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868A - 과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868A
KR20110043868A KR1020090100582A KR20090100582A KR20110043868A KR 20110043868 A KR20110043868 A KR 20110043868A KR 1020090100582 A KR1020090100582 A KR 1020090100582A KR 20090100582 A KR20090100582 A KR 20090100582A KR 20110043868 A KR20110043868 A KR 2011004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nit
fruit
tray uni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607B1 (ko
Inventor
박건기
Original Assignee
박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기 filed Critical 박건기
Priority to KR102009010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4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1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1트레이 유닛, 상기 제1트레이 유닛들 사이에 배열되어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2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2트레이 유닛,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과 제2트레이 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1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1수납함, 상기 제1수납함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2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2수납함,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이 중량별 해당 위치에 도달되면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육안 검사하여 파악된 1등급 과일과 2등급 과일을 제1트레이 유닛과 제2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올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선별작업이 편리하며 작업인원을 축소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100582
과일선별기, 선별장치, 과일선별장치

Description

과일 선별장치{SORTING SYSTEM FOR FRUIT}
본 발명은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과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에 따라 과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는 과일을 트레이에 올려놓고 트레이가 이송되면서 과일의 중량에 맞는 위치에 도달되면 트레이가 기울어지면서 과일이 트레이에서 벗어나 중량에 맞는 수납칸에 수납된다.
이러한 중량별 선별 전에 색깔, 형상, 상처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등급을 분리하다.
이러한 경우 육안 검사를 실시하여 과일의 색깔, 형상, 상처 여부 등의 검사를 하여 등급을 두 등급 또는 세 등급 등으로 분류한 후 각 등급에 해당되는 과일을 다시 중량별로 분리해야되기 때문에 선별작업이 복잡하고, 선별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고, 선별인력이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할 때 색깔이나 형상에 따른 육안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선별작업이 편리하며 작업인원을 축소할 수 있는 과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1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1트레이 유닛, 상기 제1트레이 유닛들 사이에 배열되어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2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2트레이 유닛,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과 제2트레이 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1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1수납함, 상기 제1수납함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2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2수납함,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이 중량별 해당 위치에 도달되면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트레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승강부재, 1등급 과일이 놓여지고 상기 제1승강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제1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부재에는 상기 작동유닛과 상호 동작되어 상기 제1승강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작동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작동핀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트레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2연 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2승강부재, 2등급 과일이 놓여지고 상기 제2승강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제2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과 상호 동작되어 상기 제2승강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제2작동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2승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트레이 유닛이 제1수납함을 통과할 때까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핀을 지지해주는 지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제1수납함이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 유닛의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유닛의 제2트레이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색깔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제1수납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제1작동유닛과, 제2수납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2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제2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테이블에 그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게추와, 상기 회전봉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핀이 눌러지는 지지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일 선별장치는 작업자가 육안 검사하여 1등급 과일은 제1트레이 유닛에 올려놓고, 2등급 과일은 제2트레이 유닛에 올려놓으면 과일의 형태, 색깔 등의 외관 별 등급과 중량별 선별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시 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작업자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는 테이블(10)과, 이 테이블(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과일이 올려 놓여지는 트레이 유닛(100)과, 테이블(10)에 설치되어 트레이 유닛(100)을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20)과, 테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칸막이(42)로 구획되어 중량별 과일이 수용되는 수납함(40,42)과, 각 수납함(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트레이 유닛(100)에 놓여진 과일의 중량에 따라 트레이 유닛(100)을 작동시키는 작동 유닛(50)을 포함한다.
이송유닛(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일측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와, 이 구동모터(22)의 회전축(30a,30b)에 고정된 구동기어(24a,24b)와, 테이블(10)의 타측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동기어(26a,26b)와, 구동기어(24a,24b)와 피동기어(26a,26b) 사이에 기어 물림된 체 인(28a,28b)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체인(28a,28b) 사이에 트레이 유닛(100)이 배열되고, 한 쌍의 체인에는 트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부(32)가 설치된다.
수납함(40,42)은 1등급 과일이 수납되는 제1수납함(40)과, 이 제1수납함(40)의 후방에 배열되어 2등급 과일이 수납되는 제2수납함(44)으로 구성된다. 제1수납함(40)은 테이블(10)의 전방측에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도록 배열되어 중량별 1등급 과일이 수납되고, 제2수납함(42)은 테이블(10)의 후방측에 칸막이(42)에 의해 구획되도록 배열되어 중량별 2등급 과일(152)이 수납된다.
