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495B1 - 사각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사각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495B1
KR100283495B1 KR1019980048056A KR19980048056A KR100283495B1 KR 100283495 B1 KR100283495 B1 KR 100283495B1 KR 1019980048056 A KR1019980048056 A KR 1019980048056A KR 19980048056 A KR19980048056 A KR 19980048056A KR 100283495 B1 KR100283495 B1 KR 10028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permanent magnet
rotor
pcb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446A (ko
Inventor
엄성기
이우범
황상문
Original Assignee
이우범
혜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범, 혜성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우범
Priority to KR101998004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49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46A/ko
Priority to CN99126640A priority patent/CN1266302A/zh
Priority to JP32029499A priority patent/JP331024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각각 홀(38, 39)이 형성되고, 메탈베어링(12, 14)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 요홈(35, 36)이 형성된 사각형 상부 및 하부케이스(11, 12); 상부케이스(11)의 내면에 외측은 직각이며 내측은 원형인 복수의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영구자석(20);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25a-25c)에 각각 코일(26a-26c)이 권취되고, 편심웨이트(16), 공통터미널(18) 및 세그먼트 PCB(22)가 장착되어 영구자석(2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로터홀더(24); 상기 메탈베어링(12)과 편심웨이트(16) 사이에 구성된 와셔(15); 세그먼트 PCB(22)와 접촉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브러쉬(32, 33)가 연결된 플렉시블 PCB(34); 및 상기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3)에 각각 고정된 메탈베어링(14), 와셔(15), 편심웨이트(16), 로터홀더(24) 및 플렉시블 PCB(34)를 관통하는 샤프트(30)가 포함되어, 휴대폰(Cellular Phone 또는 PCS Phone)이나 페이저(Radio Pager; 무선 호출수신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내에 장착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의 하나로 사용되는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각형 진동모터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Cellular Phone 또는 PCS Phone)이나 페이저(Radio Pager; 무선 호출수신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내에 장착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의 하나로 사용되는 진동을 발생하는 소형의 사각형 진동(震動)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전동(電動)모터라고도 한다. 이러한 전동모터는 전류를 통하는 도체가 자계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소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고정자와 회전자사이의 공극의 전자계를 중개하여 전기에너지를 토크라는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전동모터는 회전코일을 전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에 놓고 코일에 전류를 통하여 회전시키는 타입으로 직류선 동기와 교류전류자선 동기가 있고, '아라고의 원판' 원리와 와전류를 이용하는 타입으로 교류의 유동전동기 및 동기전동기가 있다.
이와 같은 전동모터는 종류나 크기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되는 범위는 상당히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즉 전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장치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동모터는 각종의 전기·전자기계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페이저나 휴대폰의 진동을 위한 모터나 선풍기의 송풍을 위한 모터, 유압이나 공압용 모터 또는 지압기나 안마기에 장착된 모터 등 상당히 많은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휴대폰 또는 페이저 등에서 사용되는 진동모터는 실린더(Cylinder) 또는 바(Bar)형과 코인(Coin)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은 종래의 실린더형 진동모터로서, 진동모터(1)의 내부에 로터(4), 영구자석(5) 및 코일(6)이 실장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전동모터와는 달리 내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잇날(Steel teeth)이 없이 코일(6)만이 권선되어 있다. 영구자석(5)과 외측에 백아이언(Back iron)(7)과의 공극부분에 코일(6)이 존재한다. 공극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라디얼 공극(Radial Airgap)이고, 편심질량은 진동모터(1)의 외부에 존재하는 형태로 로터(4)의 축에 편심웨이트(2)가 구성되어 있다.
영구자석(5)의 형상은 실린더형태의 반경방향으로 자화된 2극의 희토류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정류는 기계적인 브러쉬(접촉각; 180°)와 정류자(3-세그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3상 전류의 입력으로 구동되며, 120°각도로 정류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코인형 진동모터로서, 상기 실린더형 진동모터(1)와 같이 내부에 금속으로 된 잇날이 없는 형태이다. 그러나 실린더형과는 달리 공극이 수직방향(축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코일(10)이 편심된 로터(8)내에 실장된 형태이다. 이 로터(8)가 편심질량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공극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축 공극(Axial Airgap)의 형태이다.
