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784B1 -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784B1
KR101693784B1 KR1020160006474A KR20160006474A KR101693784B1 KR 101693784 B1 KR101693784 B1 KR 101693784B1 KR 1020160006474 A KR1020160006474 A KR 1020160006474A KR 20160006474 A KR20160006474 A KR 20160006474A KR 101693784 B1 KR101693784 B1 KR 10169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formation
orthoimage
points
boundar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일
이중재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16000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06F17/30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연속지적도의 오차를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수정 및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연속지적도에서 개별지적도를 통해 파악한 필지경계지점들의 위치정보와 정사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합점들을 파악하고 불일치하는 부정합점들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정사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합도가 높은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natioal reference map using orthophotograph}
본 발명의 지도 생성 내지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히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연속지적도는 개개의 지적도의 필지 경계를 도상 접합하여 연속된 형태로 구축한 통합 지적도면이다. 이러한 연속지적도는 GIS, 도시계획, 위생, 환경, 치안, 재난재해 등 다양한 분야의 국가 및 민간산업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어 국가 기본도로서 품질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연속지적도는 개별지적도를 실제 측량 없이 도면상의 접합을 통해 구축된 도면으로써 실제의 지형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 결과 현재 개별토지소유관계를 규정하는 공적 장부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4916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연속지적도가 실제의 지형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지적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한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상기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 중 일치되는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이 기설정된 매핑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로 형성한 필지경계지점 중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와 불일치하는 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단계;및 상기 검출된 정합점 및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정하는 단계에서 수정된 필지경계지점을 지닌 연속지적도,즉, 국토정보기본도와 상기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하나의 통합지도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정합점들을 기초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 위에 중첩시켜 표시함으로써, 연속지적도에서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부분과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지경계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 위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면적을 지니는 특정모양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모양과 그에 대응하는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검출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모양과 그에 대응하는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 간의 움직임 벡터값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시켜 표시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연속지적도가 도면상의 접합을 통해 구축되는 과정에서 도 8과 같이 전체적으로 위치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매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파악된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모양을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특정모양의 위치정보를 상기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은 상기 특정지역 내의 실제 시설물 배치 내지 시공을 수행할 때 지형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좌표정보로 표시된 지역으로서, 정확한 좌표정보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정사영상에서 특징점 검출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확성 내지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로부터 파악한 지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연속지적도DB;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정사영상DB;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상기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하는 형태검출부; 상기 검출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 중 일치되는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정합점검출부;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이 기설정된 매핑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로 형성한 필지경계지점 중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와 불일치하는 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대체부;및 상기 검출된 정합점 및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수정하는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는 연속지적도의 오류나 오차를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수정하고 개선시킴으로써 위치정확성을 확보한 지도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사영상과 연속지적도의 불일치를 개선함으로써 위치 정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고 활용도가 높은 지도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국토정보기본도를 정사영상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직관적인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수정된 연속지적도, 정사영상으로 생성된 지도 그리고 수정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생성된 지도 중 보고자 하는 지도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지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연속지적도, 정사영상으로 생성된 지도 그리고 수정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생성된 지도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면서 동시에 지도데이터에 필지경계지점의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토지정보, 용도지역, 산림정보, 공시지가, 통계정보, 시설물, 교통정보, 부동산 정보, 행정구역 정보 등에 대해 지도를 통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에 다양한 행정정보를 추가로 지원함으로써, 향후 지도를 통해 사용자가 토지특성, 토로, 하천, 농업, 광산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이 가능하며, 또한 지도에 빅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근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국토정보기본도와 정사영상을 함께 중첩하여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정사영상 또는 국토정보기본도에 도로대장 및 교통사고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로 경사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또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단순한 통계정보만이 아닌 실제적인 지형정보를 시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부에 축적된 지적데이터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축적된 정사영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일반적인 영상정합, 영상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도 간의 정합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교부는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의 정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합검출부에서 연속지적부와 정사영상간에 정합점들을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에 대한 중첩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지역에 대한 수정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도시한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패블릿(phablet), 쌍방향 TV , 핸드헬드 장치, 컴퓨터, 노트북, 카메라과 같은 단말기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국토정보기본도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의 오류 및 오차 등을 제거하고, 위치정합도가 개선된 지도를 지칭한다. 국토정보기본도는 토지정보, 용도지역, 산림정보, 공시지가, 통계정보, 시설물, 교통정보, 부동산 정보, 행정구역 등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 비교부(130), 연속지적도제작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120)는 비교부(130), 연속지적도제작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만을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를 구성하는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부(112),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부(114) 및 지적측량자료데이터베이스부(116)로부터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와 정사영상 데이터 내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표시한 지적측량 데이터를 추출(fetch)하거나 수신한다.
