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668A -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668A
KR20110044668A KR1020090101468A KR20090101468A KR20110044668A KR 20110044668 A KR20110044668 A KR 20110044668A KR 1020090101468 A KR1020090101468 A KR 1020090101468A KR 20090101468 A KR20090101468 A KR 20090101468A KR 20110044668 A KR20110044668 A KR 2011004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anoparticle
photosensitive agent
complex
polyethylene glycol
alp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410B1 (ko
Inventor
최용두
장보승
박진영
이정임
김인후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09010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410B1/ko
Priority to PCT/KR2009/006263 priority patent/WO2011049256A1/ko
Priority to US12/673,122 priority patent/US9095613B2/en
Publication of KR2011004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71PDT with porphyrins having exactly 20 ring atoms, i.e. based on the non-expanded tetrapyrrolic ring system, e.g. bacteriochlorin, chlorin-e6, or phthalocyan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2Gold;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6Porphy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5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체는 금속나노입자, 제1 전하를 띠는 광감각제, 및 상기 금속나노입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하와 반대극성의 제2 전하를 띠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가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동안에는 복합체를 유지할 수 있어, 광민감성 부작용 지속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양조직에는 특이적 축적되는 반면 정상조직에는 쉽게 침투하기 어려우므로, 광역학 처리에 의해 종양조직 만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종양조직에서의 선택적 형광발생은 상기 복합체를 사용한 종양 진단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Photosensitizer - metal nanoparticle charge complex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lex for photodynamic therapy or diagnosis}
본 발명은 광감각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감각제(photosensitizer)를 사용하는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은 종래의 암치료법인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 약물요법의 부작용 및 암치료 이후의 후유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서 관심을 얻고 있다.
광감각제는 특정 파장의 빛에 조사되었을 때 여기되고, 여기 상태의 광감각제는 주변의 기질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응성 산소종은 주변 종양 세포를 자멸(apoptosis) 또는 괴사(necrosis)시킨다.
그러나, 현재 암치료에 사용되는 1세대 광감각제인 포토프린(Photofrin)의 경우 두 가지의 큰 단점을 갖는다. 첫번째는 630nm 파장에서 1,170 M-1cm-1의 낮은 몰 흡광계수를 갖는다는 점이고, 두번째는 피부 광민감성(skin photosensitivity) 부작용이 6주 이상 지속된다는 점이다.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은 광감각제 투여후 투여된 광감각제가 피부나 눈 등의 정상세포에 비특이적으로 축적 및 잔존하여, 환자가 광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 또는 눈의 정상세포를 죽이는 부작용을 말한다. 포토프린의 경우 소수성을 가져 피부나 눈의 세포에 비특이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용이하므로,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의 지속시간이 긴 것으로 알려졌다.
포토프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2세대 광감각제로서 포스칸(Foscan)이 개발되었다. 포스칸은 652nm에서의 30,000 M-1cm-1의 높은 몰흡광계수를 나타내어, 포토프린에 비하여 200배 향상된 광역학 치료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포스칸 역시 소수성을 가지므로,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키지 못했다.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의 개선을 위해 현재 임상 3상 시험중인 2세대 친수성 광감각제인 모노-L-아스파틸 클로린 e6(mono-L-aspartyl chlorine e6, NPe6)가 개발되었다. 모노-L-아스파틸 클로린 e6는 4개의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광감각제로서, 이는 카르복실기로 인해 친수성을 가져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이 1주일로 크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카르복실기는 혈액 내에서 음전하를 띠어 이를 가진 광감각제는 암조직에 도달하여도 세포 내로 흡수되기(uptake) 힘들다. 또한, 친수성 카르복실기를 가진 광감각제는 소변을 통해 체외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암조직에서 광감각제가 적절한 농도로 축적되기 위해서는 소수성 광감각제에 비해 높은 용량을 투여하여야 한다. 그 결과, 정상조직에 비특이적으로 축적되는 광감각제의 양이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감소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2세대 친수성 광감각제에서 여전히 피부 광민감성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역학 반응이 표적 환부에서 보다 선택적으로 일어나 반응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체는 금속나노입자, 제1 전하를 띠는 광감각제, 및 상기 금속나노입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하와 반대극성의 제2 전하를 띠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는 광감각제와 금속나노입자가 전하-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광감각제가 금속나노입자로부터 서서히 해리된다. 따라서, 상기 복합체를 체내에 투여한 후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동안에는 상기 광감각제가 상기 금속나노입자로부터 해리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복합체를 유지한다. 상기 광감각제가 금속나노입자와 복합체를 이루고 있는 동안에는 빛에 노출 되더라도 형광 및 반응성 산소의 생성이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는 광감각제 자체에 비해 크기가 커서 비뇨계를 통하여 체외로 쉽게 배출되지는 않으면서도 종양 주변에 존재하는 느슨한 신생 혈관벽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종양 조직에 침투할 수 있으며, 종양의 림프관을 통한 배출기능의 부족으로 인해 종양에 축적되고 또한 오래 머무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는 서로 반대 전하를 띠는 요소들이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하므로 전기적으로 거의 중성에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띠는 광감각제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종양 세포 내로 엔도시토시스 되어 들어갈 수 있어, 종양 세포 내에 용이하게 축적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혈관벽이 촘촘한 정상조직에는 쉽게 침투하기 어렵다. 그 결과,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복합체는 종양 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가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동안에는 복합체를 유지하고 또한 정상조직에는 쉽게 침투하기 어려우므로, 광민감성 부작용 지속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양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된 후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복합체로부터 해리된 광감각제는 광역학 처리에 의해 종양조직 만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종양조직에서의 선택적 형광발생은 상기 복합체를 사용한 종양 진단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10)는 금속나노입자(11), 제1 전하를 띠는 광감각제(15), 및 상기 금속나노입자(1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하와 반대극성의 제2 전하를 띠는 연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나노입자(11)는 적어도 일방향의 길이가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인 나노입자로서, 상기 광감각제(15)와의 공명 에너지 전이(resonance energy transfer)가 가능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나노입자(11)를 구성하는 금속은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백금, 팔라듐, 니켈, 철, 또는 이들의 혼합 조성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나노입자(11)를 구성하는 금속은 몰흡광계수가 109 이상으로서 상기 광감각제(15)에 비해 만배 이상 효율적으로 광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표면에 물질 도입이 용이한 금일 수 있다. 상기 금속나노입자(11)는 구(sphere)형, 막대(rod)형, 피라미드(pyramid)형, 별 모양(star-shaped), 코어-쉘 (core-shell)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나노입자(11)는 그의 구성물질, 모양 또는 크기에 따라서 흡수하는 파장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감각제(15)의 형광 스펙트럼과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흡광스펙트럼이 겹칠 수 있도록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구성물질, 모양 또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에 화학적 또는 전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합되고,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광감각제(15)를 결합시킬 수 있는 폴리펩티드 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연결부(12)는 극성 용매 내에서 양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알지닌(Arg), 라이신(Lys), 또는 히스티딘(His); 또는 극성 용매 내에서 음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스파틱산(Asp), 또는 글루타믹산(Glu)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는 음이온 또는 양이온에 의해 상기 금속나노입자(11)과 상기 광감각제(15) 양쪽에 전하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결부(12)는 그의 일단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잔기로서 갖는 아미노산을 함유함과 동시에 그의 타단에 티올기를 잔기로서 갖는 시스테인(Cystein)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금속나노입 자(11) 표면에 티올(thiol)-금속 결합으로 화학흡착될 수 있으면서, 상기 광감각제(15)를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의 다른 예는 치환기로서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또는 