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904A -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904A
KR20110040904A KR1020117003162A KR20117003162A KR20110040904A KR 20110040904 A KR20110040904 A KR 20110040904A KR 1020117003162 A KR1020117003162 A KR 1020117003162A KR 20117003162 A KR20117003162 A KR 20117003162A KR 20110040904 A KR20110040904 A KR 2011004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끼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111)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입력부(110A)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101)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했을 때에 당해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107A)에 출력시키고,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기 위한 제1 출력 제어부(106A)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출력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부(106J)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수한 제1 조작 정보와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유익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각의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가 동시에 묘화할 수 있는 자필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필 통신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유저가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장소에서 묘화를 행한 경우에, 각각의 통신 단말기가 표시하는 묘화 결과가 서로 상이한 것이 된다. 각각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입력된 묘화 정보보다 상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묘화 정보쪽이 송신 시간분 지연되어 표시되어, 도형 등의 겹침법이 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자필 통신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서로의 통신 단말기의 묘화 결과가 상이한 것이 문제가 되는지의 여부는 그 이용 신(scene)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자필 메시지를 간단히 전달하고 싶은 이용 신에서는, 그 자필 메시지가 해독 가능하면 되며, 유저가 본인이 쓴 자필 궤적 상에 그 이전에 상대가 쓴 자필 궤적이 위로 되어 표시되어도 전혀 문제는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요세가끼(주 : 여럿이 한 장의 종이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림; collection of autographs)」와 같이 유저가 서로 포토 화상 위에 사인이나 메시지 등의 자필 궤적을 그리고, 그 완성된 묘화 결과를 서로 공유하는 이용 신에서는, 서로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묘화 결과가 상이하다는 인식이 없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유저가, 서로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묘화 결과가 상이한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으면, 동기 처리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어, 다른 묘화 결과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하여 보존할지를 상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저에게 이러한 인식이 없으면, 즉 유저가 각각의 통신 단말기가 동일한 묘화 결과를 출력하고 있다고 오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유저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보존된 묘화 결과를 재이용할 때에 스스로가 예상하고 있는 묘화 결과가 보존된 묘화 결과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혹은, 유저가 각각의 통신 단말기에 묘화 결과를 보존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유저는, 묘화가 완성된 후에 비로소 자신의 통신 단말기의 묘화 결과와 다른 통신 단말기의 묘화 결과가 상이한 것을 알아차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3-28405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묘화 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3-284053호 공보(특허문헌 1)에 의하면, 묘화 통신 단말기는, 묘화 입력 수단에 의한 자필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면 조작되는 지연 커맨드 입력 수단과, 이 지연 커맨드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필 정보의 기억에 연속하여 지연 커맨드와 다음 자필 정보의 입력까지의 시간을 축적 기억 수단에 기억 수단을 포함한다. 묘화 통신 단말기는, 재생 시에 자필 정보에 후속하는 지연 커맨드를 검출함으로써, 다음 자필 정보를 시간만큼 늦춰서 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54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통신 게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54호 공보(특허문헌 2)에 의하면, 통신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게임 유닛 각각이,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1 조작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소정의 동기 시간마다, 제1 조작 데이터를 다른 게임 유닛에 송신하고, 또한 다른 게임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제2 조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제어부와, 소정의 동기 시간마다, 제1 조작 데이터 및 제2 조작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부를 갖고, 통신 제어부가, 소정의 동기 시간에 제2 조작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연산부는 제1 조작 데이터 및 상기 제2 조작 데이터의 처리를 대기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3-28405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5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조작 정보의 처리를 지연시키기 위해, 유저가 통신 단말기에 조작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통신 단말기가 조작 정보를 반영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때까지 시간이 걸려 버린다. 즉, 유저는, 조작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통신 단말기가 당해 조작 정보를 반영한 출력 정보를 출력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리얼타임성이 상실되어 버리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가 지연되는 것에 위화감을 품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리얼타임성을 유지하면서, 통신 단말기의 유저가 당해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와 상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 그들이 상이한 것을 인식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국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입력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했을 때에 당해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고,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기 위한 제1 출력 제어부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출력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단말기는,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에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2 에리어에 출력시키고,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를 제2 에리어에 출력시키기 위한 제2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통신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는 스텝과, 제어부가,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제어부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제어부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제어부가,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제어부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는 스텝과, 제어부가,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통신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부에,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는 스텝과,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는 스텝과,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리얼타임성을 유지하면서, 통신 단말기의 유저가 당해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와 상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출력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 그들이 상이한 것을 인식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개요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표시 상태의 추이를 나타낸 이미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의 개관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매칭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단말기의 주 기능 부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비교부에 의한 UI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비교부에 입력되는 버퍼링된 조작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절단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 전화(100)를 「통신 단말기」의 대표예로서 설명을 행한다. 단, 통신 단말기는, 퍼스널 컴퓨터나, 카 내비게이션 장치(Satellite navigation system)나,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은, 다른 정보 통신 기기이어도 좋다.
