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36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362A
KR20110042362A KR1020117005900A KR20117005900A KR20110042362A KR 20110042362 A KR20110042362 A KR 20110042362A KR 1020117005900 A KR1020117005900 A KR 1020117005900A KR 20117005900 A KR20117005900 A KR 20117005900A KR 20110042362 A KR20110042362 A KR 2011004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storage
sliding
refriger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870B1 (ko
Inventor
다까노리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Abstract

저장실(2) 내의 적재부(6a)에 적재됨과 함께 수납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출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20)와, 수납 케이스(20)의 출납에 따라서 수납 케이스(20)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용기 덮개(30)를 구비한 냉장고(1)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20)에 전방이 내려가는 경사부(21)를 마련함과 함께, 용기 덮개(30)는 경사부(21)와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부(31)를 갖고, 인출된 수납 케이스(20)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했을 때에,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제1 미끄럼 이동부(31)가 경사부(21)와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저장실 내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는 저장실 내에 수납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출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가 배치된다. 수납 케이스의 전방면은 상단부에서 피봇되는 용기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수납 케이스를 인출하면 용기 덮개의 하부가 수납 케이스의 전방부와의 결합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 내의 저장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덮개에 의해 수납 케이스 내를 저장실 내에서 격리하여 수납 케이스 밖과 상이한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물에 따른 온도에서 냉각 보존을 행할 수 있다.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개 소62-55084호 공보(도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냉장고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가 수납 위치까지 압입되지 않고 저장실의 전방면의 도어가 폐쇄되면, 수납 케이스나 용기 덮개가 도어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를 인출한 상태에서 저장실의 도어가 폐쇄되면, 회동하는 도어가 수납 케이스의 전방면에 충돌하여 수납 케이스가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방향이 비스듬하게 되어, 수납 케이스가 저장실측에 설치한 미끄럼 이동부와 맞물려 후퇴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나 용기 덮개의 파손이 커짐과 함께 도어가 폐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후단부의 수납 위치까지 수납 케이스를 확실하게 압입할 필요가 있어, 냉장고의 편리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실 내의 적재부에 적재됨과 함께 수납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출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출납에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용기 덮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 전방이 내려가는 경사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용기 덮개는 상기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부를 갖고, 인출된 상기 수납 케이스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했을 때에, 상기 용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상기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를 상기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장실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수납 케이스가 적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전후로 출납된다. 수납 케이스의 전방면은 용기 덮개에 의해 폐색되고, 수납 케이스를 인출하면 용기 덮개의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수납 케이스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용기 덮개가 개방된다. 수납 케이스를 압입하면, 제1 미끄럼 이동부가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용기 덮개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납 케이스가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수납 케이스가 용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수납 위치까지 후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재부 및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은 구 형상이나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에 의한 미끄럼 접촉에 의해 서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적재부 및 수납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은 롤러 등이 설치되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에 의한 구름 접촉에 의해 서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저장실의 수평벽 상에 돌출 설치된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 맞추는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수직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장실의 저면 등에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돌출 설치하여 적재부의 일부가 형성된다. 수납 케이스의 저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홈부 내에는 예를 들어 전후로 연장되는 선 형상의 가이드 리브가 수직 하강하여 형성되고, 가이드 리브가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하여 수납 케이스가 가이드 레일 상에 적재된다. 