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4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46A
KR20110041846A KR1020090098859A KR20090098859A KR20110041846A KR 20110041846 A KR20110041846 A KR 20110041846A KR 1020090098859 A KR1020090098859 A KR 1020090098859A KR 20090098859 A KR20090098859 A KR 20090098859A KR 20110041846 A KR20110041846 A KR 2011004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outdoor
outdoor unit
guid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411B1 (ko
Inventor
정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11B1/ko
Priority to CN201010139571.5A priority patent/CN102042640B/zh
Priority to US12/758,537 priority patent/US8701431B2/en
Priority to EP10250778.7A priority patent/EP2314937B1/en
Priority to PCT/KR2010/004792 priority patent/WO2011046289A2/en
Publication of KR2011004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면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환기 유닛과; 환기 유닛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실외기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로 안내되게 환기 유닛과 실외기의 공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안내 덕트를 포함하여, 실외 저온시 환기 유닛에서 배출된 실내 공기가 실외기의 착상을 지연시키고 제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환기 유닛, 안내 덕트, 공기 흡입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고, 실외기가 환기유닛과 연결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실내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실내로 열을 방출하거나 실내의 청정도를 유지한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위치하는 실내기와 실내기가 공조시키는 실내 이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실외기는 통상적으로 건물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앵글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경우 실외에서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다시 실외로 토출하고, 상업용 건물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건물에 별도로 형성된 실외기 설치룸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에서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다시 건물 외부로 토출한다.
한편, 최근에는 실내로 보다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내공기를 외 부로 보내고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흡입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유닛을 점차 설치하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는, 난방 운전의 시기에 실외공기가 실내공기 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이고, 냉방 운전의 시기에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환기유닛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경우, 난방/냉방이 낮게 된다.
환기 유닛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되게 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하면, 실외공기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하강한 상태에서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간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환기 유닛이 실외기와 함께 실외기 설치 룸에 함께 설치될 경우, 건물에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공기 흡입 환기구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 환기구가 각각 시공되어야 하고, 환기유닛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환기 배기덕트가 환기 유닛과 실내공기 배출 환기구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실외기 설치 룸이 협소한 경우 환기 배기덕트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유닛에서 배출된 실내공기가 실외기의 제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유닛의 설치를 위한 환기용 구멍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기유닛과 실외기를 하나의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면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환기 유닛과; 상기 환기 유닛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실외기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로 안내되게 상기 환기 유닛과 상기 실외기의 공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안내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 유닛은 상기 안내 덕트가 연통되는 안내 덕트 연결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덕트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는 상기 환기 유닛 외면에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 중 상기 안내 덕트가 연통되지 않는 안내 덕트 연결부를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 덕트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공기 흡입부 중 일부와 대향되게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는 연결 덕트와, 상기 환기 유닛과 상기 연결 덕트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되는 배기 덕트 연통부와, 상기 실외기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배기덕트 연통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를 향해 갈수록 유로가 증대되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덕트는 신축되거나 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스크류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개구부 주변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다.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자력 착탈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 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자력 착탈된다.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걸림 착탈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기유닛에서 배출된 실내 공기가 안내 덕트를 통해 실외기의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어, 실내 폐열이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 방열에 이용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고, 건물의 외벽에 형성하여야 하는 환기용 구멍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외 저온시 실내에서 승온된 실내 공기가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외기의 착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안내 덕트가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지 않고 실외 기로 연통되므로, 건물의 미관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외기 설치 룸이 협소한 경우에도 실외기 설치 룸의 형상에 맞춰서 안내 덕트를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내 덕트를 실외기 설치 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내 덕트의 길이가 가변되거나 휘면서 안내 덕트를 실외기의 복수 위치 중 한 위치로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R)에 설치되는 실내기(2)와; 실내기(2)와 냉매 배관(3)으로 연결되는 실외기(4)와; 실내 공기(I)와 실외 공기(O)를 환기시키며 실내 공기(I)와 실외 공기(O)를 열교환시키는 환기 유닛(6)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외기(4)와 환기 유닛(6)은 실내(R)와 구획된 별도의 실외기 설치 룸(A)에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기(2)와 함께 실내(R)에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실외기 설치 룸(A)에 설치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실내기(2)에는 실내 공기(I)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토출 하는 것으로서, 실외기 설치 룸(A)과 구획된 실내(R)의 내부 또는 실내(R)의 천장에 설치된다.
