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554A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554A
KR20110048554A KR1020117005802A KR20117005802A KR20110048554A KR 20110048554 A KR20110048554 A KR 20110048554A KR 1020117005802 A KR1020117005802 A KR 1020117005802A KR 20117005802 A KR20117005802 A KR 20117005802A KR 20110048554 A KR20110048554 A KR 2011004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s
pole
center
sali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265B1 (ko
Inventor
미노루 타나카
마사히데 오오시마
히로유키 후지사키
Original Assignee
미노루 타나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타나카 filed Critical 미노루 타나카
Publication of KR2011004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2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 H02K21/2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with armatures rotating within the magnets
    • H02K21/3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with armatures rotating within the magnet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면서, 외형 치수의 박형화, 진동량의 향상이 가능한 진동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모터(1)는, 둘레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짝수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계자 자석(2)과, 회전축(7)을 갖음과 함께 그 회전축(7)을 중심으로 비점대칭으로 편재 배치된 중앙 돌극(4) 및 그 중앙 돌극(4)의 양측에 소정 각도(θ)를 벌리고 배치된 한 쌍의 양측 돌극(5, 6)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돌극에 각각 코일(8, 9, 10)을 권회한 전기자 철심(3)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로서, 계자 자석(2)은 전기자 철심(3)의 회전면 내이며 또한 전기자 철심(3)의 선단보다도 지름 방향의 외측 위치에 마련되고, 3개의 돌극은, 중앙 돌극(4)이 하나의 계자 자석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다른 계자 자석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통하여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돌극 편재(偏在) 전기자(電氣子)를 갖는 편평형(扁平型) 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나 페이저 등에는 충전지 등의 직류 전원으로 구동하는 진동(振動)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당해 진동 모터는, 이른바 편평형과 원통형으로 대별되는데, 예를 들면, 편평형의 진동 모터로서는, 특개2006-325384호 공보(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無鐵心) 전동기에 의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진동 모터(10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구멍(131a)을 갖는 보드(131)와, 보드(131)의 상측에서, 다수의 패턴 코일을 가지며, 복수의 층에 적층된 패턴 코일층(138)과, 보드(131)의 이면(裏面)상에 형성되고, 패턴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패턴 코일의 정수(整數)의 배수로 형성된 정류자(133)를 포함하고, 보드(131)는 삽입 구멍(131a)에 대해 편심한 편심형 로터(103)를 갖는 구성을 구비하고, 진동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한편, 편평형의 진동 모터의 다른 방식으로서, 특개2005-185078호 공보(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진동 모터(2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6극의 자극을 착자한 계자 자석(202)과, 회전축(207)을 중심으로 비(非)점대칭으로 편재 배치된 중앙 돌극(204) 및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205, 206)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돌극에 각각 코일을 권회한 전기자 철심(203)을 구비하고, 중앙 돌극(204)에 의한 여자력을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205, 206)의 여자력보다도 크게 구성하고, 또한, 기동시에는 중앙 돌극(204)에 계자 자석(202)과의 대향 자극과 동극(同極)의 자극을 발생시켜서 반발력에 의해 전기자 철심(203)이 회전 가세된다는 구성을 구비하여, 전기자 철심(203)의 질량과 그 불평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특개2006-325384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5-185078호 공보
근래, 휴대 전화기 등의 더한층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휴대 전화기 등의 진동 발생원에 사용되는 진동 모터에도 더한층의 박형화·소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더하여, 진동 모터의 진동량 향상 및 회전 토오크 향상도 요청되고 있다. 단, 그들의 실현을 위해, 제조 비용이 증가하여 버리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면서, 외형 치수의 박형화·소형화가 가능하고, 진동량·회전 토오크의 향상이 가능한,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이 진동 모터는, 둘레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짝수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계자(界磁) 자석과, 회전축을 갖음과 함께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점대칭으로 편재 배치된 중앙 돌극 및 그 중앙 돌극의 양측에 소정 각도를 벌리고 배치된 한 쌍의 양측 돌극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돌극에 각각 코일을 권회한 전기자 철심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로서, 상기 계자 자석은, 상기 전기자 철심의 회전면 내이며 또한 그 전기자 철심의 선단(先端)보다도 지름 방향의 외측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3개의 돌극은, 상기 중앙 돌극이 상기 계자 자석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상기 양측 돌극이 상기 계자 자석의 다른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앙 돌극과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重錘)가 마련되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 박형화, 및 진동량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진동 모터의 전기자 철심 및 중추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진동 모터의 회전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코어 톱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코어 톱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코어 톱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진동 모터의 회전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종래의 실시 형태에 관한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종래의 실시 형태에 관한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진동 모터(100)로 대표되는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는, 특허 문헌 2 기재의 진동 모터(200)로 대표되는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와 비교하여, 전동기 기본 구조의 상위에 기인하여 박형화가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계자 자석, 기판(정류자), 코일, 중추를 마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형 10[㎜]의 예에서는, 축선 방향의 두께가 2.7[㎜] 정도가 한계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는, 특히 휴대 전화기용 진동 모터로서 높은 채용률을 갖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동등한 크기의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와 비교하여 발생 가능한 진동량이 크다는 메리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 등의 더한층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휴대 전화기 등의 진동 발생원에 사용된 진동 모터(1)에는, 더한층의 소형화, 박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종래,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에 의한 진동 모터에 있어서, 외경(지름 방향의 치수)이 10[㎜], 두께(축선 방향의 치수)가 2.7[㎜]의 외형 치수가 실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을 두께 2.0[㎜] 정도까지 박형화하려고 하면, 구조상, 계자 자석 및 코일을 얇다 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회전 토오크가 감소한다. 또한, 중추를 얇게 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진동량이 감소한다. 또한, 계자 자석이 얇아지면 브러시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브러시레스 모터로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브러시레스 모터는 구동 회로가 별도로 필요해지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여 버린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해, 종래의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에 의한 외경 10[㎜], 두께 2.7[㎜]의 진동 모터와 동등한 성능, 동등한 비용을 유지하면서, 더욱 박형인 외경 10[㎜], 두께 2.0[㎜]의 외형 치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에 관해 설명한다. 이것은, 계자 자석(2)이 6극의 자극을 가지며, 정류자(11)가 3상 각 3개소에 구성되는 직류 모터의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개략도로서, 도 1A는 단면도, 도 1B는 평면도이다.