작동유닛(50)은 제1수납함(40)이 위치되는 부분에 제1수납함(40)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110)을 동작시키는 제1작동유닛(50a)과, 제2수납함(44)이 위치되는 부분에 제2수납함(44)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2트레이 유닛(150)을 동작시키는 제2작동유닛(50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유닛(50)은 테이블(10)에 그 일측이 힌지핀(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회전봉(52)과, 이 회전봉(52)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56)와, 회전봉(52)의 타측 끝부분에 장착되어 트레이 유닛(100)의 작동핀(138)이 지지되는 지지로드(58)를 포함한다.
무게추(56)와 회전봉(52)은 나사선 결합되어 무게추(56)를 회전시키면 회전봉(52)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무게추(56)가 회전봉(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중량을 설정한다. 즉, 무게추(56)가 힌지핀(54)에 가깝게 이동되면 중량이 가벼워지고, 무게추(56)가 힌지핀(54)에서 멀어지면 무게 가 무거워진다.
무게추(56)는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힌지핀(54)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과일의 중량이 무거운 것부터 가벼운 순서대로 수납함에 수납된다.
제1작동유닛(50a)과 제2작동유닛(50b)은 동일하게 중량별로 배열된다.
이러한 작동 유닛(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 유닛(100)의 작동핀(138)이 지지로드(58) 위에 접촉될 때 트레이 유닛(100)에 놓여진 과일의 무게가 무게추(56)의 설정된 중량보다 무거우면 작동핀(38)이 지지로드(58)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 유닛(100)이 작동되면서 트레이 유닛(100)에 놓여진 과일이 트레이 유닛(100)에서 이탈되어 수납함(42,44)에 수용된다.
트레이 유닛(100)은 육안 검사를 통해 과일의 외관을 확인하여 선별된 1등급 과일(112)이 놓여지는 제1트레이 유닛(110)과, 육안 검사를 통해 과일의 외관을 확인하여 선별된 2등급 과일(152)이 놓여지는 제2트레이 유닛(150)으로 구성된다.
육안 검사는 기본적으로, 과일의 색깔, 모양, 상처 여부 등을 육안으로 보고 작업자가 판단하여 등급별로 분류한다. 이때, 트레이 유닛(100)은 과일이 육안 검사 등급이 1등급, 2등급 외에 더욱 세밀하게 분류될 경우 3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3트레이 유닛 또는 제4트레이 유닛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육안 검사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과일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1등급 과일(112)이라 판단되면 제1트레이 유닛(110)에 올려놓고, 2등급 과일(152)이라 판단 되면 제2트레이 유닛(150)에 올려놓는다.
제1트레이 유닛(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20)와, 이 제1연결부재(120)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작동유닛(50)의 작동에 따라 하향 이동되는 제1승강부재(130)와, 1등급 과일(112)이 놓여지고 제1승강부재(130)에 힌지 연결되어 제1승강부재(130)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트레이(140)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120)는 바디(122)와, 이 바디(122)의 양쪽 끝부분에서 연장되어 체인(28a,28b)에 설치된 장착부(32)에 체결되는 체결부(124)와, 바디(122)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부재(130)가 하향 이동되면 제1트레이(140)가 기울어지도록 제1트레이(140)를 밀어주는 푸시로드(126)로 구성되고, 바디(122)의 측면에는 힌지 로드(180,182)의 일단이 힌지핀(184)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체결부(124)와 체인(28a,28b)에 설치된 장착부(32)는 스크류로 체결된다.
제1승강부재(130)는 연결부재와 힌지로드(180,182)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132)와, 바디(132)의 상단에 일측에 형성되어 제1트레이(140)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134)와, 이 바디(132)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14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트레이(140)를 받쳐주는 받침시트(136)와, 바디(132)의 하단에 바디(132)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작동유닛(50)과 상호 동작하는 작동핀(138)을 포함한다.
제1트레이(140)는 1등급 과일(112)이 안착되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 일측에 승강부재(130)의 힌지 연결부(134)에 힌지핀(144)으로 연결되는 힌지 브라켓(144)이 형성되고, 그 하면 타측에 연결부재(120)의 푸시로드(126)가 삽입되는 고리 형태의 걸림부(146)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146)의 일측에 받침시트(136)에 지지되는 지지부(148)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트레이(140)는 놓여지는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 재질의 완충부재가 장착되고 작업자가 1등급 과일(1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표시하는 색상을 갖는다. 즉, 일예로 제1트레이 유닛(110)의 제1트레이(140)는 초록색으로 하고, 제2트레이 유닛(150)의 제2트레이(160)는 노란색으로 하여 작업자가 제1트레이 유닛(110)과 제2트레이 유닛(150)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색깔 이외에 제1트레이(140)에 별도의 표시부가 구비되어 제1트레이 유닛(110)과 제2트레이 유닛(150)을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트레이 유닛(1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2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70)와, 이 제2연결부재(170)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작동유닛(50)의 작동에 따라 하향 이동되는 제2승강부재(180)와, 2등급 과일(152)이 놓여지고 제2승강부재(180)에 힌지 연결되어 제2승강부재(180)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트레이(160)를 포함한다.
