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871A -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871A
KR20110039871A KR1020090096902A KR20090096902A KR20110039871A KR 20110039871 A KR20110039871 A KR 20110039871A KR 1020090096902 A KR1020090096902 A KR 1020090096902A KR 20090096902 A KR20090096902 A KR 20090096902A KR 20110039871 A KR20110039871 A KR 2011003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er
print medium
convey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138B1 (ko
Inventor
원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38B1/ko
Priority to US12/923,440 priority patent/US9284157B2/en
Publication of KR2011003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5/00Recirculating articles, i.e. feeding each article to, and delivering it from, the same machine work-station more than o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양면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인쇄매체 상의 상기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경로를 따라 상기 현상유닛을 향해 반송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배출롤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과 상기 배출롤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중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UPLEX PRINTING}
본 발명은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용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환경보호 및 물자 절약을 위하여 양면 인쇄 장치가 기본적으로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사용자 및 세트 구매자들은 인쇄기기가 작으면서도 기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쇄 성능은 극대화시킨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성능저하없이 화상형성장치 내의 공간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종래의 양면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단면 인쇄 시 용지는 급지부에서 이송되어 현상유닛으로 이송되어 그 상면에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 그 후 정착기로 이송된 용지는 정착의 과정을 거쳐 이미지가 용지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구에 인접한 배지롤러를 지나 배출되게 되어, 사용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양면 인쇄시, 앞면 인쇄가 완료된 용지는 배지부로 용 지 일부가 배지된 후 배지롤러가 역전 회전함으로써 용지가 화상형성장치 내로 재진입하게 된다. 재진입된 용지는 양면인쇄 경로로 진입하여 다시 급지부측으로 안내되어 현상롤러 측으로 재진입한다. 이때 반송된 용지의 배면에 현상제가 도포되어 진행함으로써 양면인쇄가 수행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용지에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 한 장의 용지의 양면인쇄 후 다음 장의 용지를 급송하여 다시 양면화상을 형성하고, 순서대로 이를 반복하여 여러 장의 양면인쇄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보다 양면인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화상형성장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 한장 앞면의 인쇄가 끝나고 배면 인쇄 전에 다음 장의 앞면을 인쇄하여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용지가 지나가는 반송로를 충분히 길게 하여, 앞장의 용지를 단면 인쇄가 끝난 후 배면 인쇄를 위해 양면인쇄경로로 이송하면서 다음 장을 급지부에서 급송하여 현상유닛 및 정착기를 통과하는 방식을 채용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인쇄효율은 높아질 수 있으나 앞장 및 다음장의 용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반송로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또한, 앞장 및 다음장 용지가 경로 내에 존재할 경우, 용지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인쇄시 인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 반송경로가 작아지더라도 잼발생없이 양면인쇄 작업을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인쇄매체 상의 상기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경로를 따라 상기 현상유닛을 향해 반송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배출롤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과 상기 배출롤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중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이송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반송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레버와; 상기 지지레버를 구 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하도록 회동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인쇄경로로 반송되는 앞장 인쇄매체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다음 장 인쇄매체가 상기 중간이송유닛이 배치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송롤러는 구동롤러이고, 상기 제2반송롤러는 상기 제1반송롤러에 의해 종동회전하는 종동롤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송롤러는 상기 배출롤러유닛의 구동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용지 반송경로가 작아지더라도 잼발생없이 양면인쇄 작업을 할 수 있다.
둘째, 제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한 현상카트리지(120)와; 상기 현상카트리지(120)의 상담지체(123)에 대향하는 전사롤러(130)와; 정착유닛(140)과; 배출롤러유닛(150)과; 상기 정착유닛(140) 및 상기 배출롤러유닛(150) 사이에 배치된 중간이송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20)는 상담지체(123)와; 상기 상담지체(123)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1)와; 미도시된 노광유닛에 의해 그 표면이 노광된 상기 상담지체(123)를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25)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20) 내부에는 소정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현상제 만을 저장하는 별도의 현상제 탱크로부터 상기 현상카트리지(120)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상담지체(123) 상의 가시화상은 상기 전사롤러(130)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123)와 상기 전사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에 상기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현상유닛(미도시)은 상기 현상카트리지(120) 및 상기 전사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매체 공급유닛(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110)은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110)은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111); 상기 녹업플레이트(111) 상의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여 레지스트레이션롤러(103)로 이송하는 픽업롤러(113); 상기 녹업플레이트(111)의 전단부를 상기 픽업롤러(113)를 향해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레지스트레션롤러(103)는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110) 또는 양면인쇄경로에서 이송된 인쇄매체의 전단을 정렬시키고,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23)와 상기 전사롤러(130) 사이로 상기 정렬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한다. 상기 소정타이밍은 미도시된 노광유닛의 노광타이밍 및 상기 상담지체(123)의 회전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가시화상은 상기 정착유닛(140)이 가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의 일면(한쪽 면)이 인쇄된다.