그의 염,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민기(amine)를 구비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치환기는 극성 용매 내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carboxylate anion), 설포네이트 음이온(sulfonate anion), 또는 암모늄 양이온(ammonium cation)으로 이온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치환기로서 구비하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헤파린(heparin) 또는 그의 유도체, 하이아룰로닉 산(Hyarulon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젤라틴(gelatin)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라이신(polylysine)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 imine)) 또는 그의 유도체, 키토산 (chitosan)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는 음이온 또는 양이온에 의해 상기 금속나노입자(11)과 상기 광감각제(15) 양쪽에 전하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결부(12)는 그의 일단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치환기로서 구비함과 동시에 그의 타단에 티올기를 치환기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 표면에 티올(thiol)-금속 결합으로 화학흡착될 수 있으면서, 상기 광감각제(15)를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광감각제(15)가 전하 상호작용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광감각제(15)와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약 20nm 이내가 되도록, 그 구성 아미노산 수 또는 탄소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감각제(15)는 유리 염기(free base) 또는 금속 착물(metal complex) 형태의 포르피린 기반(porphyrin-based) 화합물, 또는 비포르피린(nonporphyrin)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포르피린계(porphyrins)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포르피린 유도체들(porphyrin derivatives); 포르피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롤(pyrrole)이 피롤린(pyrroline)으로 환원된 환원 포르피린계(reduced porphyrins) 예를 들어, 클로린(chlorin), 박테리오클로린(bacteriochlorin); 또는 포르피린 유사체들(porphyrin analogues)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나프탈로시아닌(naphthalocyanine)일 수 있다. 상기 비포르피린 화합물은 하이페리신(hypericin), 로다민(rhodamine), 로즈벵갈 (rose Bengal), 프소랄렌(psoralen), 페노씨아지늄(phenothiazinium) 계열 염료 또는 메로시아닌(merocyanine)일 수 있다. 이러한 광감각제(15)는 치환기로서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또는 그의 염,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민기(amin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감각제(15)의 치환기는 극성 용매 내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carboxylate anion), 설포네이트 음이온(sulfonate anion), 또는 암모늄 양이온(ammonium cation)으로 이온화되어, 상기 연결부(12)에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광감각제(15)에 함유된 전하(또는 이온)와 상기 연결부(12)에 함유된 전하(또는 이온)가 서로 반대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광감각제(15)는 기저상태에 있을 때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면 일항 상태(single state)로 여기된다. 일항 상태의 광감각제 중 일부는 형광의 형태로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기저상태로 돌아가고, 대부분은 계간 전이(intersystem crossing)를 통해 삼항 상태(triplet state)로 전이된다. 상기 일항 상태 또는 삼항 상태의 광감각제는 주변의 기질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예를 들어 일항 산소, 산소 라디칼, 슈퍼 옥사이드(super oxide) 또는 퍼옥사이드(peroxide)를 생성한다. 생성된 반응성 산소종은 주변 종양 세포를 사멸(apoptosis) 또는 괴사(necrosis)시킬 수 있다.
상기 광감각제(15)는 조직내 광침투 가능성 및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 효율을 고려할 때, 450 내지 950nm,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900nm의 파장을 갖는 광에 의해 여기되는 물질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감각제(15)가 상기 연결부(12)에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금속나노입자(11)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즉,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10)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파장의 광에 노출되더라도 일항 상태의 광감각제(15)에서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표면으로 에너지 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감각제(15)는 형광을 내지 못할 뿐 아니라 반응성 산소종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금속나노입자(11)와 상기 광감각제(15)가 상기 연결부(12)에 의해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10)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10)는 친수성 고분자(13)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13)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에 결합되거나, 상기 연결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고분자(13)는 저면역원성(low immunogenicity)등의 생체적합성을 갖는다. 일 예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poly(alkylene glycol))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이산(polyethylene glycol-diacid);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라자이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이미다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라자이드,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이미다졸 중 둘 이상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친수성 고분자(13)는 폴리알킬렌글리콜과 다른 폴리머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아미도아민,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아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뉴클레오티드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고분자(13)는 저면역원성을 가져 혈액 내의 혈청이 복합체(10) 표면에 비특이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비뇨계를 통해 상기 복합체(10)가 제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10)의 혈액 내 반감기를 2세대 친수성 광감각제에 비해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13)는 상기 복합체(10)의 유체역학적 부 피(hydrodynamic volume)를 더욱 증대시켜, 상기 복합체(10)가 종양 주변에 존재하는 느슨한 신생 혈관벽은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정상 조직 내의 혈관벽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친수성 고분자(13)가 도입된 상기 복합체(10)는 종양 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상기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10)는 종양표적부(14)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종양표적부(14)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13)의 말단 또는 상기 연결부(1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종양표적부(14)는 상기 종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antibody), 폴산(folic acid),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리간드, 사이클릭 RGD(arginine-glycine-aspartic) 펩티드, RNA 압타머(aptamer), siRNA, 또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이러한 종양표적부(14)가 도입되면 상기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10)는 암 등의 종양에 더욱 특이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광에 의한 반응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금속나노입자(11)와 광감각제(12)가 연결부(12)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합체(10)가 상기 광감각제(15)를 여기시킬 수 있는 파장을 갖는 광에 노출된 경우, 일항 상태의 광감각제(15)에서 금속나노입자(11)의 표면으로 에너지 전이 즉, 공명 에너지 전달(resonance energy transfer)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나노입자(11)는 소광 제(quencher)로서 작용하여 상기 광감각제(15)의 형광 발생 및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복합체(10)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합체(10)를 체내에 투여한 후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동안에는 상기 광감각제가 상기 금속나노입자로부터 해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복합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10)는 광감각제(12) 자체에 비해 크기가 커서 상대적으로 혈관벽이 촘촘한 정상조직에는 쉽게 침투하기 어렵다. 그 결과, 광민감성 부작용 지속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복합체(10)는 종양 주변에 존재하는 느슨한 신생 혈관벽을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종양 조직에 침투할 수 있으며, 종양의 림프관을 통한 배출기능의 부족으로 인해 종양에 축적되고 또한 오래 머무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10)는 서로 반대 전하를 띠는 요소들이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하므로 전기적으로 거의 중성에 가까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띠는 광감각제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종양 세포 내로 엔도시토시스 되어 들어갈 수 있어, 종양 세포 내에 용이하게 축적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복합체(10) 는 종양 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종양 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된 복합체(1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광감각제(15)가 금속나노입자(11)로부터 서서히 분리되어 해리된다. 이 경우, 상기 광감각제(15)와 상기 금속나노입자(11) 사이의 거리는 소광이 가능하지 않은 거리 예를 들어, 20nm를 초과하게 된다. 그 후, 상기 광감각제(15)를 여기시킬 수 있는 파장을 갖는 광에 노출되면, 상기 광감각제(15)는 일항 상태(single state)로 여기된다. 