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534A -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534A
KR20220066534A KR1020200152670A KR20200152670A KR20220066534A KR 20220066534 A KR20220066534 A KR 20220066534A KR 1020200152670 A KR1020200152670 A KR 1020200152670A KR 20200152670 A KR20200152670 A KR 20200152670A KR 20220066534 A KR20220066534 A KR 2022006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torage amount
growth information
carbon
carb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섭
박성일
이정주
황영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6534A/ko
Publication of KR2022006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06T2207/10036Multispectral image; Hyperspectral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06T2207/10041Panchromat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 G06T2207/30188Vegetation; Agr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은, 항공 촬영으로 복수의 수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및 상기 수목 종류 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수목 종류와 상기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고유의 탄소 저장량이 저장된 탄소 저장량 저장부의 상기 고유의 탄소 저장량과 매칭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탄소 저장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SYSTEM FOR ESTIMATE CARBON STOCK OF FOREST}
본 발명은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사회는 2015년 12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의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현재까지 121개국이 제출한 국가별 자발적 감축목표(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로는 산업화 이전 수준으로 대기온도를 안정화시킨다는 기후변화협약의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평가가 회자되고 있지만, 그것보다 모든 국가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체제가 어떻게 결정될 것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많은 이슈가 있지만, 산림에 관한 가장 중요한 쟁점은 탄소 저장량을 국가 감축목표 달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현재의 탄소저장량은 2006년 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추정을 이용하며, 대한민국은 기후변화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6년부터 국가산림자원조사 체계를 변경하여 전국은 물론 지자체 수준에서 수종별 정보를 수집하여 공표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공표한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은 수종별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수종에 따른 토심별, 임령별(20년 이상, 이하) 차이만을 고려하고 있음에 따라, 탄소 배출권 거래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가 어렵다.
또한, 탄소 저장량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는 산림 탄소 거래의 기본 기반이 된다. 최근 측정(Measurement), 보고(Reporting) 및 검증(Verification)된 MRV 시스템은 바이오매스와 토지의 이용 및 토지의 커버(cover)로부터 파생된 다양한 배출 및 흡수 인자를 사용한다. 그러나, MRV 시스템은 지상(above-ground)의 바이오 매스의 CO2 흡수에 의한 대기 중 CO2 농도의 실제적인 감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MRV 시스템은 CO2 농도의 실제적인 감소가 지구 상의 CO2 흡수 능력에 대한 현장 지형적 요인의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고려를 하지 않는 점에서 탄소 배출권 거래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탄소 배출권 거래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보다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은, 항공 촬영으로 복수의 수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및 상기 수목 종류 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수목 종류와 상기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고유의 탄소 저장량이 저장된 탄소 저장량 저장부의 상기 고유의 탄소 저장량과 매칭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탄소 저장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장량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목별 상기 고유의 탄소 저장량은 상기 정규화 식생 지수(NDVI)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실시 예의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은, 항공 촬영으로 복수의 수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및 상기 수목 종류 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수목 종류와 상기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목의 종류별로 정의된 탄소 저장량을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환산 계수가 저장된 탄소 저장량 저장부의 상기 환산 계수를 이용하여 환산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탄소 저장량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목별 상기 환산 계수는 상기 정규화 식생 지수(NDVI)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생육 정보는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 및 정규화 식생 지수(NDVI)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소 배출권 거래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보다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증 및 실험을 위한 연구 영역(Study area)를 표시한 그림이다.
도 3은 Zone 1 내지 Zone 5에 식생된 수목의 종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검증 및 실험을 위한, 정규화된 식생 지수(NDVI)를 보여주는 측정 포인트(182 포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PDD에 제시된 탄소 저장량(Carbon stock)과 본 검증에서 측정한 지상 CO2 농도(CO2 concentration)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는 PDD 탄소 저장량과 CO2 NDIR 센서 및 지형 요인(NDVI, 측면, 고도, 일사량, 일조량 및 기울기)을 사용하여 감지된 지형 지상 바이오 매스를 비교하는 것이다.
