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79B1 -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79B1
KR100797279B1 KR1020010013857A KR20010013857A KR100797279B1 KR 100797279 B1 KR100797279 B1 KR 100797279B1 KR 1020010013857 A KR1020010013857 A KR 1020010013857A KR 20010013857 A KR20010013857 A KR 20010013857A KR 100797279 B1 KR100797279 B1 KR 10079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vibration motor
eccentric weight
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917A (ko
Inventor
알렉스 홍
칭-쉔 호릉
츠오-쿠오 인
Original Assignee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1001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는 고정자, 회전자, 구동 회로 및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는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상부 및 하부 자극편에 의해 형성된 고리형 공간 내부에 포함된다. 내부 회전자는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 추는 링 몸체를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면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 회로는 바깥쪽에서 공급된 전력을 받아들임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통합 회로를 가진다. 회전자가 고정자에 의해 회전하도록 추진될 때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싱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둘러싼다.

Description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DC Brushless Vibration Motor}
본 발명의 특징,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도면을 참고로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나타낸 진동 모터의 선택된 방사상 방향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3, 4, 5 및 6 은 4가지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위한 편심 회전자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 은 상부면에서 전자 구동 회로 배치를 나타낸 상부 자극편의 사시도.
본 발명은 진동 모터, 특히 끼워 넣은 편심 추와 회전자를 가지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에 관련된다.
기계적 진동은 다양한 용도에 필요하다. 산업상 용도에서 재료 분쇄 및 선택을 위한 진동, 가정용 마사지 기계 및 이동 전화 송수화기와 호출기의 메시지 도착 및 전화 왔음을 무음으로 알리기 위한 진동은 기계적 진동 용도의 몇 가지 예에 불과하다.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모터에 의한 진동 발생을 위해,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진동-발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첫 번째 종류는, 어떤 진동도 없이 원활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종래 모터의 출력축에 편심 추를 부착하는 것이다. 진동은 모터의 출력축에 부착된 편심 추에 의해 시스템 회전 부분의 편심으로 인해 발생된다. 그러나, 편심 추는 모터 하우징 바깥쪽에 있으므로, 추가 차단 장치는 가끔 둘레에서 시스템의 회전 부분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충격을 막기 위해서 제공되어야 한다. 다른 종류의 모터에 의한 진동 발생은 편심 추가 있는 회전자에 적용된다. 회전자의 회전은 모터의 회전축에 추가 장치를 부착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진동 모터는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공급하는 진동-발생 장치 형태이다. 종래 모터의 목적은 가능한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진동 모터는 의도적으로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키는 목적을 가진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진동 모터"라는 용어는 끼워진 편심 회전자를 가지는 모터에 의한 진동 장치를 언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회전의 회전자 축으로부터 갈라진 무게 중심을 가지는 비대칭형 회전자를 포함한 DC 정류자 모터는 Wan의 U.S. 특허 제 6,169,348에 공지되어 있다("평면형 2-위상 진동 모터"). Wan은 기계적으로 비대칭 구조물을 가지는 회전자를 적용한 평면형 2-위상 DC 정류자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비대칭 회전자의 질량 중심은 회전 자의 회전 중심 축에 있지 않으므로, 진동 모터의 회전자가 구동될 때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Wan의 진동 모터는 회전자의 전기자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정류자-브러시 쌍을 사용해야 한다.