실내기(2)는 실내공기(I)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공기(I)를 실내기(2)로 순환시키는 실외 송풍기를 포함한다.
실외기(4)는 실외공기(O)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실외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실외기 설치 룸(A)에 형성된 그릴(G)을 통해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그릴(G)을 통해 실외 공기(O)를 토출한다.
환기 유닛(6)은 실외기 설치 룸(A)의 대략 상부 위치 특히, 실외기(4)의 상측 위치에 실외기(4)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환기 유닛(6)은 실외기 설치 룸(A)의 바닥에 설치될 경우, 실외기 설치 룸(A)이 협소하여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거나 실외기 설치 룸(A)의 크기가 증대되어야 하므로, 실외기(4)의 상측 위치에 설치된다.
환기 유닛(6)은 실외기(4)와 함께 실외기 설치 룸(R)에 설치되는 경우 실외 공기(O)를 흡입하는 실외공기 흡기덕트(8)와, 흡입된 실외 공기(O)를 실내(R)로 배기하는 실외공기 배기덕트(10)와, 실내 공기(I)를 흡입하는 실내공기 흡기덕트(12)와, 실내 공기(I)를 배기하는 안내 덕트(14)가 연결되고, 실외기(4)와 함께 실내(R)에 설치되는 경우 실외 공기(O)를 흡입하는 실외공기 흡기덕트(8)와, 실내 공기(I)를 배출하는 안내 덕트(14)가 연결된다.
실외공기 흡기덕트(8)는 실외와 환기유닛(6)을 연통시시키는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환기용 구멍(9)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실외공기 배기덕트(10)는 실내와 환기유닛(6)을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실외기 설치룸(A)과 실내 사이의 벽(W)을 관통하여 배치되거나 천장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실내공기 흡기덕트(12)는 실내와 환기유닛(6)을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실외기 설치룸(A)과 실내 사이의 벽(W)을 관통하여 배치되거나 천장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안내 덕트(14)는 환기유닛(6)과 실외기(4)를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이 환기유닛(6)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외기(4)에 연결된다.
안내 덕트(14)는 환기 유닛(6)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I)가 실외기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24,도 3에 도시)로 안내되게 환기 유닛(6)과 실외기(4)의 공기 흡입부(24)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기 유닛(6)의 작동시, 실외공기(O)가 실외공기 흡기덕트(8)를 통해 환기 유닛(6)으로 흡입된 후 실외공기 배기덕트(10)를 통해 실내로 흡기되고, 실내공기(I)가 실내공기 흡기덕트(12)를 통해 환기 유닛(6)으로 흡입된 후 안내 덕트(14)를 통해 실외기(4)로 내부로 배기되고 이후 실외기(4)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안내 덕트(14)는 실외기(4)의 전,후,좌,우 중 일측면에 연결된다.
즉, 실내공기(O)는 환기 유닛(4)을 통해 실내로 흡기되고, 실내공기(I)는 환기유닛(4)과 실외기(4)를 차례로 통과한 후 실외로 배기되는데, 공기조화기는 안내 덕트(14)가 환기 유닛(6)와 실외기(4)에 연결되므로 안내 덕트(14)의 설치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건물의 외벽에 안내 덕트(14)를 관통하게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유닛과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유닛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안내 덕트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안내 덕트가 높이가 낮게 연결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실외기(4)는 실외기 설치 룸(A)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 둘레부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부(22)(24)가 형성되고 둘레부 중 적어도 일면이나 상면에 공기 토출부(26)가 형성된다.
실외기(4)는 실외 공기(O)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28)와, 실외 공기(O)를 실외기(4) 내부로 유동시키는 실외 송풍기(30)를 포함한다.
실외기(4)는 실외를 향하는 면에 공기 흡입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속한 공기의 흡입과 환기유닛(6)에서 배기된 실내공기(I)가 실외기(4)로 흡입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4)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32)의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28)와 실외 송풍기(30)가 설치되고, 캐비닛(32)은 실외를 향하는 면에 공기 흡입부(22)를 형성되고 좌,우 중 일측면에 공기 흡입부(24)가 형성된다.
열교환기(28)는 캐비닛(32)의 내부 중 하부에 배치되고, 단면 형상이 ′⊃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양측부(30)(31)가, 캐비닛(32)의 좌,우 측면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열교환기(28)는 캐비닛(32)의 내부 후방에 배치된 후방 열교환부(29)와, 후방 열교환부(29)의 좌,우 양측에 직교하게 절곡되거나 라운드지게 절곡된 좌,우 양측부(30)(31)를 포함한다.