비교부(130)에서 수신한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와 정사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형태검출부(132)와 정합점 검출부(134)를 통해 일치하는 부분을 파악한다. 연속지적도 제작부(140)는 비교부(130)에서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와 정사영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기설정된 비율, 예를 들어 50%, 이상 정합이 이루어진 경우, 대체부(142)에서 나머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에서 파악한 위치정보값을 정사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한 위치정보값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속지적도 제작부(140)는 비교부(130)에서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와 정사영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기설정된 비율, 예를 들어 50%, 이하로 정합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기설정된 세팅(setting)에 따라 연속지적도에 정합점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연속지적도에서 불일치하는 위치정보값을 정사영상의 위치정보값으로 대체를 수행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연속지적도를 이용하여 파악한 지적데이터로부터 파악한 위치정보값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정합부(134)에서 정합한 위치정보값 및 대체된 위치정보값들을 이용하여 제작부(144)에서는 수정된 연속지적도를 나타내는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설정된 값에 따라 수정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표현하는 통합지도를 디스플레이하거나(152), 국토정보기본도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154) 또는 정사영상지도만을 디스플레이(156)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는(152, 154, 156)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별 기능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부(112) 및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부(114)를 포함한다.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부(112)는 도 2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은 지적데이터 정보를 개별지적도를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속지적도는 개별지적도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지니며,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개별지적도의 지적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지적데이터는 필지경계점, 지번정보, 권리정보, 도곽선, 축척 등 지적도 일반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필지경계점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다. 위치정보란 지도상에 나타나는 좌표정보, 필지경계점을 형성하는 쉐이프 정보, 축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부(112)는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각 개별지적도를 참고하여 파악한 지적 데이터를 기초로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위치정보는 좌표정보, 축적정보, 필지경계지점의 쉐이프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부(114)는 도 2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은 정사영상 데이터 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부(114)는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210, 220, 230)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원래의 항공사진과 인공위성 이미지에는 지형왜곡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지 않은 이미지들은 정확성을 신뢰할 수 없다. 이러한 왜곡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스템, 비시스템적인 오류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들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정사투영보정에 기반한 공선조건식(collinearity equation)을 이용한다. 비시스템적인 오류는 카메라나 센서의 표정, 지형의 굴곡, 지구 곡면, 필름과 스캐너의 왜곡, 측량 오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은 이러한 공선 조건식을 이용하여 센서와 카메라의 표정, 지형의 굴곡, 기타 오차들을 제거함으로 위치정합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정사투영이미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정사투영이미지는 지도의 지형적 특성과 사진의 특성을 모두 지닌다. 정사투영이미지 상의 개체들은 자신들의 수직으로 투영된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은 지도상의 전통적인 선이나 기호와 위치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이미지 상에서 측량하는 것은 실제 필드에서 그것과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정사투영이미지는 GIS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현존하는 GIS 데이터를 갱신하고 유지하기 위한 참조 이미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적측량자료 데이터베이스는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표시한 지적측량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적측량자료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는 특징점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때 참고할 수 있다.
다시 도 1 을 참고하면, 비교부(130)는 형태검출부(132) 및 정합점 검출부(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교부(130)는 우선적으로 연속지적도에서 파악된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은 특정지역 내의 실제 시설물 배치 내지 시공을 수행할 때 지형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좌표정보로 표시된 지역을 의미한다.