<네트워크 시스템(1)의 전체 구성>
우선, 네트워크 시스템(1)의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1)은, 휴대 전화(100A, 100B, 100C)와, 매칭 서버(제1 서버 장치)(400)와, 메일 서버(제2 서버 장치)(600)와, 인터넷 망(제1 네트워크)(500)과, 캐리어 망(제2 네트워크)(7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은, 차량(250)에 탑재되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300)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용이화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이,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와, 제3 휴대 전화(100C)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휴대 전화(100A, 100B, 100C) 각각에 공통된 구성이나 기능을 설명할 때에는, 그들을 휴대 전화(100)라고도 총칭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100A, 100B, 100C),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 퍼스널 컴퓨터(300) 각각에 공통된 구성이나 기능을 설명할 때에는, 그들을 통신 단말기라고도 총칭한다.
휴대 전화(100)는, 캐리어 망(7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는, 인터넷 망(5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300)는, LAN(Local Area Network)(350)이나 WAN(Wide Area Network)을 통하여 인터넷 망(5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매칭 서버(400)는, 인터넷 망(5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메일 서버(600)는, 인터넷 망(500) 및 캐리어 망(7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와, 제3 휴대 전화(100C)와,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퍼스널 컴퓨터(300)는, 캐리어 망(700)이나 메일 서버(600)나 인터넷 망(500)을 통하여 서로 접속 가능하며,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100)와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퍼스널 컴퓨터(300)에는, 자 단말기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메일 어드레스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등)가 할당된다. 즉, 휴대 전화(100)와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퍼스널 컴퓨터(300)는, 내부의 기록 매체에 다른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할 수 있어, 당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캐리어 망(700)이나 인터넷 망(500) 등을 통하여 당해 다른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와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퍼스널 컴퓨터(300)는, 할당되는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메일 서버(600)를 통하지 않고 다른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각 통신 단말기가 매칭 서버(400)에 액세스할 때에는, 즉 각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에 액세스했을 때에, 매칭 서버(400) 혹은 다른 도시하지 않은 서버 장치 등에 의해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한다. IP 어드레스의 할당 처리의 상세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 퍼스널 컴퓨터(300)는, 자신에게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함으로써, 직접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되는 휴대 전화(100), 카 내비게이션 장치(200), 퍼스널 컴퓨터(300)는, 소위 P2P(Pear to Pear)형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시스템(1)의 동작 개요>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의 동작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동작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 통신 단말기는, P2P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처음에 서로의 IP 어드레스를 교환(취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통신 단말기는, IP 어드레스를 취득한 후, P2P형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메시지나 첨부 파일 등을 다른 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 이하에서는, 통신 단말기 각각이, 매칭 서버(400)에 생성된 채팅 룸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그 후 서로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P2P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휴대 전화(100A)(도 2에 있어서 단말기 A)가, 매칭 서버(400)에 IP 등록(로그인)을 요구한다(스텝 S002). 제1 휴대 전화(100A)는, 동시에 IP 어드레스를 취득해도 좋고, 미리 다른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취득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휴대 전화(100A)는, 캐리어 망(700), 메일 서버(600), 인터넷 망(500)을 통하여 매칭 서버(400)에 제1 휴대 전화(100A)의 메일 어드레스와 IP 어드레스와 제2 휴대 전화(100B)의 메일 어드레스와 새로운 채팅 룸의 생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매칭 서버(400)는, 그 요구에 따라, 제1 휴대 전화(100A)의 메일 어드레스를 그 IP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매칭 서버(400)는, 제1 휴대 전화(100A)의 메일 어드레스와 제2 휴대 전화(100B)의 메일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룸명을 생성하거나, 혹은 메시지에 포함되는 룸명을 추출하여, 당해 룸명의 채팅 룸을 생성한다. 이때, 매칭 서버(400)는, 채팅 룸의 생성이 완료된 취지를 제1 휴대 전화(100A)에 통지해도 좋다. 매칭 서버(400)는, 룸명과 참가 중인 통신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제1 휴대 전화(100A)의 유저는, 제2 휴대 전화(100B)의 유저에게 새로운 채팅 룸을 생성한 것을 알리는, 즉 제2 휴대 전화(100B)의 유저를 채팅 룸에 초대한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전화(100A)는, 캐리어 망(700), 메일 서버(600), 인터넷 망(500)을 통하여 P2P 참가 요청 메일을 제2 휴대 전화(100B)에 송신한다.
