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082A -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082A
KR20110047082A KR1020090103839A KR20090103839A KR20110047082A KR 20110047082 A KR20110047082 A KR 20110047082A KR 1020090103839 A KR1020090103839 A KR 1020090103839A KR 20090103839 A KR20090103839 A KR 20090103839A KR 20110047082 A KR20110047082 A KR 2011004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in
insertion groove
sub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947B1 (ko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9010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8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winding
    • H01B13/0858Details of winding apparatus; Auxiliary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한 메인삽입홈을 갖고 이 메인삽입홈의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져 힌지 연결되는 메인홀더, 이 메인홀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구속되며 메인삽입홈과 일치되게 서브삽입홈을 갖는 서브홀더, 및 이 서브홀더에 대해 메인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외력 미작용시 메인삽입홈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방수를 위한 전선의 테이핑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103839
전선, 테이프, 방수

Description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TAPING WHEEL AND CABLE TAPING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를 위한 전선의 테이핑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도체로 된 심선과, 심선을 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피복층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피복층을 일부 벗겨내고, 노출된 심선 상호간을 결속시킨 다음 절연 테이프로 심선이 외부에 대해 절연될 수 있게 감는 작업을 한다.
또한, 여러 가닥의 전선 상호 간을 묶음 처리하는 경우에도 테이프로 감는 작업을 한다.
기존의 전선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테이프로 테이핑 처리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테이핑 불량률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방수를 위해 테이핑하는 공정을 설비로써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선을 삽입하는 홀더를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형성함에 따라 테이핑을 위해 홀더의 회전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벌어지는 홀더를 탄성적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홀더의 임의적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휠은: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한 메인삽입홈을 갖고 이 메인삽입홈의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져 힌지 연결되는 메인홀더, 이 메인홀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구속되며 메인삽입홈과 일치되게 서브삽입홈을 갖는 서브홀더, 및 이 서브홀더에 대해 메인홀더 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외력 미작용시 메인삽입홈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홀더는, 하측에 힌지돌기를 형성한 제 1홀더, 및 상기 힌지돌기를 수용하도록 힌지홈을 형성하는 제 2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홀더는 상기 전선과 상기 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막음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홀더는 제 2막음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홀더는 마주하는 상기 메인삽입홈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한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브러쉬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브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서브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제 1지지돌부, 상기 서브홀더의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설치홀부, 상기 메인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메인홀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수용되는 제 2지지돌부, 및 상기 제 1지지돌부와 상기 제 2지지돌부에 양측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홀더에 대해 상기 메인홀더의 벌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테이핑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테이핑휠, 및 상기 테이핑휠을 회전시키며 상기 전선을 상기 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서브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테이핑휠과 함께 회전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는 전선의 방수를 위해 테이핑하는 공정을 설비로써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선을 삽입하는 홀더를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형성함에 따라 테이핑을 위해 홀더의 회전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벌어지는 홀더를 탄성적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홀더의 임의적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휠 및 이를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을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벌어지는 구조를 보인 요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테이핑 장치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테이핑 장치는 프레임(10), 테이핑휠(100) 및 작동부(2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테이핑휠(100)과 작동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레임(10)은 테이핑휠(100)에 테이프(4)를 공급하기 위한 롤러부(12)를 형성한다.
이 롤러부(12)는 각각 테이프(4)를 감은 하나 이상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각 롤러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롤러부(12)의 롤러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테이핑휠(100)은 공급된 테이프(4) 상에 놓여진 전선(2)을 내부로 삽입 후 테이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선(2)이 부착된 테이프(4) 상에는 방수장치(16)가 구비되고, 이 방수장치(16)는 전선(2)의 방수를 위해 실리콘과 같은 방수액을 전선(2)에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방수장치(16)는 프레임(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프레임(10)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래서, 테이프(4)가 테이핑휠(100) 내부에서 테이핑시 방수액이 전선(2) 둘레면에 묻은 상태로 건조됨에 따라 전선(2)은 방수 처리되면서 테이핑된다.