Wan의 진동 모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의 정류는 브러시와 정류자 사이의 기계적 마찰에 의존한다. 기계적 마찰은 불가피하게 정류자의 정류 세그먼트와 브러시를 마모시킨다. 정류자의 연속 세그먼트 사이의 전기 단락은 기계 마찰로부터 비롯된 탄소 축적에 때문에 불가피하다. 또, 브러시와 정류자 세그먼트 사이의 간헐적인 전기 전도는 인접한 전자 장치를 방해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전자기 방출을 일으킨다. 적절한 차단 없이, 모터 자체의 제어 전자 장치와 같은 회로는 과다한 EM 간섭 때문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 브러시와 정류자의 마모는 이런 종류의 진동 모터의 유효 수명을 단축시킨다. Wan의 진동 모터의 2 위상 구조는 위상 분리에 두 개의 전력 공급부를 제공해야 하는 보다 복잡한 전력 공급 회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1-위상 전원과 비교했을 때, 이런 종류의 정류자를 기초로 한 진동 모터의 전체 비용은 비교적 높고 회로도 비교적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성분의 기계적 마모를 줄여서 유효 수명을 연장시키는 편심 회전자의 편심에 의해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위 환경으로 전자기 간섭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편심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 회로의 복잡성을 줄이도록, 간단한 단일-위상 전원으로 작동하는 편심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한, 편심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자, 회전자, 구동 회로 및 케이싱을 포함한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고정자는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을 가진다. 이 고정자 계자 권선은 상하 자극편에 의해 형성된 고리형 공간 내부에 포함된다. 내부 회전자는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 추는 링 몸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구동 회로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받아들임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가진다. 상기 케이싱은, 회전자가 고정자에 의해 회전하도록 추진될 때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고정자와 회전자를 둘러싼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진동 모터의 모든 구성 성분은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서 따로따로 도시된다. 도 2는, 완비된 진동 모터로서 조립될 때 도 1의 진동 모터의 선택된 방사상 방향 을 통과하는 하나의 평면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에 도 1과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는 와인딩을 가지는 둘레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하는 내부 자석 회전자 구조를 가진다. 진동 모터의 의도된 기능은 외부 하중의 구동이 아니라 기계 진동의 발생이므로, 모터 몸체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연장 출력축을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내부 회전자-기초 구조는 연장된 회전자를 가지는 모터의 구조보다 간단하다. 내부-회전자 진동 모터의 고정자는 장치의 가동부-진동 회전자-를 위한 차단부로서 사용되고, 모터가 설치된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2의 횡단면에 나타난 것처럼, 부호 번호 100으로 나타낸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는 외부 고정자(110)와 내부 회전자(120)를 가진다. 모터의 보호 케이싱(190) 내부에서 적소에 설치될 때 고정자(110)와 회전자(120)의 대향한 표면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140)이 적절히 유지된다. 당해 기술에 공지된 대로,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서 공기 틈의 방사상 길이는 더 짧다. 모터 공기 틈의 실제 크기는 다양한 제조 공차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모터 케이싱(190)은 실린더형 컵(191)과 끝판(192)으로 이루어진다. 진동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조립체는, 끝판(192)이 내부의 고정자와 회전자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때 실린더형 컵(191)의 오목한 내부 공간 안쪽에 단단히 설치될 수 있다.
정류자 모터와 비교해, DC 무브러시 모터는 정류자와 브러시의 기계 결합체 의 기능을 부여하도록 전자 구동 회로를 필요로 한다. 도 1과 2에 나타낸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실시예에서, 프린트 회로 기판(PCB)(131)에 납땜된 집적 회로(IC)(132)에 장착된 구동 회로(130)는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와 더불어 모터 케이싱(190) 안쪽에 수용된다. 하기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적절한 베어링 수단(150)에 의해 지지되는, 진동 모터(100)의 회전자(120)는 전자 구동 회로(130)의 제어 하에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고정자(110) 내부에서 추진될 수 있다.
도 2의 횡단면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자(110)는 보빈 릴(reel)(113)에 감긴 선택된 회전 수의 전도체 코일로 이루어진다. 보빈 릴(113) 둘레에 감긴 전도체는 상하 자극편(111,112) 각각을 적절히 정렬함으로써 형성된 고리형 공간 안으로 끼워 맞추어진 고정자(110)를 위한 고리형 고정자 계자 권선(114)을 포함한다. 보빈 릴(113)은 예를 들어 고정자 계자 권선(114)의 여러 번 감긴 전도체를 위한 지지프레임으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111) 및 하부 자극편(112)은 공기 틈(140)을 향하고 있는 다수의 방사상 내향 자극 판(115)을 가진다. 사시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상하 자극편(111,112)에서 4개의 극판(115,116)은 360도 원 둘레를 따라 정렬된다. 두 개의 연속 극판(115,116)은 90도로 분리된다. 상하 자극편(111,112)의 극판(115,116)은, 진동 모터(100)가 조립되고 8개의 극 모터를 구성할 때 서로 끼워진다. 당해 업자들이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는 다소간의 극을 가지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하 자극편(111,112)은 예를 들어 저-탄소 라미네이트 강철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극편(111,112)은 조립되었을 때 고정자 계자 권선(114)을 수용하기 위한 고리형 공간을 형성한다. 언급한 대로, 고정자 계자 권선(114)은 보빈 릴(113) 둘레에 감긴 여러 번 회전한 전도체 코일로 이루어진다. 고정자 계자 권선(114)에서 전도체는 전류를 통과함으로써 에너지를 공급받으므로, 자극편(111,112)은 모터 자기 회로를 위한 플럭스 경로를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극편(111,112)은 판금의 유압 프레스와 같은 저비용이 드는 방법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조작시에, 고정자 계자 권선(114)은 받아들인 여자 전류 때문에 자기 플럭스를 발생시키는 전자기원으로서 사용된다. 발생된 자기 플럭스는 고정자 실린더형 몸체의 양쪽 단부에 배치된, 상하 자극편(111,112) 내부에서 자기 회로를 따라 고정자(110)의 실린더형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자기 플럭스는 극편(111,112)의 극판(115,116) 내외로 흐른 후 회전자(120)의 내외로 이동한다.