수납 케이스는 가이드 리브가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미끄럼 이동하여 전후로 출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적재부의 전방부는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하면, 수납 케이스의 전단부가 적재부의 전방부의 경사 부분과 미끄럼 이동하고, 수납 케이스가 자중에 의해 후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제1 미끄럼 이동부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경사부가 경사진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용기 덮개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레일 형상의 경사부에 원통체의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적재되어 경사부와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선 접촉한다. 제1 미끄럼 이동부를 구체에 의해 형성하여 점 접촉시켜도 되고, 제1 미끄럼 이동부를 롤러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폐쇄한 상태의 상기 용기 덮개의 하부에 제1 미끄럼 이동부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용기 덮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미끄럼 이동부와, 제2 미끄럼 이동부를 미끄럼 이동에 의해 전후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제2 미끄럼 이동부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폐쇄된 용기 덮개의 하부의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수납 케이스와 미끄럼 이동하여 상부의 제2 미끄럼 이동부가 저장실에 설치한 가이드부와 미끄럼 이동한다. 수납 케이스를 인출하면 용기 덮개는 하부가 상승함과 함께 상부가 후퇴하여 개방된다. 수납 케이스가 수납되면 용기 덮개는 상부가 전진함과 함께 하부가 하강하여 폐쇄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는 전후로 연장되는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미끄럼 이동부가 용기 덮개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레일 형상의 가이드부에 원통체의 제2 미끄럼 이동부가 적재되어 가이드부와 제2 미끄럼 이동부가 선 접촉한다. 제2 미끄럼 이동부를 구체에 의해 형성하여 점 접촉시켜도 되고, 제2 미끄럼 이동부를 롤러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측면 단면을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를 인출한 상태에서 제1 미끄럼 이동부는 경사가 완만한 경사부와 접촉하고, 수납 케이스가 후퇴해 가면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접하는 경사부의 경사가 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했을 때에, 용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용기 덮개의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수납 케이스의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 케이스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키므로, 사용자는 수납 케이스를 수납 위치까지 압입할 필요가 없어, 냉장고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를 인출한 상태에서 저장실의 도어를 폐쇄했을 때에 도어의 가압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수납 케이스가 후퇴하면 수납 케이스가 용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수납 위치까지 후퇴한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 및 용기 덮개의 파손이나 도어가 폐쇄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와인실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수납 케이스를 인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수납 케이스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냉장고(1)는 상부에 냉장실(2)을 갖고, 냉장실(2)의 하방에 냉동실(3)이 배치된다. 냉동실(3)의 하방에는 야채실(4)이 배치된다. 냉장실(2), 냉동실(3) 및 야채실(4)은 각각 도어(2a, 3a, 4a)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실(2)의 도어(2a)의 전방면에는 조작 패널(5)이 설치되어, 각 저장실의 온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도 2, 도 3은 냉장실(2)의 정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냉장실(2) 내에는 저장물을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 선반(13)이 설치된다. 도어(2a)의 내면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16)이 설치된다. 냉장실(2)의 하부에는 와인실(6) 및 물탱크실(7)이 좌우에 병설된다. 와인실(6) 및 물탱크실(7)의 상면은 단열재가 충전되는 단열 패널(14)에 의해 상부와 구획된다. 와인실(6)과 물탱크실(7) 사이는 단열재가 충전되는 단열 패널(15)에 의해 구획된다.
물탱크실(7)은 착탈 가능한 제빙용 물탱크(7a)가 배치된다. 와인실(6)에는 와인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20)가 배치된다. 수납 케이스(20)는 상면 및 전방면 상부가 개방된다. 수납 케이스(20)의 전방면 하부에는 손잡이(20c)가 설치되고, 손잡이(20c)를 파지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전후로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20)의 전방면 상부는 회동하는 용기 덮개(30)에 의해 폐색된다. 수납 케이스(20)의 하부 및 용기 덮개(30)에 의해 와인실(6)은 전방면이 폐색된 격리실이 되고 있다.
와인실(6)은 냉장 온도(0℃ 내지 10℃)보다도 고온인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온도(예를 들어, 15℃)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단열 패널(14, 15)에 의해 상방 및 측방으로의 열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용기 덮개(30)는 전후에 배치되는 투명한 전방면판(30a)과 배면판(30b) 사이에 공기를 봉입하여 형성되어, 공기 단열에 의해 전방으로의 열 누설이 방지되어 있다.
와인실(6)의 우측에는 전방면에 개구부(8a)를 갖는 복귀 덕트(8)가 설치된다. 복귀 덕트(8)의 개구부(8a)는 냉장실(2)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하부의 도어 포켓(16) 부근에 냉기가 구석구석까지 미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 포켓(16) 내의 저장물이 고온의 와인실(6)에 의해 냉각 부족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냉장실(2)의 상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물탱크실(7)의 후방부에는 물탱크(7a)(도 2 참조)에 연결하여 제빙 접시(도시하지 않음)에 급수하는 급수 펌프(7b)가 배치된다. 복귀 덕트(8)의 후단부에는 냉기를 냉각기(도시하지 않음)로 복귀시키는 복귀 통로(도시하지 않음)에 면하는 복귀구(8b)가 형성된다. 냉장실(2) 내의 냉기는 개구부(8a)를 통해 복귀 덕트(8)에 유입되고, 복귀구(8b)를 통해 복귀 통로를 유통하여 냉각기로 복귀된다.