제2 휴대 전화(100B)는, P2P 참가 요청 메일을 수신하면, 제1 휴대 전화(100A)의 메일 어드레스와 제2 휴대 전화(100B)의 메일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룸명을 생성하거나, 혹은 참가 요청 메일로부터 룸명을 취득하여, 매칭 서버(400)에 제2 휴대 전화(100B)의 메일 어드레스와 IP 어드레스와 그 룸명을 갖는 채팅 룸에 참가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008). 제2 휴대 전화(100B)는, 동시에 IP 어드레스를 취득해도 좋고, 먼저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나서 매칭 서버(400)에 액세스해도 좋다. 이때, 매칭 서버(400)는 채팅 룸을 삭제해도 좋다.
매칭 서버(400)는, 그 메시지를 접수하고, 제2 휴대 전화(100A)의 메일 어드레스를 IP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매칭 서버(400)는, 제1 휴대 전화(100A)에, 제2 휴대 전화(100B)가 채팅 룸에 참가한 취지와 제2 휴대 전화(100B)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스텝 S010). 동시에, 매칭 서버(400)는, 제2 휴대 전화(100B)에, 채팅 룸에의 참가를 접수한 취지와 제1 휴대 전화(100A)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제1 휴대 전화(100A)는, 제2 휴대 전화(100B)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휴대 전화(100B)에 P2P 접속 요구 메시지(개시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012). 제2 휴대 전화(100B)는,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휴대 전화(100A)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1 휴대 전화(100A)에 제1 접속 승낙 메시지(회답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014). 제1 휴대 전화(100A)는, 제2 휴대 전화(100B)로부터 제2 접속 승낙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휴대 전화(100B)에 접속 승낙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016).
이때, 제1 휴대 전화(100A)는, 접속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서 제1 접속 승낙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U1)을 계측함으로써, 제2 휴대 전화(100B)로부터 제1 휴대 전화(100A)까지의 메시지의 송신 소요 시간(t)을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제2 휴대 전화(100B)는, 제1 접속 승낙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서 제2 접속 승낙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U2)을 계측함으로써, 제1 휴대 전화(100A)로부터 제2 휴대 전화(100B)까지의 메시지의 송신 소요 시간(t)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는, 서로 상대를 인증한다. 인증이 완료되면,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는 P2P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S018).
그리고 제1 휴대 전화(100A)가, 제2 휴대 전화(100B)에 P2P 통신을 절단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면(스텝 S030), 제2 휴대 전화(100B)는, 제1 휴대 전화(100A)에 절단하는 요구를 접수한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032).
<P2P 통신의 동작 개요>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P2P 통신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개요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표시 상태의 추이를 나타낸 이미지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휴대 전화(100A)로부터 제2 휴대 전화(100B)까지 도형 정보를 송신하는데 필요로 하는 송신 소요 시간을 t=(U1/2)초로 한다.
우선,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 전화(100A)의 유저가 제1 휴대 전화(100A)에 도형(X)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1 휴대 전화(100A)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에 도형(X)을 표시시킴과 함께, 도형(X)이 입력된 취지의 정보(X)를 제2 휴대 전화(100B)에 송신한다. 이때, 제2 휴대 전화(100B)는 아직 정보(X)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는 도형(X)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 t초 후, 즉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X)를 송신하고 나서 t초 경과하면, 제2 휴대 전화(100B)는 정보(X)를 수신한다.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 및 제2 표시 영역(107B)에 도형(X)을 표시한다.