도 7은 각각의 Zone에 따른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a)는 NDVI, (b)는 측면(Aspect), (c)는 고도(elevation), (d)는 일사량(solar radiation), (e)는 일조량(solar duration), (f)는 기울기(slope) 분포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통합부(120), 수목 종류 판별부(130), 수목의 생육 위치 판별부(140), 수목의 생육 위치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 탄소 저쟝량 산출부(160), 알림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측정 시스템(100)에서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통합부(120), 수목 종류 판별부(130), 수목의 생육 위치 판별부(140), 수목의 생육 위치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 탄소 저쟝량 산출부(160)의 구성, 저장 및 관리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파일 데이터 및/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는 항공 촬영으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이다. 영상 데이터는 무인 항공기(UAV)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영상데이터는 인공위성(Satellite)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획득은 가시 광선 영역, 근적외선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수목 이미지 및 수목의 생육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합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통합한다. 영상 데이터는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통합부(120)는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통합부(120)는 하나의 장소에서 복수의 각기 다른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통합하고 비교할 수 있다.
수목 판별부(13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수목과 수목의 군집을 판별한다. 일반적으로 수목은 군집을 이루어 성장한다. 수목 판별부(130)는 수목의 종류별로 이루는 각각의 군집의 면적과, 군집에 포함된 수목의 종류를 판별한다.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생육 정보란 수목이 위치한 곳의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지형적 특성으로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 및 생육 상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는 국토지리정보원 등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고도 정보를 영상 데이터와 매핑하여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는 위치별 태양 고도, 방위각 및 천정각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일사량 및 일조량을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와 매핑하여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는 항공 촬영을 통해 도출된 정규 식생 지수(NDVI)와 영상 데이터와 매핑하여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는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고유의 탄소 저장량' 및/또는 '환산 계수'를 저장한다.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의 탄소 저장량' 및/또는 '환산 계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이다. 고유의 탄소 저장량은 단위 면적당 탄소 저장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는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에 기반한 '고유의 탄소 저장량'이 저장되어 있다. 생육 정보는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 및 정규화 식생 지수(NDVI)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정규화 식생 지수(NDVI)는 후술하여 [실험 및 검증]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는,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는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에 기반한 '환산 계수'가 저장되어 있다. '환산 계수'는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수종별 탄소 저장량'을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에 기반하여 변환하는 변환 상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저쟝량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의 구축 예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은 아래 [실험 및 검증]에서와 같이 실험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 구축 예 (빈칸에는 대응되는 '고유의 탄소 저장량(예: kgC/unit)'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빈칸에는 대응되는 '환산 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수종
생육정보
수종 1 수종 2 수종 3 수종 4 수종 n
NDVI 제1 범위(예: 0-0.05)
제2 범위(예: 0.05-0.1)
제n 범위
방향(aspect) 북향
북서향
서향
남서향
남향
남동향
동향
북동향
고도(elevation) 제1 범위(예: 0-5m)
제2 범위(예: 5-10m)
제n 범위
일사량(solar radiation) 제1 범위(예: 0-500Mj/m2)
제2 범위(예: 500-1000Mj/m2)
제n 범위
일조량(solar duration 제1 범위(예: 0-1h)
제2 범위(예: 1-2h)
제n 범위
경사(slope) 제1 범위(예: 0-5°)
제2 범위(예: 5-10°)
제n 범위
탄소 저장량 산출부(160)는 각각의 수목의 수종과 생육 정보로부터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다. 탄소 저장량 산출부(160)는 데이터 수신부(110)로부터 획득하여 수목 판별부(130)에서 판별된 수목 종류와,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에서 판별된 수목의 생육 정보를 입력 받고,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목 종류와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다. 예컨대, 탄소 저장량 산출부(160)는 수목 종류 판별부(130)에서 판별된 수목 종류와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에서 판별한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의 고유의 탄소 저장량과 매칭시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다. 또 다른 예로, 탄소 저장량 산출부(160)는 수목 종류 판별부(130)에서 판별된 수목 종류와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140)에서 판별한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의 환산 계수와 '기 정의된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를 고려하지 않은 탄소 저장량(예컨대, 산림 탄소 프로젝트 현장에 대한 PDD(project design document)에 따라 국립산림과학원에 의해 발행된 '산림 바이오매스 및 토양탄소 조사ㆍ분석 표준'에 의하면, 바이오 매스의 시료를 채취하고 건조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탄소를 측정하는 건식연소법을 이용하여 탄소 저장량을 도출함)'를 연산(예컨대, 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수종에 따른 생육 정보를 포함한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다.탄소 저장량 산출부(160)는 행정 지역에 따른 탄소 저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행정 지역에 따른 수목 종류와 수목 생육 정보 데이터를 입력 받아서, 탄소 저장량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행정 지역별 수목 종류와 수목의 생육 정보 별 탄소 저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경우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보다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정보는, 탄소 배출권 거래에 이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실험 및 검증]
이론적으로 산림의 탄소 저장량 변화는 주로 식물 광합성을 통한 흡수와 함께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림의 탄소 저장량의 증가는 대기 중의 CO2 의 순 제거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산림의 탄소 저장량은 대기로부터의 가스 유속률(gas flux rates)을 기반으로 직접 추정할 수 있다. 비분산 적외선(NDIR; Nondispersive Infrared) 센서를 사용하여 산림 탄소 저장량과 순 CO2 플럭스(flux)의 변화 사이의 상호 작용 상관 관계가 조사될 수 있다.