개략 접시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N극, S극을 교대로 착자한 합계 6극의 자극을 갖는 편평한 링형상(개략 원통형상)의 계자 자석(2)이 마련된다.
계자 자석(2)에의 착자는, 정현파 착자 또는 사다리꼴 착자의 어느 하나가 시행된다. 이 계자 자석(2)에는, 페라이트·네오디뮴·철·보론 등을 주성분으로 한 소결 자석, 본드 자석, 또는 플라스틱 마그넷 등이 사용된다. 또한, 진동 모터(1)로서 보다 큰 진동 및 회전 토오크를 얻기 위해서는, 희토류 원소를 주성분으로 한 소결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계자 자석(2)은 둘레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합계 6극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링형상이다. 그러나,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1)에 대응하는 크기면서 또한 착자 방향이 지름 방향인 링형상의 소결 자석을 일체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극, 2극, 또는 3극의 자극을 착자한 소결 자석이, 각각 접착되어 또는 케이스(20)에 접착되어 계자 자석(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6극의 링형상의 계자 자석(2)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예로서, 네오디뮴을 이용하는 본드 자석에 의해, 계자 자석(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본드 자석은, 소결 자석과 비교하여 자석 강도(에너지 곱)가 작은 점이 과제가 된다.
이 점에 관해, 종래의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에 의한 진동 모터에서는, 외경 10[㎜], 두께 2.7[㎜]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에 대응하는 크기면서 또한 링형상의 소결 자석을 계자 자석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계자 자석의 착자 방향이 축선 방향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소결 자석을 이용한 종래의 진동 모터와, 본드 자석을 이용한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1)에서의 회전 토오크를 결정하는 요인의 비교를 표 1에 표시한다. 덧붙여서, 양 자석의 가격은 동등하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표시한, 회전 토오크를 결정하는 상기 요인을 전부 곱한 수치끼리를 비교하면,
종래의 진동 모터 :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1 : 0.936
이 된다. 상기는 하나의 예이지만, 본드 자석을 이용한 경우라도, 표 1에 예시되는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1)는, 표 1에 예시되는 종래의 진동 모터와 동등한 회전 토오크의 발생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소결 자석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1)를 구성하면, 도한층의 회전 토오크의 향상, 또는, 소형화·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전기자 철심(3)에 관해 설명한다. 계자 자석(2)의 지름 방향 안쪽에, 케이스(20) 및 덮개(17)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한 전기자 철심(3)이 배설된다. 이와 같이, 계자 자석(2)은, 전기자 철심(3)의 회전면 내이며 또한 그 전기자 철심(3)의 선단보다도 지름 방향의 외측 위치에 마련되는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기재된 진동 모터(100)와 같이, 코일과 계자 자석이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겹쳐지는 구조와 비교하여, 축선 방향의 치수, 즉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진동량·회전 토오크의 향상이 도모되기 때문에, 종래의 진동 모터와 동등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2.0[㎜] 정도까지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자 철심(3)은, 도 1, 도 2(도 2A는 단면도, 도 2B는 평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돌극(4) 및 당해 중앙 돌극(4)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양측 돌극(5, 6)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돌극을 가지며,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여 비점대칭으로 편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서, 계자 자석(2)과 각 돌극 선단부 사이의 거리(대향 갭)는, 동일 치수이다.
이 전기자 철심(3)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돌극(4)의 중심과,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θ)가, θ=80[°]로 설정되어 배치된다. 당해 각도는, 3개의 돌극에 관해, 중앙 돌극(4)이 계자 자석(2)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계자 자석(2)의 다른 자극(여기서는 상기1의 자극에 양측에서 인접하는 각 자극이다)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게 되어, 정지 위치에 의해 기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자 철심(3)을 회전 가세하는데 알맞는 각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자 자석(2)의 자극이 6극이기 때문에, 전류의 1주기가 120[°]가 된다. 또한, 전류는 U, V, W의 3상(相)이기 때문에, 3가지의 타이밍이 있고 각각 위상이 40[°] 어긋나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앙 돌극(4)이 계자 자석(2)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40[°] 어긋나기 때문에, 계자 자석(2)의 자극 사이(N극과 S극의 극 사이)의 위치로부터 10[°] 어긋내여 양측 돌극(5, 6)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양측 돌극(5, 6)을 중앙 돌극(4)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마련하면, θ=80[°] 또는 100[°]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단, 자장(磁場) 해석의 결과, θ=100[°]에서는 자속의 흐름이 맞지 않고, θ=80[°]이 알맞게 된다.
여기서, 중앙 돌극(4), 양측 돌극(5, 6)의 각 돌극은, 코어 본체(4a, 5a, 6a)의 지름 방향 선단부에, 각각 코어 톱(4b, 5b, 6b)이 연결 고정되고 형성된다. 또한, 연결 고정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한 예로서,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중앙 돌극(4)의 코어 본체(4a) 및 양측 돌극(5, 6)의 코어 본체(5a, 6a)에는, 각각 코일(8, 9, 10)이 권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8, 9, 10)의 코일 직경 및 권수(卷數)는 동일하게 하고 있다.