이때, 즉,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X)를 송신하고 나서 t초 지났을 때,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 전화(100A)의 유저가 제1 휴대 전화(100A)에 도형(Y)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1 휴대 전화(100A)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에 도형(Y)을 표시시킴과 함께, 도형(Y)이 입력된 취지의 정보(Y)를 제2 휴대 전화(100B)에 송신한다. 이때, 제2 휴대 전화(100B)는 아직 정보(Y)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휴대 전화(100B)는 도형(Y)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 직후, 즉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X)를 송신하고 나서 t+Δt초 지났을 때,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의 유저가 도형(Z)을 입력한다. 제2 휴대 전화(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에 도형(Z)을 표시함과 함께, 도형(Z)이 입력된 취지의 정보(Z)를 제1 휴대 전화(100A)에 송신한다. 이때, 제1 휴대 전화(100A)는 아직 정보(Z)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휴대 전화(100A)는 도형(Z)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X)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초 경과하면,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 전화(100A)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2 표시 영역에 도형(X)을 표시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T)은, t<T<2t를 만족한다. 송신 소요 시간(t)이 일정한 경우에는, T=2t-Δt(T≒2t)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송신 소요 시간(t)은 네트워크 상황이나 송신 데이터량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정 시간(T)은 1.5t<T<1.8t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Y)를 송신하고 나서 t초 지났을 때, 제2 휴대 전화(100B)는 정보(Y)를 수신한다.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 및 제2 표시 영역(107B)에 도형(Y)을 표시한다.
그 직후, 즉 제2 휴대 전화(100B)가 정보(Z)를 송신하고 나서 t초 지났을 때, 제1 휴대 전화(100A)는 정보(Z)를 수신한다.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 전화(100A)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1 표시 영역(107A) 및 제2 표시 영역(107B)에 도형(Z)을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제1 휴대 전화(100A)가 정보(Y)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초 경과하면,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 전화(100A)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2 표시 영역(107B)에 도형(Y)을 표시한다. 또한, 제2 휴대 전화(100B)가 정보(Z)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초 경과하면,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제2 표시 영역(107B)에 도형(Z)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도 3의 (E) 및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휴대 전화(100B)의 제1 표시 영역(107A)의 표시 내용과, 제1 휴대 전화(100A)의 제2 표시 영역(107B)의 표시 내용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제1 휴대 전화(100A)의 제1 표시 영역(107A)의 표시 내용과, 제2 휴대 전화(100B)의 제2 표시 영역(107B)의 표시 내용이 일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자 단말기에서 접수된 묘화 정보(조작 정보)를 송신 소요 시간(t)에 기초하여 결정된 소정 시간(T)만큼 지연시켜 표시 영역(107B) 혹은 표시 장치에 표시시킴으로써, 각각의 통신 단말기의 유저가 상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내용과 자 단말기의 표시 내용이 상이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기가 자 단말기에 접수된 묘화 정보를 다른 표시 영역(107A) 혹은 다른 표시 장치에 그대로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입력한 묘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통신 단말기의 유저에게, 상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내용과 자 단말기의 표시 내용이 상이한 경우에, 양자가 상이한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기와 같은 동작 개요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가, 상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묘화 정보를 수신한 시각과, 자 단말기에 의해 묘화 정보가 접수된 시각과, 소정 시간(T)에 기초하여, 상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내용과 자 단말기의 표시 내용이 상이할 가능성이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경고를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하거나 해도 좋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 전화(100)의 하드웨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의 개관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는, 외부의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디바이스(101)와,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는 기억부(103)와, 제어부(106)와, 메인 디스플레이(107)와, 서브 디스플레이(108)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09)와,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메인 디스플레이(107)는, 액정 패널이나 CRT로 구성되는 터치 패널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하측(이측)에 펜 타블렛(119)이 부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스타일러스 펜(120) 등을 사용함으로써, 펜 타블렛(119)을 통하여 도형 정보 등을 제어부(106)에 자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108)는, 액정 패널이나 CRT로 구성된다. 메인 디스플레이(107) 및 서브 디스플레이(108)는, 제어부(106)가 출력한 데이터(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이나 텍스트를 표시(출력)하는 것이며, 표시부(출력부)(111)를 구성한다.
조작부(110)는, 키 입력 조작 등에 의해 유저로부터 정보를 접수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110)는, 텐키나 결정키 등을 포함하고, 상대편 어드레스의 선택 명령이나 메일 본문의 입력 등을 접수한다.
제어부(10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실현되고, 휴대 전화(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110)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각종 명령을 접수하고, 통신 디바이스(101)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 디바이스(101)는, 제어부(106)로부터의 통신 데이터를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그 통신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하여 발신한다. 통신 디바이스(101)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통신 신호를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106)에 입력한다.
기억부(103)는, 작업용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묘화 정보 등을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된다.
<휴대 전화의 제어부(106)의 처리 개요>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A)에 있어서의 제어부(10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전체의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06)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사용하여, 인터넷 망(500)이나 캐리어 망(700)이나 매칭 서버(400)를 통하여 제2 휴대 전화(100B)와 매칭 처리(스텝 S100)를 행한다. 매칭 처리(스텝 S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제2 휴대 전화(100B)에 P2P 접속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어부(106)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제2 휴대 전화(100B)로부터 접속 승낙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어부(106)는, 계시부(105)를 사용하여, P2P 접속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서 접속 승낙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제2 시간(U1)을 계측한다. 제어부(106)는, 제2 시간(U1)에 기초하여, 송신 소요 시간(t) 및 소정 시간(T)을 산출한다(스텝 S200).