도 5는 냉장실(2)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와인실(6)의 실내외에 연속하는 저벽(6a)(수평벽)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9)이 좌우 2군데에 돌출 설치된다. 수납 케이스(20)의 저부에는 와인 보틀을 적재하는 복수의 오목부(20a)가 전후로 경사져 형성되고, 수납 케이스(20)의 후방부에는 보틀의 귀때를 적재하는 오목부(20b)가 형성된다. 수납 케이스(20)의 측벽에는 전방이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레일 형상의 경사부(21)가 돌출 마련된다.
수납 케이스(20)에는 저면에 돌출 설치된 리브(22a, 22b)에 의해 홈부(22)가 형성된다. 홈부(22)는 가이드 레일(9)에 끼워 맞추고, 수납 케이스(20)의 좌우의 이동을 규제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전후로 안내한다. 홈부(22) 내에는 상면으로부터 수직 하강되는 가이드 리브(23)가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3)는 전후로 연장되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9)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에 선 접촉하여 수납 케이스(20)가 가이드 레일(9) 상에 적재된다. 가이드 리브(23) 또는 가이드 레일(9)을 전후로 배열되는 복수의 반구 형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에 점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9) 상을 구르는 롤러를 수납 케이스(20)에 설치해도 된다.
도 6은 와인실(6)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와인실(6)의 상부의 양 측벽에는 전후로 연장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1)가 오목 설치된다. 가이드부(11)의 하방에는 원호 부분을 갖는 곡선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7)가 오목 설치된다. 수납 케이스(20)에 마련되는 경사부(21)의 상면은 측면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대략 수평하며 전단부가 수평에 대해 약 45°의 경사각이 되어 있다.
용기 덮개(30)에는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가 설치된다. 용기 덮개(30)의 배면판(30b)에는 하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30c)이 일체로 설치된다. 제1 미끄럼 이동부(31)는 지지판(30c)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로 이루어진다. 제2 미끄럼 이동부(32)는 용기 덮개(30)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로 이루어진다. 제3 미끄럼 이동부(33)는 지지판(30c)의 상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로 이루어진다.
제1 미끄럼 이동부(31)는 수납 케이스(20)의 경사부(21) 상에 적재된다.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는 와인실(6)의 측벽에 설치한 가이드부(11, 17)에 각각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는 각각 경사부(21) 및 가이드부(11, 17)와 선 접촉한다.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는 각각 예를 들어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경사부(21)나 가이드부(11, 17)와 점 접촉시켜도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를 회전 가능한 롤러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용기 덮개(30), 경사부(21) 및 가이드부(11, 17)는 캠 기구를 구성한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20)의 출납에 수반하여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가 경사부(21) 및 가이드부(11, 17)와 미끄럼 이동하여 용기 덮개(30)가 개폐된다. 또한, 제3 미끄럼 이동부 및 가이드부(17)를 생략해도 되지만, 이들을 설치함으로써 용기 덮개(30)를 회동에 의해 단열 패널(14)의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인실(6)의 저벽(6a)에는, 수납된 수납 케이스(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하방에 스토퍼(12a, 12b)가 돌출 설치된다. 수납 케이스(20)의 후방부에는 돌기부(24)가 돌출 형성된다. 전후로 이동하는 수납 케이스(20)는 돌기부(24)가 스토퍼(12a, 12b)에 접촉함으로써, 인출 위치 및 수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와인실(6)의 저벽(6a)은 스토퍼(12a)로부터 와인실(6)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부(6b)를 갖고 있다. 오목부(6b)의 전방에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6c)가 형성된다. 오목부(6b)의 전방부에는 평면부(6c)에 연속하여 후방이 내려가는 경사면(6d)이 형성된다. 경사면(6d)의 전단부는 폐쇄된 도어(2a)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가 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20)를 와인실(6)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면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용기 덮개(30)의 제1 미끄럼 이동부(31)는 수납 케이스(20)의 경사부(21)를 따라 상승하고,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는 가이드부(11, 17)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용기 덮개(30)는 상부가 후퇴하면서 개방되고, 단열 패널(14)의 하방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9)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의 수납 케이스(20)의 중량이 후방의 수납 케이스(20)의 중량보다도 커지면 수납 케이스(20)의 전방부가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20)는 리브(22a, 22b)(도 5 참조)의 전단부가 오목부(6b)로 미끄럼 이동하고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의 전단부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수납 케이스(20)를 인출하면 리브(22a, 22b)의 전단부가 경사면(6d)에 올라앉아, 리브(22a, 22b)가 평면부(6c) 상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20)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되고, 리브(22a, 22b)가 평면부(6c)로 미끄럼 이동하여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4)가 스토퍼(12a)에 접촉하고, 수납 케이스(2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20) 내의 저장물을 출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9), 오목부(6b) 및 평면부(6c)는 수납 케이스(20)를 적재하여 수납 케이스(20)와 미끄럼 이동하는 적재부를 구성한다. 