한편, 코어 톱(4b, 5b, 6b)은, 코어 본체(4a, 5a, 6a)보다도 둘레방향의 치수 및 축선 방향의 치수가 크게 형성된다. 한 예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그리는 곡판(曲板)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따라 계자 자석(2)과의 대향면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유효 자속을 크게할 수 있고, 모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경이 10[㎜], 두께가 2.0[㎜] 정도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1)에서는, 코어 본체(4a, 5a, 6a) 상호간의 간극(슬롯), 나아가서는 그 입구가 되는 코어 톱(4b, 5b, 6b) 상호간의 간극이, 매우 좁아지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가령 양자(코어 본체 및 코어 톱)이 일체 형성인 경우에는, 코일(8, 9, 10)을 이른바 「정렬밀착권(整列密着卷)」 방식에 의해 권회(기계 감기)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극히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체 형성되는 코어 본체(4a, 5a, 6a)에 대해, 코어 톱(4b, 5b, 6b)을 별도 부재로서 구성함에 의해, 코어 톱(4b, 5b, 6b)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 본체(4a, 5a, 6a)에 코일(8, 9, 10)을 각각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코일(8, 9, 10)을 「정렬밀착권」 방식에 의해 코어 톱(4b, 5b, 6b)에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진동 모터(1)의 회전 토오크 향상이 가능해진다. 그 때, 코일(8, 9, 10)의 권회를 사람손에 의한 「손 감기」가 아니라, 기계 장치에 의한 「기계 감기」로 실시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도 억제된다. 물론, 코어 본체(4a, 5a, 6a)의 일체 형성도 비용 증가가의 억제에 유효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가 마련된다(도 1, 도 2 참조). 중추(21)는, 전기자 철심(3)과 일체로 회전함에 의해, 진동 모터(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작용이 생긴다. 즉, 회전하는 전기자 철심(3)의 질량 중심(重心)을, 회전축(7)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진동 작용을 얻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자 철심(3)은 질량 중심이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에서도, 회전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지만, 가령, 중앙 돌극(4)의 지름 방향 선단부에 중추(21)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면, 질량 중심 위치를 회전축(7)의 중심부터 중앙 돌극(4)의 지름 방향 선단부 근처로 더욱 편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중앙 돌극(4)의 선단부에 중추(21)를 마련하는 방법에서는, 회전 토오크를 저하시키지 않고, 즉, 코일(8)의 권수를 줄이지 않고, 큰 중추(21)를 중앙 돌극(4)의 선단부에 형성하는데는, 촌법상의 제약이 엄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를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한다(도 1 등 참조). 질량 중심이 회전축(7)에 대해 중앙 돌극(4)의 지름 방향 선단부 근처에 편심하고 있는 전기자 철심(3)에 있어서, 중추(21)를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은, 통상, 편심 상태를 해소하여, 질량 중심과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즉, 진동량을 저하시키는 구성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연구 개발의 결과,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최대한 활용하고 중추(21)를 마련함에 의해, 중추(21)를 중앙 돌극(4)의 선단부 근처에 마련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질량 중심을 회전 중심(회전축(7))으로부터 보다 한층, 지름 방향 원방에 편심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고안되었다. 그 결과, 종래의 특허 문헌 2 기재의 진동 모터(200), 나아가서는, 당해 진동 모터의 중앙 돌극 선단부에 중추를 마련한 구성의 진동 모터 등과 비교하여도, 보다 한층 강력한 진동량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상세는 후술).
환언하면, 그들 종래의 진동 모터와 동등한 진동량을 확보하면서, 그들보다도 박형화·소형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진동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중추(21)를 공간부 내에서 최대화함과 함께, 보다 비중의 큰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알맞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추(21)는, 전기자 철심(3)을 구성하는 자성 재료보다도 비중의 큰 금속재료 또는 금속 합금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자 철심(3)의 질량 불평형, 즉, 전기자 철심(3)의 질량 중심과 회전축(7)과의 거리를 보다 한층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 철심(3)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동량을 보다 한층 강력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당해 금속재료 또는 금속 합금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 청동, 황동, 몰리브덴, 또는 그들의 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되는데 특히, 비중이 큰 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전기자 철심(3)의 질량 불평형을 크게 하는 관점에서 알맞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진동량 향상의 효과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전기자 철심(3)의 축방향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즉 진동 모터(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실현하고, 또한, 전기자 철심(3)을 지름 방향으로 확경하는 일 없이, 즉 진동 모터(1)의 외경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실현하고, 더하여, 코일 권회 스페이스를 축소하는 일 없이, 즉 코일 여자력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실현하고 있는 점에서 매우 큰 효과를 이루는 것이다. 그들의 상승 효과로서, 외형 치수의 박형화·소형화, 및 진동량·회전 토오크의 향상이 가능한,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종래의 진동 모터와,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1)에서의 진동량의 비교를 표 2에 표시한다. 또한, 모터 회전수가 같은 경우에는, 편중(偏重)의 양을 비교함에 의해, 진동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편중의 양의 계산은, 중추의 형상을 블록화하고, 각 블록의 중량과 중심(重心)을 산출하고, 당해 중량에 회전축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를 곱하고, 그들의 총합으로서 전체의 편중의 양을 산출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2
상기 표 2로부터, 두께 2.0[㎜]의 진동 모터를 실현함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는, 종래의 편심형 로터 무철심 전동기를 브러시레스화 하여 두께 2.0[㎜]의 진동 모터를 달성하는 것보다도, 큰 진동량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비용면에서도 유리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전기적인 접속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전기자 철심(3)에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형의 정류자(11)가 접속된다. 정류자(11)에는, 절연판(12)의 일방면상에 프린트 배선에 의해 형성된 개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9(U, V, W의 3상이 각 3개)개의 세그먼트(13)가 원주상에 정렬 배치되어 있다. 세그먼트(13)에는 단자부(14)가 형성되고, 소정의 단자부(14)에 상술한 3개의 코일(8, 9, 10)의 시단(始端) 및 종단(終端)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상(同相)의 세그먼트(13)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류자(11)는 편평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의 채용도 생각된다.
