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880A -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 - Google Patents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880A
KR20110036880A KR1020107027379A KR20107027379A KR20110036880A KR 20110036880 A KR20110036880 A KR 20110036880A KR 1020107027379 A KR1020107027379 A KR 1020107027379A KR 20107027379 A KR20107027379 A KR 20107027379A KR 20110036880 A KR20110036880 A KR 2011003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elf
wall
nonwoven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108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해리스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8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다란 부재를 인도하고 보호하기 위한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는,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을 가진 외측 표면을 가지고 있는 부직포로 된 기다란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감겨서 튜브형 캐버티를 형성한다. 상기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면 기다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상기 튜브형 캐버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서로 멀어지게 펼쳐질 수 있고,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양 측면은 자체-감김 형태로 복귀된다. 또한, 외측 반사 레이어가 자체-감김성 벽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버티 내의 기다란 부재에 대해 향상된 열적 보호(thermal protection)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본 발명은 대체로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防熱)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항공기 또는 우주선과 같은 운송수단에서 슬리브 내에 있는 와이어 및 와이어 장비는 사용하는 동안 비교적 고온에 노출되는 구역을 통과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와이어에 대해 열적인 손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고온에 견디는 포일 테이프로 와이어 및 와이어 장비를 나선식으로 둘러싸는 것이 통상적이다. 유감스럽게도,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강도높은 노동을 요하고, 결과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 부가적으로, 테이프는 닳아 해지기 때문에 특히 시간이 경과하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식은 외관이 보기 흉하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와이어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테이프는, 테이프로 감겨진 와이어에 용이하게 접근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 외에, 와이어에 대해 열적인 손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직조된(woven) 섬유 슬리브, 편조된(braided) 섬유 슬리브 또는 뜨개질한(knitted) 섬유 슬리브의 형태로 와이어 둘레에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슬리브는 선택된 모노필라멘트 얀(monofilament yarn) 및 멀티필라멘트 얀(multifilament yarn)과 같은 내열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슬리브는 와이어 둘레를 둘러싸서 고정되거나, 자체-감김성 슬리브 구성으로 사용된다. 또한, 부직포 레이어 및 외측 반사 레이어를 가지고 있으며, 자체 감김성(self-wrappable)은 가지고 있지 않은 부직포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 부직포 슬리브는 부차적인 고정 장치에 의해 와이어 둘레를 둘러싸서 고정되거나, 튜브형의 비-감김성(non-wrappable) 슬리브로 제공된다. 슬리브가 와이어를 둘러싸서 고정되면, 파스너 및 이 파스너를 슬리브에 고정시키는데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된다. 슬리브가 튜브형의 비-감김성이면, 설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슬리브를 와이어 둘레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작업 및/또는 프로세스가 수반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리브들은 사용시에 열에 대한 노출로부터 와이어를 보호하는데는 대체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기 슬리브들은, 파스너를 슬리브에 부착시키고 슬리브를 와이어 둘레에 고정시키는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상기 슬리브들이 직조된(woven) 슬리브, 뜨개질한(knitted) 슬리브 또는 편조된(braided) 슬리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제작하는데 비교적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거나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기다란 부재를 외부 열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고 인도하기 위한 자체-감김성 부직포 방열 슬리브를 제공한다. 이 슬리브는, 기다란 부재가 수용되는 대체로 튜브형 캐버티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감기는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을 가진 기다란 부직포 기층(substrate)을 가지고 있다. 최외측 반사 레이어가 상기 부직포 기층의 외측 표면 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 기층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면 기다란 부재가 상기 캐버티 속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멀어지게 확장될 수 있다. 기다란 부재가 상기 캐버티 내에 배치되면,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없애고, 그 결과 상기 부직포 기층(벽)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이 자체-감김식 튜브 형태로 복귀된다. 최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부직포 기층에 의해 가압되어 와이어를 상기 캐버티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리브의 기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재료는 저융점(low melt) 섬유 또는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와 혼합된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성분 섬유 또는 저융점 섬유는, 열처리를 하면, 열고정(heat set)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기층은 자체 감김 기억 상태(self-curled memory position)로 힘을 받는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는, 원하는 대로, 원하는 밀도 및 두께를 상기 기층에 제공하도록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부가적인 방열성(thermal protection) 및 강성(rigidity)을 슬리브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기층은, 적절한 두께 및 밀도를 가진, 열 장벽(thermal barrier)으로 작용하는 기계적으로 짜여진, 부직포로 된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 및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처리되어 튜브 형상으로 자체적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포 기층의 부직포로 된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 및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의 타입, 양, 사이즈 및 비율은 상기 슬리브에 원하는 강도, 열고정 컬(heat set curl)의 스프링백 바이어스(springback bias), 경성 또는 연성(softness), 내열성, 그리고 기층 밀도 