고정자 계자 권선(114)에서 전류 여자 극성 때문에, 플럭스는 회전자(120)의 링 자석(129)에서 대응하는 자극 안팎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공기 틈(140)을 가로질러 통과한다. 자기 플럭스가 고정자(110), 공기 틈(140) 및 회전자(120)에 형성된 자기 회로의 폐쇄 루우프를 통과할 때, 기계 구동력이 발생되고 회전자(120)는 추진되어서 회전하고 진동을 발생시킨다.
회전자(120)의 상대 각 위치에 따라, 구동 회로(130)는 고정자 계자 권선(114)으로 양극 및 음극의 구동 전류를 교대로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상하 자극편(111,112)의 극판(115,116)은 북극과 남극으로서 교대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 시간을 적절히 제어할 때, 회전자(120)는 바람직한 회전 방향으로 고정자(110)에 의해 회전하도록 추진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당해 업자들에게 공지된 대로, 구동 회로(130)는 회전자(120)의 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에 의존한다. 이 정보는 고정자 계자 권선(114)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극성 및 타이밍을 제어하는데 필요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130)의 PCB(131)에 장착된 Hall 센서(134)는 구동부 IC(132)로 회전자(120)의 각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 설정 구멍(138)은 PCB(131)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보빈 릴(113)의 상부면 밖으로 튀어나온 스터드(119)를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멍(138)과 스터드(119)의 위치 설정 결합은, 설치된 PCB(131)에 대한 정해진 상대 각 위치에 센서(134)를 배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하 자극편(111,112)의 극판(115,116)은 진동 모터의 세로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인 표면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사시도에서, 극판(115)은 반대 방향의 다른 가장자리보다 더 많이 기울어진 한쪽 회전 방향으로 하나의 가장자리를 가진다. 이런 비대칭은 진동 모터에 대한 시동 토크를 공급을 보장한다. 이런 비대칭 없이, 회전자(120)의 각 자극은 쉽게 균형을 맞출 수 있으므로 모터가 멈추었을 때 고정자(110)의 자극에서 중심 위치에 고정되어서 모터를 재작동할 때 어떠한 시동 토크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트래핑 극은, 모터가 정지되어 다시 작동하지 않을 때 대응하는 극판을 통하여 고정자(110)의 고정자 계자 권선(114)에 의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진동 모터에 대해 전술한 고정자 구조는 단일-위상 조작에 적합하다. 단일-위상 DC 무브러시 모터는 구동 및 피이드백 전자 장치에서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고 디자인의 효율성과 그 장점 이외에도, 제조 비용이 비교적 낮다. 그러나 이런 구조로 적절히 조절할 때 상기 모터가 특정 용도에 보다 적합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는 2- 또는 3- 위상 구조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진동 모터가 조립되었을 때 상하 자극편(111,112)의 극판(115,116)은 서로에 대해 상대 각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본원에 기술한 실시예에서, 도 1과 2에 나타낸 것처럼, 보빈 릴(113)은 모터의 세로축을 따라 각각의 단부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119)를 가진다. 일치된 위치 설정 구멍(117,118)은 대응하는 상하 자극편(111,112)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 스터드와 구멍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상하 자극편(111,112)은 정확한 상대 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구동 회로(130)의 Hall 센서(134)는 보빈 릴(113)의 위치 설정 스터드(119)를 통하여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보빈 릴(113)의 위치 설정 스터드(119)는 모터의 양 단부에서 연속 구성 성분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알맞은 길이에 대해 진동 모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131)와 함께 구동 회로(130)가 모터 케이싱(190) 내부에 조립되는 실시예에서, PCB(131)와 상부 자극편(111) 또는 하부 자극편(112) 사이의 충분한 간격은, 이 극편이 전기-전도성 라미네이트 강철로 만들어질 때 유지되어야 한다. 적당한 간격이 없으면, 전기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를 위한 적용시에 소형화해야 하므로 이 간격은 최소 가능 레벨로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스터드(119)의 연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것은 달성될 수 있다.