송풍기(30)는 캐비닛(32)이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 즉, 공기 토출부(26)로 토출한다.
캐비닛(32)은 베이스(34)와, 베이스(34)의 좌,우 상측에 설치된 좌,우 사이드 판넬(36)(38)과, 좌,우 사이드 판넬(36)(38) 사이 전면을 막는 차폐 판넬(40)과, 좌,우 사이드 판넬(36)(38)과 차폐 판넬(40) 사이의 상면을 막게 좌,우 사이드 판넬(36)(38)과 차폐 판넬(40)의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42)을 포함한다.
좌,우 사이드 판넬(36)(38)은 둘 중 하나 중 열교환기(28)와 대향되는 위치에 공기 흡입부(24)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부(24)는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가로 그릴부와 세로 그릴부에 의해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그릴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환기유닛(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I)와 실외 공기(O)를 열교환시키는 환기 열교환기(52)와, 실내공기(I)를 환기 열교환기(52)로 통과시킨 후 실외기(4)로 송풍시키고, 실외공기(O)를 환기 열교환기(52)로 통과시킨 후 실내로 송풍시키는 환기 송풍기(54A)(54B)를 포함한다.
환기 열교환기(52)는 실내공기(I)가 통과하는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O)가 통과하는 실외공기유로가 전열부재를 사이에 두고 구획 형성된다.
환기 유닛(6)은 환기 열교환기(52)와 환기 송풍기(54)가 내장되는 환기 케이스(55)를 포함하고, 환기 케이스(55)에는 실외공기 흡기덕트(8)가 연결되는 실외공기 흡기덕트 연결부(56)와, 실외공기 배기덕트(10)가 연결되는 실외공기 배기덕트 연결부(57)와, 실내공기 흡기덕트(12)가 연결되는 실내공기 흡기덕트 연결부(58)와, 안내 덕트(14)가 연결되는 안내 덕트 연결부(59)가 형성된다.
환기 송풍기(54A)(54B)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환기 열교환기(52)를 통과시킨 후 안내 덕트(14)로 배출하는 실내 배기 팬(54A)과,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환기 열교환기(52)를 통과시킨 후 실외공기 배기덕트(10)로 배출하는 실외 흡기 팬(54B)을 포함한다.
안내 덕트(14)는 공기 흡입부(22)(24) 중 일부와 대향되게 실외기에 설치되는 연결 덕트(62)와, 환기 유닛(6)과 연결 덕트(62)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덕트(62)는 배기 덕트(64)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 덕트(64)는 신축이나 휘는 것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덕트(14)는 연결 덕트(62)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 덕트(64)가 주름형 덕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덕트(62)는 배기 덕트(64)와 연통되는 배기 덕트 연통부(66)와, 실외기(4)에 체결되는 체결부(70)와, 배기덕트 연통부(66)와 체결부(70) 사이에 형성되고 공기 흡입부(24)를 향해 갈수록 유로가 증대되는 확장부(72)를 포함한다.
배기 덕트 연통부(66)는 배기덕트(14)와 삽통식으로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체결부(70)는 좌,우 사이드 판넬(36)(38) 중 공기 흡입부(24)가 형성된 사이드 판넬(36)에 체결된다.
체결부(70)는 스크류(68)로 체결되는 바, 체결부(70)에는 스크류(68)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공(71)이 형성된다.
체결부(70)는 확장부(72)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실외기(4)에 면접촉되는 면접촉부로 이루어진다.
확장부(72)는 실내공기(I)의 유동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실내공기(I)가 실외기(4)로 원활하게 흡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배기덕트 연통부(66)의 하단에서부터 체결부(70)까지 유로가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좌,우 사이드 판넬(36)(38) 중 공기 흡입구(24)가 형성된 사이드 판넬(36)은 스크류(68)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공(69)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된다.
체결공(69)는 좌,우 사이드 판넬(36)(38) 중 공기 흡입구(24)가 형성된 사이드 판넬(36)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되며, 스크류(68)는 안내 덕트(14)에 형성된 체결공(71)과 실외기(6)에 형성된 체결공(69)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70)의 전,후 중 양측부에 4개의 체결공(69)이 상형성됨과 아울러 4개의 스크류(68)가 체결부(70)의 전,후 중 양측부를 실외기(4)에 체결하고, 공기 흡입부(24)가 상하 방향으로 N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 실외기(4) 특히 사이드 판넬(36)에는 4개의 배수 즉, 8개, 12개, 16개,,, 4N개의 체결공(69)이 형성된다.