및 두께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최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기층의 외측 표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가지고 있는 금속화 필름(metalized film) 또는 금속 포일(foil) 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최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기층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기층 둘레로 완전히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동안 슬리브를 폐쇄된 형태로 유지하면서 둘러싸인 와이어에 대해 완전한 원주방향의 열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리브는 사용하는 동안 둘러싸인 와이어에 대해 완전한 원주방향의 열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또한 슬리브를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기층을 연속적인 반사 포일 레이어로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서 뻗어 있는 이음매 위에 부착된 포일 테이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거나 크게 줄일 수 있다.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최적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하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기다란 부재를 수용하고 보호하는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의 확대 단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의 확대 단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의 확대 단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의 확대 단부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의 확대 단부도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은 이하에서는 슬리브(10)라고 칭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를 나타내고 있다. 슬리브(10)는 가공된(engineered) 부직포 재료로 제작된, 이하에서는 벽(12)이라고 칭하는, 내측 부직포 기층 레이어 및 벽(12)의 외측 표면(15)(도 2) 위에 부착된 최외측 반사 레이어(14)를 가지고 있다. 벽(12)은 자체-감김성 튜브 형상으로 열고정(heat-set)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자체적으로 감기는 구성의 폐쇄된 튜브형 내측 캐버티(16)를 제공한다. 캐버티(16)는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의 축(18)을 따라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와이어(19) 또는 와이어 장비와 같은 기다란 부재가 용이하게 캐버티(16) 속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역으로, 수리를 하는 도중과 같은 경우, 캐버티(16)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벽(12)은 길이, 직경 및 벽 두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고, 부직포 벽(12)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성성분의 비율에 따라, 원하는 밀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 레이어(14)는, 예를 들어, l/3mil 포일-적층 접착제-l/2mil 금속증착 PET 필름과 같은, 필름/포일 라미네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일은 사용시에 반사성(reflectivity)을 제공하고 PET 필름은 내구성(durability)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단일 금속 포일 레이어를 포함하는, 다른 반사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반사 레이어(14)는, 예를 들어, 열접합제(heatseal) 또는 도 2에서 부재번호 17로 표시된, 중간 압력 감지 접착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벽(12)에 부착된 수 있다. 반사 레이어(14)는 와이어(19)에 대해 향상된 열적인 보호를 제공하며, 사용시에 슬리브(10)를 와이어(19) 둘레로 감긴 튜브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슬리브(10)는 임의의 원하는 길이 및 다양한 최종 벽 두께(t)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벽(12)을 형성하는 부직포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부재번호 23으로 표시된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와 혼합된 부재번호 21로 표시된 저융점 섬유(단일의 균질한 재료) 또는 이성분 섬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벽(12)을 형성하는 부직포 재료는 전적으로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21)로 제작될 수 있다. 저융점(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23)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21)는, 열고정 프로세스로 열처리하면, 열고정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벽(12)이 자체-감김식 기억 튜브 형상(self-curled memory tubular shape)으로 되는 힘을 받는다. 이성분 섬유(21)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와 같은, 일반적인 열가소성 재료의 코어부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low melt polyester)와 같은 외피부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23)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임의의 열가소성 섬유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벽(12)에 바람직한 밀도 및 두께(t)를 부여하도록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슬리브(10)에 부가적인 열적인 보호 및 강성을 제공하며, 열고정가능한(heat-settable) 섬유(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따라서, 기층(12)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처에 따라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23)와 혼합된 적절한 두께 및 밀도를 가진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21)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처음에 사용하기 전에, 튜브 형상으로 자체적으로 감기도록 처리되어 있다. 부직포 재료의 구조는, 기계적으로 섬유를 엮거나(예를 들면, 니들펀칭(needlepunching)하거나), 화학적으로 섬유를 서로 접합하거나(예를 들면, 접착제로 섬유를 서로 접합하거나), 또는 열적으로 섬유를 서로 접합하는(예를 들면, 가열 및 냉각을 통하여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녹이는) 임의의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부직포 기층(12)의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21) 및 부직포로 된 일반적인 열가소성 섬유(23)의 타입, 양, 사이즈 및 비율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슬리브(10)에 원하는 강성, 열고정 감김성(heat set curl)의 스프링백 바이어스(springback bias), 경성(또는 연성), 내열성 및 기층 밀도 및 대체적인 두께(t)를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처에 따라서, 슬리브(10)는, 캐버티(16)에 와이어의 소정의 측방향 단면적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부피를 제공하도록 적절한 내경의 내측 표면(25)을 제공하면서 비교적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사용처가 보다 가혹한 환경인 경우, 슬리브는 극히 높은 열 및/또는 파편(debris)에 노출되므로, 벽(12)의 두께(t)가 증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벽 두께(t)를 증가시키면 대체로 슬리브(10)에 보다 큰 강성을 부여하게 되므로, 슬리브(10)에 증가된 갯수 및 직경의 와이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제공하면서 보다 큰 캐버티(16)가 만들어질 수 있다.
