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202A -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Google Patents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5202A KR20080065202A KR1020070002276A KR20070002276A KR20080065202A KR 20080065202 A KR20080065202 A KR 20080065202A KR 1020070002276 A KR1020070002276 A KR 1020070002276A KR 20070002276 A KR20070002276 A KR 20070002276A KR 20080065202 A KR20080065202 A KR 20080065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wer
- main body
- air conditioner
- air
- cold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송풍하는 팬;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안내 덕트; 일단이 상기 안내 덕트와 연결되는 호스;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샤워기를 포함한다.
에어컨, 샤워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컨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에어컨 10: 본체
12: 흡입구 14: 토출구
20: 열교환기 30: 팬
32: 보조 팬 40: 안내 덕트
50: 호스 60: 샤워기
70: 영구자석
본 발명은 보편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분리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냉기를 분사할 수 있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냉기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갖는다. 이러한 실내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는 에어컨 본체의 정면 또는 측면에 커다랗게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순환시킨다.
한편, 더운 곳에서 운동을 하거나 작업을 한 사람(편의상 방문객이라 칭한다)이 실내에 들어오면, 땀으로 젖은 신체의 일부분을 냉기로 말리거나 해당부분의 열기를 식히고자 에어컨의 토출구에 서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에어컨의 냉기 토출구는 본체의 정면 또는 측면(실질적으로는 정면방향이다)에 한정되어 형성되므로, 방문객의 위와 같은 행위는 에어컨 토출구를 통한 냉기의 분사를 방해한다.
때문에, 위와 같은 경우, 에어컨의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냉기가 실내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므로, 실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위와 같은 경우, 방문객의 땀 냄새가 냉기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냉기를 타고 실내 전체에 퍼지게 되므로, 실내 공기가 방문객의 땀 냄새로 오염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국소적인 공간이나 신체부분에 냉기를 집중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은,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송풍하는 팬;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안내 덕트; 일단이 상기 안내 덕트와 연결되는 호스;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샤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본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이경관(異徑管) 형태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상기 안내 덕트로 강제 송풍하는 별도의 보조 팬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샤워기에는 영구자석이 부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샤워기 또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컨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컨(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열교환기(20), 팬(30), 안내 덕트(40), 호스(50), 및 샤워기(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보편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2)와 냉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4)를 갖는다. 흡입구(12)는 본체(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토출구(14)는 본체(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구(12)와 토출구(14)는 본체(10)의 정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열교환기(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열교환기(20)는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유동하는 부분으로서, 실내공기를 실질적으로 냉각한다. 따라서, 열교환기(20)는 실내공기가 본체(1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경로 상의 어느 곳이나 설치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2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의 내측이나, 실내공기가 다시 실내로 분사되는 토출구(14)의 내측 중 어느 곳이나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20)를 토출구(14)의 내측 공간에 설치하였다.
팬(30)은 본체(1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다. 팬(30)은 흡입구(12)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20)를 지나 토출구(14)로 분사되도록 본체(10) 내부에 공기 흐름을 만든다. 한편, 팬(30)은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10)의 폭 방향에 대하여 고른 송풍력을 갖도록 크로스 플로우 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안내 덕트(40)는 본체(10)의 측면, 특히 냉기가 발생하는 본체(10)의 상부 측에 설치된다. 안내 덕트(40)는 본체(10)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이경관(異徑管) 형태이다. 안내 덕트(40)는 본체(10)의 상부에서 열교환기(20)에 의해 발생한 냉기를 본체(10)의 측면방향으로 유도하는 구실을 한다. 본체(10)의 측면에는 안내 덕트(40)와 연결되는 통기공(16)이 형성된다.
호스(50)는 안내 덕트(40)에 설치된다. 호스(50)는 휘어짐이 자유로운 연질의 관 부재로서, 안내 덕트(40)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를 임의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 호스(50)는 가볍고 부드러운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샤워기(60)는 호스(50)의 끝에 결합한다. 샤워기(60)는 다수의 분사공을 갖는 형태로서, 호스(50)를 통해 안내된 냉기를 국소적인 부분에 집중하여 분사시킨다. 미사용 시 샤워기(60)는 고리와 같은 수단을 통해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샤워기(60)에는 샤워기(60)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조절수단으로는 일반적인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밸브 형태의 조절수단은 본체(10)의 통기공(16)에 설치되고, 에어컨(100)의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 3을 토대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100)이 작동하면, 실외기에 설치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열교환기(20)를 순 차적으로 순환한다. 그리고, 팬(30)은 구동하여 흡입구(12)를 통해 실내공기의 따뜻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기(20)로 송풍한다.