정류자(11)의 세그먼트(13)에는, 180[°]의 벌림(開) 각도로 배설한 한 쌍의 브러시(18)가 활주접촉하고 있다. 이 브러시(18)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다. 브러시(18)의 기단(起端)은, 덮개(17)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 덮개(17)는, 전술한 케이스(20)에 피관(被冠)된다. 또한, 브러시(18)의 기단은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통하여 직류 전원에 접속된다.
다음에, 구성 부재의 고정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9)가 마련되고, 홀더(19)에, 전기자 철심(3), 중추(21), 정류자 부착 기판(16)(정류자(11)이 표면에 마련된 기판이다)이, 각각 고정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단체(單體)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홀더(19)에, 전기자 철심(3)(여기서는, 일체로 형성된 코어 본체(4a, 5a, 6a))를 넣어서, 정류자부 기판(16)으로 끼워 넣고, 홀더(19)의 핀형상부(19a)를 열변형시켜서 코킹함에 의해, 그것들을 일체로 고정한다. 뒤이어, 전기자 철심(3)(여기서는, 코어 본체(4a, 5a, 6a))에 코일(8, 9, 10)을 권회한 후, 코어 본체(4a, 5a, 6a)에 코어 톱(4b, 5b, 6b)을 레이저 용접 등으로 고정하고, 뒤이어, 중추(21)를 홀더(19)의 핀형상부(19a)에 코킹하여 고정한다. 그 후, 코일(8, 9, 10)의 시단 및 종단이, 단자부(14)에 솔더링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킹에 대신하여, 또는 코킹과 함께, 접착에 의한 고정을 행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종래의 진동 모터(200)와 같이, 전기자 철심(3)을 홀더(19)에 인서트 성형하는 경우 등에 비하여, 진동 모터(1)의 제조가 용이, 또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20)와 덮개(17)에 의해 회전축(7)을 고정하고, 홀더(19)가 회전축(7)의 축받이를 겸용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용의 축받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정류자(11)의 내경을 작게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진동 모터(1)는, 전기자 철심(3)의 극 수가 적기 때문에, 수천 내지 1만수천[rpm]의 회전수를 얻을 수 있고, 이 회전에 의해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철심 전동기는 무철심 전동기와 비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지만, 결점으로서 토오크 리플이 크다. 즉, 무철심 전동기는 회전 토오크가 거의 일정하지만, 철심 전동기는 평균 기동 토오크는 커도, 토오크 리플의 저부(低部)에서는 기동 토오크(최저 기동 토오크)가 작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통상은 각 돌극의 코어 톱의 둘레방향 폭을 계자 자석의 자극의 둘레방향 폭과 동등한 길이 또는 작게 형성하고 대응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 코어 톱(4b, 5b, 6b)의 둘레방향 폭을, 계자 자석(2)의 자극의 둘레방향 폭보다도 5 내지 15[°] 크게 형성하여도 좋다(도시 생략). 이에 의해, 토오크 리플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평균 기동 토오크는 다소 감소하지만, 최저 기동 토오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동 토오크 향상의 관점에서, 계자 자석(2)의 자극의 중심(中心)과 중앙 돌극(4)의 자기적 중심과의 사이에 차(差)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양측 돌극의 자기적 중심을 좌우에서 다르게 함에 의해, 양자의 중심에 차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벌림 각도를 좌우에서 비대칭으로 형성함에 의해, 양측 돌극(5, 6)의 자기적 중심을 변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돌극의 자기적 중심을 좌우에서 다르게 함에 의해, 계자 자석(2)의 자극의 중심에 대한 중앙 돌극(4)의 자기적 중심이 변위하기 때문에, 큰 반발력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기동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표 3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가 달성하고 있는 성능의 수치 데이터의 한 예를 나타냄에 의해, 그 유효성을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편심형 로터를 갖는 무철심 전동기에 의한 진동 모터와 비교하고, 박형화를 달성하고 나서, 동등한 정도까지의 진동량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에 있어서, 0.7[㎜]의 박형화는 극 현저한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환언하면, 같은 외형 치수라면, 보다 큰 진동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3돌극 편재 전기자 편평형 철심 전동기에 의한 진동 모터와 비교하여, 박형화를 달성하고 나서, 진동량의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표중의 수치는, 본 발명이 달성할 수 있는 한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표 3)
Figure pct00003
일반적으로, 외형(두께)을 얇게 할수록, 회전 토오크 및 진동량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 과제의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진동 모터(1)가 탑재되는 휴대 전화 등에 조립되는 소형 반도체 칩의 높이(두께)의 최저 두께가 2.3[㎜]인 경우에, 진동 모터(1)의 두께를 2.2[㎜]까지 대형화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두께가 2.0[㎜]인 구성에 비하여, 더욱 회전 토오크를 크게할 수 있고, 또한 중추(21)도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량도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표 3 참조).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돌극(4)의 중심과,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θ)가, 80[°]<θ<90[°]로 설정되어 배치된다. 이 때, 도 4(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정면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양측 돌극(5, 6)의 코어 톱(5b, 6b)은, 상기 중앙 돌극에 가까운 위치의 단부가 지름 방향 또는 축선 방향으로 육후(肉厚)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는 양측 돌극(5)을 예로 들어서 도시한 것이고, 양측 돌극(6)은 이것과 대칭형으로 생각하면 좋다(도시 생략).