영구자석(9)의 형상은 디스크형태이고, 자화방향은 축방향이며, 4극 또는 8극의 희토류계의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정류는 기계적인 브러쉬(접촉각; 90°)와 정류자(6-세그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3상 전류의 입력으로 구동되며, 60°각도로 정류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실린더형 진동모터와 코인형 진동모터는 그 형태로 인하여 단말기에 실장될 때에 제약이 따르며, 또한, 고가로 새로운 형태의 진동모터가 요구되었다. 즉 실린더형 진동모터는 편심웨이트가 외부에 구성되어 있어 기기내의 다른 부품과 간섭이 없는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므로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코인형 진동모터의 경우에도 모양이 동전과 같이 둥근형상으로 항상 수평으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좁은 공간이나 구석진 공간 등을 활용할 수 없는 등 실장을 위한 공간확보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진동모터는 그 크기 및 중량이 커 소형화되어 가는 기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진동력이 미미하여 사용자가 쉽게 느끼지 못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상기 실린더형 진동모터는 공극이 라디얼형태로 자화된 2극의 영구자석을 사용하므로, 영구자석의 자속밀도가 낮아 모터의 토크가 작으므로 회전력이 작은 문제가 있고, 코인형 진동모터는 영구자석을 4극 또는 8극으로 사용하지만, 영구자석이 디스크형태의 축방향의 공극으로, 토크를 증가시키는 데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실린더형 및 코인형 진동모터는 형상이나 크기 또는 토크에 비해 단가가 높고, 기기내의 실장을 위한 공간확보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라디얼방향으로 착자된 4극의 외각 내원의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진동모터를 소형화시키면서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고, 기기내에 실장을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한 사각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로터가 편심웨이트를 겸하면서 복수개의 코일을 소정의 각도로 권선 및 고정시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브러쉬와 접촉되는 세그먼트 PCB를 간단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설계 불량률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실린더형 진동모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코인형 진동모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진동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진동모터 상부케이스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7은 로터홀더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 100: 진동모터 2, 16: 편심웨이트
11: 상부케이스 12, 14: 메탈베어링
13: 하부케이스 15: 와셔
17: 와셔 안착부 18: 공통터미널
19: 돌편 20: 영구자석
20a-20d: 마그네트 21: 스페이서
22: 세그먼트 PCB 23a-23f: 세그먼트
24: 로터홀더 25a-25c: 권취돌기
26a-26c: 코일 27a-27c: 접점편
28: 공통터미널 안착부 29: 편심웨이트 안착부
30: 샤프트 32, 33: 브러쉬
34: 플렉시블 PCB 35, 36: 요홈
37: 플렉시블 PCB 안착부 38, 39: 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의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38)이 형성되고, 홀에는 메탈베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 요홈이 형성된 사각형 상부케이스; 상기 사각형 상부케이스의 사각내측에 각각 장착되고, 외측은 직각이며 내측은 원형인 복수의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영구자석; 상부에 복수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에 각각 코일이 권취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로터홀더; 상기 메탈베어링과 편심웨이트 사이에 구성된 와셔; 상기 로터홀더의 일측 안착부에 장착되어 편심질량을 갖는 편심웨이트; 중앙일측에 돌편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홀더의 타측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각 코일의 일단이 돌편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공통터미널; 복수의 세그먼트가 구성되고, 세그먼트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접점편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홀더의 하단에 장착되는 세그먼트 PCB;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전류신호가 인가되는 도선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그먼트 PCB와 접촉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브러쉬가 연결된 플렉시블 PCB; 내측에 상기 플렉시블 PCB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며, 홀에는 메탈베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는 요홈이 형성된 사각형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각각 고정된 메탈베어링, 와셔, 편심웨이트, 로터홀더 및 플렉시블 PCB를 관통하는 샤프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진동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사각형 진동모터의 외관은 금속재의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3)로 그 형상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11)는 상부의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38)이 형성되고, 홀(38)에는 메탈베어링(1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 요홈(35)이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1)의 내측에는 스페이서(21)가 고정되고, 내벽으로는 복수의 외각 내원의 영구자석(20)이 착자된다.
영구자석(20)은 도 5에서, 상기 사각형 상부케이스(11)의 사각내측에 각각 장착되고, 외측은 직각이며 내측은 원형인 복수의 마그네트(20a-20d)로 이루어진다. 영구자석(20)은 4개의 마그네트(20a-20d)를 사각의 각 모서리에 착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20)의 자화방향은 내측의 원호를 기준으로하여 반경방향으로 자화되어 있다.