비교부(130)는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410, 412, 414)과 대응하는 특정 모양을 정사영상에서 검출하고, 상기 정사영상에서 검출한 특정 모양의 위치정보와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의 위치정보가 상이한 경우, 정사영상에서 검출한 특정 모양의 위치정보를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의 위치정보로 대체하여 정확도를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교부(130)는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한다.
도 5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비교부(130)의 형태검출부(132)는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들 중 임의의 필지경계지점(510)과 그에 대응하는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S510)을 비교한다. 형태검출부(132)는 또한,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S510)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510)을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형태검출부(132)를 통해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간에 가장 유사한 형태를 찾은 경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들 중 임의의 필지경계지점(510)과 그에 대응하는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S510)간 또는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S510)과 그에 대응하는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점(510)간의 움직임 벡터값(520, 522)을 기준으로 도 5의 일 실시예와 같이 중첩시켜 표시된 지도에서 연속지적도를 이동시켜, 도 6의 일 실시예와 같이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의 정합도를 높이므로, 위치정합도가 개선된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형태검출부(132)를 통해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간에 가장 유사한 형태를 찾은 경우, 정사영상 내에서 검출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면적을 지니는 특정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마찬가지 방법으로 연속지적도에서 검출된 필지경계지점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면적을 지니는 필지경계지점들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 내에서 가장 큰 면적을 지니는 특정 면적을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필지경계지점을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면적 이상을 지닌 특정 모양을 복수 개 선택한 후, 그에 대응하는 필지경계지점들을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교부(130)는 정합검출부(134)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정합, 영상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도 간의 정합점(420, 422, 424)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합검출부(도 1, 134)에서 연속지적부와 정사영상간에 정합점들을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정사영상간의 정합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추가로 지적측량자료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정합검출부(도 1, 134)는 연속지적부 또는 정사영상에 대해 영상 정합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값 등을 이용하여 두 개의 영상을 중첩시킨 후, 연속지적부와 정사영상 간에 정합되는 정합점들을 중첩한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은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에 대한 중첩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지역에 대해 생성된 국토정보기본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도시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에서는 국토정보기본도의 필지경계지점들이 모두 동일한 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정사영상의 특징점들이 매칭되는 정합점들은 직선으로 표시한다. 그 외,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서 부정합되는 지점들은 정사영상의 특징점들의 위치정보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필지경계지점 A의 위치값이 2차원 좌표값 (x,y)이고, 그에 대응되는 정사영상의 특징점의 위치정보값이(x1,y1)인 경우 필지경계지점 A의 위치값은 (x1, y1)로 대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차원 좌표값만이 아니라, 3차원 좌표값을 이용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매칭율, 예를 들어 70%, 이상인 경우에만 나머지 부정합 부분에 대해 위치값을 대체하는 등과 같이 제한을 부여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대체된 위치정보값들로 형성된 필지경계지점에 대해서는 도 9와 같이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할 때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국토정보기본도의 필지경계지점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식별자를 부여한 일 예를 도시한다. 국토정보기본도 또는 국토정보기본도와 정사영상 지도를 하나의 통합지도 형태로 지원하는 중첩지도에서는 식별자가 부여된 해당 필지경계지점에 정보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식별자, 예를 들어 1116대(1010), 를 클릭할 경우 필지경계지점에 부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지경계지점의 정보는 토지정보, 용도지역, 산림정보, 공시지가, 통계정보, 시설물, 교통정보, 부동산 정보, 행정구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식별자가 부여된 필지경계지점과 그에 대응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필지경계지점에 부여된 식별자를 클릭할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정보와 또한 그에 대응하는 정사영상 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로 경사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단순한 통계정보만이 아닌 실제적인 지형정보를 시각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연속지적도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지역, 예를 들어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남리, 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지적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한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1110).
정사영상데이터베이스에서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특정지역, 예를 들어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남리,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1120).