벽(12)은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의 축(18)을 따라서 뻗어 있으며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의 축(18)과 대체로 평행한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은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단부(24, 26)에서 종결된다. 벽(12)이 튜브 형상으로 자체적으로 감긴 상태에 있으면, 대체로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고,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은 캐버티(16)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적어도 약간 서로 겹쳐질 수 있으므로, 캐버티(16) 내에 수용된 와이어(19)에 대해 강화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버티(16)를 개방하고 노출시키도록 용이하게 서로 멀어지게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이 겹쳐져 있는 동안 와이어(19)는 용이하게 캐버티(16) 속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수리하는 동안 캐버티(1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외측으로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은 자동적으로 원래의 서로 겹치는 자체-감김 상태로 복귀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사 레이어(14)는 벽(1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을 넘어서지 않고 벽(12)의 전체 폭을 실질적으로 덮기 위해 벽(12)과 정렬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벽(12)의 외주부는 반사 레이어(14)에 의해 덮히거나 실질적으로 덮힐 수 있다. 또한, 반사 레이어(14)는 벽(1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벽(12)의 전체 외측 표면(15)을 덮거나 실질적으로 덮을 수 있으므로, 벽(12)의 외측 표면(15)에서 외부 환경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전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게 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2)에 의해 제공된 열적인 보호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포일 테이프(28)의 반사 레이어와 같은 보충적인 폐쇄 부재 또는 메카니즘이, 벽(12)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 사이에서 축(18)을 따라서 뻗어 있으며 축(18)과 평행한 이음매(29)를 가로질러서 부착될 수 있다. 포일 테이프(28)는 아래에 있는 벽(12)과 와이어(19)가 반사 레이어(14) 및 반사 포일 테이프(28)에 의해 제공된 반사 표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원주방향으로 밀봉되게 한다. 부가적으로, 포일 테이프(28)는 인접해 있는 벽(12)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슬리브(10)를 사용시에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작용하고, 그 결과,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0, 22)이 예기치 않게 원주방향으로 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벽(12)에 있는 섬유(21)의 자체 감김성을 잃어버리게 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열을 가지고 있는 사용처에서도, 포일 테이프(28)는 벽(12)을 튜브형의 폐쇄 형태로 유지시킨다.
도 3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가 부재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부재번호에 100을 더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슬리브(110)는, 상기한 슬리브(10)의 경우와 같이 서로 겹치는 형태가 아니라, 기다란 부재 둘레로 감겼을 때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120, 122)이 맞대기형(butt-type) 이음매 또는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구성된 상태의 벽(112)을 가지고 있다. 외측 반사 레이어(114)는 벽(11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벽(112)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120, 122)과 정렬되어 대체로 같은 높이로 부착되어 있어서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120, 122) 사이에 뻗어 있는 벽(112)의 전체 폭을 완전히 덮거나 실질적으로 덮는다. 따라서, 상기한 슬리브(10)와 마찬가지로, 벽(112)의 전체 외측 표면(115)은 반사 레이어(114)에 의해 덮히거나 실질적으로 덮힌다.
슬리브(110)는 맞대기형 조인트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이음매(129) 위에 부착된 반사 포일 테이프(128)도 가지고 있다. 이 반사 포일 테이프(128)는, 아래에 있는 벽(112) 및 캐버티(116) 내에 있는 기다란 부재 또는 와이어가 반사 레이어(114) 및 반사 포일 테이프(128)에 의해 제공된 반사 표면에 의해 완전히 원주방향으로 둘러싸이게 한다. 따라서, 캐버티(116)는 외부의 열 방사로부터 완전히 차폐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이 진입할 수 없도록 밀봉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와 마찬가지로, 반사 테이프(128)도, 벽(112)이 초기의 열고정 편향성(heat-set bias)를 잃더라도, 사용시에 슬리브(110)를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형태로 유지시킨다.