아울러, 작동부(200)는 테이핑휠(100)을 강제 회전시킴으로써 테이핑휠(100) 내부에 삽입된 전선(2)을 테이프(4)로 자동 테이핑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테이핑휠(100)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자동적으로 테이핑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프레임(10)은 상측으로 개방된 장착홈(14)을 형성한다. 물론, 장착홈(14)은 비교적 긴 전선(2) 전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양측으로도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테이핑휠(100)은 메인홀더(110), 서브홀더(120) 및 탄성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홀더(110)는 테이프(4)에 접착된 전선(2)을 삽입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한 메인삽입홈(112)을 형성한다.
이 메인삽입홈(112)은 장착홈(14)과 동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장착홈(14)과 일치되게 된다. 물론, 메인삽입홈(112)은 내부로 삽입된 전선(2)을 양측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메인홀더(110)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홀더(110)는 테이프(4)와 전선(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이 테이프(4)와 전선(2)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삽입홈(112)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메인홀더(110)는 메인삽입홈(112)의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져 힌지 연결된다.
즉, 메인홀더(110)는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로 나뉘어진다.
이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가 연결되면, 메인홀더(1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의 상측 및 양측으로 메인삽입홈(112)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메인삽입홈(112)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제 1홀더(114)는 하측에 힌지돌기(111)를 돌출 형성하고, 제 2홀더(116)는 힌지홈(113)을 형성한다.
즉, 힌지돌기(111)가 힌지홈(113)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힌지돌기(111)를 기준으로 간격을 좁히거나 벌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힌지돌기(111)로 연결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홀더(110)는 양측에 형성된 서브홀더(120)에 의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브홀더(120)는 플랜지나 돌기를 형성하여 메인홀더(110)의 이탈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프레임(10) 내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더욱 상세히, 프레임(10)은 내측에 요동암(18)을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한다. 아울러, 이 요동암(18)은 상측에 한 쌍의 베어링(19)를 구비한다.
요동암(18)이 상승시, 어느 하나의 베어링(19)은 제 1홀더(114)의 하측을 밀고, 다른 하나의 베어링(19)은 제 2홀더(116)의 하측을 밀게 된다.
그래서,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힌지돌기(111)를 기준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요동암(18)이 상승하는 구조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메인홀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메인홀더(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서브홀더(120)가 형성된다. 이때, 서브홀더(120)는 메인홀더(1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서브홀더(120)는 요동암(18)의 하강시 벌어진 메인홀더(110)의 메인삽입홈(112) 간격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마주하는 서브홀더(120)는 구속부재(124)에 의해 서로 구속된다.
이때, 구속부재(124)는 볼트와 같은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는 각각의 구속부재(124)를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테이핑휠(100)의 회전시, 메인홀더(110)는 구속부재(124)에 의해 대략 서브홀더(120)와 유사하게 회전한다.
물론,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가 힌지돌기(111)에 의해 회동하는 동안 구속부재(124)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서브홀더(120)는 메인홀더(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홀더(120)는, 메인삽입홈(112)과 마찬가지로, 상측 및 양측으로 개 방되는 서브삽입홈(122)을 형성한다. 이 서브삽입홈(122)은 메인삽입홈(112)과 측방향으로 일치되게 배열된다. 이는, 비교적 긴 전선(2)을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서브홀더(120)에 대해 메인홀더(11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요동암(18)에 의한 외력 미작용시 메인삽입홈(112)의 간격이 원위치 되도록 탄성지지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130)는 제 1지지돌부(132), 설치홀부(134), 제 2지지돌부(136) 및 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제 1지지돌부(132)는 어느 하나의 서브홀더(120) 또는 모든 서브홀더(120)에 형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서브홀더(12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지지돌부(132)는 서브삽입홈(12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서브홀더(120)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지지돌부(132)는 각 서브홀더(120)에서 메인홀더(110)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측면에 형성된다.
물론, 제 1지지돌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홀더(12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홀더(120)는 각 제 1지지돌부(132)에 인접되는 부위에 양측으로 연통되는 설치홀부(134)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 2지지돌부(136)는 제 1지지돌부(13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지지돌부(136)는 메인삽입홈(11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메인홀더(110)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2지지돌부(136)는 대응되는 설치홀부(134)에 삽입되어 서브홀더(12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2지지돌부(136)는 메인홀더(11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탄성부재(138)는 서브홀더(120)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지지돌부(132)와 제 2지지돌부(136)에 양측을 연결한다.