이때, 용기 덮개(30)는 단열 패널(14)의 하방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와인실(6)의 전방면 개구부보다도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출 위치에서 용기 덮개(30)가 저장물의 출납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납 케이스(20)를 수납할 때에는 인출 위치의 수납 케이스(20)가 사용자에 의해 압입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22a, 22b)의 전단부가 경사면(6d)의 전단부까지 후퇴한 위치에 수납 케이스(20)가 배치되면, 리브(22a, 22b)는 경사면(6d)을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때, 수납 케이스(20)의 리브(22a, 22b)에는 경사면(6d)에 수직인 항력 N1이 가해진다. 또한, 수납 케이스(20)의 경사부(21)에는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기초하는 항력 N2가 제1 미끄럼 이동부(31)로부터 가해진다. 이로 인해, 항력 N1, N2의 수평 방향의 분력에 의해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한다.
리브(22a, 22b)의 전단부가 경사면(6d)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면 항력 N1이 소실되기 때문에 항력 N2의 수평 방향의 분력에 의해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한다. 이때, 경사부(21)는 경사 각도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항력 N2의 수평 방향의 분력이 커진다. 또한, 제1,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1, 32, 33)가 경사부(21), 가이드부(11, 17)와 선 접촉하고, 가이드 리브(23)가 가이드 레일(9)과 선 접촉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마찰력이 작다.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20)는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후퇴하고, 도 6에 도시한 수납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인출 위치에서는 경사부(21)가 대략 수평으로 되기 때문에 제1 미끄럼 이동부(31)로부터 받는 항력 N2가 대략 연직으로 된다. 이로 인해,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한 후방으로의 분력이 작아, 수납 케이스(20)의 후퇴가 방지된다. 따라서, 인출 위치에서 저장물의 출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20)를 인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도어(2a)를 폐쇄했을 때에, 도어 포켓(16)에 접촉하는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위치까지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하면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수납 케이스(20)가 수납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도어(2a)가 수납 케이스(20)를 계속 가압하여 수납 케이스(20)가 냉장실(2)측의 미끄럼 이동 부분과 맞물리는 것에 의한 큰 파손의 발생이나 도어(2a)가 개방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20)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했을 때에,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용기 덮개(30)의 제1 미끄럼 이동부(31)가 수납 케이스(20)의 경사부(21)와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키므로, 사용자는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압입할 필요가 없어, 냉장고(1)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20)를 인출한 상태에서 냉장실(2)의 도어(2a)를 폐쇄했을 때에 도어(2a)의 가압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하면 수납 케이스(20)가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수납 위치까지 후퇴한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20) 및 용기 덮개(30)의 파손이나 도어(2a)를 폐쇄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9)(적재부)과 수납 케이스(20)의 가이드 리브(23)를 선 접촉으로 했으므로, 양자의 마찰력이 작아져,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9)과 수납 케이스(20)를 점 접촉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9)과 수납 케이스(20)를 미끄럼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구 형상(점 접촉) 또는 원통 형상(선 접촉)의 롤러를 설치한 구름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9), 홈부(22), 가이드 리브(23)에 의해, 수납 케이스(20)의 적재부와 수납 케이스(20)를 선 접촉에 의해 전후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9), 오목부(6b) 및 평면부(6c)로 이루어지는 수납 케이스(20)의 적재부의 전방부가 경사면(6d)에 의해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므로, 수납 케이스(20)가 자중에 의해 후방으로 가속되어,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용이하게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부(21)와 제1 미끄럼 이동부(31)를 선 접촉으로 했으므로, 수납 케이스(20)와 용기 