일항 상태의 광감각제 중 일부는 형광의 형태로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기저상태로 돌아가고, 대부분은 계간 전이(intersystem crossing)를 통해 삼항 상태(triplet state)로 전이된다. 상기 일항 상태 또는 삼항 상태의 광감각제는 주변의 기질 또는 산소와 반응하여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예를 들어 일항 산소, 산소 라디칼, 슈퍼 옥사이드(super oxide) 또는 퍼옥사이드(peroxide)를 생성한다. 생성된 반응성 산소종은 주변 종양 세포를 사멸(apoptosis) 또는 괴사(necrosis)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양 조직에 특이적 축적된 복합체(10)가 서서히 해리됨에 따라 광역학 처리과정에서 종양조직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종양조직에서의 선택적 형광발생은 상기 복합체를 사용한 종양 진단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구체예에서 기술되는 복합체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체와 유사하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부(12a)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에 화학적 으로 결합되고,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광감각제(15)를 결합시킬 수 있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연결부(12a)는 그의 일단(12a-3)에 극성 용매 내에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잔기로서 갖는 아미노산을 함유함과 동시에 그의 타단(12a-1)에 티올기를 잔기로서 갖는 시스테인(Cystein)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a)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 표면에 티올(thiol)-금속 결합으로 화학흡착될 수 있으면서, 상기 광감각제(15)를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양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미노산은 알지닌(Arg), 라이신(Lys), 또는 히스티딘(His)일 수 있고, 음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미노산은 아스파틱산(Asp), 또는 글루타믹산(Glu)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a)의 일단(12a-3)과 타단(12a-1) 사이의 중간부(12a-2)는 중성의 알킬기를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인접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들(12a)은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정렬 및 팩킹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a)의 일 예는 RRLAC(서열번호 1, Arg-Arg-Leu-Ala-Cys)일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13)는 상기 금속나노입자(11)에 화학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친수성 고분자(13)의 말단은 티올기를 함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구체예에서 기술되는 복합체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체와 유사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2b)는 금속나노입자(11) 및 광감각제(15) 양쪽에 전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폴리펩티드 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연결부(12b)는 극성 용매 내에서 양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알지닌(Arg), 라이신(Lys), 또는 히스티딘(His); 또는 극성 용매 내에서 음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스파틱산(Asp), 또는 글루타믹산(Glu)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b)의 일 예는 아민기를 잔기로서 함유하는 폴리(L-라이신)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의 다른 예는 치환기로서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또는 그의 염,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민기(amine)를 구비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치환기로서 구비하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헤파린(heparin) 또는 그의 유도체, 하이아룰로닉 산(Hyarulon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젤라틴(gelatin)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라이신(polylysine)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 imine)) 또는 그의 유도체, 키토산 (chitosan)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금속나노입자(11)는 금속의 특성 상 전하의 이동이 자유로워 상기 연결부(12b)와 직접적으로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12b)와 상기 금속나노입자(11) 사이의 전하 상호작용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표면은 개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나노입 자(11)의 표면 상에 상기 연결부(12b)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를 갖는 개질부(11 ′)를 코팅할 수 있다. 상기 개질부(11 ′)는 금속-티올 결합에 의해 상기 금속나노입자(11)의 표면에 결합되고, 그의 말단에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carboxylate anion), 설포네이트 음이온(sulfonate anion), 또는 암모늄 양이온(ammonium cation)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부(11 ′)의 일 예는 머캅토썩시닉에시드(mercaptosuccinic acid; MSA)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b)의 총 전하량의 절대값은 상기 개질부(11 ′)의 총 전하량의 절대값에 비해 커야 광감각제(15)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친수성 고분자(13)는 상기 연결부(12b)에 결합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13)을 포함한 연결부(12b)의 일 예는 PEG-g-PLL(Polyethyleneglycol-graft-poly(L-lysine))일 수 있다.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량의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담체는 희석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 등의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의도된 투여 경로와 조화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 다. 투여 경로의 예는, 비경구, 예를 들어 정맥내, 피부내, 피하, 비내, 경피(국소), 점막관통, 및 직장 투여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담체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주사액, 링거 주사액, 덱스트로오스 주사액, 덱스트로오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액, 및 락테이트 함유 링거 주사액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수성 운반체(vehicle); 에틸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수-혼화성 운반체; 및 옥수수 유, 면실 유, 땅콩 유, 참깨 유, 에틸 올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비-수성 운반체일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양 치료 또는 종양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양 치료 또는 종양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량은 케이스 별로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또는 치료 또는 진단되어야 할 병태의 중증도가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은 광감각제의 당량 및 환자 체중을 기준으로 0.001㎍ ~ 10 ㎎/㎏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예에서 상기 복합체은 0.1㎎ ~ 5 ㎎/㎏으로 투여될 수 있다.
실험예들( Examples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광감각제 - 금나노입자 복합체(Ⅰ)의 제조
제조예 1-1: 표면이 음전하로 하전된 금나노입자(MSA-GNP)의 제조
0.01 wt/v% HAuCl4 용액 100㎖를 10분간 가열 한 후, 1 wt/v%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3㎖를 첨가하였다. 20분 더 가열 후에 용액이 노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시트레이트(citrate)가 정전기적으로 코팅되어 음이온성 표면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금나노입자(Gold Nanoparticle; GNP) 콜로이드(시트레이트-GNP)가 만들어졌다. 이 후, 50℃에서 60㎖의 GNP 콜로이드(citrate-GNP)에 1 wt/v% MSA(mercaptosuccinic acid) 수용액 8㎖를 첨가한 후 12시간 반응시켜 MSA가 GNP 표면에 화학흡착된 MSA-GNP 용액을 만들었다. 상기 MSA-GNP 용액을 투석막(MWCO = 50,000)에 넣고 증류수 상에서 투석을 시행하여 반응하지 않은 MSA와 시트레이트를 제거하였다.
제조예 1-2: PEG -g- PLL 의 합성
100mg의 PLL-HBr(Poly-L-lysine hydrobromide, Mw 30,000~70,000 Da)을 3ml의 50mM 소듐 테트라보레이트 버퍼(sodium tetraborate buffer, pH 8.5)에 녹인 후, 250mg의 mPEG-SG(Methoxy polyethyleneglycol succinimidyl glutarate; Mw 5,000 Da)을 첨가하고 6시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하지 않은 mPEG-SG를 제거하기 위해서 투석막(MWCO = 10,000)을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투석하여 얻은 수용액 을 동결 건조하여, 결과물을 얻었다. 결과물을 600mHz 1H-NMR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PLL의 잔기들의 14%에 PEG가 결합된 PEG-g-PLL(EGL)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3a: 광감각제 - 금나노입자 전하복합체( MSA - GNP / EGL / AlPcS 4 ) 의 합성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MSA-GNP 수용액 200㎕를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5.6mg/㎖의 농도를 갖는 EGL 수용액 200㎕와 섞고, 여기에 10mM 인산염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7.4)을 첨가하여 총 부피가 1㎖가 되게 하였다. 그 후, 30분 동안 상온에 두어 MSA-GNP/EGL 복합체를 만들었다. 여기에 36mg/㎖의 농도를 갖는 AlPcS4 (Al(III) Phthalocyanine Chloride Tetrasulfonic Acid)수용액을 5㎕ 첨가한 후, 다시 30분 동안 상온에 두어 MSA-GNP/EGL/AlPcS4복합체인 광감각제-금나노입자 전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b: 광감각제 - 금나노입자 전하복합체( MSA - GNP / EGL / AlPcS 4 )의 합성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MSA-GNP 수용액 4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3a와 같은 방법으로 MSA-GNP/EGL 복합체와 MSA-GNP/EGL/AlPcS4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분석예 1: 입자들의 크기 분포 및 표면 제타전위 분석
입자들의 크기(hydrodynamic volume) 분포 및 표면 제타전위는 입도분석기(Dynamic Light Scatterin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MSA-GNP의 크기는 35.8±2.2nm였고 표면 제타전위는 -27.3±0.1mV였다.