이 구성에 의해, 양측 돌극(5, 6)의 자극 중심이, 각각의 돌극의 중심선보다도 둘레방향에서의 중앙 돌극(4) 가까이가 되는 작용이 생긴다. 즉, 전술한 제 1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θ=80[°]가 이상적이지만, 80[°]<θ<90[°]로 설정하면서, 양측 돌극(5, 6)의 자극 중심을 θ=80[°]와 등가의 위치로 할 수 있다. 게다가, 80[°]<θ<90[°]인 구조는, θ=80[°]의 경우와 비교하여 슬롯이 넓게 되기 때문에, 코어 본체(4a, 5a, 6a)에 코일(8, 9, 10)을 권회하는 작업을 기계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양측 돌극(5, 6)의 코어 톱(5b, 6b)의 변형례를 도 5(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정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중앙 돌극(4)에 먼 위치의 단부가 지름 방향 또는 축선 방향으로 육박(肉薄)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례를 도 6(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정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중앙 돌극(4)에 가까운 위치의 단부를 둘레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고, 중앙 돌극(4)에 먼 위치의 단부를 둘레방향에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그들을 동시에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도 5, 도 6은 양측 돌극(5)를 예로 들어서 도시한 것이고, 양측 돌극(6)은 이것과 대칭형으로 생각하면 좋다(도시 생략).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에 관해 설명한다. 이것은, 계자 자석(2)이 8극의 자극을 가지며, 정류자(11)가 3상 각 4개소로 구성되는 직류 모터의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개략도로서, 도 7A는 단면도, 도 7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종래, 실현되고 있는 외경이 10[㎜], 두께가 2.7[㎜]의 진동 모터와 비교하여, 더욱 박형인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략 접시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N극, S극을 교대로 착자한 합계 8극의 자극을 갖는 편평한 링형상(개략 원통형상)의 계자 자석(2)이 마련된다.
그러나,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1)에 대응하는 링형상의 소결 자석을 일체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극, 2극, 또는 4극의 자극을 착자한 소결 자석이, 각각 접착되어 또는 케이스(20)에 접착되어 계자 자석(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8극의 링형상의 계자 자석(2)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예로서, 네오디뮴을 이용하는 본드 자석에 의해, 계자 자석(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자 철심(3)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돌극(4)의 중심과,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θ)가, θ=105[°]로 설정되어 배치된다. 당해 각도는, 3개의 돌극에 관해, 중앙 돌극(4)이 계자 자석(2)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계자 자석(2)의 다른 자극(여기서는 상기 1하나 자극부터 2번째의 각 자극이다)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된 것이 되고, 정지 위치에 의해 기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자 철심(3)을 회전 가세하는데 알맞는 각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본체(4a, 5a, 6a) 상호간의 간극(슬롯), 나아가서는 그 입구가 되는 코어 톱(4b, 5b, 6b) 상호간의 간극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고,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코어 본체(4a, 5a, 6a)와 코어 톱(4b, 5b, 6b)을 일체 형성하여도, 코일(8, 9, 10)을 이른바 「정렬밀착권」 방식에 의해 권회(기계 감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전기자 철심(3)(코일(8, 9, 10)의 권회 전(前))을 프레스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생산성의 향상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가 마련된다(도 7B 참조). 중추(21)의 작용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크기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중추(21)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다음에, 전기자 철심(3)에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형의 정류자(11)가 접속된다. 정류자(11)에는, 절연판(12)의 일방면상에 프린트 배선에 의해 형성된 개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12개(U, V, W의 3상이 각 4개)의 세그먼트(13)가 원주상에 정렬 배치되어 있다. 세그먼트(13)에는 단자부(14)가 형성되고, 소정의 단자부(14)에 상술한 3개의 코일(8, 9, 10)의 시단 및 종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상의 세그먼트(13)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자(11)의 세그먼트(13)에 활주접촉하는 한 쌍의 브러시(18)의 벌림 각도는, 135[°](협각측)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에 관해 설명한다. 이것은, 계자 자석(2)이 4극의 자극을 가지며, 정류자(11)가 3상 각 2개소에 구성되는 직류 모터의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개략도로서, 도 9A는 단면도, 도 9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종래, 실현되고 있는 외경이 10[㎜], 두께가 2.7[㎜]의 진동 모터와 비교하여, 더욱 박형인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략 접시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N극, S극을 교대로 착자한 합계 4극의 자극을 갖는 편평한 링형상(개략 원통형상)의 계자 자석(2)이 마련된다.
그러나,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1)에 대응하는 링형상의 소결 자석을 일체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극, 또는 2극의 자극을 착자한 소결 자석이, 각각 접착되어 또는 케이스(20)에 접착되어 계자 자석(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4극의 링형상의 계자 자석(2)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예로서, 네오디뮴을 이용하는 본드 자석에 의해, 계자 자석(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자 철심(3)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돌극(4)의 중심과,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θ)가, θ=105[°]로 설정되어 배치된다. 당해 각도는, 3개의 돌극에 관해, 중앙 돌극(4)이 계자 자석(2)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계자 자석(2)의 다른 자극(여기서는 상기 하나의 자극에 양측에서 인접하는 각 자극이다)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되고, 정지 위치에 의해 기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자 철심(3)을 회전 가세하는데 알맞는 각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본체(4a, 5a, 6a) 상호간의 간극(슬롯), 나아가서는 그 입구가 되는 코어 톱(4b, 5b, 6b) 상호간의 간극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코어 본체(4a, 5a, 6a)와 코어 톱(4b, 5b, 6b)을 일체 형성하여도, 코일(8, 9, 10)을 이른바 「정렬밀착권」 방식에 의해 권회(기계 감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전기자 철심(3)(코일(8, 9, 10)의 권회 전(前))을 프레스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생산성의 향상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가 마련된다(도 9B 참조). 중추(21)의 작용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크기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중추(21)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다음에, 전기자 철심(3)에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형의 정류자(11)가 접속된다. 정류자(11)에는, 절연판(12)의 일방면상에 프린트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새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6개(U, V, W의 3상이 각 2개)의 세그먼트(13)가 원주상에 정렬 배치되어 있다. 세그먼트(13)에는 단자부(14)가 형성되고, 소정의 단자부(14)에 상술한 3개의 코일(8, 9, 10)의 시단 및 종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상의 세그먼트(13)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자(11)의 세그먼트(13)에 활주접촉하는 한 쌍의 브러시(18)의 벌림 각도는, 90[°](협각측)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다(도 10A는 단면도, 도 10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는, 상기의 제 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변형례이다.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선(5c, 6c)이 중앙 돌극(4)의 중심부터 θ=105[°]의 선에 대해 평행면서 또한 중앙 돌극(4) 가까이가 되는 배치이다.