덮개(30)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게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부(21)와 제1 미끄럼 이동부(31)를 점 접촉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경사부(21)와 제1 미끄럼 이동부(31)를 미끄럼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제1 미끄럼 이동부(31)를 롤러에 의해 형성하여 구름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가이드부(11, 17)와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를 선 접촉으로 했으므로, 가이드부(11, 17)와 용기 덮개(30)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게 수납 케이스(20)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 17)와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를 점 접촉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가이드부(11, 17)와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를 미끄럼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제2, 제3 미끄럼 이동부(32, 33)를 롤러로 형성하여 구름 접촉에 의해 미끄럼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용기 덮개(30)는 가이드부(11, 17) 및 경사부(21)와 함께 캠 기구를 구성하여 개방했을 때에 단열 패널(14)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수납 케이스(20)를 인출한 상태에서 도어(2a)를 폐쇄해도 용기 덮개(30)와 도어 포켓(16)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덮개(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21)의 측면 단면을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했으므로, 수납 케이스(20)를 인출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 항력 N2의 수평 방향의 분력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수납 케이스(20)가 후퇴하지 않고, 저장물을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위치까지 수납 케이스(30)를 압입하면 항력 N2의 수평 방향의 분력이 커지기 때문에 용기 덮개(30)의 자중에 의해 수납 케이스(2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9)을 와인실(6)의 저부에 배치하여 가이드 리브(23)를 수납 케이스(20)의 저면에 돌출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9)을 와인실(6)의 측벽에 돌출 설치하여 가이드 리브(23)를 수납 케이스(20)의 측벽에 돌출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9) 상에 가이드 리브(23)를 배치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적재해도 된다. 이때, 볼(점 접촉)이나 굴림대(선 접촉)를 갖는 리니어 베어링을 사용하여 수납 케이스(20)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9)의 상면을 오목부(6b)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해도 되고, 가이드 레일(9)을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실 내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를 갖는 냉장고에 이용할 수 있다.
1: 냉장고
2: 냉장실
2a, 3a, 4a: 도어
3: 냉동실
4: 야채실
6: 와인실
6a: 저벽
6b: 오목부
6c: 평면부
6d: 경사면
7: 물탱크실
8: 복귀 덕트
11, 17: 가이드부
12a, 12b: 스토퍼
13: 적재 선반
14, 15: 단열 패널
16: 도어 포켓
20: 수납 케이스
21: 경사부
22: 홈부
22a, 22b: 리브
23: 가이드 리브
24: 돌기부
30: 수납 덮개
31: 제1 미끄럼 이동부
32: 제2 미끄럼 이동부
33: 제3 미끄럼 이동부

Claims (7)

  1. 저장실 내의 적재부에 적재됨과 함께 수납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하여 출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출납에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용기 덮개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 전방이 내려가는 경사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용기 덮개는 상기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부를 갖고, 인출된 상기 수납 케이스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했을 때에, 상기 용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제1 미끄럼 이동부가 상기 경사부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를 상기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저장실의 수평벽 상에 돌출 설치된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 맞추는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수직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적재부의 전방부는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제1 미끄럼 이동부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한 상태의 상기 용기 덮개의 하부에 제1 미끄럼 이동부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용기 덮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미끄럼 이동부와, 제2 미끄럼 이동부를 미끄럼 이동에 의해 전후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제2 미끄럼 이동부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측면 단면을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7005900A 2008-09-16 2009-07-28 냉장고 KR101302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6641 2008-09-16
JP2008236641A JP5443721B2 (ja) 2008-09-16 2008-09-16 冷蔵庫