제조예 1-3a를 진행하는 도중에 만들어진 MSA-GNP/EGL 복합체의 크기는 110.4±12.5nm 이었으며, 표면 제타전위는 3.4±0.4mV이었다. 또한, 제조예 1-3a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크기는 55nm였고, 표면 제타전위는 2.25mV였다. 여기서, 예상보다 표면 제타전위값이 작게 나온 것은 EGL에 함유된 PEG가 나노입자의 가장 바깥쪽 표면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제타전위값의 평균을 감소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제조예 1-3b를 진행하는 도중에 만들어진 MSA-GNP/EGL 복합체의 크기는 151.05±52.3nm이었으며, 표면 제타전위는 3.35±1.7mV이었다. 또한,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크기는 61nm였고, 표면 제타전위는 4.7mV 였다.
도 5는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평균 크기는 61nm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3a 및 제조예 1-3b 각각에서 MSA-GNP/EGL 복합체와 비교하여 MSA- GNP/EGL/AlPcS4복합체의 크기가 상당히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양이온 전하를 띤 MSA-GNP/EGL 복합체에 음전하를 띠는 AlPcS4가 첨가됨으로서 EGL막이 더욱 밀집된 상태로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이로부터, AlPcS4가 첨가되어 전하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서 더 컴팩트하고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시트레이트-GNP와 MSA-GNP의 UV/Vis 흡수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레이트-GNP와 MSA-GNP 모두 530nm에서 전형적인 흡수피크를 보였으며, 서로 유사한 UV/Vis 흡수 스펙트럼을 보였다.
도 7은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SA-GNP 상에 EGL막이 코팅되고, EGL막 내에 AlPcS4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MSA의 음전하를 갖는 카르복실레이트(-COO-)과 EGL의 잔기인 양전하를 갖는 1차 암모늄(ammonium, -NH3 +)으로 인해, EGL막은 MSA-GNP 상에 정전하 인력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분석예 2: MSA - GNP / EGL / AlPcS 4 복합체의 안정성 및 형광 특성 분석
제조예 1-3a 및 제조예 1-3b에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들와 AlPcS4각각을 당량 농도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6.7mM, pH 7.4, NaCl 154mM)에 녹인 후, 660nm 의 광에 노출시켜 여기시킨 후 690nm 에서의 형광값을 10분 마다 3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도 8a는 MSA-GNP/EGL/AlPcS4복합체들와 AlPcS4을 광여기한 후 경과시간에 대한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MSA-GNP/EGL/AlPcS4복합체들은 동일 농도의 AlPcS4에 비하여 약 1/8 정도의 낮은 형광신호를 보였으며, 이는 MSA-GNP/EGL/AlPcS4복합체들 이 형성됨으로써, 형광이 소광(quench)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3시간 동안 MSA-GNP/EGL/AlPcS4복합체들의 형광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부터, 복합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3a 및 제조예 1-3b에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들과 AlPcS4각각을 1 당량 농도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6.7mM, pH 7.4, NaCl 154mM)에 녹인 후, 일부 그룹은 백색광에서 촬영하였고 나머지 그룹은 365nm의 광을 쪼여준 후 촬영하였다.
도 8b는 MSA-GNP/EGL/AlPcS4복합체들와 AlPcS4을 백색광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365nm의 광을 쪼여준 후 촬영한 형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365nm의 광을 쪼여준 후 AlPcS4는 형광을 나타내나, MSA-GNP/EGL/AlPcS4복합체들은 형광 발생이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광감각제 - 금나노입자 복합체(Ⅱ)의 제조
제조예 2-1: 금나노막대(GNR)의 제조
금나노막대는 시드 매개 방법(seed mediated method)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CTAB(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를 3차 증류수에 100mM의 몰농도로 녹인 CTAB 수용액 7.5㎖와 10mM의 HAuCl4수용액(HAuCl4.3H2O) 250㎕를 섞어준 후, 여기에 10mM의 NaBH4 를 3차 증류수에 녹인 수용액 600㎕를 넣어주었다. 이를 2분 동안 교반한 후, 25℃에서 2시간을 방치하여 시드 용액을 준비하였다.
한편, 100mM의 CTAB 수용액 40㎖에 10mM의 HAuCl4수용액(HAuCl4.3H2O) 1.7㎖를 첨가한 후, 여기에 AgNO3을 3차 증류수에 녹여 만든 10mM의 AgNO3 수용액 250㎕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3차 증류수에 녹여 만든 100mM의 아스코르브산 수용액 270㎕를 순차적으로 넣어주었다. 여기에, 상기 시드 용액 420㎕를 넣어주고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5,000g, 25℃, 15분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여 금나노막대(GNR)를 얻었다. CTAB가 코팅된 금나노막대의 표면 제타전위는 65.8mV로 측정 되었다.
도 9는 제조예 2-1에 따라 제조된 금나노막대를 촬영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평균 길이 34nm 및 너비 9nm인 금나노막대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2: RRLAC ( Arg - Arg - Leu - Ala - Cys ) 합성
RRLAC(Arg-Arg-Leu-Ala-Cys)합성은 일반적인 Fmoc SPPS(Fluorenylmethoxycarbony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방법을 이용하여 C-말단부터 하나씩 커플링하였다. 사용한 시약은 NH2-Cys(Trt)-2-클로로-트리틸(Trityl) 레진, Fmoc-Leu-OH, Fmoc-Ala-OH, Fmoc-Arg(Pbf)-OH, 그리고 커플링 시약으로는 HBTU(O-(Benzotriazol-1-yl)-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HOBt(Hydroxybenzotriazole)/ NMM를 사용하였다. Fmoc 제거는 20% 피페리딘 DMF(Dimethylformamide) 용액을 이용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를 레진에서 분리하고 잔기를 탈보호시키기 위해 TFA(Trifluoroacetic acid)/ EDT(1,2-ethanedithiol)/ 티오아니졸(thioanisole)/ TIS(triisopropylsilane)/ 물 (부피비 = 90/2.5/2.5/2.5/2.5)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먼저, 아미노기가 Fmoc기로 보호되고 잔기가 보호된 아미노산(8당량)에 커플링 시약 HBTU(8당량)/HOBt(8당량)/NMM(16당량)을 DMF에 녹여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커플링 반응을 진행하였다. Fmoc 탈보호를 위하여 20% 피페리딘 DMF 용액을 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2회 반응시켰다. 위의 커플링 반응과 Fmoc 탈보호 반응을 반복적으로 진행 하여 펩타이드 기본 골격을 만든 후, TFA/EDT/ 티오아니졸 /TIS/물(부피비 = 90/2.5/2.5/2.5/2.5)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펩타이드를 레진에서 분리하였다.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제 후, 질량분석하고 동결 건조하여 최종 펩타이드 생성물을 얻었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MALDI-TOF질량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분자량 618g/mol로 RRLAC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3: 표면이 양전하로 하전된 금나노막대(RRLAC-GNR-PEG)의 제조
제조예 2-1에서 제조된 금나노막대를 3차 증류수에 분산시켜, 금나노막대 수용액(4nM) 500㎕와 티올 말단형(thiol-terminated) 메톡시 PEG(polyethyleneglycol)(mPEG-SH, 분자량: 5,000)을 3차 증류수에 녹인 mPEG-SH 수용액(1mM) 50㎕을 혼합하고 25℃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켜 페길화된 금나노막대(GNR-PEG)를 만들었다. 반응하지 않고 남은 mPEG-SH는 15,000g, 25℃, 15분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여 제거하고, 페길화된 금나노막대는 인산염 완충용액(10mM, pH7.4) 에 재분산시켜 페길화된 금나노막대(GNR-PEG) 용액을 제작하였다. 페길화된 금나노막대의 제타전위는 - 26.4mV로 측정되었다.