도 4의 분해사시도와 도 6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1)는 상부케이스(11)의 내측면과 영구자석(20) 사이에 구성되어 영구자석(20)이 상부케이스(11)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케이스(11) 내에는 합성수지재인 로터홀더(24)가 삽입되고, 로터홀더(24)에는 편심웨이트(16), 복수의 코일(26a-26c), 공통터미널(18) 및 세그먼트 PCB(22)가 일체로 구성된다.
즉 편심웨이트(16)는 반원형으로 상기 로터홀더(24)에 형성된 안착부(29)에 장착되어 편심질량을 갖는 것으로, 편심웨이트(16)는 텅스텐과 같은 질량이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웨이트(16)가 장착되는 부분의 로터홀더(24)에는 복수의 권취돌기(25a-25c)가 형성되고, 권취돌기(25a-25c)에는 각각 코일(26a-26c)이 소정 횟수로 권취된다. 각 코일(26a-26c)이 권취되는 권취돌기(25a-25c)는 60°간격으로 3개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터홀더(24)의 다른 안착부(28)에는 반원형의 공통터미널(18)이 장착되고, 공통터미널(18)은 상기 권취돌기(25a-25c)에 권취된 코일(26a-26c)의 일단이 연결 및 고정되어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공통터미널(18)의 일측에는 돌편(19)이 형성되어 있어 각 코일(26a-26c)의 일단이 납땜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로터홀더(24)의 저면에는 도 7에서 처럼, 세그먼트 PCB(22)가 접착되고, 세그먼트 PCB(22)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나뉘어져 있다. 즉 각 세그먼트(23a-23f)는 전도성 재질이고, 6개의 세그먼트(23a-23f)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세그먼트(23a-23f)의 일단에는 선택적으로 접점편(27a-27c)이 구성되고, 접점편(27a-27c)은 코일(26a-26c)의 다른 일단이 연결되어 전류를 도통시킨다. 접점편(27a-27c)은 세그먼트(23a-23f)를 하나 걸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베어링(12)과 편심웨이트(16) 사이에는 와셔(15)가 삽입되고, 와셔(15)는 편심웨이트(16)의 안착부(17)에 장착된다. 와셔(15)는 회전하는 로터홀더(24)와 상부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는 메탈베어링(12)과의 기계적인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로터홀더(24)의 하단부에는 플렉시블 PCB(34)가 구성되고, 플렉시블 PCB(34)는 하부케이스(13)에 고정된다.
플렉시블 PCB(34)는 플랫(Flat)형태의 케이블로 한 쌍의 전선이 연결되고, 직류전원이 인가된다. 플렉시블 PCB(34)의 상단에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브러쉬(32, 33)가 구성되고, 각 브러쉬(32, 33)의 일단은 플렉시블 PCB(34)의 각 전선(패턴)에 납땜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그먼트 PCB(22)에 접촉된다. 즉 브러쉬(32, 33)는 일단이 플렉시블 PCB(34)에 연결되면서 타단은 소정의 각도로 튀어올라 온 형태로 로터홀더(24)를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브러쉬(32, 33)를 플렉시블 PCB(34)의 한 쌍의 전선 종단에 연결하는 공정은 플렉시블 PCB(34)의 종단에 각각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홀에는 일체로 구성된 브러쉬를 올려 놓은 다음에 전선이 형성된 각각의 홀부위에 납땜을 한 후에 브러쉬가 연결된 부분을 커팅처리하여 한 쌍의 브러쉬(32, 33)로 제작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대칭적인 브러쉬(32, 33)의 위치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하부케이스(13)는 내측에 상기 플렉시블 PCB(34)가 안착되는 안착부(37)가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39)이 형성되며, 홀(39)에는 메탈베어링(14)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는 요홈(36)이 형성된다.
사각형 하부케이스(13)의 요홈(36)은 상부케이스(11)의 요홈(35)가 동일한 크기로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3)가 일체로 구성될 때에 플렉시블 PCB(34)의 전선이 외부로 연결되도록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3)의 결합은 코킹(Cocking; 찍어붙임 또는 눌러 홈을 만듬)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3)에 각각 고정된 메탈베어링(12, 14), 와셔(15), 편심웨이트(16), 로터홀더(24) 및 플렉시블 PCB(34)를 관통하는 샤프트(30)가 구성되고, 샤프트(30)는 편심웨이트(16)에 고정되며, 로터홀더(24)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플렉시블 PCB(34)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한 쌍의 브러쉬(32, 33)에 걸리고, 브러쉬(32, 33)는 접촉되는 세그먼트 PCB(22)의 해당되는 세그먼트(23a-23f)에 인가시키며, 세그먼트(23a-23f)는 연결된 코일(26a-26c)에 전류를 흘리므로 인접한 영구자석(20)과의 자화방향에 따라 소정의 방향 및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되는 로터홀더(24)는 내설된 편심웨이트(16)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 진동은 샤프트(30)를 중심으로 케이스(11, 12)를 진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각 내원의 사각형 영구자석 무철심 직류 진동모터(100)는 편심(Mass unbalance)을 가진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불평형력으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코인형 진동모터(2)에서는 볼 수 없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외관은 직육면체이면서 실린더형 진동모터(1)와 같이 반경방향의 공극을 가지는 구조이고, 공극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라디얼 공극의 형태이다.