도 1과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비록 구동 회로(130)가 PCB에 배치될지라도, 구동 회로를 위한 다른 형태의 배치도 가능하다. 도 7은 극편의 상부면에 배치된 전자 구동 회로(130)를 나타낸 상부 자극편(111)의 사시도이다. 극편(111)의 몸체는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가지므로, 이 표면 상에 부호 번호 135로 나타낸 절연 층이 구비되어서 구동 전자 회로(130)는 상부에 배치된다. 전기 루트는 절연층(135)의 표면 위에 형성될 수 있고 구동 IC(132), Hall 센서(134) 및 그 밖의 다른 성분을 포함한 회로 구성 성분은 상기 회로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전력은 전선(133)을 통하여 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의 횡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자(120)는 회전 중심축(121)과 비대칭인 기계 구조를 가진다. 이런 비대칭은 회전축(121)으로부터 떨어져 전체 회전자(120)의 질량 중심을 옮긴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회전자(120)는 중심축(121)에 정렬된 코어 샤프트(122)에서 지지된다.
도 1의 사시도에 잘 나타난 것처럼, 회전자(120)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구조를 가지는 회전자 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실린더형 몸체의 한쪽 단부는 오목하고 고리형인 공간(125)을 형성하도록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사시도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자 프레임(123)의 기하학적 구조는 적은 비용이 소용되는 판금 프레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린더형 몸체의 외부 둘레 면에 대해, 회전자 프레임(123)은 고리형 회전자 자석(12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기술한 이 실시예에서, 고리형 회전자 자석(129)은 총 8개의 끼워진 북극과 남극을 가지도록 자기화 될 수 있다. 이것은 4개의 상하 자극편(111,112)을 포함하는, 총 8개의 극판에 적합하다.
편심 추(124)는 회전자 프레임(123)에 의해 구비된 오목한 고리형 공간(125)으로 삽입될 수 있고 안에 단단히 고정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 추(124)는 회전자 프레임(123) 내부에서 오목한 공간(125)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끼워진 추(124)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할당된 공간(125) 내부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26)은 회전자 프레임(123)의 중심에 구비된다. 베어링 장치(150)는 이 공간 안쪽에 단단히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장치(150)는, 회전자(120)가 코어 샤프트(122)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하면서 진동 모터의 케이싱(190) 안쪽에서 회전자(120)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회전자(120)는 모터 케이싱에 고정된 코어 샤프트(122)에 베어링 수단(150)이 장착된 구조를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당해 업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다른 형태의 베어링 지지부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를 들어, 전체 회전자(120)는 진동 모터(100)의 케이싱(190)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양쪽 단부에서 유지되는 코어 샤프트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과 2에 나타낸 것처럼 편심 추는 본 발명의 진동 모터를 위한 기계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편심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가능한 구조가 아니다. 도 3-6은 적용 가능한 편심 추의 4가지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다. 각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사시도에 나타낸 회전자(120A)는 고리형 자석(129), 편심 추(124A) 및 회전자 베어링(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형 자석(129)과 베어링은 도 1과 2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조와 비슷하다. 그러나, 편심 추(124A)는 이것이 고리의 일부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편심 추(124A)는 부분 고리 형태인데, 이것은 완전 고리의 주 길이를 구성하는 원주 길이를 가진다. 즉, 이것은 전체 360도 고리 둘레의 약 2/3인 고리 원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고리의 약 1/3은 제거되고, 127A로 나타낸 공간을 남겨둔다. 이렇게 적절한 1/3 절삭 비율로, 부분 고리형 편심 추(124A)는 접착제의 보조로 베어링(150)에 단단히 고정시키기에 용이하다. 편심 추(124A)의 질량 편심으로 인해 회전자(120A)가 추진되어서 회전할 때 기계 진동이 발생한다.
