for EU Member State of Poland | |
Fassnacht et al. | Forest practitioners’ requirements for remote sensing-based canopy height, wood-volume, tree species, and disturbance products | |
CN115146990A (zh) | 一种集成多源地理大数据的城市活力定量评价方法 | |
da Rocha¹ et al. | Studies of volumetric 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buildings using LIDAR data and NDVI to propose urban parameters | |
Sediqi | Gis-based multi-criteria approach for land-use suitability analysis of wind farms: the case study of Karaburun Peninsula, Izmir,-Turkey | |
AlFanatseh et al. | Applying GIS using location allocation models for improved spatial planning of Civil Defence Services: a Case Study of the Karak Governorate, Jordan | |
Walsund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s a tool i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
Masser |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large scale SDIs: two contrasting approaches | |
Masoudi et al. | Developing a new model for ecological capability evaluation of irrigated lands in Firouzabad Township, Iran | |
Sugardiman | Stepwise approaches to developing REDD+ MRV capacity in Indonesia | |
Mersey et al. | Realizing the potential of GIS in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 |
Remien |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Forest Management Programs for Three Major Cities in Santa Clara County: A Benchmarking Study | |
Gyasi-Addo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urban thermal behaviour using urban heat island indicators: the case of the CBD of Acc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