또한, 여기에서 산출한 송신 소요 시간(t)은, 후술하는 지연 처리부(106C)(결정부(106E))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억부(103) 내의 변수인 지연 시간(103B1)에 기억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메인 디스플레이(107) 및 서브 디스플레이(108)를 초기화한다(스텝 S300).
또한, 여기서, 후술하는 비교부(106J)에서 이용하는, 자 단말기 A의 표시 상태와 상대 단말기 B의 표시 상태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세트되는, 기억부(103)의 변수인 플래그(103B2)의 초기화(리셋)를 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UI 처리(스텝 S400)를 실행한다. UI 처리(스텝 S4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UI 처리(스텝 S400)가 종료되면, 제어부(106)는 절단 처리(스텝 S500)를 실행한다. 절단 처리(스텝 S5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지막으로, 절단 처리(스텝 S500)가 종료되면, 제어부(106)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와 서브 디스플레이(108)를 초기화하고, 원래의 표시 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S600).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매칭 처리>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매칭 처리(스텝 S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매칭 처리(스텝 S100)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1 휴대 전화(100A)는, 인터넷 망(500)이나 캐리어 망(700)을 통하여 매칭 서버(400)에 대기 룸 A의 개설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102). 매칭 서버(400)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룸 A를 개설한다. 매칭 서버(400)는, 룸 A에 대응시켜 제1 휴대 전화(100A)를 멤버 등록한다(스텝 S104).
제1 휴대 전화(100A)는, 제2 휴대 전화(100B)에 룸 A를 개설한 취지를 보고한다. 제2 휴대 전화(100B)는, 매칭 서버(400)로부터 개설되어 있는 룸의 룸명을 수신하여, 제2 휴대 전화(100B)의 유저에게 룸명의 일람을 표시한다. 제2 휴대 전화(100B)는, 유저로부터 룸명의 선택 명령을 접수한다(스텝 S106).
제2 휴대 전화(100B)는, 매칭 서버(400)에 룸 A에의 참가 요구를 행한다(스텝 S108). 매칭 서버(400)는, 룸명에 대응시켜 제2 휴대 전화(100B)를 멤버 등록한다(스텝 S110). 매칭 서버(400)는, 룸명의 정원과, 참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의 수를 비교하여, 참가 통신 단말기의 수가 정원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매칭 서버(400)는, 참가 통신 단말기의 수가 정원에 도달한 경우, 룸 A를 삭제한다(스텝 S112).
매칭 서버(400)는, 인터넷 망(500)이나 캐리어 망(700)을 통하여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에 룸 A의 멤버 리스트와 매칭이 성공한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14). 제1 휴대 전화(100A)와 제2 휴대 전화(100B)는, 멤버 리스트를 참조하여, 인터넷 망(500)과 캐리어 망(700)을 통하여 서로 P2P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S116).
<UI 처리의 제어 내용>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자 단말기 A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펜 궤적) 및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송신되는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펜 궤적)을, 메인 디스플레이 및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UI 처리(주 기능 부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I 처리의 소프트 구성 블록은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 송신 처리부(106G), 수신 처리부(106H), 지연 처리부(106C), 비교부(106J),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로 구성된다.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 송신 처리부(106G), 수신 처리부(106H), 지연 처리부(106C), 비교부(106J),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는, CPU(제어부(106)) 등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CPU가 갖는 각 기능은, CPU가 기억부(103)나 외부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2에 도시되는 각 하드웨어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 송신 처리부(106G), 수신 처리부(106H), 지연 처리부(106C), 비교부(106J),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은, 자필 채팅의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즉, 자필 채팅의 어플리케이션이,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 송신 처리부(106G), 수신 처리부(106H), 지연 처리부(106C), 비교부(106J),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의 기능을 실현해도 좋다. 혹은, 제어 프로그램이, 이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는 별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OS(Operating System)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자필 채팅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거나 혹은 독립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는, 타블렛(119)으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타블렛(119) 상의 임의의 1점을 나타내는 터치 좌표)의 입력을 받으면 바로 지연 처리부(106C), 송신 처리부(106G),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에 출력한다.
이어서, 송신 처리부(106G)는,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를,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상대 단말기 B에 송신한다.
