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64A -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 Google Patents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64A
KR20110043264A KR1020090100303A KR20090100303A KR20110043264A KR 20110043264 A KR20110043264 A KR 20110043264A KR 1020090100303 A KR1020090100303 A KR 1020090100303A KR 20090100303 A KR20090100303 A KR 20090100303A KR 20110043264 A KR20110043264 A KR 2011004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oldering iron
ball joint
coupled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264A/ko
Publication of KR2011004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이 개시된다. 납땜인두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고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딩부와, 홀딩부에 일단부가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볼조인트부가 구비되며 중간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본체부와, 볼조인트부에 결합되고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을 제공함으로써,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납땜 후에는 납땜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납땜, 솔더링, 인두, 확대경

Description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OPTICAL MAGNIFIER FOR SOLDERING IRON}
본 발명은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박형(薄型)화 추세에 따라,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전자부품 또한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에는 최소 규모의 전자부품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의 소형화는 저항기(resistor)나 축전기(capacitor)와 같은 수동소자뿐만 아니라 집적회로와 같은 능동소자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전자부품을 납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납땜인두용 팁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매우 작은 크기의 수동소자나 SOT, SSOP, TSSOP, MLF, QFP, SOIC와 같은 반도체 패키지들은 육안으로 납땜을 수행하거나 납땜이 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별도의 확대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하여 납땜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납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대경이나 현미경과 같은 장비는 고가이며, 납땜한 부분을 일일이 확인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소형 전자부품을 납땜할 때에 납땜을 수행할 부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납땜 후에는 즉시 납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납땜인두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고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딩부와, 홀딩부에 일단부가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볼조인트부가 구비되며 중간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본체부와, 볼조인트부에 결합되고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이 제공된다.
여기서, 홀딩부는 일측이 개방된 클립일 수 있다.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은 홀딩부 및 신축본체부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납땜인두의 본체 및 신축본체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지지부는, 홀딩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핀홀이 형성된 이격지지대와, 신축본체부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핀부를 포함하고, 핀부는 핀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지지부는, 핀부의 외주면에 압입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된 걸 림편을 더 포함하고, 이격지지대에는 핀홀의 일측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연장된 걸림공이 형성되며, 핀부가 핀홀에 삽입되면 걸림편이 걸림공에 체결될 수 있다.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은, 볼조인트부 및 렌즈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렌즈홀더가 볼조인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교체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조인트부는, 신축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와,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체연결부는, 렌즈홀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연장부와, 볼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을 포함하고, 고정핀은 중공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교체 연결부는, 연장부의 중공부의 일측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연장된 너트홈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고정핀이 중공부에 결합된 후 너트홈에 고정부재가 나사결합 되면 고정핀이 연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납땜인두에 장착할 수 있고 렌즈의 위치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을 제공함으로써,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납땜 후에는 납땜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이 납땜인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에는 신축본체부(110), 홀딩부(120), 이격지지부(130), 힌지연결부(140), 볼조인트부(150), 교체연결부(160) 및 렌즈(170)가 포함된다.
납땜인두(10)는 본체(11)와, 본체(11)의 전방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 팁(12)과, 본체(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13)을 포함한다.
본체(11)에는 홀딩부(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홀딩부(120)는 본체(11)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딩부(120)에는 이격지지부(130)가 구비되고, 이격지지부(130)에는 신축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힌지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즉, 이격지지부(130)는 홀딩부(120) 및 신축본체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납땜인두(10)의 본체(11) 및 신축본체부(110)를 이격시킨다.
힌지연결부(140)는 신축본체부(110)를 본체(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힌지연결부(140)의 회전 중심축은 본체(11)의 길이방향 축 및 신축본체부(110)의 길이방향 축에 모두 수직하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사용하는 '수직'은 수학적이거나 기하학적인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가공오차 등을 고려한 실질적인 '수직'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힌다.
신축본체부(110)의 중간 영역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신축 가능한 부분은 무전기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서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본체부(110)의 타단부에는 볼조인트부(150)가 구비되고, 볼조인트부(150)에는 교체연결부(160)가 결합된다. 교체연결부(160)는 렌즈(170)의 일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은, 볼조인트부(150)에 의해 렌즈(17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신축본체부(110)를 신축시키고 힌지연결부(14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렌즈(17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렌즈(170)로는 확대경이 사용된다. 여기서, 확대경의 배율은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체연결부(160)는 볼조인트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납땜 작업에 따라 필요한 배율을 갖는 확대경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홀딩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렌즈(170)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을 행할 때에는 홀딩부(120)를 회전시켜 팁(12)을 육안으로 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은 렌즈(170)의 위치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납땜 후에는 납땜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필요에 따라 렌즈(17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납땜 작업 및 납땜 상태 확인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의 홀딩부 및 이격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의 홀딩부(120)는 일측이 개방된 클립(clip)이다. 홀딩부(120) 일측의 개방된 부분은 납땜인두(10)의 본체(11)에 홀딩부(120)를 결합시킬 때 전원케이블(13)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은 일반적인 납땜인두(10)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격지지부(130)는 홀딩부(120)에 돌출 형성된 이격지지대(131) 및 신축본체부(110)의 일단부 중 힌지연결부(140)에 돌출 형성된 핀부(134)를 포함한다. 이격지지대(131)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핀홀(132)이 형성되는데, 핀부(134)는 핀홀(1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핀부(134)가 핀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지지부(130)는 핀부(134)의 외주면에는 압입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된 걸림편(135)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격지지대(131)에는 핀홀(132)의 일측으로부터 그 외주면까지 연장된 걸림공(133)을 형성하여, 핀부(134)가 핀홀(132)에 결합되면 걸림편(135)이 걸림공(133)에 삽입되면서 체결되어, 핀부(134)가 핀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림편(135)은 핀부(134) 내에 장착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핀부(134) 내측 방향으로 압입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걸림공(133)을 통하여 걸림공(133)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편(135)의 단부를 누르면 핀부(134)를 핀홀(13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납땜 작업을 행하는 중 렌즈(170)가 필요하지 않은 작업을 장시간 행할 경우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의 신축본체부(110)를 일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의 볼조인트부 및 교체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볼조인트부(150)는 신축본체부(110)의 타단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152)와, 회전지지부(152)의 안착홈(15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151)과, 볼(151)이 회전지지부(15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지지부(152)에 결합되는 고정캡(154)을 포함한다.
교체연결부(160)는 렌즈홀더(17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161)와, 볼(15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통공(155)을 통하여 연장되는 고정핀(163)을 포함한다. 연장부(161)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중공부가 형성되는데, 고정핀(163)은 연장부(161)의 중공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핀(163)이 연장부(161)의 중공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체연결부(160)는 고정부재(165)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165)는 연장부(161)의 중공부 일측으로부터 그 외주면까지 연장된 너트홈(162)에 나사결합 되는 나사이다. 즉, 너트홈(162)의 내주면 및 고정부재(165)의 외주면에는 상응하는 형상의 나사산 및 너트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핀(163)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홈(164)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핀(163)이 연장부(161)의 중공부에 결합된 후, 고정부재(165)를 너트홈(162)에 나사결합 시켜서 고정부재(165)의 단부가 고정홈(164)에 삽입되도록 하면, 고정핀(163)이 연장부(161)의 중공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렌즈(170)를 홀딩하는 렌즈홀더(171) 및 볼조인트부(150) 사이에 배치된 교체연결부(160)는 필요에 따라 렌즈(17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조인트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작업자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100)을 이용하여 납땜 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배율을 갖는 렌즈(17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렌즈(170)를 교 체함으로써 변경되는 초점거리는 신축본체부(1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렌즈홀더(1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연결부(160)에 의하여 볼조인트부(150)에 결합되는데, 볼(151)은 회전지지부(152)에 의해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렌즈(170)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이 납땜인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의 홀딩부 및 이격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의 볼조인트부 및 교체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신축본체부 120: 홀딩부
130: 이격지지부 140: 힌지연결부
150: 볼조인트부 160: 교체연결부
170: 렌즈