본 검증에 의하면, 산림 탄소 프로젝트 현장에 대한 PDD(project design document)에 명시된 탄소 저장량(단위: 톤)과 현장(in situ) 휴대용 CO2 센서 시그니처(단위: ppm)와 간의 상호 관계를 통해, 현장 휴대용 CO2 센서는 프로젝트 현장의 지역별 산림 조건(예: 종, 나이, 밀도)에 따른 탄소 흡수량 변화량을 현실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증 및 실험을 위한 연구 영역(Study area)을 표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검증을 위한 실험에 있어서, 연구 영역(study area)은 유가면(Yuga-Myeon)으로 설정하였다. 유가면은 한국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위도 45 ° 40' 39.42 N와 35 ° 40' 45.51 N 사이 및 경도 128 ° 27 '47.25 E와 128 ° 28' 00.36 E 사이에 있다. 유가면은 한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구 광역시 서부 지구(행정구)이다. 이 연구 영역은 서로 다른 수종이 심어진 5개의 구역이 관찰된다. 도 2는 개별 구역을 이루는 Zone 1 내지 Zone 5의 위치 및 경계(Boundaries)와 CO2 현장 조사 지점을 보여준다. 도 3은 Zone 1 내지 Zone 5에 식생된 수목의 종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Zone 1에는 살구나무(Prunus armeniaca)를 밀집시켰고, Zone 2에는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를 밀집시켰고, Zone 3에는 사이프러스 나무(Cypress)를 밀집시켰고, Zone 4에는 목련나무(Liriodendron)를 밀집시켰고, Zone 5에는 고로쇠나무(Mono maple)를 밀집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지형적 특성(예: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등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검증을 위한 연구 영역(Study area)은 언덕에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형적 특성이 고려될 수 있다.
연구 영역에는 다양한 수종이 동일한 사양(예: 나무 나이 5 년, 나무 높이 및 근원 직경(root collar caliper))의 수종과 함께 작은 면적(0.02km2)에 밀집되어 있다. 연구 면적이 0.02km2로 비교적 작기 때문에 기후 요인(예: 강우 및 온도)과 같은 동일한 외생 변수의 영향을 동일하게 받는다. 또한, 연구 영역에는 식물의 CO2 흡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구역 주변의 인간 거주지, 도로 및 가축 농장과 같은 특정 배출원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 및 검증을 위한 연구 영역은 PDD에 제시된 탄소 저장량과 산림 탄소 프로젝트 현장의 지형적 지상 바이오 매스 간의 상호 작용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성능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평가한다.