이어서, 지연 처리부(106C)는,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의 출력을, 지연 시간(103B1)에 기억되어 있는 시간분을 지연시켜,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 및 비교부(106J)에 출력한다.
또한, 이 지연 처리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계시부(105)가 현재 시각을 계시(출력)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연 처리부(106C)는, 버퍼 저장부(106K), 결정부(106E), 버퍼 취출부(106L)의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버퍼 저장부(106K)에서는,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를 버퍼링(도시하지 않은 기억부(103) 내에 확보된 버퍼 에리어에 저장)함과 함께, 결정부(106E)에 대하여, 현재 시각(본 지연 처리부(106C)에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가 입력된 시각)에 지연 시간(103B1)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가산한 시각이 되었을 때, 그 취지를 버퍼 취출부(106L)에 통지하도록 지시한다.
결정부(106E)에서는, 버퍼 저장부(106K)의 지시에 기초하여, 계시부(105)에 의해 계시되는 현재 시각을 모니터하여, 지시된 시각(조작 정보가 입력된 시각+지연 시간(103B1)값의 시각)이 되었을 때, 그 취지를 버퍼 취출부(106L)에 통지한다.
버퍼 취출부(106L)에서는, 결정부(106E)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로부터 출력된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를 취출하여,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 및 비교부(106J)에 출력한다.
이어서, 수신 처리부(106H)에서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상대 단말기 B로부터 송신된,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바로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및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 비교부(106J)에 출력한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에서는, 자 단말기 A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는 이용자가 조작한 후 바로 입력되고,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수신 후 바로 입력된다.
한편,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 및 비교부(106J)에서는,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 정보에 대해서는,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와 마찬가지로,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수신 후 바로 입력되지만, 자 단말기 A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는, 이용자가 조작한 시점으로부터 지연 시간(103B1)에 기억되어 있는 시간 후에 입력된다.
이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및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에서는, 수신 처리부(106H),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 지연 처리부(106C)로부터 출력된, 자 단말기 A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 혹은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수신한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 정보(조작 정보는, 입력 좌표계에 의해 터치 좌표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를, 각각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메인 디스플레이(107),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108))의 표시 좌표계로 변환하여, 그 조작 정보(터치 좌표)를 플롯(점을 묘화) 처리한다.
또한, 정확하게는, 입력된 터치 좌표가 직전에(1개 전의) 입력된 터치 좌표에 대하여 크게 이격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타블렛 입력 처리부(106F)(지연 처리부(106C))로부터 입력된 조작 정보인지, 그렇지 않으면, 수신 처리부(106H)로부터 입력된 조작 정보인지를 구별하여, 입력된 터치 좌표와 직전에(1개 전의) 입력된 터치 좌표 사이를 보간(라인 묘화)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비교부(106J)는, 수신 처리부(106H), 지연 처리부(106C)로부터 출력된, 자 단말기 A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 정보, 혹은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수신한 상대 단말기 B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 정보를 모니터하여, 자 단말기 A의 표시 상태와 상대 단말기 B의 표시 상태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비교부에 의한 UI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비교부(106J)로서 기능하는 제어부(106)는, 플래그(103B2)의 값이 이미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1). 여기서, 플래그(103B2)의 값이 이미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6)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리셋 상태이면, 제어부(106)는 다음 스텝(S402)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최초로 입력된 조작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402), 가령, 최초로 입력된 조작 정보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402에 있어서 "예"인 경우), 비교 대상으로 하는 직전의 조작 정보가 없는 점에서, 후술하는 스텝 S407로 이행한다. 제어부(106)는, 최초로 입력된 조작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402에 있어서 "아니오"인 경우), 다음 스텝(S403)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직전에 입력된 조작 정보와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의 입력 시각이 동시각(시간차가 얼마 되지 않음)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403). 제어부(106)는, 동시각에서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스텝 S403에 있어서 "아니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407로 이행한다. 제어부(106)는, 동시각에서의 입력이라고 판단했을 때(스텝 S403에 있어서 "예"인 경우), 다음 스텝(S404)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직전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출력한 처리부와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를 출력한 처리부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의 판단, 즉 직전 및 금회 모두 지연 처리부(106C), 혹은 수신 처리부(106H)로부터 조작 정보가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404). 동일한 처리부로부터 조작 정보가 출력된 경우에는(스텝 S404에 있어서 "예"인 경우), 제어부(106)는 후술하는 스텝 S407로 이행한다. 다른 처리부로부터 조작 정보가 출력된 경우에는(스텝 S404에 있어서 "아니오"인 경우), 제어부(106)는, 다음 스텝(S405)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6)는, 직전에 입력된 조작 정보와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가 동일 개소(동일한 좌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근방에 위치하는 터치 좌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5). 조작 정보가 동일한 개소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405에 있어서 "아니오"인 경우), 제어부(106)는, 후술하는 스텝 S407로 이행한다. 조작 정보가 동일한 개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스텝 S405에 있어서 "예"인 경우), 제어부(106)는, 플래그(103B2)의 값을 세트함과 함께, 자 단말기 A의 표시 상태와 상대 단말기 B의 표시 상태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406).