제조예 2-2에서 제조된 RRLAC펩타이드를 3차 증류수에 녹인 2mM의 RRLAC펩타이드 수용액 100㎕을 상기 페길화된 금나노막대(GNR-PEG) 용액 900㎕와 섞고 25℃ 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하지 않고 남은 펩타이드는 원심 분리를 통해 제거한 후, 3차 증류수에 재분산시켜 RRLAC펩타이드가 표면에 결합되어 양전하를 갖는 페길화된 금나노막대(RRLAC-GNR-PEG) 수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RRLAC-GNP-PEG의 표면 제타전위는 +21.7mV로 측정되어 입자의 표면이 양전하로 하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4: 광감각제 - 금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GNR / AlPcS 4 복합체, RRLAC -GNR-PEG/AlPcS 4 )의 합성
AlPcS4를 3차 증류수에 녹인 4mM AlPcS4 수용액50㎕를 제조예 2-3에서 얻어진 4nM의 RRLAC-GNP-PEG 수용액 950㎕와 혼합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용액을 PD-10 제염 컬럼(PD-10 desalting column, GE Healthcare 사)에 통과시켜 반응하지 않은 AlPcS4를 분리하여, RRLAC-GNR-PEG에 AlPcS4가 전하-전하 상호작용으로 결합된 광감각제-금나노입자 복합체인 RRLAC-GNR-PEG/AlPcS4즉, GNR/AlPcS4 복합체를 얻었다. 컬럼의 용출액으로는 3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RRLAC-GNR-PEG/AlPcS4의 표면 제타전위는 -4.7mV로 측정되었다. 이는 양전하를 띠는 펩타이드에 음전하를 띠는 AlPcS4가 전하-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하여 복합체 입자 표면 전하가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제조예 2-1에 따른 CTAB 코팅된 GNR, 제조예 2-3에 따른 GNR-PEG, 및 제조예 2-4에 따른 GNR/AlPcS4 복합체의 파장별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흡광도는 UV/vis 스캐닝 분광기(scanning spectrophotometer, DU730, Beckman 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CTAB 코팅된 GNR은 510nm와 785nm에서 1.3×109 M-1- 1와 4.6×109 M-1-1의 몰흡광계수를 가진다. 한편, AlPcS4는 675nm에서 1.7×105 M-1-1의 몰흡광계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GNR/AlPcS4 복합체에서 AlPcS4와 GNR는 평균 1:2500의 몰비로 결합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분석예 2-1: GNR / AlPcS 4 복합체의 형광 및 일항산소 생성 효율 분석
형광억제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AlPcS4와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인 제조예 2-4에 따른 GNR/AlPcS4 복합체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6.7mM, pH 7.4, NaCl 154mM)에 녹인 후,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Ex. 660nm, Em.690nm). 이 때, 농도는 두 용액 모두 10μM의 AlPcS4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도 11a는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을 참조하면, GNR/AlPcS4 복합체는 AlPcS4 대비 0.4%에 해당하는 형광강도가 나타났다. 이는 GNR/AlPcS4 복합체에서AlPcS4가 GNR의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함에 따라 형광 신호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일항산소 생성 억제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AlPcS4,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인 GNR/AlPcS4 복합체, 그리고 일항산소 검출 시약 (singlet oxygen sensor green, Molecular probes)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6.7mM, pH 7.4, NaCl 154mM)에 녹이고, 각각의 용액을 670 nm 레이저로 조사해 주었다 (빛 조사량: 0.79 J/㎠, 빛 조사 파워: 26.3 ㎽/㎠). 이후에 일항산소 검출 시약의 형광(Ex./Em. : 504nm, 525nm)을 측정함으로써, 두 용액에서의 일항산소 생성 효율을 비교하였다.
도 11b는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의 상대적인 일항 산소 생성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GNR/AlPcS4 복합체는 AlPcS4 대비 0.03%에 해당하는 일항 산소 생성효율이 나타났다. 이는 GNR/AlPcS4 복합체에서AlPcS4가 GNR의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함에 따라 일항 산소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분석예 2-2: GNR / AlPcS 4 복합체로부터 AlPcS 4 의 해리 속도 분석
제조예 2-4에 따른 GNR/AlPcS4 복합체 용액을 D-TubeTM (Dialyzer Maxi, MWCO 12-14 kDa, Novagen)안에 넣고, D-Tube를 200㎖의 PBS(6.7mM, pH 7.4, NaCl 154mM) 용액에 잠기게 넣은 후, 37 ℃에서 서서히 흔들어 주어 GNR/AlPcS4 복합체에서 해리된 AlPcS4가 튜브 바깥쪽으로 흘러나오도록 하였다. 튜브 바깥쪽 PBS 용액을 30분 간격으로 취하여 형광을 측정하고(Ex. 660nm, Em. 690nm), 농도를 알고 있는 AlPcS4표준 수용액의 형광 검정곡선과 비교 함으로써 해리되어 나온 AlPcS4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시간에 따른 AlPcS4의 해리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GNR 상에 전하-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했던 AlPcS4는 24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해리되었으며, 총 결합양의 60% 정도가 5시간 안에 해리 되었고, 나머지는 여전히 GNR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예 2-3: GNR / AlPcS 4 복합체의 세포 내 흡수 분석
SCC7(편평상피 세포암) 세포주를 세포배양 용기(LebTek II Chambered coverglass)에 웰 당 9만개씩 시딩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에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AlPcS4와 제조예 2-4에 따른 GNR/AlPcS4 복합체를 각각 5uM AlPcS4당량으로 희석시킨 후, 웰당 600㎕씩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두었다. 이 후, 광감각제가 포함된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3번 세정 후, 새로운 세포 배양액을 채우고 컨포컬 현미경으로 형광을 관찰하였다(Ex. 633nm, Em. 636-721nm).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에 의해 처리된 SCC7 세포주의 형광을 촬영한 사진들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와 도 13b에 표시된 선을 기준으로 측정된 형광광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AlPcS4 처리한 경우보다 GNR/AlPcS4 복합체 처리한 SCC7세포주에서 약 4배 정도 강한 형광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lPcS4 에 비해 GNR/AlPcS4 복합체가 세포 내로 더욱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예 2-4: RRLAC - GNR - PEG / AlPcS 4 의 세포 내 흡수 정량분석
SCC7 세포주를 9,000 세포들/웰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에 혈청이 포함된 세포배양액을 사용하여 AlPcS4및 제조예 2-4에서 제조된 GNR/AlPcS4 복합체를 5μM AlPcS4당량의 농도로 희석시키고, 웰 당 600 ㎕씩 첨가 후 37℃에 4 시간 동안 두었다. 이 후, 광감각제가 포함된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3번 세정 후, 0.1%SDS/0.1M NaOH 용액을 200㎕씩 첨가 후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서 발생되는 AlPcS4의 형광 신호를 측정하였다 (Ex. 660nm, Em. 690nm).