본 발명의 검증을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센서는 온도 및 바람과 같은 다양한 외생 변수 의해 측정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WDCGG(World Data Center for Greenhouse Gases)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는 CO2 NDIR 센서를 사용하여 30초마다 CO2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특정 기간에 따른 시간별 CO2 농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지역(local) CO2 발생원에 의한 측정 장애가 짧다. WDCGG 스테이션에서 NDIR 센서는 샘플 셀(sample cell)을 통과하는 적외선의 강도를 기준 셀(reference cell)을 통과하는 적외선의 강도와 비교하여 측정한다. 측정 스테이션에서 이격된 위치의 인렛에서 펌핑된 샘플 공기(Air)와, 표준 가스(standard gas)는 샘플 셀을 번갈아가며 흐른다. CO2 풍부도(abundance)는 건조 공기 몰분율(μmol mol-1)로 보고되며 WMO CO2 몰분율 척도에서는 ppm으로 약칭된다. 식물 호흡은 줄기, 가지, 잎 기공을 포함한 다양한 부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주변 CO2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WDCGG 스테이션과 달리, CO2는 탄소 산림 프로젝트 현장의 나무 끝 아래 10cm 이하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고도에서 측정하여 실제 식물의 잎에서 발생하는 CO2 플럭스를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본 검증을 위한 연구에서는 본 검증을 위하여, 동일한 토양 유형으로 0.02km2 지역 내에 조밀하게 나무를 심었기 때문에 토양의 CO2 플럭스는 측정하지 않았다. 더불어서, 데이터는 TESTO 480의 WDCGG 표준에 따라 매 30초마다 1.5m 길이의 지상에서 ppm 단위로 생성하였다.
PDD에 적용되는 탄소 흡수 계수(carbon absorption coefficient)는 주로 파괴 중량 측정법(오븐 건조)에 의해 지상 바이오 매스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CO2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지형 매개 변수(topographical parameters)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파악한다. 지형 매개 변수란 지역의 영양소 및 수분 스트레스와 관련된 경사, 고도, 일사량 등을 의미한다.
본 검증에서는 지상 바이오 매스의 CO2 흡수에 대한 지형적 요인(topographical factor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개별 측정 지점에서 일반 최소 제곱(OLS; ordinary least squares) 방법을 사용하여 지형적 지상 바이오 매스를 지리적으로 계산하였다.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topographical above-ground biomass)'를 프로세스 하는데 있어서, 지상 CO2 밀도와 지형적 요인을 설명가능한 변수(explainable variables)로 설정하고 PDD 탄소 저장량을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로 설정한다. 따라서,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에는 탄소 저장량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탄소 저장량은 산림 탄소 프로젝트 현장의 측정 지점에서 주변 지형 요인에 의해 변이되는(differentiated) CO2 흡수 용량을 반영한다.
본 검증에 따른 현장 CO2 밀도 조사는 특정 시간(11~13시)과 계절(2018.08.01~09.30)에 수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광합성 활동과 식물 성장이 활발하고, 우기 후에도 대기가 안정되어 있다. 또한, 풍속은 CO2 측정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휴대용 기기 간의 풍속 측정값과 국립 기상 원격 측정소의 표준화된 바람 측정값을 비교하여 CO2 측정 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사 기간 동안 각 CO2 측정 지점 근처에 위치한 국립 기상 원격 측정소에서 관측된 최소 속도는 0.0m/s, 최대 속도는 5.4m/s, 평균 속도 1.9m/s였다. 현장 조사 지점에서 측정한 속도는 최소 0.01m/s, 최대 1.6m/s, 평균 속도는 0.6m/s로, 현장 데이터와 국가 기상 원격 측정소 데이터 간의 속도 차이는 1.3m/s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CO2 흡수(CO2 uptake)와 지상 바이오 매스의 수용능력(capability of the above-ground biomass) 측면에서 지형적 지상 바이오 매스를 탐색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정규화 식생 지수(NDVI)를 보여주는 측정 포인트(182 포인트)를 선택하였다. 도 4은 본 발명의 검증 및 실험을 위한, 정규화된 식생 지수(NDVI)를 보여주는 측정 포인트(182 포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NDVI는 활력 양과 초목의 존재를 정량화하는 그래픽 지표이다. NDVI가 +1에 가까우면 그 지역은 빽빽한 잎으로 덮여 있고, 잎의 활력(leaf vitality)이 높으며 넓은 입관 면적을 갖는 것이다. 반면, NDVI가 0에 가까워지면 잎의 밀도가 낮고 잎의 활력이 낮으며 입관 면적이 좁은 것을 의미한다.