그래서, 탄성부재(138)는 메인홀더(11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서브홀더(120)에 대해 메인홀더(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가 벌어질 경우, 탄성부재(138)는 제 1홀더(114)를 제 2홀더(116)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함과 동시에 제 2홀더(116)를 제 1홀더(114)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13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선(2)과 테이프(4)는 테이핑휠(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전선(2)과 테이프(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홀더(114)는 상측에 제 1막음부재(115)를 형성하고, 제 2홀더(116)는 상측에 제 2막음부재(11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막음부재(115)는 제 1홀더(114)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 직하고, 제 2막음부재(117)는 제 2홀더(116)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가 설정치 만큼 간격을 유지할 경우, 제 1막음부재(115)와 제 2막음부재(117)는 서로 접하게 된다.
반대로,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가 힌지돌기(111)를 기준으로 벌어지게 되면, 제 1막음부재(115)와 제 2막음부재(117)는 소정 유격되고, 이로 인해, 전선(2)과 테이프(4)는 쉽게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꺼낼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1막음부재(115)와 제 2막음부재(11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테이핑휠(100)은 프레임(10) 내부에서 작동부(20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200)가 작동함으로써, 테이핑휠(100)이 회전됨에 따라, 테이프(4)는 전선(2)을 자동으로 감게 된다.
특히, 작동부(200)는 주동기어(210)와 피동기어(220)를 포함한다.
주동기어(210)는 프레임(10)에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고, 피동기어(220)는 서브홀더(120) 외측에 고정 형성되어 주동기어(210)와 기어 결합됨에 따라 주동기어(2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피동기어(220)가 회전함에 따라, 테이핑휠(100)은 강제 회전된다.
이때, 피동기어(220)는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서브홀더(12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테이핑휠(100)이 회전시, 메인삽입홈(112)의 너비가 전선(2)의 직경에 비해 너무 크면, 테이프(4)가 전선(2)의 둘레면에 제대로 감기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메인홀더(110)는 마주하는 메인삽입홈(112)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한 베이스부재(142)를 구비하고, 베이스부재(142)는 브러쉬부재(14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142)는 브러쉬부재(14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본딩이나 끼움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브러쉬부재(144)를 고정 형성한다.
아울러, 베이스부재(142)는 체결부재(143)에 의해 메인홀더(110)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쉬부재(144)는 연질의 솔로서 테이핑휠(100)과 함께 회전되며 테이프(4)가 전선(2)에 잘 감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선 테이핑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처럼, 테이프(4)가 테이핑휠(100)의 상측 특히, 서로 접한 제 1막음부재(115)와 제 2막음부재(117) 상측에 접하게 된다.
이때, 테이프(4)는 접착성을 갖는 부분이 상부를 향하게 한다.
특히, 테이프(4)는 커터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절단되나, 이 커터는 도시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 6에서처럼, 방수장치(16)가 하강한 후 실리콘과 같은 방수액을 테이프(4)에 도포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요동암(18)이 상승하고, 베어링(19)이 대응되는 제 1홀더(114)와 제 2홀더(116)를 젖힌다.