제2트레이 유닛(150)의 제1연결부재(170)는 위에서 설명한 제1트레이 유닛(110)의 제1연결부재(12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트레이 유닛(150)의 제2승강부재(190)는 위에서 설명한 제1트레이 유닛(110)의 제1승강부재(13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고, 다만 제2승강부 재(190)의 하단 일측에는 작동유닛(50)의 지지부재(58)에 접촉되는 작동핀(38)이 설치되고, 그 하단 타측에는 제2트레이 유닛(150)이 제1수납함을 통과할 때 제2트레이 유닛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핀(186)이 장착된다.
테이블(1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 레일(172)이 설치되어 작동핀(138)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테이블(10)의 타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레일(174)이 설치되어 지지핀(186)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172)은 작동유닛(50)의 지지로드들(58)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로드들(58) 사이를 통과하는 작동핀(138)을 지지해준다.
그리고, 지지레일(174)은 제1수납함(40)이 위치되는 부분에만 설치되어 제2트레이 유닛(150)이 제1수납함(40)이 위치되는 구간을 통과할 때 제2트레이(16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제2트레이 유닛(150)의 제2트레이(160)는 위에서 설명한 제1트레이 유닛(110)의 제1트레이(140)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고, 다만 제1트레이(140)와 제2트레이(16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두 트레이(140,160)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색깔이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트레이 유닛(110)과 제2트레이 유닛(150)은 서로 교대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일정 개수씩 교대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식별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트레이에 과일을 올리기 전에 과일이 1등급인지 2등급인지를 육안으로 식별한다. 작업자가 집은 과일이 1등급으로 판단되면 작업자는 이 1등급 과일(112)을 제1트레이 유닛(110)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집은 과일이 2등급으로 판단되면 작업자는 이 2등급 과일(152)을 제2트레이 유닛(150)에 올려 놓는다.
여기에서, 제1트레이 유닛(110)과 제2트레이 유닛(150)은 교대로 배열되고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있는 상황이므로 작업자는 제1트레이(140)와 제2트레이(160)를 색깔로 식별한 후 두 트레이(140,160) 중 어느 하나에 과일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제1트레이 유닛(110)과 제2트레이 유닛(150)은 이송유닛(20)에 의해 테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제1트레이 유닛(110)에 장착된 작동핀(38)이 작동유닛(50)의 지지로드(58) 위에 접촉된다. 그러면 무게추(56)의 설정된 무게가 과일의 무게보다 가벼운 위치에 도달되면 작동핀(38)은 지지로드(58)를 눌러주면서 작동핀(38)이 하향 이동된다.
그러면, 작동핀(38)이 설치된 제1승강부재(130)가 하향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승강부재(130)와 힌지 연결된 제1트레이(14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트레이(140)에 놓여진 1등급 과일(112)이 제1수납함들(40) 중 중량에 맞는 어느 하나에 수용된다.