본 검증에 사용된 KOMPSAT-2 위성은 팬크로매틱 모드(panchromatic mode)에서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 1m, 멀티 스펙트럼 모드(multispectral mode)에서 공간 해상도 5m의 멀티 스펙트럼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검증에 있어서, 공간 해상도가 4m 인 멀티 스펙트럼 이미지를 사용하여 NDVI를 추출하였다. (삼각 측량 불규칙 네트워크(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데이터의 셀 크기는 위성 이미지에 따라 4m 로 설정하였다. 측정 기간 동안 개별 측정 지점에 대해 태양 복사 및 태양 광 지속 시간을 계산하였다. Arc GIS 9.3의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formation 및 Area Solar Radiation 도구에서 제공 한 태양 고도, 방위각 및 천정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사량 및 일조량의 일일 누적 값을 추출하였다.
도 5는 PDD에 제시된 탄소 저장량(Carbon stock)과 본 검증에서 측정한 지상 CO2 농도(CO2 concentration)의 비교 그래프이다. PDD에 제시된 탄소 저장량이 많을수록 PDD MRV가설에 따라 나타나는 지상 CO2 밀도가 낮아져야 한다. 즉, PDD 탄소 저장량과 지상 CO2 밀도는 음(-)의 상관 관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PDD 탄소 저쟝량과 지상 CO2 밀도는 본 검증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Cypress(Zone 3)는 PDD에서 가장 높은 탄소 저장량(747.6kg/C)을 보였지만 측정된 CO2 농도는 두 번째로 높았다(375.5ppm). Prunus armeniaca(Zone 1)와 Liriodendron(Zone 4)는 PDD에서 동일한 탄소 저장량을 가진다고 하였으나, Prunus armeniaca(Zone 1)의 측정된 CO2 농도는 Liriodendron(Zone 4)보다 19.3 ppm가 높았다. Liriodendron(Zone 4)은 PDD에서 가장 낮은 탄소 저장량(249.4kg/C)과 가장 낮은 CO2 농도(375.5ppm)를 나타냈다.
도 6의 그래프는 PDD 탄소 저장량과 CO2 NDIR 센서 및 지형 요인(NDVI, 측면, 고도, 일사량, 일조량 및 기울기)을 사용하여 감지된 지형 지상 바이오 매스를 비교하는 것이다.
PDD의 탄소 저장량과 산림 탄소 프로젝트 지역의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 간의 상호 작용 관계를 차별화하는데 있어서 휴대용 현장 CO2 센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PDD 탄소 저장량(종속 변수), 현장 CO2 농도(독립 변수) 및 지형 요인(독립 변수)을 사용하여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를 추정하기 위해 OLS를 사용하였다. OLS의 R2는 PDD 탄소 저장량과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 사이에서 0.28으로 산출된다. 이는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의 설명할 수 있는 범위가 PDD 탄소 저장량의 28%를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지상 바이오 매스에서 대기 중 CO2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능력은 물 스트레스, 영양소 부족, CO2 흡수의 방해 또는 향상을 유도하는 지형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검증하였다.
PDD의 탄소 저장량과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는 Chionanthus retusus(Zone 2)와 Mono maple(Zone 5)에서 적절하다. 상세한 수치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1
Chionanthus retusus(Zone 2)의 지형적 요인은 PDD 탄소 저장량과 CO2 흡수 능력의 차이에 약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한다. 대조적으로 Cypress(Zone 3)와 Liriodendron(Zone 4)는 PDD 탄소 저장량과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 사이에서 가장 큰 편차를 보였다. Cypress(Zone 3)의 PDD 탄소 저장량은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에 비해 과대 평가된다. Liriodendron(Zone 4)의 PDD 탄소 저장량은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에 비해 과소 평가된다. 이는 지형적 요인이 지상 바이오 매스의 CO2 흡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검증하였다.
도 7은 각각의 Zone에 따른 지형 특성을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a)는 NDVI, (b)는 측면(Aspect), (c)는 고도(elevation), (d)는 일사량(solar radiation), (e)는 일조량(solar duration), (f)는 기울기(slope) 분포도이다.