그러면, 테이프(4)는 놓여진 전선(2)과 함께 테이핑휠(100)의 내부로 낙하하여 삽입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마지막으로, 도 8에서처럼, 요동암(18)이 하강하면서, 테이핑휠(100)이 탄성적으로 복귀하 나서 강제 회전함에 따라 테이프(4)는 전선(2)을 감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테이핑휠(100)은 전자적으로 제어되며 원위치로 정지하게 되며, 요동암(18)이 다시 상승하면서 테이핑휠(100)을 벌리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테이프(4)가 감긴 전선(2)을 꺼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을 구비한 전선 테이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벌어지는 구조를 보인 요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휠의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테이핑 장치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00: 테이핑휠
110: 메인홀더 112: 메인삽입홈
114,116: 제 1,2홀더 115,117: 제 1,2막음부재
120: 서브홀더 122: 서브삽입홈
130: 탄성지지부 132,136: 제 1,2지지돌부
134: 설치홀부 138: 탄성부재
200: 작동부

Claims (8)

  1.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한 메인삽입홈을 갖고, 상기 메인삽입홈의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져 힌지 연결되는 메인홀더;
    상기 메인홀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구속되며, 상기 메인삽입홈과 일치되게 서브삽입홈을 갖는 서브홀더; 및
    상기 서브홀더에 대해 상기 메인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외력 미작용시 상기 메인삽입홈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더는,
    하측에 힌지돌기를 형성한 제 1홀더; 및
    상기 힌지돌기를 수용하도록 힌지홈을 형성하는 제 2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홀더는 상기 전선과 상기 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막음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홀더는 제 2막음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더는 마주하는 상기 메인삽입홈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한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브러쉬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휠.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브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서브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제 1지지돌부;
    상기 서브홀더의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설치홀부;
    상기 메인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메인홀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수용되는 제 2지지돌부; 및
    상기 제 1지지돌부와 상기 제 2지지돌부에 양측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홀더에 대해 상기 메인홀더의 벌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휠.
  6.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테이핑휠; 및
    상기 테이핑휠을 회전시키며 상기 전선을 상기 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테이핑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휠은,
    테이프에 접착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한 메인삽입홈을 갖고, 상기 메인삽입홈의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져 힌지 연결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는 메인홀더;
    상기 메인홀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구속되며, 상기 메인삽입홈과 일치되게 서브삽입홈을 갖는 서브홀더; 및
    상기 서브홀더에 대해 상기 메인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외력 미작용시 상기 메인삽입홈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테이핑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서브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테이핑휠과 함께 회전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테이핑 장치.
KR1020090103839A 2009-10-29 2009-10-29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KR10109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9A KR101091947B1 (ko) 2009-10-29 2009-10-29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9A KR101091947B1 (ko) 2009-10-29 2009-10-29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82A true KR20110047082A (ko) 2011-05-06
KR101091947B1 KR101091947B1 (ko) 2011-12-08

Family

ID=4423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839A KR101091947B1 (ko) 2009-10-29 2009-10-29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8437A (zh) * 2017-04-12 2017-06-27 诸暨中澳自动化设备有限公司 胶带缠绕包扎机构
CN111863357A (zh) * 2020-07-22 2020-10-30 江苏苏阳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电缆的包覆层绕制设备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8403A (ja) * 2007-02-09 2008-08-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テーピン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8437A (zh) * 2017-04-12 2017-06-27 诸暨中澳自动化设备有限公司 胶带缠绕包扎机构
CN111863357A (zh) * 2020-07-22 2020-10-30 江苏苏阳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电缆的包覆层绕制设备
CN111863357B (zh) * 2020-07-22 2021-11-12 江苏苏阳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电缆的包覆层绕制设备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947B1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947B1 (ko)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CN104885318B (zh) 用于电气设备的电气盒
CN207039099U (zh) 一种线扣
JP5796178B2 (ja) 床用配線装置
FR2876214B1 (fr) Disque isolant de support d&#39;un conducteur et ensemble electrique comprenant ce disque.
JP2018178403A (ja) 開閉装置の電源切替装置
KR200397073Y1 (ko) 이중 권취형 국기게양장치
KR101228543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200481363Y1 (ko) 콘센트 장치부 및 이를 구비한 전선릴
CN209675845U (zh) 一种电缆剥皮装置
JP2004103346A (ja) 配線ダクト用アース端子接続装置
KR101223131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228551B1 (ko) 가공전선용 절연애자를 갖춘 다기능 완철
CN204938592U (zh) 卷线机构及升降装置
AU2005201414A1 (en) An electrical insulator to mount an electric wire to a support
KR101715788B1 (ko)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CN216203967U (zh) 一种车间智能化恒温恒湿控制装置
CN210607056U (zh) 一种带防护装置的转换开关
CN220965417U (zh) 一种led大屏拼接组装支撑组件
CN212412485U (zh) 一种电力维修监控装置
CN203337874U (zh) 通信线路敷设工具和通信线路接入组件
KR200298567Y1 (ko) 전선용 롤러
FR2839819A1 (fr) Boitier a brides pour cloisons creuses
CN102201652B (zh) 束线盒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