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039B1 -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39B1
KR101000039B1 KR1020100054282A KR20100054282A KR101000039B1 KR 101000039 B1 KR101000039 B1 KR 101000039B1 KR 1020100054282 A KR1020100054282 A KR 1020100054282A KR 20100054282 A KR20100054282 A KR 20100054282A KR 101000039 B1 KR101000039 B1 KR 10100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p
disaster
module
program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관식
정인준
이창경
이석배
심정민
서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Priority to KR102010005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다년간 발생한 재해 관련 정보를 사실감 있는 항공사진에 적용해서 비전문가도 재해상황에 대한 파악이 손쉽도록 된 재해정보지도의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및 재해정보지도에 관한 것으로,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11)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12)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13)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20); 및 검색모듈(20)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Disaster information map}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다년간 발생한 재해 관련 정보를 사실감 있는 항공사진에 적용해서 비전문가도 재해상황에 대한 파악이 손쉽도록 된 재해정보지도의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각종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도 태풍 및 집중호우로 해마다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자연재해의 특징은 재해유형의 복잡화 및 다양화와 더불어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짧은 시간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피해의 대부분이 농어촌 지역에서 발생한다는 점이다.
과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는 소방방재청의 2008년 재난 연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1998 ~ 2007년) 자연재난으로 평균 117명의 인명피해와 1조 9,702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야기하는 자연재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재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총제적인 방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최근 우리나라의 방재정책은 사후 복구 및 관리 위주에서 벗어나, 사전예측, 예보, 대응 중심으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여 각종 재난에 대비하고 있다.
재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사전예측을 위한 과학적인 분석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재해발생 시 재해정보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재해 규모의 조사 분석 및 복구대책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재해관리 및 복구에 있어 최근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홍수재해지도,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및 자연재난 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등을 통하여 재해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재해원인 분석 등을 통하여 각종 재해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작성하고 있는 각종 재해지도는 도 1(양양군에서 제작한 종래 홍수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적인 재해위치와 범위만을 보이는 행정적인 용도로만 제작되고 있고, 도 2(국립방재연구소에서 제작한 종래 홍수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좀 더 상세한 범위를 표기하더라도 재해위치 및 범위 정도만을 보일 뿐 구체적인 정보는 전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재해지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은 이러한 종래 재해지도만으로는 어느 지역이 얼마나 침수피해를 입었는지, 침수지역이 어떠한 곳인지 등을 전혀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비전문가인 일반인도 재해정보에 대한 현실감 있는 이해와 분석이 가능하고, 다양한 재해정보를 일괄적으로 검색해 확인할 수 있는 재해정보지도와,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 및
검색모듈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
을 포함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현실감이 큰 항공사진에 재해흔적이미지를 합성시켜서 일반인도 재해흔적지도를 통해 재해의 범위와 그 위치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각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링크되므로 필요시에는 각 지점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최적의 대피경로, 각종 홍수위에 대한 침수피해 예상지역, 침수흔적도 및 각종 재해관련 속성정보를 표기하여 다목적 재해정보지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축된 다목적 재해정보지도를 바탕으로 자연재해 발생 시 재해 복구를 위한 정량적 피해조사 및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양양군에서 제작한 종래 홍수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
도 2는 국립방재연구소에서 제작한 종래 홍수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재해흔적이미지를 포함하는 지형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6은 재해흔적이미지가 항공사진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7은 구획된 지도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8은 재해흔적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사진에 지적도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2는 상기 재해정보지도에 적용된 피해조사 대상지역 강우빈도별 총침수면적 및 총침수피해율을 보인 표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재해정보지도는 실사를 촬영한 항공사진에 각종 재해정보가 합성되면서 재해 이력 정보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도록 된 것으로,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를 지형도DB(11)에서 검색하고, 이를 항공사진 및 지적도에 순차로 합성해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을 플로차트를 통해 순차로 설명하고, 아울러 제작시스템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제작시스템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다수의 모듈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컴퓨터는 일반적인 PC는 물론 상기 모듈이 연동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S11; 지도검색단계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제작자는 제작시스템의 검색모듈(20)을 이용해 제작 대상이 되는 지도이미지를 DB에서 검색한다.