체결부(70)는 확장부(72)가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나와 연통되게 체결되면, 그 체결높이에 따라 실내공기(I)가 실외기(4)로 흡입되는 높이가 조절된다.
연결 덕트(62)는 배기 덕트(64)의 길이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개구부 중 최상측 개구부에 연통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외기 설치 룸(A)의 상황에 따라 최상측 개구부 하측에 위치하는 타 개구부 중 하나와 확장부(72)가 연통되게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하, 실외기(4)는 실외를 향하는 면 즉, 배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2)를 배면 공기 흡입구(22)로 설명하고,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4)를 측면 공기 흡입구(24)로 설명하며, 공기 토출구(26)를 배면 공기 토출구(26)로 칭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와 실외기(4)와 환기 유닛(6)의 운전시, 실외공기(O)는 배면 공기 흡입구(22)를 통해 실외기(4) 내부로 흡입되어 실외 열교환기(28)와 열교환되고, 이후 배면 공기 토출구(26)를 통해 실외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실외공기(O) 중 일부는 실외공기 흡기덕트(8)와 환기 열교환기(52)와 실외공기 배기덕트(10)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은 실외공기(O)의 유동시, 실내공기(I)는 실내기(2)로 흡입되어 냉각/가열되어 실내로 토출되고, 실내공기(I) 중 일부가 실내공기 흡기덕트(12)를 통해 환기 유닛(6)의 내부로 유동되고, 환기 유닛(6)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 열교환기(52)를 통과하면서, 실외에서 실외공기 흡기덕트(8)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O)와 열교환되어 가열/냉각되고, 이후 안내 덕트(14)에 안내되어 실외기(4)로 유동된다.
실외기(4)로 유동된 실내공기(I)는 측면 공기 흡입부(24)의 복수개 개구부 중 일부를 통해 실외기(4)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외 열교환기(28)의 일부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며, 이후, 실외에서 실외기(4)로 흡입된 실외공기(0)와 혼합된 후 배면 공기 토출구(24)를 통해 실외로 함께 토출된다.
즉, 실내공기(I)는 환기 유닛(6)을 통과하면서 폐열이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O)로 전달되고, 실외기(4) 내부에서 실외 열교환기(28)와 재차 전달된 후 실외공기(O)와 혼합되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운전시,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인 경우, 실내 공기(I)는 실외 열교환기(28)와 접촉되어 재차 열교환되므로, 실외 열교환기(28)의 착상을 지연시키거나 제상시키고, 난방 운전시의 효율은 향상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인 경우, 실외기(4)로 안내된 실내 공기(I)는 실내기(2)에서 냉각된 상태이므로, 실외 공기(O) 보다 저온인 상태에서 실외 열 교환기(28)와 접촉되고, 실외 공기(O)만이 실외 열교환기(28)와 열교환되는 경우 보다 실외 열교환기(28)의 응축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냉방 운전시의 효율은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안내 덕트와 실외기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4)의 캐비닛 특히, 공기 흡입구(24)가 형성된 사이드 판넬(36)이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안내 덕트(14)의 체결부(70)가 실외기(4)에 자력 착탈되는 마그네트(82)를 포함하며, 마그네트(8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그네트(82)는 실외기(4)에 형성되어 공기 흡입부(2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의 주변에 자력 착탈된다.
마그네트(82)는 체결부(70)에 형성된 마그네트 삽입홀(84)에 삽입되고, 접착재 등나 후크 등에 의해 체결부(7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안내 덕트(14)는 실외기(4)에 높이를 낮게 연통시킬 경우, 마그네트(82)를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주변에 밀착시켜 자력 고정시키고, 실외기(4)에 높이를 높게 연통시킬 경우, 마그네트(82)를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주변에 밀착시켜 자력 고정시킨다.