일면 인쇄모드 인 경우, 상기 일면인쇄된 인쇄매체는 상기 중간이송유닛(160) 및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을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롤러유닛(150)는 한 쌍의 롤러(151, 153)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151, 153) 중 어느 하나가 구동롤러(151)이고 다른 하나는 종동롤러(153)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은 상기 인쇄매체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은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는 반드시 둘 다 그 외면이 탄성층으로 둘러싸인 대체로 원형의 롤러 일 필요는 없다. 가령, 제1반송롤러(161)만 롤러이고 상기 제2반송롤러(163)는 상기 제1반송롤러(161)에 맞물리는 고정된 플레이트(미도시)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매체를 파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반송롤러(161)는 구동롤러이고, 상기 제2반송롤러(163)은 상기 제1반송롤러(161)에 접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1 63)이 맞물림으로써 종동 회전하는 종동롤러 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롤러인 상기 제1반송롤러(161)는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의 구동롤러(151)과 그 회전방향이 동일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롤러(151)와 상기 제1반송롤러(161)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기어 결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가 서로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유닛(165, 1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165, 167)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65, 167)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지지레버(165)와; 상기 지지레버(165)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167)를 포함할 수 잇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167) 대신에 캠 등과 같은 다른 구동메카니즘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레버(165)는 힌지축(165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지지레버(165)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67)의 플런저(167a)는 상기 지지레버(165)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플런저(167a)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레버(165)도 상기 힌지축(165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레버(165)에 의해 축지지되는 상기 제2반송롤러(163)이 상기 제1반송롤러(161)에 대해 접근 및 이격 회동 가능하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솔레노이드(167)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180)는 상술하거나 후술할 인쇄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180)은 양면인쇄 시, 앞장 인쇄매체와 그 다음장 인쇄매체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 정확하게는 상기 솔레노이드(167)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앞장 인쇄매체와 그 다음 장 인쇄매체를 동시에 양면인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11) 상의 앞장 인쇄매체(P)가 상기 픽업롤러(113)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상담지체(123) 및 상기 전사롤러(130) 사이 및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하면서 일면이 인쇄되기 시작한다.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P)의 전단부(Pa)는 상기 중간이송유닛(160) 및 상기 배출롤러유닛(150)를 향해 이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이송유닛(160) 및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은 정회전하여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상기 후단부(Pb)가 일면인쇄경로(A)와 양면인쇄경로(B)의 합류지점(C)까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앞장 인쇄매체(P)를 이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상기 후단부(Pb)가 상기 합류지점(C)까지 빠져 나온 후,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은 역회전하여 상기 앞장 인쇄매체(P)를 상기 양면인쇄경로(B)를 향해 이송한다.
한편,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상기 후단부(Pb)가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할 때, 그 다음 장 인쇄매체(S)가 상기 픽업롤러(113)에 의해 픽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앞장 인쇄매체(P)가 픽업되는 시점과 상기 그 다음장 인쇄매체(S)가 픽업되는 시점간의 시간간격은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이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앞장 인쇄매체(P)는 양면인쇄경로(B)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그 다음장 인쇄매체(S) 는 상기 일면인쇄경로(A)를 따라 이송되도록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양면인쇄경로(B) 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후단부(Pb)가 상기 양면인쇄경로(B) 상에 배치된 제1듀플렉스롤러(173)에 파지될 때 까지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은 역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의 전단부(Sa)가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한 경우,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일영역과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의 전단부가 상기 중간이송유닛(160) 위치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도 1의 180)는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6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 사이에는 상기 앞장 인쇄매체(P) 및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을 만한 통로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P, S)사이의 간섭에 의해 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앞장 인쇄매체(P)와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간의 중첩이 끝난 경우, 즉,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전단부(Pa)가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의 위치를 빠져 나간 다음에는 상기 제2반송롤러(163)는 상기 제1반송롤러(161)에 접근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의 위치를 빠져나가서 상기 양면인쇄경로(B)로 이송 중인 상기 앞장 인쇄매체(P)는 제1듀플렉스롤러(173) 및 제2듀플렉스롤러(175)를 경유하여 다시 상기 상담지체(123) 및 상기 전사롤러(130)사이로 이송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는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과, 배출롤러유닛(150)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에 의해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의 후단부(Sb)가 상기 합류지점(C)을 빠져나올 때까지 이송된다.
그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는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이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양면인쇄경로(B)를 향해 반송된다. 여기서,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의 후단부(Sb)가 상기 제1듀플렉스롤러(173)에 파지되기 전 까지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은 역회전하여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를 반송시킨다.
그와 동시에, 상기 앞장 인쇄매체(P)는 상기 상담지체(123) 및 상기 전사롤러(130) 사이,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하면서 그 배면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도 1의 180)는 배면 인쇄되면서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을 향해 이송되는 상기 앞장 인쇄매체(P)와 상기 양면인쇄경로(B)를 향해 반송되는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가 중첩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6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앞장 인쇄매체(P)와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간의 간섭으로 인해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의 상기 전단부(Sa)가 상기 합류지점(C)를 지나서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가 양면인쇄경로(B)로 완전히 진입한 경우, 상기 제어부(도 1의 180)는 상기 제2반송롤러(163)가 상기 제1반송롤러(161)에 접근하도록 상 기 솔레노이드(167)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161, 163)의 접근 및 이격시점은,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의 위치에서 상기 두 인쇄매체(P, S)가 서로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을 동시에 통과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을 통과한 상기 앞장 인쇄매체(P)의 후단부는 정회전하는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에 의해 배출방향을 따라 기외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양면인쇄된 상기 앞장 인쇄매체(P)가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면인쇄경로(B)를 따라 이송 중인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는 다시 상기 상담지체(123) 및 상기 전사롤러(130), 상기 정착유닛(1400를 통과하면서 그 배면이 인쇄된다.