Claims (9)

  1. 납땜인두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에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볼조인트부가 구비되며, 중간 영역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본체부; 및
    상기 볼조인트부에 결합되고,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일측이 개방된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신축본체부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납땜인두의 본체 및 상기 신축본체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홀딩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핀홀이 형성된 이격지지대; 및
    상기 신축본체부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핀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 압입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지지대에는 상기 핀홀의 일측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연장된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가 상기 핀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부 및 상기 렌즈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볼조인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교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부는,
    상기 신축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연결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볼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중공부의 일측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연장된 너트홈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중공부에 결합된 후 상기 너트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결합 되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KR1020090100303A 2009-10-21 2009-10-21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KR2011004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03A KR20110043264A (ko) 2009-10-21 2009-10-21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03A KR20110043264A (ko) 2009-10-21 2009-10-21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64A true KR20110043264A (ko) 2011-04-27

Family

ID=4404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03A KR20110043264A (ko) 2009-10-21 2009-10-21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2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4389A (zh) * 2011-12-19 2012-07-11 吴江市合成电子机械厂 一种具有高定位精度的焊锡机
CN103071880A (zh) * 2013-01-16 2013-05-01 华南理工大学 一种智能控温电焊台
CN114309862A (zh) * 2020-09-30 2022-04-12 南昌华勤电子科技有限公司 电烙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4389A (zh) * 2011-12-19 2012-07-11 吴江市合成电子机械厂 一种具有高定位精度的焊锡机
CN103071880A (zh) * 2013-01-16 2013-05-01 华南理工大学 一种智能控温电焊台
CN114309862A (zh) * 2020-09-30 2022-04-12 南昌华勤电子科技有限公司 电烙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5293B2 (en) Universal adapter for camera-containing handheld device
US8698951B2 (en) Camera module
KR20110043264A (ko) 납땜인두용 광학 확대경
JP2016109664A (ja) プローブ及び接触検査装置
TW201703398A (zh) 線圈單元、線圈單元之製造方法、及攝影用光學裝置
JP2019186619A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内視鏡
JP2016206639A (ja) 配線溝構造を備えるレンズユニット駆動装置
JP2007015057A (ja) ケーブル取付け装置
JP2008241859A (ja) スタンド型拡大鏡装置
JP602150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20141085A1 (en) Fiber clamp mechanism
US10793085B2 (en) Imaging device
JP2007163739A (ja) 光伝送モジュール
JP2018173582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80027895A (ko) 납땜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치구
JP5942072B1 (ja) 充電装置
JPWO2008111253A1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108653B2 (ja) 携帯無線機のアンテナ固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305550U (zh) 一种透镜定位器
US11622077B2 (en) Optical unit
CN217767021U (zh) 一种自动对焦高倍放大屏显数字手术显微镜
JP2007299713A (ja) 蛍光灯照明具用ソケットとこれを用いた拡大鏡スタンド
JP6495665B2 (ja) チップ部品の固定用治具
JP2017077062A (ja) 事故点探査装置アダプタ仮支持具
JP201005030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配線ケーブル保持構造、および配線ケーブル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