상기 DB는 지형도DB(11), 항공사진DB(12) 및 지적도DB(13)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정보DB(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형도DB(11)는 각종 지형도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지형도DB(11)가 저장하는 지형도에는 도 5(재해흔적이미지를 포함하는 지형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해흔적이미지가 포함된다.
제작자가 재해정보지도의 제작 대상 지역을 결정하면, 검색모듈(20)은 지형도DB(11)에서 상기 지역에 해당하는 지형도를 검색하고, 더불어 항공사진DB(12)에서 상기 지형도에 대응하는 항공사진을 검색한다.
참고로, 지형도DB(11), 항공사진DB(12) 및 지적도DB(13)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는 동일 지역에 대한 각 DB(11, 12, 13)의 정확한 검색을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구획돼 관리될 수 있다. 도 7(구획된 지도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소천리, 두갈리, 심곡리, 삼공리)에 대한 지도 이미지의 구획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설천면에 대한 지형도, 항공사진 및 지적도는 상기 구획모습에 따라 동일하게 구획돼 관리되면서, 검색모듈(20)은 지형도DB(11), 항공사진DB(12) 및 지적도DB(13)에서 동일 지역의 지도 이미지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다.
S14; 항공사진 합성단계
주지된 바와 같이, 지형도는 지표면의 형태,수계,토지의 이용,취락 및 도로,철도 그 밖의 각종 공작물 등의 배치상황을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나타낸 지도를 말하는 것으로, 항공사진에 준하는 정밀한 지도이다. 따라서, 검색모듈(20)이 지형도DB(11) 및 항공사진DB(12) 각각에서 대상 지역의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검색하면, 맵이미지 합성모듈(30)은 상기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그대로 합성해서 도 6(재해흔적이미지가 항공사진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S15; 이미지 편집단계
맵이미지 합성모듈(30)은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바로 합성할 수도 있고,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다면 이미지 편집모듈(40)에 의한 지도 이미지를 편집한 후 또는 편집하면서 합성할 수도 있다. 이때, 지형도와 항공사진에 차이가 있다면, 이미지 편집모듈(40)은 항공사진을 기준으로 지형도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항공사진DB(12)에 저장되는 항공사진은 GIS 기술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상기 항공사진엔 위치별로 좌표가 적용된다. 따라서 지형도의 편집 이전에 항공사진과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이를 참고로 지형도를 편집해서 항공사진에 합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형도에 적용된 재해흔적이미지는 지형도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재해흔적이미지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한 지형도의 위치가 항공사진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지점의 좌표값을 현장에서 직접 측정해서 이미지 편집모듈(40)에 입력하고, 이미지 편집모듈(40)은 입력된 좌표값에 상응하는 항공사진의 해당 좌표로 재해흔적이미지를 편집하거나, 항공사진과 지형도의 모습을 직접 비교해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의 재해흔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S16; 지적도 합성단계
항공사진에 재해흔적이미지의 적용이 완료되면, 검색모듈(20)은 지적도DB(13)에서 해당 지적도를 검색하고, 맵이미지 합성모듈(30)은 상기 지적도를 상기 항공사진에 합성해서 도 8(재해흔적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사진에 지적도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도시한 재해정보지도를 완성한다.
이때, 합성되는 지적도는 지형도 또는 항공사진을 지번별로 구획해 도화한 것으로, 지번을 구획하는 경계선은 상기 항공사진에 하나의 레이어로 통합돼 합성되거나, 둘 이상의 레이어로서 분리돼 합성될 수 있다. 즉, 전자(前者)의 경우에는 재해흔적이미지가 포함된 항공사진에 지번을 구획한 경계선이 항시 출력되고, 후자(後者)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경계선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S17; 합성이미지 편집단계
항공사진과 지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듯이, 항공사진과 지적도 또한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이가 있는 지점에 대해서는 항공사진을 기준으로 지적도를 편집할 수 있고, 이때 경계선도 아울러 편집한다.