상기 배면이 인쇄되어 양면인쇄 완료된 상기 다음장 인쇄매체(S)도 상기 중간이송유닛(160) 및 상기 배출롤러유닛(150)에 의해 상기 배출방향을 따라 기외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향상된 인쇄속도로 여러장의 인쇄매체를 양면인쇄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인쇄 시 여러장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 내에서 이송되더라도 중첩되는 지점의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도록 마련하고, 인쇄매체 중첩 시에는 상기 중간이송유닛(160)을 이격시킴으로써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앞장 인쇄매체 및 다음장 인쇄매체가 동시에 양면인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인쇄매체 공급유닛
120: 현상카트리지 130: 전사롤러
140: 정착유닛 150: 배출롤러유닛
160: 중간이송유닛 161: 제1반송롤러
163: 제2반송롤러 165: 지지레버
167; 솔레노이드 180: 제어유닛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인쇄매체 상의 상기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경로를 따라 상기 현상유닛을 향해 반송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배출롤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과 상기 배출롤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중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이송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반송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레버와;
    상기 지지레버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하도록 회동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접근 및 이격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경로로 반송되는 앞장 인쇄매체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다음 장 인쇄매체가 상기 중간이송유닛이 배치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반송롤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롤러는 구동롤러이고, 상기 제2반송롤러는 상기 제1반송롤러에 의해 종동회전하는 종동롤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롤러는 상기 배출롤러유닛의 구동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6902A 2009-10-12 2009-10-12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164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02A KR101643138B1 (ko) 2009-10-12 2009-10-12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12/923,440 US9284157B2 (en) 2009-10-12 2010-09-21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uplex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02A KR101643138B1 (ko) 2009-10-12 2009-10-12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71A true KR20110039871A (ko) 2011-04-20
KR101643138B1 KR101643138B1 (ko) 2016-08-10

Family

ID=4385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902A KR101643138B1 (ko) 2009-10-12 2009-10-12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4157B2 (ko)
KR (1) KR101643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760A1 (en) * 2012-06-28 2014-01-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handl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8813B2 (ja) * 2014-03-05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59551B2 (ja) * 2015-10-28 2020-09-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47075B2 (ja) * 2016-06-08 2020-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579001B2 (en) * 2016-12-05 2020-03-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form images on both sides of sheet
JP6587665B2 (ja) * 2016-12-05 2019-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93878A (ja) * 2018-12-11 2020-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20046876A (ko) * 2020-10-08 2022-04-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심플렉스 경로와 듀플렉스 경로에서 인쇄 매체의 이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793A (en) * 1993-10-21 1996-07-02 Fuji Xerox Co., Ltd. Paper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less jammed pap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29252A (ja) * 1998-07-14 2000-01-28 Sharp Corp 原稿搬送装置
US6571074B2 (en) * 2001-09-13 2003-05-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110060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역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124B2 (ja) * 1991-08-08 2001-08-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449160A (en) * 1994-07-29 1995-09-12 Xerox Corporation Gateless rocker inverter
US5974298A (en) * 1998-08-28 1999-10-26 Tektronix, Inc. Duplex printing media hand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793A (en) * 1993-10-21 1996-07-02 Fuji Xerox Co., Ltd. Paper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less jammed pap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29252A (ja) * 1998-07-14 2000-01-28 Sharp Corp 原稿搬送装置
US6571074B2 (en) * 2001-09-13 2003-05-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110060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역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760A1 (en) * 2012-06-28 2014-01-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hand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84157B2 (en) 2016-03-15
US20110085838A1 (en) 2011-04-14
KR101643138B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9871A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8870182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42994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576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er carrier that separates from a photosensitive member during sheet re-conveyance
CN1700107A (zh) 用于成像装置的反向供纸装置
JP442183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548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66936A (ja) 画像処理装置
KR10146053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26896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624620A (ja) 搬送路切換装置
JP200713143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バック搬送機構
JP2013107760A (ja) 見当装置および電子写真印刷装置
KR10153220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7128B1 (ko) 양면 인쇄 화상형성장치
JP2002096957A (ja) 画像形成装置
JP6117019B2 (ja) 電子写真方式表裏印刷枚葉機
JP2001063892A (ja) 両面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振り分け装置
JP419354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装着可能な反転搬送ユニット
US10040658B2 (en) Printing apparatus
JP5752469B2 (ja) 両面印刷装置
JP5460570B2 (ja) 画像形成装置
JP5698061B2 (ja) 両面印刷装置
JP4007946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1421063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