PCT/JP2009/063387 WO2010032557A1 (ja) 2008-09-16 2009-07-2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362A true KR20110042362A (ko) 2011-04-26
KR101302870B1 KR101302870B1 (ko) 2013-09-05

Family

ID=4203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900A KR101302870B1 (ko) 2008-09-16 2009-07-2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43721B2 (ko)
KR (1) KR101302870B1 (ko)
CN (1) CN102149995B (ko)
WO (1) WO20100325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95A1 (ko) * 2015-10-02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43924B2 (en) 2015-10-02 2019-10-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3004A (zh) * 2011-07-26 2011-11-16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CN104769118A (zh) 2012-06-12 2015-07-08 雷内科学有限公司 生物甲烷生产的方法和组合物
JP6105232B2 (ja) * 2012-09-05 2017-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783983B2 (ja) * 2012-09-26 2015-09-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EP2808631B1 (en) * 2013-05-31 2018-08-08 BSH Hausgeräte GmbH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that is movable
CN105452472B (zh) 2013-06-12 2020-03-13 雷内科学有限公司 利用微生物水解和发酵处理城市固体废物(msw)的方法
DE102013225087A1 (de) * 2013-12-06 2015-06-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Verschiebekufe für einen darauf aufsetzbaren Behälter für Lebensmittel
CN103994627B (zh) * 2014-05-28 2016-08-1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EP3048397A1 (en) * 2015-01-26 2016-07-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crisp drawer
JP6839488B2 (ja) * 2015-07-21 2021-03-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785067B2 (ja) * 2016-05-30 2020-11-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7009284A (ja) * 2016-10-20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857661B1 (ko) 2016-11-11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254404A (zh) * 2019-07-22 2021-01-22 青岛海尔特种制冷电器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JP6847180B2 (ja) * 2019-10-17 2021-03-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2092110A (zh) * 2020-10-14 2020-12-18 阜南阜合工艺品有限公司 一种柳木工艺品加工用钻孔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084U (ko) * 1985-09-26 1987-04-06
JPH01106890U (ko) * 1987-12-29 1989-07-19
JP3294964B2 (ja) * 1995-01-13 2002-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4439025B2 (ja) * 1998-12-18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05069601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Corp 冷蔵庫
JP2006010215A (ja) * 2004-06-25 2006-01-12 Toshiba Corp 冷蔵庫
KR100662407B1 (ko) * 2005-04-26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 구조
CN101000203A (zh) * 2006-12-30 2007-07-18 海尔集团公司 电冰箱用新型果蔬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95A1 (ko) * 2015-10-02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43924B2 (en) 2015-10-02 2019-10-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677519B2 (en) 2015-10-02 2020-06-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928124B2 (en) 2015-10-02 2021-02-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9995B (zh) 2013-07-17
WO2010032557A1 (ja) 2010-03-25
JP5443721B2 (ja) 2014-03-19
KR101302870B1 (ko) 2013-09-05
CN102149995A (zh) 2011-08-10
JP2010071486A (ja)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870B1 (ko) 냉장고
US20080168794A1 (en) Refrigerator
KR101176865B1 (ko) 음료저장용 냉장고
KR101554852B1 (ko) 냉장고
US9638459B2 (en) Refrigerator
US10047999B2 (en) Refrigerator
US20200300537A1 (en) Refrigerator
KR102472387B1 (ko) 냉장고
EP2594878A2 (en) Refrigerator
CN101523142B (zh) 冰箱
KR102629962B1 (ko) 냉장고
CN101430158A (zh) 储藏箱
KR101467271B1 (ko) 냉장고
KR101949958B1 (ko) 냉장고
KR20090109297A (ko) 냉장고
EP2751506A2 (en) Refrigerator
KR20040059041A (ko) 냉장고의 도어 설치구조
JP2009052801A (ja) 冷蔵庫
CN106066109B (zh) 冰箱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JP5682908B2 (ja) 冷蔵庫
KR102024582B1 (ko) 냉장고
KR101096820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KR20110067953A (ko) 냉장고
KR100570527B1 (ko) 도어가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