즉, 작업자는 안내 덕트(14) 중 연결 덕트(62)를 실외기(4)에 밀착시키는 높이에 따라, 실내 공기가 실외 열교환기(28)를 송풍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28) 중 일부에 착상이 많이 생기는 경우, 안내 덕트(14) 중 연결 덕트(62)를 실외 열교환기(28)의 하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여 실외 열교환기(28) 중 일부에 착상이 과다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냉/난방 성능이 가장 높은 위치로 안내 덕트(14) 중 연결 덕트(62)를 연통시킬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안내 덕트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실외기와 다른 타입의 실외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4에 도시된 실외기(4)와 상이한 흡토출 구조를 갖는 실외기(4′)에 안내 덕트(14)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외기(4′)는 도 4에 도시된 실외기(4)와 상이한 흡토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전면에 공기 흡입구(24′)가 형성되어 전면으로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배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배면으로 실외 공기를 토출하며, 안내 덕트(14)는 연결덕트(62)가 공기 흡입구(24′)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기 덕트(64)가 신축되거나 휜다.
도 9에 도시된 실외기(4′)는 공기 흡입구(24′)를 보호하기 위한 흡입 그릴 이 전면에 배치되고, 안내 덕트(14)는 흡입 그릴에 결합된다.
흡입 그릴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안내 덕트(14)는 마그네트(82)가 흡입 그릴에 자력 부탁되어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환기 유닛(6)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새로운 실내기와 실외기(4′)를 설치할 경우, 새로운 실외기(4′)에 흡토출 구조에 맞게, 안내 덕트(14)의 연통 위치를 가변시키면, 새로운 실내기와 실외기(4′)의 경우도 냉/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착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환기 유닛(6)과 안내 덕트(14)는 실내기와 실외기(4′)의 타입에 무관하게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안내 덕트와 실외기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안내 덕트(14)의 체결부(70)가 실외기(4)에 걸림 착탈되는 후크(88)를 포함하고, 후크(8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크(88)는 실외기(4)에 형성되어 공기 흡입부(2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린다.
안내 덕트(14)는 실외기(4)에 높이를 낮게 연통시킬 경우, 후크(88)를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개구부로 삽입하여 걸고, 실외기(4)에 높이를 높게 연통시킬 경우, 후크(88)를 복수개의 개구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개구부로 삽입하여 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안내 덕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안내 덕트(14)를 개폐하는 댐퍼(90)를 더 포함하고, 댐퍼(90) 이외의 기타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댐퍼(90)는 환기 유닛(6)과 안내 덕트(14) 사이에 설치되어, 환기 유닛(6)과 안내 덕트(14) 사이를 막는 것도 가능하고, 안내 덕트(14)에 설치되어, 안내 덕트(14)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막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 덕트(14)는 실내 공기의 배출 통로를 여닫는 개폐 바디(92)와, 개폐 바디(92)를 여닫힘 동작시키는 구동원(94)를 포함한다.
이하, 댐퍼(90)는 일단이 안내 덕트 연결부(59)에 연통되고 타단이 안내 덕트(14)에 연통되는 댐퍼 바디(9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개폐 바디(92)는 댐퍼 바디(96)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댐퍼 바디(96)의 내부 통로를 개폐시킨다.
구동원(94)은 댐퍼 바디(96) 외부에 설치되어, 개폐 바디(92)를 실내 공기의 배출 통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실내 공기의 배출 통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구동원(94)은 환기 유닛(6)에 리드 와이어로 연결되거나 실외기(4)에 리드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실외 온도와 환기 유닛(6)의 운전에 따라 구동원(94)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이 실내 공기 배출 정지이거나, 실외기(4)의 실외 공기 흡입부(22)에 설치된 실외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의 저온이거나, 환기 유닛(6)이 정지일 때, 구동원(94)을 차단 모드로 제어하고, 댐퍼(90)는 환기 유닛(6)과 실외기(4) 사이의 실내 공기 배출 통로를 차단하며, 실내는 실외기(4)가 운전 중이면서 환기 유닛(6)의 정지일 때 실내 공기가 환기 유닛(6)을 통해 실외기(4)로 배기되지 않으므로, 실내 온도가 불필요하게 낮아지지 않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환기 유닛과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기 유닛(6)에 안내 덕트(14)가 연통되는 안내 덕트 연결부(59)(59′)(59″)가 상이한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안내 덕트(14)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59)(59′)(59″) 중 하나(59′)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환기 유닛(6)에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59)(59′)(59″) 중 안내 덕트(14)가 연통되지 못한 안내 덕트 연결부(59)(59″)를 막는 마개(100)(102)가 설치된다.