이에 의하면, 제 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와 비교하여, 중추(21)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에 관해 설명한다. 이것은, 계자 자석(2)이 2극의 자극을 가지며, 정류자(11)가 3상 각 1개소에 구성되는 직류 모터의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개략도로서, 도 11A는 단면도, 도 11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종래, 실현되어 있는 외경이 10[㎜], 두께가 2.7[㎜]의 진동 모터와 비교하고, 더욱 박형인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략 접시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N극, S극을 교대로 착자한 합계 2극의 자극을 갖는 편평한 링형상(개략 원통형상)의 계자 자석(2)이 배설된다. 제 1의 실시 형태와 달리, 계자 자석(2)이 2극인 경우에는, 외경이 10[㎜], 두께가 2.0[㎜]의 외형 치수의 진동 모터(1)에 대응하는 링형상의 소결 자석을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링의 내측에 착자 치구를 넣어서 착자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예로서, 네오디뮴을 이용하는 본드 자석에 의해, 계자 자석(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자 철심(3)은,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선(5c, 6c)이 중앙 돌극(4)의 중심부터 θ=115[°]의 선에 대해 평행면서 또한 중앙 돌극(4) 가까이가 되는 배치이다. 당해 배치는, 3개의 돌극에 관해, 중앙 돌극(4)이 계자 자석(2)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양측 돌극(5, 6)이 계자 자석(2)의 다른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되고, 정지 위치에 의해 기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자 철심(3)을 회전 가세하는데 알맞는 각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본체(4a, 5a, 6a) 상호간의 간극(슬롯), 나아가서는 그 입구가 되는 코어 톱(4b, 5b, 6b) 상호간의 간극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코어 본체(4a, 5a, 6a)와 코어 톱(4b, 5b, 6b)을 일체 형성하여도, 코일(8, 9, 10)을 이른바 「정렬밀착권」 방식에 의해 권회(기계 감기)한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전기자 철심(3)(코일(8, 9, 10)의 권회 전)을 프레스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생산성의 향상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21)가 마련된다(도 11B 참조). 중추(21)의 작용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 중앙 돌극(4)과 회전축(7)을 끼우고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크기가,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중추(21)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다음에, 전기자 철심(3)에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형의 정류자(11)가 접속된다. 정류자(11)에는, 절연판(12)의 일방면상에 프린트 배선에 의해 형성된 개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3개(U, V, W의 3상이 각 1개)의 세그먼트(13)가 원주상에 정렬 배치되어 있다. 세그먼트(13)에는 단자부(14)가 형성되고, 소정의 단자부(14)에 상술한 3개의 코일(8, 9, 10)의 시단 및 종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상의 세그먼트(13) 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자(11)의 세그먼트(13)에 활주접촉하는 한 쌍의 브러시(18)의 벌림 각도는, 180[°]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회전 동작을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도 3A와 같이 중앙 돌극(4)의 둘레방향 중심과, 대향하는 자극(여기서는 도면중 최상부의 N극)의 둘레방향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덧붙여서, θ=80[°]이다.
동 도 3A와 같이, 진동 모터(1)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각 코일(8, 9, 10)에 통전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각 코일에 정류자(11)를 통하여 통전함에 의해, 한쪽의 양측 돌극(5)에는 S극,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N극이 여자된다. 단, 이 위치에서는, 코일(8)에는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중앙 돌극(4)에는 자극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된 S극이, 계자 자석(2)의 부근의 S극과 반발함과 함께 부근의 N극에 흡인되고, 또한,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된 N극이, 계자 자석(2)의 부근의 N극과 반발함과 함께 부근의 S극에 흡인됨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은 화살표의 시계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동 모터(1)가 기동한다.
또한, 각 도면중에 있어서의 각 브러시(18) 선단의 해칭한 개소가 정류자(11)와의 접촉부이다.
기동 직후의 상태를 도 3B에 도시한다. 동 도면은, 전기자 철심(3)이 기점부터 5[°] 회전한 위치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중앙 돌극(4)에는 자극(N극)이 여자된다. 또한, 양측 돌극(5, 6)의 자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또한, 태선 화살표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크고, 세선 화살표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나타낸다(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20[°] 회전한 상태를 도 3C에 도시한다.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자극은 여자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회전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뒤이어,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20[°] 회전한 직후의 상태를 도 3D에 도시한다(25[°]의 위치에서 도시).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정류자(11)(세그먼트(13))에 의해 코일(10)에 통전한 전류의 방향이 20°회전하기 직전의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이 S극에 여자된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40[°] 회전한 상태를 도 3E에 도시한다.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는 자극은 여자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는 회전력이 생기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뒤이어,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40[°] 회전한 직후의 상태를 도 3F에 도시한다(45[°]의 위치에서 도시).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정류자(11)(세그먼트(13))에 의해 코일(9)에 통전하는 전류의 방향이 40[°] 회전하기 직전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한쪽의 양측 돌극(5)이 N극에 여자된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이후, 정류자(11)의 9개의 세그먼트(13)에 의해 20[°]의 회전각마다 각 코일(8, 9, 10)에의 통전 방향을 적절하게 전환함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의 각 돌극은 계자 자석(2)의 자극에 대해 반발과 흡인을 반복하여 회전 가세된다. 그리고, 각 코일(8, 9, 10)에의 통전을 정지하면, 각 돌극(4, 5, 6)의 자극이 소자하여 전기자 철심(3)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경우는, 상기 설명의 도중 위치에서의 각 돌극의 자극과 계자 자석(2)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기동력으로서 생각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한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회전 동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생각하면 좋다.