일반적으로, 지번으로 구획된 주택, 농지, 임야 등의 부동산은 실제로도 담, 이동로 등과 같은 경계물로도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편집모듈(40)은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과 실제 경계물을 비교해서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을 실제 경계물을 기준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과정으로 완성된 재해정보지도는 일반인이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항공사진에 재해흔적이미지가 합성되면서, 재해가 발생한 지점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반인도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재해발생 지점 등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므로, 유사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에는 유사시의 피난처가 표기되어서, 주민들이 혼란 없는 신속한 피난을 가능케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 및 제작시스템은 보다 다양한 정보와, 일반인의 재해정보지도 활용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S17'; 합성이미지 편집단계
구분모듈(50)은 재해정보지도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지번을 독립된 구성으로 구분한다. 즉, 재해정보지도에서 지번을 구획하기 위해 지번 둘레를 둘러싸는 경계선은 폐쇄된 공간을 형성시키는데, 구분모듈(50)은 이를 이용해서 각 지번이 독립된 영역으로 인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폐쇄 공간을 구분해 식별하는 기능은 CAD 및 포토샵 등과 같은 주지,관용의 도화용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각종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널리 활용되는 기술로, 여기서는 그 원리에 대한 내용과 소스코드에 대한 예시는 생략한다.
S18; 정보 링크단계
경계선에 의해 구획되고 구분모듈(50)에 의해 구분된 상기 폐쇄 공간은 행정적으로 지정된 지번과, 정량적으로 측량된 면적 및 고도 등과 같은 지리 정보가 있는데, 정보링크모듈(60)은 검색모듈(20)을 통해 정보DB(14)에서 상기 지번 및 지리 정보(이하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해당 폐쇄 공간에 링크시킨다. 따라서, 일반인이 경계선으로 구획된 폐쇄 공간들 중 관심이 가는 한 곳을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이 팝업되면서 해당 폐쇄 공간의 각종 정보가 게시 출력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정보창은 일반인이 선택한 폐쇄 공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할 것이므로, 상기 수단은 상기 정보창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은 재해의 종류가 수해일 경우 침수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재해정보지도에 더 포함할 수 있다.
S12; 등고선 확인단계
주지된 바와 같이, 지형도는 지표면의 고저를 등고선으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에서, 침수량 확인모듈(70)은 지형도를 분석해서 등고선을 확인한다.
침수량 확인모듈(70)은 상기 지형도에 기재된 재해흔적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상기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범위의 대략적인 침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침수량은 등고선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굴곡을 추정하고, 재해흔적이미지 범위 면적을 기준으로 체적을 산출하는 방식이므로, 절대적인 침수량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정량적인 침수량을 일반인에게 제공해서 수해가 발생했던 지역별 침수량을 알게 할 수 있으므로, 재해정보지도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정보DB(14)는 재해흔적이미지 별로 지번, 지목 및 필지 등과 같은 행정 정보와, 재해로 발생한 재산 또는 인명 피해에 관한 피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침수량 확인모듈(70)은 산출한 침수량을 해당 재해흔적이미지 관련 정보에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재해정보지도의 재해흔적이미지를 선택해 정보를 요청한다면, 상기 행정 정보와 피해 정보는 물론, 해당 수해지역의 침수량 등도 확인할 수 있다.
S13; 등고선에 따른 수심차 확인단계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은 일반인의 이해가 용이한 재해정보지도 제작을 위해, 수해 범위를 표시하는 재해흔적이미지를 수심별로 구분해 도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고선 확인단계(S12)에서, 침수량 확인모듈(70)은 지형도를 분석해서 등고선을 확인하고, 이미지편집모듈(40)은 상기 지형도의 재해흔적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등고선을 경계로 재해흔적이미지를 구분 도색할 수 있다.