안내 덕트 연결부(59)(59′)(59″)는 환기 유닛(6)에 환기유닛(6)의 길이 방 향 또는 실내공기(O)의 유로 형성 방향 즉, 환기 유닛(6) 중 실외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제 1 안내 덕트 연결부(59)와, 환기 유닛(6)에 제 1 안내 덕트 연결부(59)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안내 덕트 연결부(59′)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제 1 안내 덕트 연결부(59)와 제 2 안내 덕트 연결부(59′) 이외에 제 1 안내 덕트 연결부(59) 및 제 2 안내 덕트 연결부(59′)와 직교하게 연결된 제 3 안내 덕트 연결부(59″)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 안내 덕트 연결부(59)가 환기 유닛(6)의 전,후면 중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 2 안내 덕트 연결부(59′)는 환기 유닛(6)의 좌,우면 중 일면에 형성되고, 제 3 안내 덕트 연결부(59″)는 환기 유닛(6)의 상,하면 중 일면에 형성되며, 작업자는 실외기 설치 룸(A)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안내 덕트(14)를 환기유닛(6)에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59)(59′)(59″)와, 마개(100)(10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유닛과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유닛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안내 덕트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안내 덕트가 높이가 낮게 연결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안내 덕트와 실외기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안내 덕트가 여러 종류의 실외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안내 덕트와 실외기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안내 덕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환기 유닛과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Claims (15)

  1.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면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환기 유닛과;
    상기 환기 유닛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실외기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로 안내되게 상기 환기 유닛과 상기 실외기의 공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안내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은 상기 안내 덕트가 연통되는 안내 덕트 연결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덕트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는 상기 환기 유닛 외면에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안내 덕트 연결부 중 상기 안내 덕트가 연통되지 않는 안내 덕트 연결부를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공기 흡입부 중 일부와 대향되게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는 연결 덕트와,
    상기 환기 유닛과 상기 연결 덕트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되는 배기 덕트 연통부와,
    상기 실외기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배기덕트 연통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를 향해 갈수록 유로가 증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신축되거나 휠 수 있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스크류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개구부 주변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된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자력 착탈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자력 착탈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에는 상기 실외기에 착탈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걸림 착탈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판넬과,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상측에 설치된 탑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판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98859A 2009-10-16 2009-10-16 공기조화기 KR10164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59A KR101640411B1 (ko) 2009-10-16 2009-10-16 공기조화기
CN201010139571.5A CN102042640B (zh) 2009-10-16 2010-03-22 空调机
US12/758,537 US8701431B2 (en) 2009-10-16 2010-04-12 Air conditioner
EP10250778.7A EP2314937B1 (en) 2009-10-16 2010-04-15 Air conditioner
PCT/KR2010/004792 WO2011046289A2 (en) 2009-10-16 2010-07-2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59A KR101640411B1 (ko) 2009-10-16 2009-10-1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46A true KR20110041846A (ko) 2011-04-22
KR101640411B1 KR101640411B1 (ko) 2016-07-18

Family

ID=4346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59A KR101640411B1 (ko) 2009-10-16 2009-10-1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1431B2 (ko)
EP (1) EP2314937B1 (ko)
KR (1) KR101640411B1 (ko)
CN (1) CN102042640B (ko)
WO (1) WO201104628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290B1 (ko) * 2022-12-30 2023-11-16 번창시스템 주식회사 환기장치와 냉난방기로 구성되는 융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3809A1 (de) * 2009-03-18 2010-09-2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e
JP6279826B2 (ja) * 2012-02-15 2018-0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918225B1 (ko) 2012-02-15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기
KR101880103B1 (ko) * 2013-11-14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기의 전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76106B (zh) * 2014-01-27 2016-08-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气空调系统
FR3024213B1 (fr) * 2014-07-25 2021-12-10 Soc Ind De Chauffage Systeme de rafraichissement, climatisation, chauffage d'un batiment avec recuperation d'air vicie
FR3024216B1 (fr) * 2014-07-25 2022-02-25 Soc Ind De Chauffage Systeme de rafraichissement, climatisation ou chauffage a unites separees et caisson renfermant l'une des unites