또한, 제어부(106)는, 표시 화면의 부정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당해 통지를 행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을 기억할 때에 플래그(103B2)의 값을 체크함으로써, 세트 상태인 경우에 당해 통지를 행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06)는, 상기 판단 스텝 S402 내지 S405에서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를 출력한 처리부,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가 입력된 시각, 금회 입력된 조작 정보를, 다음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억부(103)에 기억한다(S407, S408).
상술한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106A),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106D) 및 비교부(106J)는, 2개의 처리부(예를 들어, 비교부(106J)는, 지연 처리부(106C)와 수신 처리부(106H))로부터의 조작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점에서, 어느 처리부로부터의 입력인지의 판단이 필요해진다.
또한, 2개의 조작 정보의 입력이 동일한 시각에 발생(정확하게는, 비교부(106J)이면, 도 9에 도시하는 S401 내지 S406의 처리 중에 다음 조작 정보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정보는 각 처리부에 출력되기 전에, 출력측의 각 처리부에서 버퍼링되고, 입력측의 각 처리부에서 그 조작 정보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파기된다.
도 10에는 비교부에 입력되는 버퍼링된 조작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여기서, 조작 정보 ID는, 조작 정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술한 스텝 S407, S408의 처리 후, 그 조작 정보는 삭제되고, 다른 조작 정보의 조작 정보 ID는 디크리먼트된다.
또한, 조작 내용은, 묘화(펜)의 색이나 굵기 등을 나타내는 펜 종류의 정보이며, 조작 좌표는, 조작 좌표(터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접수 단말기는, 자 단말기의 타블렛(119)에 대한 조작인지, 상대 단말기의 타블렛에 대한 조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즉 비교부(106J)에서는, 「자 단말기」이면, 지연 처리부(106C)로부터의 출력을 의미하고, 「타 단말기」이면, 수신 처리부(106H)로부터의 출력인 것을 의미한다.
<제1 휴대 전화(100A)에 있어서의 절단 처리>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휴대 전화(100A)에 있어서의 절단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100)에 있어서의 절단 처리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6)는, 입력부(110A)의 종료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2). 제어부(106)는, 종료 버튼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스텝 S502에서 "아니오"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제2 휴대 전화(100B)로부터 절단 통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4). 제어부(106)는, 절단 통지를 수신한 경우(스텝 S504에서 "예"인 경우), 절단을 이해한 취지의 메시지를 제2 휴대 전화(100B)에 송신하고(스텝 S506), 절단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106)는, 절단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504에서 "아니오"인 경우), 스텝 S5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106)는, 종료 버튼이 조작된 경우(스텝 S502에서 "아니오"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제2 휴대 전화(100B)에 P2P 통신을 절단하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508). 제어부(106)는, 통신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절단을 이해한 취지의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10). 제어부(106)는, 메시지를 수신하면(스텝 S510에서 "예"인 경우), 절단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106)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스텝 S510에서 "아니오"인 경우), 스텝 S510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시스템 혹은 장치에 프로그램을 공급함으로써 달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효과를 누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IC 메모리 카드), ROM(마스크 ROM, 플래시 EEPROM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네트워크 시스템
100, 100A, 100B, 100C : 휴대 전화
101 : 통신 디바이스
103 : 기억부
106 : 제어부(CPU)
106A : 메인 디스플레이 처리부
106C : 지연 처리부
106D : 서브 디스플레이 처리부
106E : 결정부
106F : 타블렛 입력 처리부
106G : 송신 처리부
106H : 수신 처리부
106J : 비교부
106K : 버퍼 저장부
106L : 버퍼 취출부
107 : 메인 디스플레이
107A : 제1 표시 영역
107B : 제2 표시 영역
108 : 서브 디스플레이
109 : 스피커
110 : 조작부
110A : 입력부
119 : 펜 타블렛
120 : 스타일러스 펜
200 : 카 내비게이션 장치
300 : 퍼스널 컴퓨터
400 : 매칭 서버
500 : 인터넷 망
600 : 메일 서버
700 : 캐리어 망

Claims (4)

  1.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100)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111)와,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입력부(110A)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101)와,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했을 때에 당해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107A)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기 위한 제1 출력 제어부(106A)와,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부(106J)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에리어(107B)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를 상기 제2 에리어에 출력시키기 위한 제2 출력 제어부(106D)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3.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통신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통신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1 에리어에 출력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접수한 시각의 소정의 시간 후의 시각과,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시각의 비교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는 제3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
KR1020117003162A 2008-07-11 2009-07-10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10040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81452A JP5035852B2 (ja) 2008-07-11 2008-07-11 通信端末、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8-181452 2008-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904A true KR20110040904A (ko) 2011-04-20