도 4의 회전자(120B)는, 도 3의 회전자와 비교했을 때 다른 질량 비대칭 구조로 구성된다. 도시된 편심 추(124B)는 기본 고리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선택된 방사상 방향을 따라 둘레 표면에서 고리 몸체로 두껍게 충분히 깊이 절삭되면 127B로 나타낸 오목한 공간을 형성한다. 오목한 공간(127B)으로부터 질량 제거로 인해, 질량 편심이 발생한다.
도 5의 회전자(120C)는 편심 추에 대한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다수의 구멍(127c), 도시된 예에서 4개인 구멍은 고리형 편심 추(124c)의 몸체에 형성된다. 구멍(127c)은 회전자 회전의 중심축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편심 추(124c)의 몸체로 향한다. 당해 업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상기 구멍(127c)은 관통 구멍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구멍의 전체 수와 크기에 관계없이, 진동 모터의 중심 축(121)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추(124c)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으로부터 갈라질 수 있다.
도 6은 다른 회전자(120D)에 대해 적용 가능한 편심 추(124D)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이 추(124D)는 링이 있는 몸체 형태이지만, 세로축을 따라 한쪽 단부가 경사면에서 부분적으로 절삭될 때, 수직선은 회전자 회전 중심 축과 일정한 각을 이룬다. 도시된 대로, 타원형 또는 타원 구조의 일부분으로 나타낸 이런 절삭은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회전자(120D)의 질량 중심에서 갈라져 나온다.
따라서 회전자를 위해 도 3 내지 6의 실시예 중에서 어느 구조를 채택하는지에 관계없이, 진동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140)이 유지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100)의 고정자(110)의 상부(111) 및 하부 자극편(112)의 극판(115,116)의 대향한 표면과 회전자(120)의 링 자석(129)의 외부 둘레 면 사이에서 공기 틈(140)이 유지되어야 한다.
PCB(131) 위에 놓인 구동 회로(130)로 통하는 전력 공급선(133)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 회로(130)로 전력을 공급한다. Hall 센서(134)와 같은 센서로부터 피이드백 할 때 구동 IC(132)의 제어하에, 외부 전력 공급은 고정자 계자 권선(114)으로 적절히 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회전하도록 회전자(120)를 추진시킬 수 있다. 회전자(120)에서 편심 성질 때문에, 진동 모터가 구동될 때 기계 진동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 따른 소형 진동 모터는 기계적 진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 전화 송수화기와 호출기와 같은 휴대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전화 알림 및 메시지 도착을 무음으로 알리는 데에도 적합하다. 확대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는 마사지 기계와 같은 용도에 적합하다. 기계 진동을 필요로 하는 그 밖의 다른 용도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위의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만, 다양하게 수정할 수 있고, 대체 구조 및 등가의 장치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본 발명은 진동 모터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구동 회로를 위한 PCB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모터가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져야 하는 경우에 바깥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Hall 센서가 회전자 각 위치 로케이팅 장치로서 사용될지라도, 광학 센서와 같은 다른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또, 극 수가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전체 수가 상이한 극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를 위한 케이싱은 실린더형 컵과 끝판으로 만들어진다고 설명되었지만, 회전하는 회전자를 위한 적절한 베어링 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상하 자극편에 각각 고정된 두 개의 간단한 끝판과 같은 다른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진동 모터를 위한 케이싱은, 하나의 극편의 내부 둘레 면이 대응하는 다른 극편의 외부 둘레 면을 단단히 에워싸도록 허용함으로써 상하 자극 편이 서로 단단히 부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위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52)

  1. 계자 권선을 가지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자와 동축을 이루며, 내부에 배치된 회전자 자석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의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며;
    전자기적으로 회전자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고리형 공간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편심 추는 부분 링 몸체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부분 링 몸체의 원주 길이는 완전한 링의 원주 길이의 2/3 이상이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부분 링 몸체의 원주 길이는 완전한 링의 원주 길이의 2/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 프레임,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프레임과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자 프레임은 편심 추를 고정하여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고리형 공간을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 프레임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편심 추는, 두껍고 충분히 깊게 절삭된 부분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방사상 방향을 따라 둘레 면에서 링 몸체 안으로 형성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편심 추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링 몸체에 형성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구멍은 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회전자 회전 중심 축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링 몸체 안으로 향하 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멍은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9.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멍은 비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편심 추는, 세로축을 따라 하나의 단부가 타원형이나 부분 타원형 윤곽을 가지도록 경사면에 부분적으로 절삭된, 기본적인 링 몸체 구조를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바깥쪽에서 공급된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설치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진동 모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고정자의 표면에 설치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5.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과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고정자 계자 권선은 고리형 공간 안쪽에 배치되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편심 추는 링 몸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전자기적으로 회전자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계자 권선에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고정자와 회전자를 고정하여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추는 부분 링 몸체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부분 링 몸체의 원주 길이는 완전한 링의 원주 길이의 2/3 이상이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부분 링 몸체의 원주 길이는 완전한 링의 원주 길이의 2/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8. 