그리고, 제2트레이 유닛(150)은 제1수납함(42)이 위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지지핀(186)이 지지레일(174)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제2트레이(160)가 기울 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2트레이 유닛(150)이 제2수납함(44)에 위치된 부분에 도달되면 이 제2수납함(44)이 위치된 부분에는 지지레일(174)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제1트레이 유닛(110)과 동일한 작동을 하여 제2수납함(44)에 2등급 과일(152)을 중량별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는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기 전에 작업자가 육안 검사를 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등급이 구분되면 바로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과일 선별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트레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트레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트레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트레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테이블 20: 이송 유닛
40: 제1수납함 42: 제2수납함
50: 작동 유닛 52: 회전봉
54: 힌지핀 56: 무게추
58: 지지로드 110: 제1트레이 유닛
120: 제1연결부재 130: 제1승강부재
140: 제1트레이 138: 작동핀
150: 제2트레이 유닛 160: 제2트레이
170: 제2연결부재 172: 가이드 레일
174: 지지레일 180: 제2승강부재
186: 지지핀

Claims (8)

  1.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1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1트레이 유닛,
    상기 제1트레이 유닛들 사이에 배열되어 육안 검사에서 선별된 2등급 과일이 놓여지는 제2트레이 유닛,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과 제2트레이 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칸막이로 구획되어 상기 1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1수납함,
    상기 제1수납함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2등급 과일이 중량별로 수납되는 제2수납함,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이 중량별 해당 위치에 도달되면 제1트레이 유닛 및 제2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트레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승강부재,
    1등급 과일이 놓여지고 상기 제1승강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제1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부재에는 상기 작동유닛과 상호 동작되어 상기 제1승강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작동핀이 설치되는 과일 선별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작동핀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과일 선별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2트레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2승강부재,
    2등급 과일이 놓여지고 상기 제2승강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제2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과 상호 동작되어 상기 제2승강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제2작동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2승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트레이 유닛이 제1수납함을 통과할 때까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핀이 설치되는 과일 선별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테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핀을 지지해주는 지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제1수납함이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과일 선별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제1트레이 유닛의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유닛의 제2트레이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색깔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과일 선별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작동유닛은 제1수납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제1작동유닛과, 제2수납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2트레이 유닛을 작동시키는 제2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작동유닛은 테이블에 그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게추와,
    상기 회전봉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핀이 눌러지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는 과일 선별장치.
KR1020090100582A 2009-10-22 2009-10-22 과일 선별장치 KR10115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82A KR101159607B1 (ko) 2009-10-22 2009-10-22 과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82A KR101159607B1 (ko) 2009-10-22 2009-10-22 과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68A true KR20110043868A (ko) 2011-04-28
KR101159607B1 KR101159607B1 (ko) 2012-06-28

Family

ID=4404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582A KR101159607B1 (ko) 2009-10-22 2009-10-22 과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53A (ko) * 2014-05-15 2015-11-25 오석용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CN105692160A (zh) * 2016-04-14 2016-06-22 中国农业大学 一种托盘式果蔬分级卸料装置和卸料方法
KR101870426B1 (ko) * 2017-10-25 2018-07-19 이정석 과일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9450A (zh) * 2014-09-11 2015-01-21 陕西中际现代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西瓜果盘分选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77A (ja) * 1982-07-22 1984-02-01 株式会社マキ製作所 果実そ菜類の選別方法と装置
KR0162715B1 (ko) * 1995-12-29 1998-11-16 심강선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JP2007014925A (ja) * 2005-07-11 2007-01-25 Si Seiko Co Ltd 農産物選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53A (ko) * 2014-05-15 2015-11-25 오석용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CN105692160A (zh) * 2016-04-14 2016-06-22 中国农业大学 一种托盘式果蔬分级卸料装置和卸料方法
CN105692160B (zh) * 2016-04-14 2017-11-24 中国农业大学 一种托盘式果蔬分级卸料装置和卸料方法
KR101870426B1 (ko) * 2017-10-25 2018-07-19 이정석 과일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607B1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607B1 (ko) 과일 선별장치
CN109003926A (zh) 一种电池片掰片装置和方法以及电池片串焊机
CN109622421A (zh) 一种自动检测和分料的设备及具有该设备的生产线
CN111891702A (zh) 一种智能物流筛检装置
CN112046987A (zh) 一种自动服装管理系统
ITMI970487U1 (it) Dispositivo per la classificazione di tagli di vetro
KR101159610B1 (ko) 과일 선별장치
CN108844608A (zh) 一种提升式自动称重机
JP2008018355A (ja) 農産物の選別装置
CN206395294U (zh) 新型传送架
CN210434872U (zh) 分拣系统
CN209424092U (zh) 一种自动检测和分料的设备及具有该设备的生产线
CN208230329U (zh) 一种多功能胶囊分拣机
CN209023756U (zh) 一种集成在avi检测设备上的自动线传送机构
CN109225889B (zh) 一种水果自动分拣机
CN112916411A (zh) 一种智能物流筛检装置
CN110918437A (zh) 一种用于农产品加工的高效型分拣设备
CN217017475U (zh) 一种机械零配件检测分类装置
CN218481429U (zh) 一种原料检测设备
CN219804989U (zh) 一种仓储物流辅助分拣设备
CN218251567U (zh) 带回转重测功能的外观检测机
CN214526492U (zh) 一种便于建筑垃圾运输的光选机
CN216297151U (zh) 一种可进行自动分类的视觉检测设备
CN215142366U (zh) 一种拣选工作站
CN214568999U (zh) 一种多料框下料设备及外观检测流水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