그러나 실린더형 진동모터(1)가 외부에 편심회전자를 가지는 반면에, 본 발명의 사각형 진동모터(100)는 내부에 코일(26a-26c)이 부착되어 있는 회전자가 편심회전자의 역할을 겸하고 있고, 회전자가 편심의 역할을 겸하므로 코인형 진동모터(2)와 동일하지만, 코인형 진동모터(2)는 축방향의 공극을 사용하고, 사각형 진동모터(100)는 반경방향의 공극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작동방식의 차이가 있다.
영구자석의 형상이 외각 내원의 형태이므로, 실린더형 진동모터(1)의 실린더형 영구자석과 코인형 진동모터의 디스크형 영구자석과 형상면 작용면에서 커다란 차이를 볼 수 있다. 또한, 실린더형 및 코인형 진동모터(1, 2)는 모두 입체형이지만, 사각형 진동모터(100)는 4개의 마그네트(20a-20d)로 분리되어 있고, 자화방향은 영구자석(20)의 내측 원호를 기준으로하여 반경방향으로 자화되어 있으며, 모터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4극의 마그네트(20a-20d)를 사용하는 것이다.
정류는 기계적인 브러쉬(32, 33)(접촉각; 90°)와 정류자(6 세그먼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3상의 전류입력으로 구동되며 60°의 각도로 정류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각형 진동모터(100)는 크기(바람직하게는, 10×10×4mm)가 종래의 진동모터(1, 2)보다 최대공간이 작아 기기의 내부 벽면에 세워서 부착하거나 구석진 곳 등에 부착이 가능하므로 공간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플렉시블 PCB(34)(또는 리드와이어)를 내장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드와이어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로터홀더(24)에 장착되는 코일(26a-26c)의 권취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모터를 사각형으로 취한 이유로는 반경 방향의 공극을 가지는 형태에서는 소형화에 따른 영구자석(20)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은 필연적이므로 영구자석(20)의 크기는 공극에서의 자속밀도와 비레하고, 모터의 토크와 속도에 비레하므로 사각형상 케이스(11, 12)의 모서리부를 사용하면 영구자석(20)의 형상이 외각 내원형이 되며, 이때 영구자석(20)의 가운데 부분이 두껍게 형성되어 자속밀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진동모터를 소형화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설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희토류 마그네트를 사용하지 않고, Nd(Neodymium)을 소결한 이방성 마그네트를 사용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무철심으로 설계하여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최초 구동력이 민감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사각형 진동모터를 고려하면 충분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해당분야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또,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한정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각형 진동모터는 휴대폰이나 페이저내에 장착되어 신호수신의 한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직육면체의 케이스내에 외각 내원의 영구자석을 구성하고, 복수의 코일이 편심웨이트, 공통터미널 및 세그먼트 PCB가 장착된 로터홀더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권취되며, 브러쉬가 장착된 플렉시블 PCB를 내장시켜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영구자석의 자속밀도에 의해 편심되는 회전자의 불평형한 구동력으로 증가된 토크에 의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소형화와 장착을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최초의 구동력이 우수하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하였으며,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의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38)이 형성되고, 홀(38)에는 메탈베어링(1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 요홈(35)이 형성된 사각형 상부케이스(11);
    상기 사각형 상부케이스(11)의 사각내측에 각각 장착되고, 외측은 직각이며 내측은 원형인 복수의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영구자석(20);
    상부에 복수의 안착부(28, 29)가 형성되고,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25a-25c)에 각각 코일(26a-26c)이 권취되어 상기 영구자석(2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로터홀더(24);
    상기 메탈베어링(12)과 편심웨이트(16) 사이에 구성된 와셔(15);
    상기 로터홀더(24)의 일측 안착부(29)에 장착되어 편심질량을 갖는 편심웨이트(16);
    중앙일측에 돌편(19)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홀더(24)의 타측 안착부(28)에 장착되며, 상기 각 코일(26a-26c)의 일단이 돌편(19)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공통터미널(18);
    복수의 세그먼트(23a-23f)가 구성되고, 세그먼트(23a-23f)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접점편(27a-27c)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홀더(24)의 하단에 장착되는 세그먼트 PCB(22);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전류신호가 인가되는 도선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그먼트 PCB(22)와 접촉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브러쉬(32, 33)가 연결된 플렉시블 PCB(34);
    내측에 상기 플렉시블 PCB(34)가 안착되는 안착부(37)가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39)이 형성되며, 홀(39)에는 메탈베어링(14)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측면일측에는 요홈(36)이 형성된 사각형 하부케이스(13); 및