제 15 항에 있어서, 회전자는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된 회전자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프레임은 편심 추를 고정하여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고리형 공간을 가지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 프레임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프레임은 실린더형 몸체를 가지고 오목한 고리형 공간은 실린더형 몸체의 세로축을 따라 한쪽 단부에서 내향 요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추는 회전자 프레임의 오목하고 고리형인 공간 안으로 조립하기에 적합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추는,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방사상 방향을 따라 둘레 면에서 링 몸체로 두껍고 충분히 깊게 절삭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추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링 몸체에 형성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구멍은 회전자 회전 중심 축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링 몸체 안으로 향하고 상기 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놓이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멍은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멍은 비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5. 제 15 항에 있어서, 편심 추는, 세로축을 따라 하나의 단부가 타원형 또는 부분 타원형 윤곽을 나타내도록 경사 면에서 일부 절삭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 지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바깥쪽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바깥쪽에서 공급된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장착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고정자의 표면에 설치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0. 제 15 항에 있어서, 고정자의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은 고정자 둘레를 따라 각각 공기 틈을 방사상으로 마주보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판을 가지고, 상부 자극편의 다수의 자극판은 하부 자극편의 다수의 자극판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포함하고, 실린더형 컵과 끝판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고정하여 수용하기 위한 둘러싸인 보호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회전자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단은 실린더형 컵에서 단단히 유지되는 한쪽 단부와 끝판의 다른 단부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 샤프트를 포함하고, 코어 샤프트의 둘레 표면은 회전자를 자유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을 장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단은 실린더형 컵에서 제 1 베어링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는 한쪽 단부와 끝판에서 제 2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샤프트는 회전자를 자유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8. 제 31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보빈 릴의 양쪽 단부에서 보빈 릴의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가 돌출해 있고, 각각의 대응하는 상부자극편과 하부자극편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이 형성되며,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의 상대 정렬은 끼워지게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위에 장착된 회전자 각 위치 센서를 가지는 프린트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은 보빈 릴의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을 가지고, 구멍 속에 스터드를 수용하면 프린트 회로 기판에서 센서의 상대 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 위치 센서는 Hall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1.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서로 끼워져 있고 고정자의 둘레를 따라 고정자 중심을 각각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 판을 가지고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며 고리형 공간 속에 함유되어 있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편심 추는 부분 링 몸체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부분 링 몸체의 원주 길이는 완전한 링의 원주 길이의 2/3이상이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외부-공급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전자기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가지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회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를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42.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 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서로 끼워져 있고 고정자의 둘레를 따라 고정자 중심을 각각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 판을 가지고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며 고리형 공간 속에 함유되어 있고;
    회전자 프레임,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회전자 프레임과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편심 추를 고정하여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몸체의 세로축을 따라 한쪽 단부에서 내향 요면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고리형 공간을 가지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 프레임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외부-공급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전자기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가지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회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를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43.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서로 끼워져 있고 고정자의 둘레를 따라 고정자 중심을 각각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 판을 가지고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며 고리형 공간 속에 함유되어 있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편심 추는,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방사상 방향을 따라 둘레 면에서 링 몸체로 두껍고 충분히 깊게 절삭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외부-공급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전자기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가지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회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를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44.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서로 끼워져 있고 고정자의 둘레를 따라 고정자 중심을 각각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 판을 가지고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며 고리형 공간 속에 함유되어 있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편심 추 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링 몸체에 형성된 링 몸체의 기본 구조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회전자 회전 중심 축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링 몸체로 향하고,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에 의해 회전하도록 추진되고;
    외부-공급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전자기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가지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회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를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45. 상부 자극편, 하부 자극편 및 고정자 계자 권선으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포함하는데, 상부 및 하부 자극편은 서로 끼워져 있고 고정자의 둘레를 따라 고정자 중심을 각각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같은 수의 다수의 자극 판을 가지고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 계자 권선은 보빈 릴 둘레에 감긴 다수의 전도체 코일을 포함하며 고리형 공간 속에 함유되어 있고;