결국, 일반인은 수심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재해흔적이미지를 통해 항공사진과 더불어 실질적인 현장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재해정보지도의 활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은 시뮬레이션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홍수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기본 이력정보인 하천 유역정보(과거피해사례, 기본홍수량, 계획홍수량, 홍수재해사진, 위험구역 현황정보, 기상개황, 하천시설물 정보) 등이 이력정보DB(15)에 저장되고, 시뮬레이션 모듈(80)은 통상적인 HEC-HM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the hydrologic modeling system) 또는 HEC-RA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the River Analysis System) 등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한 침수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시뮬레이션 모듈(80)은 강우 유출모의를 위해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HEC-HMS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빈도별 홍수량 및 경계홍수량을 결정하고, 각각의 홍수위를 수위-유량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계속해서 시뮬레이션 모듈(80)은 대상지역의 제방 월류 및 파제로 인한 제내지로의 침수 및 2차 확산을 알아보기 위해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와 하천 평면도 및 종,횡단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범람과 제방 월류로 인한 2차원 범람해석 및 범람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정보지도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12는 상기 재해정보지도에 적용된 피해조사 대상지역 강우빈도별 총침수면적 및 총침수피해율을 보인 표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시뮬레이션 모듈(80)은 도 12에서 보인 표의 내용을 토대로 재해흔적이미지를 완성한 후, 이를 항공사진에 적용해서 도 11의 재해정보지도를 완성한다.
이후의 이미지 편집 및 합성이미지 편집 등은 앞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재해정보지도를 최종적으로 완성하기 위한 이후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7)

  1.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11)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12)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13)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20);
    검색모듈(20)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30);
    상기 경계선에 의해 폐쇄된 지번의 영역 이미지가 다른 지번의 영역 이미지와 식별되게 구분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구분모듈(50);
    구분모듈(50)에 의해 구분된 지번별 지목 또는 필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DB(14); 및
    구분모듈(50)에 의해 구분된 폐쇄 공간 선택시 상기 지번, 지목 또는 필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출력되게 상기 폐쇄 공간과 정보DB(14)의 정보를 링크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정보링크모듈(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진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재해흔적이미지와 경계선의 모습을 편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이미지 편집모듈(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11)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12)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13)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20);
    검색모듈(20)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30); 및
    상기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 내 등고선을 확인해서 지표면의 굴곡을 연산하고 재해흔적이미지의 면적을 산출해서 재해흔적이미지의 체적을 산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침수량 확인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6.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11)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12)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13)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20);
    검색모듈(20)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30);
    상기 항공사진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재해흔적이미지와 경계선의 모습을 편집하고, 재해흔적이미지를 등고선을 경계로 도색해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이미지 편집모듈(40); 및
    상기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 내 등고선을 확인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침수량 확인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7. 재해흔적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형도DB(11)와, 좌표가 적용된 항공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사진DB(12)와, 지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지적도DB(13)를 구비한 DB;
    DB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20);
    검색모듈(20)이 DB에서 검색한 동일 지역 이미지에서, 지형도 이미지의 재해흔적이미지와, 항공사진 이미지와, 지적도 이미지의 지번 경계선을 합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맵이미지 합성모듈(30);
    상기 지형도 이미지, 항공사진 이미지 및 지적도 이미지의 대상 지역에 대한 침수량의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DB(15); 및
    이력정보DB(15)에 저장된 침수량의 이력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해서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시뮬레이션 모듈(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00054282A 2010-06-09 2010-06-09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KR10100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82A KR101000039B1 (ko) 2010-06-09 2010-06-09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82A KR101000039B1 (ko) 2010-06-09 2010-06-09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039B1 true KR101000039B1 (ko) 2010-12-10

Family

ID=4351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282A KR101000039B1 (ko) 2010-06-09 2010-06-09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0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76B1 (ko) * 2011-10-06 2012-02-15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완성된 지형이미지의 영상도화를 위한 기준위치별 정밀 도화시스템