수목의 CO2 흡수 능력은 주로 지상의 바이오 매스, 특히 잎으로부터 기인한다. 잎의 CO2 흡수 능력은 사용 가능한 영양소와 지역의 지형 요인에서 파생된 물 스트레스에 따라 상이하다. 지상 바이오 매스의 CO2 흡수 능력을 나타내는 것에는 세 가지 지표가 있다. 세 가지 지표는 (1)잎 활력(leaf vitality), (2)잎 밀도(leaf density) 및 (3)입관 면적(canopy leaf area)이다. 이러한 지표는 이 세 가지 지표에 대한 결합 정보를 포함하는 NDVI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7과 [표 3]을 참조하여 비교해보면, Zone 3의 NDVI는 0.42로 비교적 낮은 반면, Zone 4에 대한 NDVI는 0.54로 평가된 영역 중에서 가장 높다. Zone 3은 과도한 입사광 및 광 강도 유입으로 인해 NDVI가 낮았으며, 물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영양소 손실이 유발되고 식물 성장이 억제된 것으로 파악한다. Zone 4는 적절한 입사광과 빛의 세기가 유입되어 지상 바이오 매스의 성장과 CO2 흡수 능력이 촉진된 것으로 파악한다. [표 3]는 지역의 컨디션을 도표화한 것이다. [표 3]의 컨디션은 도 3에 첨부한 수종의 사진과 함께 시각적으로 파악 가능하다.
[표 3]
Figure pat00002
본 검증에 따른 결과는 산림에서 탄소 저장량의 상호 작용 성장률과 대기 CO2 밀도 사이에 거의 상관 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PDD 탄소 저장량과 NDIR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된 지형학적 지상 바이오 매스 사이의 불일치는 [표 4]에 표시된 것처럼 사용된 측정 방법이 다르기 때문으로 파악한다.
[표 4]
Figure pat00003
NDIR 센서는 다양한 지형 매개 변수의 변화와 지상 바이오 매스의 광합성 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지상 바이오 매스에 대한 CO2 흡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NDIR 센서가 감지한 CO2 신호에는 산림 탄소 프로젝트 현장에서 실제 CO2 감소 및 배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PDD 탄소 저장량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뿐만 아니라 산림 탄소 프로젝트의 다양한 지형 매개 변수를 고려하지 않는다.
[검증의 한계]
다만, 본 검증은 60일이라는 짧은 조사 기간 내에 수행되었으며, 조사 기간 제한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는 지역에 측정 포인트를 배치하였으며, 측량 인력과 장비의 한계로 동시에 여러 지점을 측정할 수 없었고, 풍속 변화와 같은 외부 요인도 통제할 수 없었다는 점을 밝힌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항공 촬영으로 복수의 수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및
    상기 수목 종류 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수목 종류와 상기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고유의 탄소 저장량이 저장된 탄소 저장량 저장부의 상기 고유의 탄소 저장량과 매칭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탄소 저장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정보는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 및 정규화 식생 지수(NDVI)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장량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목별 상기 고유의 탄소 저장량은 상기 정규화 식생 지수(NDVI)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갖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4. 항공 촬영으로 복수의 수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수목 종류를 판별하는 수목 종류 판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목의 생육 정보를 판별하는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 및
    상기 수목 종류 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수목 종류와 상기 수목의 생육 정보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생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목의 종류별로 정의된 탄소 저장량을 수목의 생육 정보에 따른 환산 계수가 저장된 탄소 저장량 저장부의 상기 환산 계수를 이용하여 환산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수목 이미지를 이루는 수목의 탄소 저장량을 산출하는 탄소 저장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정보는 방향(aspect), 경사(slope), 일사량(solar radiation) 및 일조량(solar duration), 고도(elevation) 및 정규화 식생 지수(NDVI)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장량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목별 상기 환산 계수는 상기 정규화 식생 지수(NDVI)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갖는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KR1020200152670A 2020-11-16 2020-11-16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KR20220066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70A KR20220066534A (ko) 2020-11-16 2020-11-16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70A KR20220066534A (ko) 2020-11-16 2020-11-16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534A true KR20220066534A (ko) 2022-05-24

Family

ID=8180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670A KR20220066534A (ko) 2020-11-16 2020-11-16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653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9737A (zh) * 2022-05-26 2022-07-29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公路路域植被的碳储量估算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2538887B1 (ko) 2023-01-09 2023-06-01 주식회사 블루로고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6563718A (zh) * 2023-07-11 2023-08-08 成都垣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遥感测绘的碳储量估算方法
CN117423011A (zh) * 2023-11-09 2024-01-19 滁州学院 一种森林碳储量遥感估算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240018211A (ko) * 2022-08-02 2024-02-13 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시 수목의 탄소저장량 예측 방법