즉, 중앙 돌극(4)의 중심과 좌우 한 쌍의 양측 돌극(5, 6)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θ) 은 80[°]<θ<90[°]로 되어 있지만, 양측 돌극(5, 6)에 생기는 자극 중심이 θ=80[°]와 등가가 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 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모터(1)의 회전 동작을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중앙 돌극(4)의 둘레방향 중심과, 대향하는 자극(여기서는 도면중 최상부의 N극)의 둘레방향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덧붙여서, θ=105[°]이다.
동 도 8A와 같이, 진동 모터(1)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각 코일(8, 9, 10)에 통전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각 코일에 정류자(11)를 통하여 통전함에 의해, 중앙 돌극(4)에는 N극, 한쪽의 양측 돌극(5)에는 N극이 여자된다. 단, 이 위치에서는, 코일(10)에는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자극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된 N극이, 계자 자석(2)의 부근의 N극과 반발함과 함께 부근의 S극에 흡인됨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은 화살표의 시계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동 모터(1)가 기동한다. 또한, 이 위치에서는, 중앙 돌극(4) 및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회전력(기동력)이 생기지 않는다.
여기서, 각 도면중에서의 각 브러시(18) 선단의 해칭한 개소가 정류자(11)와의 접촉부이다.
기동 직후의 상태를 도 8B에 도시한다. 동 도면은, 전기자 철심(3)이 기점부터 8[°]
회전한 위치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 및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N극이 여자된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한쪽의 양측 돌극(5)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 때,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N극은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기 때문에, 전기자 철심(3)의 회전 방향(여기서는 시계 방향)과 역방향(여기서는 반시계 방향)에 회전력이 생긴다. 여기서, 각 돌극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표시한 화살표는, 태선 화살표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크고, 세선 화살표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 즉, 상대적으로 큰 중앙 돌극(4)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한쪽의 양측 돌극(5)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회전력(반시계 방향)과의 총합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세되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덧붙여서, 회전력의 차는, 각 코일(8, 9, 10)에 흐른 전류의 차, 대향하는 자극과의 위치 관계 등에 기인하여 생기는 것이다.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15[°] 회전한 상태를 도 8C에 도시한다.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는 자극은 여자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 때, 한쪽의 양측 돌극(5) 및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회전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뒤이어,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15[°] 회전한 직후의 상태를 도 8D에 도시한다(23[°]의 위치에서 도시). 이 때, 중앙 돌극(4)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정류자(11)(세그먼트(13))에 의해 코일(9)에 통전하는 전류의 방향이 15[°] 회전하기 직전의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한쪽의 양측 돌극(5)이 S극에 여자된다. 이에 의해, 중앙 돌극(4)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 때, 한쪽의 양측 돌극(5)의 S극은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기 때문에, 전기자 철심(3)의 회전 방향(여기서는 시계 방향)과 역방향(여기서는 반시계 방향)에 회전력이 생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 돌극(4)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큰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한쪽의 양측 돌극(5)의 회전력(반시계 방향)과의 총합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세되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30[°] 회전한 상태를 도 8E에 도시한다. 이 때, 중앙 돌극(4)에는 자극은 여자되지 않는다.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 때, 중앙 돌극(4) 및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는 회전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자 철심(3)은 또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뒤이어, 기점부터 전기자 철심(3)이 30[°] 회전한 직후의 상태를 도 8F에 도시한다(38[°]의 위치에서 도시). 이 때, 한쪽의 양측 돌극(5)에 여자되는 자극(S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에 여자되는 자극(N극)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정류자(11)(세그먼트(13))에 의해 코일(8)에 통전하는 전류의 방향이 30[°] 회전하기 직전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중앙 돌극(4)이 S극에 여자된다. 이에 의해, 한쪽의 양측 돌극(5)의 S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N극은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전방에 있는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회전 가세된다.
이 때, 중앙 돌극(4)의 S극은 회전 방향 전방의 계자 자석(2)의 S극에 의한 반발력을 받고, 회전 방향 후방의 계자 자석(2)의 N극에 의한 흡인력을 받기 때문에, 전기자 철심(3)의 회전 방향(여기서는 시계 방향)과 역방향(여기서는 반시계 방향)에 회전력이 생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큰 한쪽의 양측 돌극(5)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다른쪽의 양측 돌극(6)의 회전력(시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 돌극(4)의 회전력(반시계 방향)과의 총합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세되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이후, 정류자(11)의 12개의 세그먼트(13)에 의해 15[°]의 회전각마다 각 코일(8, 9, 10)에의 통전 방향을 적절하게 전환함에 의해, 전기자 철심(3)의 각 돌극에는 계자 자석(2)의 자극에 대해 반발력·흡인력이 생긴다. 그들의 총합을 회전력으로 하여, 전기자 철심(3)은 일정 방향(여기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세된다. 그리고, 각 코일(8, 9, 10)에의 통전을 정지하면, 각 돌극(4, 5, 6)의 자극이 소자하여 전기자 철심(3)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경우는, 상기 설명의 도중 위치에서의 각 돌극의 자극과 계자 자석(2)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기동력으로서 생각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모터(1)에 의하면, 3돌극 편재 전기자를 갖는 편평형 철심 전동기를 이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비용 증가가를 억제하면서, 외형 치수의 박형화·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진동량·회전 토오크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례로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계자 자석의 자극수는 2극, 4극, 6극, 8극으로 한정되지 않고, 10극(정류자는 3상 각 5개소), 12극(정류자는 3상 각 6개소), …와 같이 적용 가능하다.