도 15은 세포배양액 내의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의 비율 증가에 따른 세포 용해 용액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AlPcS4의 경우 세포배양액 내의 혈청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광감각제의 세포내 흡수가 크게 감소한 반면, GNR/AlPcS4 복합체의 경우에는 혈청의 양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또한, 10% 혈청이 있는 조건 하에서 GNR/AlPcS4 복합체가 세포 안으로 흡수되는 양이 AlPcS4를 처리한 경우보다 약3.6배 정도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성분이 AlPcS4의 세포내 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AlPcS4가 GNR에 결합되어 있는 GNR/AlPcS4 복합체의 경우에는 혈청 내 단백질과 상호작용이 억제되고, 엔도시토시스(endocytosis)에 의한 GNR/AlPcS4 복합체의 세포내 흡수가 잘 일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예 2-5: 광역학 치료 후 세포 생존 실험
SCC 7세포주를 9,000 세포들/웰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사용하여 AlPcS4 및 제조예 2-4에서 제조된 GNR/AlPcS4 복합체를 5μM AlPcS4당량의 농도로 희석시키고, 웰 당 200 ㎕씩 첨가 후 37℃에 4 시간 동안 두었다. 대조 그룹은 세포배양액을 동일한 부피로 첨가 하 였다. 이 후, 세포 내로 흡수되지 않은 AlPcS4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액을 이용하여 2번 세정하고, 새로운 세포배양액을 첨가하였다. 광역학치료(PDT) 처리 그룹은 670nm레이저를 이용하여 조사 선량밀도50 ㎽/cm2 에서 선량 5 J/cm2 및 10 J/cm2의 조건에서 광을 조사하여 주었다. 24시간 후에 MTT 분석을 시행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16은 분석예 2-5에 따른 조건별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사되는 광의 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는데, AlPcS4를 처리해주고 광역학 치료를 (10J/cm2) 시행한 경우에는 64%로 낮은 광독성을 보인 반면 AlPcS4를 GNR에 결합시킨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하고 광역학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5J/cm2선량에서도 22%의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이로부터 GNR/AlPcS4 복합체의 경우가 광역학 치료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GNR/AlPcS4 복합체의 세포내 흡수 양이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예 2-6: 실험 동물 모델에서 광감각제를 이용한 종양의 근적외선 형광영상 및 광역학 치료 효능 평가
몸무게19~22그램의 Balb/c-nu종의 쥐들의 뒷다리 부분 양쪽 피하에 SCC7 세 포주를 2 X 106 cells/100 ㎕의 양으로 투여하여 이종이식 종양 모델을 만들었다. 종양크기가 약 180 cm3이 되었을 때 종양의 크기분포를 기준으로 29마리의 실험 동물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Day 0). 이중 6마리는 광감각제를 이용한 근적외선 형광영상에 사용되었고, 나머지 23마리는 광역학 치료에 의한 종양성장 억제효과 관찰에 사용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높이*길이*폭*0.5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해졌다.
AlPcS4처리 그룹과 제조예 2-4에서 제조된 GNR/AlPcS4 복합체처리 그룹은 PBS (6.7mM, pH 7.4, NaCl 154mM)에 용해된 약물을 각각 1mg AlPcS4 eq./kg의 용량으로 쥐의 꼬리정맥을 통하여 투여하였고, 대조군 그룹은 약물처리 그룹에 해당하는 PBS 수용액만을 쥐의 꼬리정맥에 투여하였다 (Day 1). 투여한 광감각제의 근적외선 형광영상 및 종양 내 축적양을 비교하기 위하여 광감각제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Day 2) 각 그룹마다 2마리씩의 쥐를 취하고, 근적외선 형광 영상 장비 (IVIS Lumina) 를 사용하여 AlPcS4의 형광영상을 얻었다 (Cy5.5 채널; Ex. filter 615-665nm, Em. Filter 695-770nm).
나머지 실험 쥐들은 약물투여 24시간 후, 670nm레이저를 이용하여 종양 부위에 조사 선량밀도 177mW/㎠ 및 선량 60J/㎠의 조건에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였고 (Day 2), 광역학 처리 후 24시간마다 3일 동안 종양의 크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5일째부터 대조군 종양의 크기가 2 cm를 넘기 시작하여 5일째에 실험을 종료하였 다.
도 17a는 근적외선 형광영상을 사용하여 종양 부위를 영상화한 사진들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AlPcS4 또는 GNR/AlPcS4 복합체를 투여한 그룹에서 모두 근적외선 형광영상을 통하여 종양 부위를 영상화 할 수 있었다.
도 17b는 종양조직에서 생성된 평균 형광 신호(□) 및 종양 주변의 정상조직에서의 평균 형광 신호(■)의 세기 분석 그래프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경우에는 백그라운드 대비 종양(tumor-to-background)의 형광 신호 비율이 2.8배 였고, AlPcS4 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2.5배였다.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경우에는 종양에서의 평균 형광신호가 21365 카운트가 측정되었고 AlPcS4를 처리한 경우에는 종양에서 평균 형광신호 값이 7224로 측정되어,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경우가 AlPcS4를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2.9배 더 높은 형광 신호가 측정되었으며, 이는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경우에 광감각제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종양내 AlPcS4의 농도가 더 높음을 보여준다.