비교부에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정사영상 내에서 영상처리방법 또는 영상정합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한다(S113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특정 영역에 대한 기학습된 데이터베이스 축적 자료 등을 이용하여 도로, 광산 등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비교부에서는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해 연속지적도와 정사영상의 매핑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은 상기 특정지역 내의 실제 시설물 배치 내지 시공을 수행할 때 지형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좌표정보로 표시된 지역을 의미한다.
형태검출부에서 정사영상 내에서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과 가장 유사한 또는 대응되는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한다(S1140). 이 후, 검출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 중 일치되는 정합점들을 검출한다(S1150).
검출된 정합점들이 기설정된 매핑률을 초과하는 경우, 검출된 정합점들로 형성한 필지경계지점 중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와 불일치하는 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로 대체한다(S1160).
그리고, 검출된 정합점 및 대체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수정한다(S1170).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매핑률은 하나의 필지경계지점을 (예, 도 10, 1010) 구성하는 테두리 영역 중 25% 영역만이 정합되고, 그 외의 75% 영역이 정합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25% 영역만을 정합점으로 표시하고 부정합되는 75% 영역은 아무런 표시를 안 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부정합되는 75% 영역에 대해서는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필지경계지점에서 부정합되는 테두리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합되는 25% 영역에 대해서는 정합점을 이용하여 실선으로 표시하고, 75% 영역에 대해서는 75% 영역에 대해서는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표시하되, 점선으로 표시를 수행하여 수정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국토정보기본도를 정사영상과 중첩하여 하나의 통합지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국토정보기본도와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통합지도 모드, 수정된 연속지적도만을 표시하는 모드 또는 정사영상 지도만을 표시하는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에서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연속지적도DB에서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지적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한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정사영상DB에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비교부에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하는 단계;
    형태검출부에서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상기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하는 단계;
    정합점검출부에서 상기 검출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 중 일치되는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대체부에서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이 기설정된 매핑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로 형성한 필지경계지점 중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와 불일치하는 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단계;및
    제작부에서 상기 검출된 정합점 및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하는 단계에서 수정된 필지경계지점을 지닌 연속지적도와 상기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하나의 통합지도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수정된 필지경계지점을 지닌 연속지적도가 국토정보기본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정합점들을 기초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 위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지경계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 위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면적을 지니는 특정모양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모양과 그에 대응하는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검출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모양과 그에 대응하는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 간의 움직임 벡터값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시켜 표시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서 파악된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모양을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특정모양의 위치정보를 상기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경계점 좌표등록 지역은 상기 특정지역 내의 실제 시설물 배치 내지 시공을 수행할 때 지형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좌표정보로 표시된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표시할 때 상기 검출된 정합점과 상기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표시하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필지경계지점이 수정된 부분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통합지도는
    상기 필지경계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식별자가 부여된 해당 필지경계지점의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지적측량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적측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특징점의 위치정보 추출시 참고하며,
    이 경우, 상기 지적측량 데이터는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표시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생성하는 방법.