ES2705348T3 (es) * 2014-07-25 2019-03-22 Soc Ind De Chauffage Sic Sistema de enfriamiento, climatización o calentamiento con unidades separadas y caja que incluye una de las unidades
JP6388734B2 (ja) * 2015-12-18 2018-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FI130291B (fi) 2016-02-22 2023-06-05 Suomen Ilmastointi Ja Savunpoisto Oy Ekologinen ilmastointilaite
US10738517B2 (en) * 2016-12-07 2020-08-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omagnetic access panel latches
EP3450873A1 (en) * 2017-09-01 2019-03-06 Enervent Zehnder Oy Air supply device
CN110243058A (zh) * 2019-06-14 2019-09-17 湖南省宝满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室外机的除霜处理方法及系统
KR20210043266A (ko)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환기 장치
CN112050378B (zh) * 2020-07-31 2021-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化霜控制方法、化霜控制装置、空调及计算机设备
CN112128843B (zh) * 2020-09-23 2021-08-10 加一防爆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防爆空调的换气系统
US11774133B2 (en) 2021-08-19 2023-10-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4513A (ja) * 2005-08-29 2007-03-15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ヒートポンプ式空調方法及び装置
KR20080065202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KR20090028666A (ko) * 2007-09-15 2009-03-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030A (en) * 1975-05-12 1976-10-26 Twedell Jack L Slip-joint coupling, method of installing same and frame subassembly for use therewith
US5226681A (en) * 1991-07-31 1993-07-13 Baltimore Aircoil Company Outlet connection assembly
JPH06341676A (ja) * 1993-06-02 1994-12-1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CA2134168C (en) * 1994-10-24 2002-06-11 Frederic Lagace Ventilation system
US5538293A (en) * 1994-11-18 1996-07-23 Thinking Vents, Inc. Secondary duc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forced air ventilation system
US5957506A (en) * 1998-02-27 1999-09-28 M & M Manufacturing Co., Inc. Sheet-metal insulated register box with adjustable elbow fitting
JP3023361B1 (ja) * 1999-04-30 2000-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装置
US6336338B1 (en) * 2000-11-13 2002-01-08 Uri Koren Room air conditioner
JP2002257380A (ja) * 2001-02-28 2002-09-11 Nice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US6516874B2 (en) * 2001-06-29 2003-02-1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All welded plate heat exchanger
JP3969064B2 (ja) * 2001-11-16 2007-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換気装置
JP3608548B2 (ja) * 2001-12-07 2005-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30052225A (ko) * 2001-12-20 2003-06-26 이현식 변비예방 및 피로회복을위한 음료 제조방법
KR20050074826A (ko) *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의 배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US7258280B2 (en) * 2004-04-13 2007-08-21 Tuckernuck Technologies Llc Damper control in space heating and cooling
US7259337B1 (en) * 2005-11-01 2007-08-21 Arlington Industries, Inc. Electrical grounding and sealing of multi-position rain-tight junction box
CN101086382A (zh) * 2006-06-08 2007-12-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系统的风道
US20080160904A1 (en) * 2006-12-27 2008-07-03 Yi Christopher S Air cap and diffuser assembly
US8453474B2 (en) * 2009-07-27 2013-06-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 handl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4513A (ja) * 2005-08-29 2007-03-15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ヒートポンプ式空調方法及び装置
KR20080065202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KR20090028666A (ko) * 2007-09-15 2009-03-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290B1 (ko) * 2022-12-30 2023-11-16 번창시스템 주식회사 환기장치와 냉난방기로 구성되는 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1431B2 (en) 2014-04-22
KR101640411B1 (ko) 2016-07-18
WO2011046289A3 (en) 2011-06-30
EP2314937A2 (en) 2011-04-27
CN102042640A (zh) 2011-05-04
WO2011046289A2 (en) 2011-04-21
EP2314937A3 (en) 2014-10-29
US20110088422A1 (en) 2011-04-21
CN102042640B (zh) 2014-06-18
EP2314937B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1846A (ko) 공기조화기
US9897335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07011352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JPH09210455A (ja) 室内空調ユニット及び空気の循環方法
KR20040082957A (ko)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WO2020156344A1 (zh) 空调器
KR20060119614A (ko) 공기조화기
KR10073436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4841B1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270905B2 (ja) エアコン室外機
KR20110060222A (ko) 공조시스템용 송풍기
JP2010223447A (ja) 送風装置
JP2005030660A (ja) 空気調和装置
KR20080095115A (ko) 가습 환기 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 조화기
KR20050054185A (ko)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12467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의 흡입그릴 구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100606725B1 (ko) 공기조화장치
JP2511215B2 (ja) ダクト式空気調和システム装置
JP2024061059A (ja) 窓用空気調和機
KR20090078184A (ko) 환기장치
KR20060089425A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