도 18은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그룹들의 광역학 처리 후 종양 크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AlPcS4를 처리한 그룹의 경우 광역학 처리 1일 후 종양 크기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P=0.034), 종양이 다시 성장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GNR/AlPcS4 복합체의 경우에는 광역학 처리 후 3일이 지난 후에도 종양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AlPcS4처리 그룹은 5일째 대조군 그룹에 비하여 종양 크기가 67% (P=0.077)였으며, GNR/AlPcS4 복합체 처리그룹은 5일째 대조군 그룹에 비하여 종양크기가 42% (P=0.001) 였다. 또한 Day 5에 AlPcS4 처리 그룹과 GNR/AlPcS4 복합체 처리 그룹간의 종양크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P=0.011). 이러한 결과는 AlPcS4보다 GNR/AlPcS4 복합체 형태가 종양에 더 많이 축적되고 더 높은 광역학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게 한다. 종양 크기간 통계학적 분석은 Mann-Whitney 검정법을 이용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광에 의한 반응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시트레이트-GNP와 MSA-GNP의 UV/Vis 흡수 스펙트럼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조예 1-3b의 결과물로서 제조된 MSA-GNP/EGL/AlPcS4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도 8a는 MSA-GNP/EGL/AlPcS4복합체들와 AlPcS4을 광여기한 후 경과시간에 대한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MSA-GNP/EGL/AlPcS4복합체들와 AlPcS4을 백색광에서 촬영한 이미지 와 365nm의 광을 쪼여준 후 촬영한 형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제조예 2-1에 따라 제조된 금나노막대를 촬영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제조예 2-1에 따른 CTAB 코팅된 GNR, 제조예 2-3에 따른 GNR-PEG, 및 제조예 2-4에 따른 GNR/AlPcS4 복합체의 파장별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는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의 상대적인 일항 산소 생성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시간에 따른 AlPcS4의 해리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에 의해 처리된 SCC7 세포주의 형광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와 도 13b에 표시된 선을 기준으로 측정된 형광광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15은 세포배양액 내의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의 비율 증가에 따른 세포 용해 용액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분석예 2-5에 따른 조건별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a는 근적외선 형광영상을 사용하여 종양 부위를 영상화한 사진들이다.
도 17b는 종양조직에서 생성된 평균 형광 신호(□) 및 종양 주변의 정상조직 에서의 평균 형광 신호(■)의 세기 분석 그래프이다.
도 18은 AlPcS4와 GNR/AlPcS4 복합체를 처리한 그룹들의 광역학 처리 후 종양 크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10> National Cancer Center <120> Photosensitizer - metal nanoparticle charge complex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lex for photodynamic therapy or diagnosis <130> 9022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ing polypeptide <400> 1 Arg Arg Leu Ala Cys 1 5

Claims (23)

  1. 금속나노입자;
    제1 전하를 띠는 광감각제; 및
    상기 금속나노입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하와 반대극성의 제2 전하를 띠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나노입자에 화학적 결합되는 폴리펩티드 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의 일단에 양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알지닌(Arg), 라이신(Lys), 또는 히스티딘(His); 또는 음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스파틱산(Asp), 또는 글루타믹산(Glu)을 함유하고, 그의 타단에 티올기를 잔기로서 갖는 시스테인(Cystein)을 함유하는 폴리펩티드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RRLAC(서열번호 1)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5. 제2항에 있어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치환기로서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또는 그의 염,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민기(amine)를 구비하고, 그 중의 일부가 티올기(thiol)기로 개질된 것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치환기로서 구비하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헤파린(heparin) 또는 그의 유도체, 하이아룰로닉 산(Hyarulon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젤라틴(gelatin)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라이신(polylysine)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 imine)) 또는 그의 유도체, 키토산 (chitosan)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또는 그의 유도체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나노입자에 전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되는 폴리펩티드 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상기 제2 전하와 반대극성을 갖는 제1 전하를 띠는 개질부에 의해 표면이 코팅된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는 그의 일단에 티올기를 갖고 그의 타단에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carboxylate anion), 설포네이트 음이온(sulfonate anion), 또는 암모늄 양이온(ammonium cation)을 갖는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는 머캅토썩시닉에시드(mercaptosuccinic acid; MSA)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양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알지닌(Arg), 라이신(Lys), 또는 히스티딘(His); 또는 음이온을 잔기로서 포함하는 아스파틱산(Asp), 또는 글루타믹산(Glu)을 함유하는 폴리펩티드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폴리(L-라이신)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치환기로서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또는 그의 염,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민기(amine)를 구비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치환기로서 구비하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헤파린(heparin) 또는 그의 유도체, 하이아룰로닉 산(Hyarulon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젤라틴(gelatin)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라이신(polylysine)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 imine)) 또는 그의 유도체, 키토산 (chitosan)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또는 그의 유도체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각제는 유리 염기(free base) 또는 금속 착물(metal complex) 형태의 포르피린 기반(porphyrin-based) 화합물, 또는 비포르피린(nonporphyrin) 화합물이되,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carboxylate anion), 설포네이트 음이온(sulfonate anion), 또는 암모늄 양이온(ammonium cation)을 치환기로서 함유하는 광감각제-금 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각제는 AlPcS4(aluminium tetrasulfophthalocyanine)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백금, 팔라듐, 니켈, 철,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금속을 함유하는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형태는 구(sphere)형, 막대(rod)형, 피라미드(pyramid)형, 별 모양(star-shaped), 코어-쉘 (core-shell) 형태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 또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친수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폴리락틱-폴리글리콜릭 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이산(polyethylene glycol-diacid);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라자이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이미다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라자이드,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이미다졸 중 둘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아미도아민,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아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공중합체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 또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한 종양표적부를 더 포함하는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표적부는 종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antibody), 폴산(folic acid),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리간드, 사이클릭 RGD(arginine-glycine-aspartic) 펩티드, RNA 압타머(aptamer), siRNA, 또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인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항의 광감각제-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KR1020090101468A 2009-10-23 2009-10-23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KR10114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68A KR101141410B1 (ko) 2009-10-23 2009-10-23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PCT/KR2009/006263 WO2011049256A1 (ko) 2009-10-23 2009-10-28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US12/673,122 US9095613B2 (en) 2009-10-23 2009-10-28 Photosensitizer-metal nanoparticle charge complex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lex for photodynamic therapy or diagn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68A KR101141410B1 (ko) 2009-10-23 2009-10-23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68A true KR20110044668A (ko) 2011-04-29
KR101141410B1 KR101141410B1 (ko) 2012-05-04

Family

ID=4390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68A KR101141410B1 (ko) 2009-10-23 2009-10-23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95613B2 (ko)
KR (1) KR101141410B1 (ko)
WO (1) WO201104925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686A1 (ko) * 2012-05-17 2013-11-21 (주)파낙스이엠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친수성 광감작제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체
KR101349360B1 (ko) * 2012-01-27 2014-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8103A (ko) * 2014-05-08 2015-11-18 국립암센터 엽산을 포함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결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4562A1 (ko) * 2016-11-01 2018-05-11 기초과학연구원 타겟분자를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덱스트란 고분자 기반의 증폭된 핵산 압타머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180114517A (ko) * 2017-04-07 2018-10-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132029A (ko) 2018-05-18 2019-11-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제 보조된 과량적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한 다공성 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합금 나노구조체