  9.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에 대한 지적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한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연속지적도DB;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정사영상DB;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과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정사영상 내에서 상기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특정모양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필지경계지점을 상기 연속지적도에서 검출하는 형태검출부;
    상기 검출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 중 일치되는 정합점들을 검출하는 정합점검출부;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이 기설정된 매핑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정합점들로 형성한 필지경계지점 중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와 불일치하는 경계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대체부;및
    상기 검출된 정합점 및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수정하는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필지경계지점을 지닌 연속지적도는 국토정보기본도로 이용되고,
    상기 국토정보기본도와 상기 정사영상을 중첩하여 하나의 통합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모드;
    상기 국토정보기본도를 표시하는 모드;및
    상기 정사영상 지도를 표시하는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부에서
    상기 연속지적도의 필지경계지점을 표시할 때 상기 검출된 정합점과 상기 대체된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표시하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필지경계지점이 수정된 부분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60006474A 2016-01-19 2016-01-19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9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474A KR101693784B1 (ko) 2016-01-19 2016-01-19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474A KR101693784B1 (ko) 2016-01-19 2016-01-19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784B1 true KR101693784B1 (ko) 2017-01-06

Family

ID=5783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474A KR101693784B1 (ko) 2016-01-19 2016-01-19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7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834A1 (it) * 2018-12-05 2020-06-05 Green Aus S P A Sistema telematico configurato per offrire servizi digitali in ambito agroalimentare
KR102244751B1 (ko) * 2021-02-09 2021-04-27 주식회사 이쓰리 복원 우선순위 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방법
KR20210085181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항공영상 기반 도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01305A (ko) * 2021-06-28 2023-01-04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KR20230046088A (ko) * 2021-09-29 2023-04-05 디토닉 주식회사 결빙 노면 상의 교통 사고 발생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6090A (ko) * 2021-09-29 2023-04-05 디토닉 주식회사 딥러닝 이용 결빙 예측 지역에 대한 교통 사고 위험도 실시간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39B1 (ko) * 2010-06-09 2010-12-10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KR20110049165A (ko) 2009-11-04 2011-05-12 한동수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165A (ko) 2009-11-04 2011-05-12 한동수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000039B1 (ko) * 2010-06-09 2010-12-10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라용화. 정지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정확도 평가. 명지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2004. *
이승복. 디지털 항공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작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논문. 2010.6.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834A1 (it) * 2018-12-05 2020-06-05 Green Aus S P A Sistema telematico configurato per offrire servizi digitali in ambito agroalimentare
KR20210085181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항공영상 기반 도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655068B1 (ko) * 2019-12-30 2024-04-0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항공영상 기반 도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244751B1 (ko) * 2021-02-09 2021-04-27 주식회사 이쓰리 복원 우선순위 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방법
KR20230001305A (ko) * 2021-06-28 2023-01-04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596476B1 (ko) 2021-06-28 2023-10-31 이원희 필지/폴리곤 경계점 자동 미세조정 방법 및 장치
KR20230046088A (ko) * 2021-09-29 2023-04-05 디토닉 주식회사 결빙 노면 상의 교통 사고 발생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6090A (ko) * 2021-09-29 2023-04-05 디토닉 주식회사 딥러닝 이용 결빙 예측 지역에 대한 교통 사고 위험도 실시간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611726B1 (ko) * 2021-09-29 2023-12-08 디토닉 주식회사 결빙 노면 상의 교통 사고 발생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11727B1 (ko) * 2021-09-29 2023-12-08 디토닉 주식회사 딥러닝 이용 결빙 예측 지역에 대한 교통 사고 위험도 실시간 예측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784B1 (ko)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Hackeloeer et al. Georeferencing: a review of methods and applications
ES236687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actualizar datos cartográficos.
EP2975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oint of interest
CN101833896B (zh) 基于增强现实的地理信息指引方法与系统
US9129163B2 (en) Detecting common geographic features in images based on invariant components
US8896686B2 (en) Determining a geometric parameter from a single image
US8953838B2 (en) Detecting ground geographic features in images based on invariant components
JP5736526B2 (ja) 電子マップに基づく位置検索方法及び装置
US20060041375A1 (en) Automated georeferencing of digitized map images
CN101523157A (zh) 用于产生正射纠正瓦片的方法和设备
US9589259B2 (en) Location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ales and use tax
US8761435B2 (en) Detecting geographic features in images based on invariant components
KR101803598B1 (ko) 클라우드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CN102937452A (zh) 一种基于图像信息码的导航方法、装置和系统
US8805078B2 (en) Methods for digital mapping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190080009A (ko) 차선 정보를 이용한 자동 도화 방법
CN104778190A (zh) 用于取得地图的方法和电子装置
JP201400999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Iheaturu et al. A simplified structure-from-motion photogrammetry approach for urban development analysis
US201503178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o-referencing at least one sensor image
JP6384898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Yoo et al. True orthoimage generation by mutual recovery of occlusion areas
KR101902775B1 (ko) 지도 제작 장치
CN111512120A (zh) 用于显示增强现实poi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