Family

ID=415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162A KR20110040904A (ko) 2008-07-11 2009-07-10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15701A1 (ko)
EP (1) EP2306303A4 (ko)
JP (1) JP5035852B2 (ko)
KR (1) KR20110040904A (ko)
CN (1) CN102089740A (ko)
WO (1) WO2010005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0879B (zh) 2010-09-29 2016-05-04 泰尔茂株式会社 医疗用器械
EP2741028B1 (en) 2011-08-04 2020-03-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device
KR101909031B1 (ko) * 2012-07-26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765592B (zh) * 2015-06-12 2020-05-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及其装置以及终端设备
CN105898508A (zh) * 2016-06-01 2016-08-24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同步共享播放方法及装置
US10976983B2 (en) * 2019-03-26 2021-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collaboration across multiple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053A (ja) 1990-03-30 1991-12-13 Shimadzu Corp 描画通信端末機
JP3439804B2 (ja) * 1993-01-28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ライティング端末装置
JPH08298656A (ja) * 1995-02-28 1996-11-12 Ricoh Co Ltd テレ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JP3365133B2 (ja) * 1995-03-20 2003-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テレライティング装置
JPH08292919A (ja) * 1995-04-21 1996-11-05 Fuji Xerox Co Ltd テレライティング装置
US5940082A (en) * 1997-02-14 1999-08-17 Brinegar; Davi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llaborative drawing
FR2770952B1 (fr) * 1997-11-12 2000-01-21 Adl Systeme Sa Dispositif de tele-ecriture
JPH11347254A (ja) 1998-06-12 1999-12-21 Sega Enterp Ltd 通信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おけるゲーム実行方法
US6889062B2 (en) * 2001-10-04 2005-05-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protocol for providing pict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messages
JP3726892B2 (ja) * 2001-10-15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4265063A (ja) * 2003-02-28 2004-09-24 Canon Inc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SG146665A1 (en) * 2003-09-19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roviding time data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20060010125A1 (en) * 2004-05-21 2006-01-12 Bea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shared workspaces
JP2006238251A (ja) * 2005-02-28 2006-09-07 Try Group:Kk 会議システム
US7747953B2 (en) * 2006-06-15 2010-06-29 Citrix Onlin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ing feedback from a scalable number of participants of an on-line presentation
US8125510B2 (en) * 2007-01-30 2012-02-28 Ankur Agarwal Remote workspace sharing
US20090249226A1 (en) * 2008-03-28 2009-10-01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tool use in virtual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5701A1 (en) 2011-05-19
CN102089740A (zh) 2011-06-08
WO2010005073A1 (ja) 2010-01-14
EP2306303A4 (en) 2011-07-06
JP2010021851A (ja) 2010-01-28
EP2306303A1 (en) 2011-04-06
JP5035852B2 (ja)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50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in real-time
EP2288131A1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US8331853B2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PNS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JP5658547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
KR101595762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538073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10040904A (ko)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4018905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WO2021185375A1 (zh) 一种分享数据的方法及设备
WO2019213882A1 (zh) 互联终端出借本地处理能力
WO2012126381A1 (zh) 一种用于获取与现实场景相关的共享对象的设备和方法
CN110102063B (zh) 标识绑定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JP2013214257A (ja) 端末連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130016058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display program
EP2061214B1 (en) Virtual terminal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35457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CN111130985B (zh) 关联关系建立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175260B (zh) 录音角色的区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577521A (zh) 好友分组方法、装置及系统
WO2022227204A1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165019B2 (en) Shared experience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CN111245629B (zh) 会议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52397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22021232A (ja) 映像共有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タイトル画面表示方法、プログラム
JP6509917B2 (ja) 端末間通信システム、端末間通信方法、端末間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