Claims (12)

  1. 둘레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짝수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계자 자석과, 회전축을 갖음과 함께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점대칭으로 편재 배치된 중앙 돌극 및 그 중앙 돌극의 양측에 소정 각도를 벌리고 배치된 한 쌍의 양측 돌극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돌극에 각각 코일을 권회한 전기자 철심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로서,
    상기 계자 자석은, 상기 전기자 철심의 회전면 내이며 또한 그 전기자 철심의 선단보다도 지름 방향의 외측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3개의 돌극은, 상기 중앙 돌극이 상기 계자 자석의 하나의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일치할 때에, 상기 양측 돌극이 상기 계자 자석의 다른 자극에 대해 자극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앙 돌극과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지름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중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돌극은 각각, 코어 본체와,
    그 코어 본체의 지름 방향 선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그 코어 본체보다도 둘레방향의 치수가 큰 코어 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자 자석의 자극은, 6극의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80°보다) 크고 90°보다 작고,
    상기 양측 돌극의 코어 톱은, 상기 중앙 돌극에 가까운 위치의 단부가 지름 방향 또는 축선 방향에 육후형상으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중앙 돌극에 먼 위치의 단부가 지름 방향 또는 축선 방향에 육박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80°보다 크고 90°보다 작고,
    상기 양측 돌극의 코어 톱은, 상기 중앙 돌극에 가까운 위치의 단부가 둘레방향에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 돌극에 먼 위치의 단부가 둘레방향에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자 자석의 자극은, 8극의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름 방향의 치수가 10㎜ 이하이며, 또한 축선 방향의 치수가 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자 자석은, 1극, 2극, 3극, 또는 4극의 어느 하나의 자극을 착자한 소결 자석이, 각각 접착되어 또는 케이스에 접착되고 착자 방향이 지름 방향인 복수의 자극을 갖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추는, 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 자유롭게 외감(外嵌)되는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중추 및 정류자 부착 기판이 고정됨과 함께, 그 홀더와 그 정류자 부착 기판의 끼워 넣음에 의해 상기 전기자 철심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은, 케이스 및 그 케이스에 피관되는 덮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KR1020117005802A 2008-09-12 2009-08-20 진동 모터 KR101056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4507 2008-09-12
JPJP-P-2008-234507 2008-09-12
PCT/JP2009/064563 WO2010029837A1 (ja) 2008-09-12 2009-08-20 振動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554A true KR20110048554A (ko) 2011-05-11
KR101056265B1 KR101056265B1 (ko) 2011-08-11

Family

ID=4200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802A KR101056265B1 (ko) 2008-09-12 2009-08-20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4722225B2 (ko)
KR (1) KR101056265B1 (ko)
CN (1) CN102149482B (ko)
WO (1) WO2010029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4532A (ja) * 2010-04-28 2011-11-17 Nidec Seimitsu Corp 扁平形振動モータ
CN102005852B (zh) * 2010-12-08 2012-10-03 沈阳工业大学 一种用于径向磁通电动机噪声与振动抑制的装置
CN109802546A (zh) * 2019-03-07 2019-05-24 王旭东 往复摆动电机及电动牙刷
FR3093934B1 (fr) * 2019-03-20 2022-05-06 Exel Ind Système de mise en mouvement d’une buse d’application d’un produit
DE102019108093A1 (de) * 2019-03-28 2020-10-0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ibration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6240A (zh) * 1997-07-04 1999-01-27 东京零件工业股份有限公司 加大重心移动的扁平无铁心振动电机
CN1367569A (zh) * 2001-01-24 2002-09-04 日本胜利株式会社 振动型无刷电动机
JP3339501B2 (ja) * 2001-03-02 2002-10-28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扁平なコアード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3164804A (ja) * 2001-11-30 2003-06-10 Hosiden Corp 振動モータ
JP4332024B2 (ja) * 2003-12-24 2009-09-16 有限会社オー・プランニング 振動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94010A (ja) 2010-04-22
CN102149482B (zh) 2013-03-27
WO2010029837A1 (ja) 2010-03-18
JPWO2010029837A1 (ja) 2012-02-02
CN102149482A (zh) 2011-08-10
JP4722225B2 (ja) 2011-07-13
KR101056265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6492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
KR101056265B1 (ko) 진동 모터
JP4728765B2 (ja) 回転機
JPH11146617A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構造
KR20030003717A (ko) 편평형 진동모터
EP1202430A1 (en) Brushless motor
US6700250B2 (en) Vibration motor
JP5277743B2 (ja) 回転電機
KR100283495B1 (ko) 사각형 진동모터
KR100377562B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JP4332024B2 (ja) 振動モータ
JP2007175579A (ja) 振動モータ
JP3741091B2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とそれを使用するシールレスポンプ
JP3740372B2 (ja) ハイブリッド磁石型直流機
JP2009050093A (ja) 振動モータ
JP3707027B2 (ja) マイクロ扁平振動モータの最適化構造
KR100301166B1 (ko) 2상의 평편형 진동모터
JP2000224805A (ja) 扁平型振動モータ
JP2004180446A (ja) 扁平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
CN202663235U (zh) 振动电动机
JPH11289734A (ja) 小型振動モータとその製造方法
JP2000188847A (ja) 小型コアード振動モータ
KR20020027713A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JP2019161700A (ja) モータ
JP2003009496A (ja) 永久磁石ロータ及びオフセット捲線タイプpm形ステッピング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