    링 자석과 편심 추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 축으로부터 갈라진 질량 중심을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 자석은 회전자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편심 추는, 세로축을 따라 한쪽 단부가 타원형 또는 부분 타원형을 가지도록 경사면에서 일부 절삭된 기본 링 몸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링 자석은 편심 추의 외부 둘레 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외부-공급 전력을 수용함으로써 전자기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자 권선으로 전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컵과 끝판을 가지고 사이에 일정한 공기 틈을 유지하면서 회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를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46.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장치는 실린더형 컵에서 단단히 유지되는 한쪽 단부와 끝판에서 유지되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 축을 포함하고, 코어 샤프트의 둘레 표면은 회전자를 자유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을 장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7.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장치는 실린더형 컵에서 제 1 베어링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는 한쪽 단부와 끝판에서 제 2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 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축은 회전자를 자유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8.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9.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케이싱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50.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보빈 릴의 양쪽 단부에서 보빈 릴의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가 돌출해 있고, 상하 자극편의 각각의 대응하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이 형성되며,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에 대해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의 상대 정렬은 서로 끼워지게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51.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그 위에 장착된 회전자 각 위치 센서를 가지는 프린트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은 보빈 릴의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을 가지며, 구멍 속에 스터드를 수용하면 프린트 회로 기판에서 센서의 상대 각 위치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보빈 릴의 양쪽 단부에서 보빈 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은 각각의 대응하는 상하 자극편의 표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의 상대 정렬은 서로 끼워지게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52. 제 41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회로는 위에 장착된 회전자 각 위치 센서를 가지는 프린트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은 보빈 릴의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을 가지며, 구멍 속에 상기 스터드를 수용하면 프린트 회로 기판에서 센서의 상대 각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보빈 릴의 양쪽 단부에서 보빈 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구멍은 상하 자극편의 각각의 대응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스터드의 상대 정렬은 서로 끼워지게 상부 자극편과 하부 자극편을 정렬하고, 각 위치 센서는 Hall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KR1020010013857A 2001-03-17 2001-03-17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KR10079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857A KR100797279B1 (ko) 2001-03-17 2001-03-17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857A KR100797279B1 (ko) 2001-03-17 2001-03-17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17A KR20020073917A (ko) 2002-09-28
KR100797279B1 true KR100797279B1 (ko) 2008-01-23

Family

ID=3748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857A KR100797279B1 (ko) 2001-03-17 2001-03-17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431106U (zh) * 2019-08-20 2020-04-28 敖琼瑶 一种直流无刷电机驱动机构及筋膜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465A (en) * 1980-06-30 1983-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tor arrangement for small motors
JPH10248203A (ja) * 1997-02-27 1998-09-14 Tokyo Parts Ind Co Ltd コアード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9990050518A (ko) * 1997-12-17 1999-07-05 이형도 평편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2000245103A (ja) *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465A (en) * 1980-06-30 1983-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tor arrangement for small motors
JPH10248203A (ja) * 1997-02-27 1998-09-14 Tokyo Parts Ind Co Ltd コアード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9990050518A (ko) * 1997-12-17 1999-07-05 이형도 평편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2000245103A (ja) *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17A (ko) 200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007B2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KR100848413B1 (ko) 진동모터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단말기
US6713911B2 (en) Disc-shaped eccentric rotor and flat type vibrator motor having the rotor
EP1026812B1 (en) Eccentric commutator
KR100444764B1 (ko) 정지 위치 유지수단을 구비한 축방향 공극형 편심 로터와상기 로터를 이용한 편평 코어리스 진동 모터
JP3229560B2 (ja) 扁平な外転型コアード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2254029A (ja) Dc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EP1037362B1 (en) Eccentric rotor
KR100283495B1 (ko) 사각형 진동모터
KR100797279B1 (ko)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JP4822214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0377562B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JP3618950B2 (ja) 偏心コアード振動モータ
JPH0255563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CN217469724U (zh) 微型无刷马达装置
JP4565133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JPH0370447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200222022Y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JPH0678507A (ja) ラジアル型アウターロータ方式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3251277A (ja) シャフト固定式レラクタンス型振動モータ
JPH05146114A (ja) 振動する電動機
JPH0824416B2 (ja) 振動型軸方向空隙型電動機
KR20020088440A (ko) 진동모터
JP2002224621A (ja) マイクロ扁平振動モータの最適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