그러면,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되어 토출구(14)를 통해 분사된다. 이때, 사용자가 샤워기(60)를 사용하기 위해 샤워기(60)를 본체(10)에서 분리하거나 샤워기(60)의 조절수단을 조작하면,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일부가 안내 덕트(40)를 통해 호스(50)로 유입된다. 그러면, 호스(50)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는 샤워기(6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강력하게 분사되어 해당 부분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에어컨(100)의 토출구(14) 앞에 서 있지 않아도 샤워기(60)를 통해 자신의 원하는 신체부위의 열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식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10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16)에 보조 팬(32)이 더 설치되고, 샤워기(60)에 영구자석(70)이 더 부착된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안내 덕트(40) 부근인 통기공(16)에 별도의 보조 팬(32)이 더 설치되므로,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보다 신속하고 강력하게 샤워기(60)에 송출할 수 있다. 보조 팬(32)은 에어컨(100a)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한다. 즉, 사용자가 샤워기(60)를 사용하기 위해 샤 워기(60)를 들거나 샤워기(60) 사용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어수단은 보조 팬(32)을 가동시킨다.
샤워기(60)에 부착된 영구자석(70)은 샤워기(60)를 철재로 이루어진 본체(10)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선택적으로는 샤워기(60)가 철재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측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량의 냉기를 국소적인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냉기 분사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급하게 더위를 식히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냉기를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송풍하는 팬;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안내 덕트;일단이 상기 안내 덕트와 연결되는 호스; 및상기 호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본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이경관(異徑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상기 안내 덕트로 강제 송풍하는 별도의 보조 팬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샤워기에는 영구자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샤워기 또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276A KR20080065202A (ko) | 2007-01-08 | 2007-01-08 |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276A KR20080065202A (ko) | 2007-01-08 | 2007-01-08 |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5202A true KR20080065202A (ko) | 2008-07-11 |
Family
ID=3981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276A KR20080065202A (ko) | 2007-01-08 | 2007-01-08 |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6520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846A (ko) * | 2009-10-16 | 2011-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70000832A (ko) * | 2015-06-10 | 2017-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포터블 공기조화기 |
US10184673B2 (en) | 2015-06-10 | 2019-01-22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air conditioner |
-
2007
- 2007-01-08 KR KR1020070002276A patent/KR200800652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846A (ko) * | 2009-10-16 | 2011-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70000832A (ko) * | 2015-06-10 | 2017-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포터블 공기조화기 |
US10184673B2 (en) | 2015-06-10 | 2019-01-22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5875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640411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45914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어셈블리 | |
KR102184544B1 (ko) | 제습기 | |
US10591170B2 (en) | Air conditioner | |
JP4017483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541471B1 (ko) | 에어컨 실내기 | |
KR20080065202A (ko) | 냉기샤워기를 구비한 에어컨 | |
KR101971795B1 (ko) | 냉풍기 | |
KR100838861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JP5492624B2 (ja) | 空気調和機 | |
CN210399155U (zh) | 柜式空调器室内机 | |
US20230194122A1 (en) | Air conditioner | |
CN112178772B (zh) | 壁挂式空调器室内机 | |
KR100812779B1 (ko) | 환기장치와 에어컨을 이용한 냉방장치 | |
JP3056615B2 (ja) | 熱交換換気空調システム | |
KR20050104674A (ko) |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되는 공조기 | |
WO2020020166A1 (zh) | 一种空调挂机 | |
KR101192002B1 (ko) | 가습 환기 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 조화기 | |
KR20150085218A (ko) | 공기조화기 | |
KR100389426B1 (ko) |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 |
JP2010190516A (ja) | 空気調和機 | |
KR100469655B1 (ko) | 산소발생기를 갖춘 공기조화기 | |
KR200280422Y1 (ko) | 상하 양방향 토출형 냉난방 겸용 에어컨 | |
KR20030000176A (ko) |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