KR102710164B1 (ko) 2024-02-26 2024-09-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운 방법별 토양 유기 탄소 저장 변화량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9737A (zh) * 2022-05-26 2022-07-29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公路路域植被的碳储量估算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4819737B (zh) * 2022-05-26 2023-10-17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公路路域植被的碳储量估算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240018211A (ko) * 2022-08-02 2024-02-13 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시 수목의 탄소저장량 예측 방법
KR102538887B1 (ko) 2023-01-09 2023-06-01 주식회사 블루로고 산림경영 자동화시스템을 통한 임야탄소배출권 사업계획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6563718A (zh) * 2023-07-11 2023-08-08 成都垣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遥感测绘的碳储量估算方法
CN116563718B (zh) * 2023-07-11 2023-09-05 成都垣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遥感测绘的碳储量估算方法
CN117423011A (zh) * 2023-11-09 2024-01-19 滁州学院 一种森林碳储量遥感估算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2710164B1 (ko) 2024-02-26 2024-09-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운 방법별 토양 유기 탄소 저장 변화량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6534A (ko) 산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시스템
Reed et a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types in the Serengeti ecosystem: the influence of rainfall and topographic relief on vegetation patch characteristics
Veroustraete et al. Estimating net ecosystem exchange of carbon us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an ecosystem model
Carmel et al. Computerized classification of Mediterranean vegetation using panchromatic aerial photographs
Othman et al. Estimating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over arid regio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 case study in Makkah, Saudi Arabia
López-Tirado et al. Effect of climate change on potential distribution of Cedrus libani A. Rich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 Ecological Niche Modeling assessment
US20200051242A1 (en) Determining risk posed by vegetation
Vorovencii Assessment of some remote sensing techniques used to detect land use/land cover changes in South-East Transilvania, Romania
Kuhnell et al. Mapping woody vegetation cover over the state of Queensland using Landsat TM imagery
Habib et al. Estimation of above-ground carbon-stocks for urban greeneries in arid areas: Case study for Doha and FIFA World Cup Qatar 2022
Li et 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dynamics of diurnal fog occurrence in subtropical montane cloud forests
Kuusk et al. Database of optical and structural data for the validation of radiative transfer models
Püssa Forest edges on medium resolution landsat thematic mapper satellite images
Thakur et al. Monitoring forest cover changes and its impact on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geospatial technique in Talra Wildlife Sanctuary, Shimla, India
Alo et al. Modelling Forest Cover Dynamics in Shasha Forest Reserve, Osun State, Nigeria
Iiames Jr et al. Validation of an integrated estimation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leaf area index (LAI) using two indirect optical method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Hunink et al. Q fever transmission to humans and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Hamed et al. Quantify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bugadaf Natural Forest Using GIS-Remote Sensing Analytical Techniques/Blue Nile State/Sudan
Arfat Land use/land cover chang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a case study in eastern Sudan
Lanne Monitoring indigenous tropical montane forests in the Taita Hills using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ry
Anurogo et al. Image Processing In Remote Sensing Data For Inventory-Based Estimation Of Forest Primary Production; An Assessment Support For Region Forest Inventories
Mattilio Remote Mapping and Spatial Modeling for Noxious Weed Management in the Intermountain West
Takele et al. Land Use and Land Cover Dynamics in Eastern Pastoral Rangelands of Somali Region, Ethiopia
Miller Quantification of Land Cover Surrounding Planned Disturbances Using UAS Imagery
Yali et al. Improved estimation of forest carbon (biomass) using bi-temporal RapidEye data in a low-altitude tropical land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1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117

Effective date: 2023032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