KR101113277B1 (ko) 2011-10-06 2012-02-15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하천수의 수위변화에 따른 지형이미지 변화를 적용한 정밀 도화시스템
KR20160106439A (ko)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101689965B1 (ko) * 2015-07-10 2016-12-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침수흔적도 표준모델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784B1 (ko) * 2016-01-19 2017-01-06 한국국토정보공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211482A (zh) * 2019-05-24 2019-09-06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受众的地震应急制图方法
KR102350254B1 (ko)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9A (ja) 2001-12-03 2003-06-13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リアルタイムハザードマップシステム
JP2007087377A (ja) 2005-08-23 2007-04-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防災情報提示装置及び防災情報提供システムとその配信装置
JP4416698B2 (ja) 2004-05-31 2010-02-17 財団法人砂防フロンティア整備推進機構 防災情報管理装置、防災情報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この防災情報管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9A (ja) 2001-12-03 2003-06-13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リアルタイムハザードマップシステム
JP4416698B2 (ja) 2004-05-31 2010-02-17 財団法人砂防フロンティア整備推進機構 防災情報管理装置、防災情報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この防災情報管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087377A (ja) 2005-08-23 2007-04-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防災情報提示装置及び防災情報提供システムとその配信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76B1 (ko) * 2011-10-06 2012-02-15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완성된 지형이미지의 영상도화를 위한 기준위치별 정밀 도화시스템
KR101113277B1 (ko) 2011-10-06 2012-02-15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하천수의 수위변화에 따른 지형이미지 변화를 적용한 정밀 도화시스템
KR20160106439A (ko)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101689794B1 (ko) * 2015-03-02 2016-12-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101689965B1 (ko) * 2015-07-10 2016-12-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침수흔적도 표준모델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784B1 (ko) * 2016-01-19 2017-01-06 한국국토정보공사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국토정보기본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211482A (zh) * 2019-05-24 2019-09-06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受众的地震应急制图方法
CN110211482B (zh) * 2019-05-24 2024-03-26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受众的地震应急制图方法
KR102350254B1 (ko)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039B1 (ko)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Hamdy et al. Analyses the driving forces for urban growth by using IDRISI® Selva models Abouelreesh-Aswan as a case study
Guney et al. Tailoring a geomodel for analyzing an urban skyline
Klouček et al. How does data accuracy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digital viewshed models? A case study with wind turbines
Wang et al. A systematic method to develop three dimensional geometry models of buildings for urban building energy modeling
KR101724801B1 (ko) 토지피복지도의 부분 갱신을 통한 gis기반의 연단위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용 주제도 제작 방법
Maddahi et al. Land suitability analysis for rice cultivation using multi criteria evaluation approach and GIS
Malik et al. Geospatial modeling of the impact of sea level rise on coastal communities: application of Richmond, British Columbia, Canada
Călina et al. Research on the use of aerial scanning for completing a GIS database.
Willenborg et al. Applications of 3D city model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uilt environment
CN115062366A (zh) 园林景观的数字孪生设计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KR101689794B1 (ko)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Yusoff et al. City skyline conservation: sustaining the premier image of Kuala Lumpur
Khayyal et al. Creation and spatial analysis of 3D city modeling based on GIS data
Pyka et al. LiDAR-based method for analysing landmark visibility to pedestrians in cities: case study in Kraków, Poland
Kostrikov et al. Human geography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RU2638638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строения трехмерных моделей городов
Jain GIS-based framework for local spatial planning in hill areas
Ali et al. Predicting the future growth depending on GIS and IDRISI program, city of Najaf-Iraq
Kemec et al. A framework for defining a 3D model in support of risk management
Issa et al. Modeling the environment with remote sensing and GIS: applied case studies from diverse locations of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Gandini et al. Adaptation to flooding events through vulnerability mapping in historic urban areas
Hong et al. Using 3D WebGIS to support the disaster simulation, management and analysis–examples of tsunami and flood
Zohar et al. GIScience Integrated with Computer Vision for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Old Paintings.
Abdurakhmonov et al. Application of GIS technologies in the methods of geodetic work in the mapping of demographic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