    상기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3)에 각각 고정된 메탈베어링(12, 14), 와셔(15), 편심웨이트(16), 로터홀더(24) 및 플렉시블 PCB(34)를 관통하는 샤프트(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20)은 4개의 마그네트(20a-20d)로 구성되어 4극이고, 상부케이스(11)와 영구자석(20) 사이에는 스페이서(2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20)과 복수의 코일(26a-26c)이 권취된 로터홀더(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이 반경방향의 라디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진동모터.
KR1019980048056A 1998-11-10 1998-11-10 사각형 진동모터 KR10028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56A KR100283495B1 (ko) 1998-11-10 1998-11-10 사각형 진동모터
CN99126640A CN1266302A (zh) 1998-11-10 1999-11-10 六面体形振动电机
JP32029499A JP3310248B2 (ja) 1998-11-10 1999-11-10 方形振動モ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56A KR100283495B1 (ko) 1998-11-10 1998-11-10 사각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46A KR19990014446A (ko) 1999-02-25
KR100283495B1 true KR100283495B1 (ko) 2001-03-02

Family

ID=1955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056A KR100283495B1 (ko) 1998-11-10 1998-11-10 사각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10248B2 (ko)
KR (1) KR100283495B1 (ko)
CN (1) CN12663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53B1 (ko) * 2007-01-10 2008-08-04 김진선 진동모터
WO2012036425A2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모아텍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126B1 (ko) * 2000-01-04 2002-11-08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바이브레이터
KR100403974B1 (ko) * 2000-08-30 2003-11-01 황상문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KR20010069659A (ko) * 2001-04-25 2001-07-25 김주연 진동 모터
JP2007049884A (ja) 2005-07-11 2007-02-22 Minebea-Matsushita Motor Corp 小型dcモータ
KR101251663B1 (ko) * 2006-11-02 201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0821717B1 (ko) * 2007-01-10 2008-04-14 지정주 코인형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47398Y1 (ko) * 2009-04-28 2010-01-25 김정훈 사각형상의 초소형 선형 진동장치
CN107147267B (zh) * 2017-05-18 2023-11-24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53B1 (ko) * 2007-01-10 2008-08-04 김진선 진동모터
WO2012036425A2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모아텍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2036425A3 (ko) * 2010-09-14 2012-06-28 주식회사 모아텍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098357A (zh) * 2010-09-14 2013-05-08 株式会社模雅特 振动发生器及其制造方法
US9246375B2 (en) 2010-09-14 2016-01-26 Moatech Co., Ltd. Vibrator for generating horizontal v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46A (ko) 1999-02-25
JP2000279885A (ja) 2000-10-10
CN1266302A (zh) 2000-09-13
JP3310248B2 (ja) 200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007B2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EP1026812B1 (en) Eccentric commutator
KR100283495B1 (ko) 사각형 진동모터
JP4822214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0377562B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US7990002B2 (en) Vibration motor
JP3383835B2 (ja) 偏平形振動発生装置
JPH01129744A (ja) 軸方向空隙型電動機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1003471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3512853B2 (ja) 振動モータ
JPH0255563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00797279B1 (ko)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KR200219243Y1 (ko) 평평형 진동모터
KR20020027713A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JPH0370447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H10257712A (ja) 偏心コアード振動モータ
KR100303882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403974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WO2002015369A1 (en) Disk type two phase vibration motor
KR200222022Y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JPH05146114A (ja) 振動する電動機
JPH0824416B2 (ja) 振動型軸方向空隙型電動機
KR980009883U (ko)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