KR20190132028A (ko) 2018-05-18 2019-11-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제 보조된 과량적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한 다공성 금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금 나노구조체
CN115531542A (zh) * 2022-09-29 2022-12-30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抑制术后肿瘤复发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277B2 (en) 2011-07-15 2016-12-13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Immune-stimulating photoactive hybrid nanoparticles
KR101518298B1 (ko) 2011-12-12 2015-05-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나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의 세포 내재화 방법
KR101385196B1 (ko) 2012-05-17 2014-04-14 주식회사 유니크메디케어 광 조사를 이용한 광감각제―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개선 또는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9095625B2 (en) 2012-08-31 2015-08-0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Graft-copolymer stabilized metal nanoparticles
KR101459192B1 (ko) * 2012-11-28 2014-1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을 이용한 외부자극 감응형 약물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
KR101369392B1 (ko) 2013-01-03 2014-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결합형 나노입자의 결합효율 분석방법
EP2996677B1 (en) * 2013-05-18 2019-11-20 National Chung-Hsing University Photosensitizer particles for medical imaging and/or photodynamic therapy
CN103913453B (zh) * 2014-03-31 2016-06-22 济南大学 用于叶酸过表达癌细胞快速检测的比色方法
RU2638446C1 (ru) * 2016-12-14 2017-12-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яде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ФИ" (НИЯУ МИФИ)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ного разрушения раковых клеток
US20200230238A1 (en) * 2017-08-08 2020-07-23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Tunable luminescent organic salts for enhanced 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CN108888764B (zh) * 2018-07-16 2021-06-29 福州大学 一种基于低代pamam树状分子负载双硫仑和光敏剂吲哚菁绿的纳米给药系统及其应用
KR102138981B1 (ko) * 2018-12-10 2020-07-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분석 물질의 농축과 말디톱 질량 분석을 위한 이온화가 가능한 자성 비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량 분석 방법
CN109700766A (zh) * 2018-12-27 2019-05-03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高肿瘤渗透性的纳米递药系统及制备方法
CN114452400A (zh) * 2022-01-29 2022-05-10 兰州大学 一种复合材料纳米球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981B2 (en) 1997-12-04 2003-04-01 Amersham Health As Light imaging contrast agents
US6936279B2 (en) * 2002-06-18 2005-08-30 Zeavision Llc Microcrystalline zeaxanthin with high bioavailability in oily carrier formulations
GB0215534D0 (en) 2002-07-04 2002-08-14 Ecole Polytech Selective photochemotherapy using oligonucleotide targeting agents
US7297731B2 (en) * 2003-03-11 2007-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dispersions for optical fibers
US7964568B2 (en) * 2003-05-30 2011-06-21 Chromaceutical Advanced Technologies, Inc. Synthesis of high molecular weight iron-saccharidic complexes
US20050136638A1 (en) * 2003-12-18 2005-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temperature sintering nanoparticle compositions
WO2006137716A1 (en) 2005-06-23 2006-12-28 Kyoung Sik Seo Nanoparticle marker, diagnostic methods using the same and diagnostic ki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118501A (ko) 2006-06-12 2007-12-17 서경식 나노 입자 표지, 나노 입자 표지를 이용하는 진단 방법,진단 키트 및 진단 장치
KR100809402B1 (ko) 2007-01-29 2008-03-05 김정환 나노 입자 표지, 나노 입자 표지를 이용하는 진단 키트, 및진단 방법
US8540899B2 (en) * 2007-02-07 2013-09-24 Esionic Es, Inc. Liquid composite compositions using non-volatile liquids and nanoparticles and uses thereof
WO2009026540A1 (en) * 2007-08-22 2009-02-26 Colorado School Of Mines Lanthanide nanoparticle conjugates and uses thereof
US8557290B2 (en) 2008-03-14 2013-10-15 Northwestern University Multifunction nanoconjugates for imaging applications and targeted treatment
US8268048B2 (en) * 2008-10-14 2012-09-18 University Of Kansas Oxygen binding of nanoparticulate metal complexes
US8746075B2 (en) * 2012-02-16 2014-06-10 7-Sigma, Inc. Flexible electrically conductive nanotube sensor for elastomeric devic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60B1 (ko) * 2012-01-27 2014-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72686A1 (ko) * 2012-05-17 2013-11-21 (주)파낙스이엠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친수성 광감작제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체
KR101375349B1 (ko) * 2012-05-17 2014-03-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친수성 광감작제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8103A (ko) * 2014-05-08 2015-11-18 국립암센터 엽산을 포함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결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4562A1 (ko) * 2016-11-01 2018-05-11 기초과학연구원 타겟분자를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덱스트란 고분자 기반의 증폭된 핵산 압타머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US11236343B2 (en) 2016-11-01 2022-02-01 Institute For Basic Science Method for producing dextran polymer-based, amplified nucleic acid aptamer nanoconstruct selectively capturing target molecule
KR20180114517A (ko) * 2017-04-07 2018-10-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132029A (ko) 2018-05-18 2019-11-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제 보조된 과량적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한 다공성 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합금 나노구조체
KR20190132028A (ko) 2018-05-18 2019-11-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제 보조된 과량적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한 다공성 금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금 나노구조체
CN115531542A (zh) * 2022-09-29 2022-12-30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抑制术后肿瘤复发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15531542B (zh) * 2022-09-29 2023-11-03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抑制术后肿瘤复发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4874A1 (en) 2012-01-19
KR101141410B1 (ko) 2012-05-04
WO2011049256A1 (ko) 2011-04-28
US9095613B2 (en) 201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10B1 (ko)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전하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Idris et al. Upconversion nanoparticles as versatile light nanotransducers for photoactivation applications
Zhang et al. Mitochondrial specific photodynamic therapy by rare-earth nanoparticles mediated near-infrared graphene quantum dots
Nishiyama et al. Supramolecular nanocarriers integrated with dendrimers encapsulating photosensitizers for effective photodynamic therapy and photochemical gene delivery
KR101116570B1 (ko)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Cui et al. In vivo targeted deep-tissue photodynamic therapy based on near-infrared light triggered upconversion nanoconstruct
US8992958B2 (en) Ultrasonic cancer treatment enhancer and cell killer
Poon et al. Targeting B16 tumors in vivo with peptide-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Han et al. Functional peptide-based nanoparticles for photodynamic therapy
Zeng et al. Fast and facile preparation of PEGylated graphene from graphene oxide by lysosome targeting delivery of photosensitizer to efficiently enhance photodynamic therapy
Zhao et al. Efficient delivery of chlorin e6 into ovarian cancer cells with octalysine conjugated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effective photodynamic therapy
Baek et al. A nano complex of hydrophilic phthalocyanine and polyethylenimine for improved cellular internalization efficiency and phototoxicity
Cheng et al. Chimeric peptide nanorods for plasma membrane and nuclear targeted photosensitizer delivery and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KR20140014443A (ko) 이황화물 연결자 함유 그래핀 옥사이드-광감각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암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Han et al. Acidity-triggered tumor retention/internalization of chimeric peptide for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and real-time monitoring of therapeutic effects
KR20130034079A (ko) 친수성 양이온 고분자 광감각제 유도체 및 음이온성 다당류 소광제 유도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용 나노 이온 복합체
Yoon et al. Nanotechnology-based photodynamic therapy
Kim et al. Functional manganese dioxide nanosheet for targeted photodynamic therapy and bioimaging in vitro and in vivo
Zhang et al. A multi-functional nanoplatform for tumor synergistic phototherapy
KR20160003488A (ko) 히알루론산-탄소나노물질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US20110137235A1 (en) Ultrasonic cancer therapy accelerator
He et al. A bioactivatable self-quenched nanogel for targeted photodynamic therapy
CN113648401B (zh) 一种蛋白酶体抑制增敏光动力治疗的杂化纳米组装体及其制备与应用
Li et al. Water-soluble porphyrin-based nanoparticles derived from electrostatic interaction for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US20090297620A1 (en) Anti-Tumor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