도 4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가 부재번호 2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부재번호에 200을 더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슬리브(210)는, 벽(112)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유사하게, 기다란 부재 또는 와이어 둘레에 감겼을 때,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20, 222)이 서로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구성된 상태의 벽(212)을 가지고 있다. 외측 반사 레이어(214)는 벽(212)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20, 222) 사이에 뻗어 있는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있다. 반사 레이어(214)의 한 측면(30)은 벽(212)의 한 측면(22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벽(212)의 한 측면(220)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반사 레이어(214)의 반대쪽 측면(32)은 벽(212)의 다른 측면(2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측면(2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는 반사 레이어(214)의 부분은 반사 레이어(214)의 외측 표면(34)에 부착되거나 접착되어서,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220, 222) 사이에 뻗어 있는 벽(212)의 전체 폭을 완전히 덮고 벽(212)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이음매(229)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조립하는 동안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표면을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될 때까지, 상기 다른 측면(2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는 반사 레이어(214)의 압력 감지 접착제 부분을 덮기 위해서 스트립형태의 박리지(release paper)가 제공될 수 있다. 당연히, 예를 들어, 후크 앤드 루프 파스너(hook and loop fastener)와 같은 부착 메카니즘 또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본 발명의 기술 영역 내에 있다.
도 5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가 부재번호 3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부재번호에 300을 더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슬리브(310)는, 벽(112)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유사하게, 기다란 부재 또는 와이어 둘레에 감겼을 때,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320, 322)이 서로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구성된 상태의 벽(312)을 가지고 있다. 외측 반사 레이어(314)는 벽(312)의 폭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있지만, 도 3의 슬리브(110)와는 달리, 반사 레이어(314)의 폭이 벽(312)의 폭에 대해 정렬되지 않게(어긋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 레이어(314)의 한 측면(330)이 벽(312)의 한 측면(320)의 원주방향으로 안쪽에 부착되도록, 반사 레이어(314)의 한 측면(330)이 벽(312)의 한 측면(320)과 정렬되어 있지 않는 상태(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벽(312)에는 노출된 외측 표면이 있게 된다. 한편, 반사 레이어(314)의 다른 측면(332)은 벽(312)의 다른 측면(3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벽(312)의 다른 측면(322)과 어긋나게 뻗어 있다. 따라서, 벽(312)의 다른 측면(3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는 반사 레이어(314)의 부분은, 벽(312)의 전체 폭을 완전히 덮거나 실질적으로 덮도록 반사 레이어(314)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330, 332)이 서로 맞닿거나 실질적으로 맞닿게 되도록 조립하는 동안 벽(312)의 노출된 외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완전히 조립되면, 반사 레이어(314)는 벽(312)을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형태로 유지시킨다. 필요에 따라, 외측 반사 레이어(314)의 폭은 벽(312)의 폭보다 약간 더 크게 될 수 있어서, 조립시에 외측 반사 레이어(314)가 약간 겹쳐질 수 있다.
도 6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가 부재번호 4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부재번호에 400을 더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슬리브(410)는, 기다란 부재 또는 와이어 둘레에 담배처름 감겨질 때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420, 422)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된 상태의 벽(412)을 가지고 있다. 외측 반사 레이어(414)는, 벽(412)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420, 422) 사이에 뻗어 있는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있다. 반사 레이어(414)의 한 측면(430)은 벽(412)의 한 측면(420)과 동일 평면이 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벽(412)의 한 측면(420)과 정렬 상태 또는 실질적인 정렬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반사 레이어(414)의 반대쪽 측면(432)은 벽(412)의 다른 측면(4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서 플랩(flap) 부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벽(412)의 다른 측면(4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는 반사 레이어(414)의 플랩 부분은, 예를 들어, 반사 레이어(414)의 외측 표면(434)에 접착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부착되어서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420, 422) 사이에 뻗어 있는 벽(412)의 전체 원주방향의 폭을 완전히 덮는다. 필요에 따라, 조립하는 동안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표면을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될 때까지, 상기 벽(412)의 다른 측면(422)을 원주방향으로 넘어서서 뻗어 있는 반사 레이어(414)의 접착제 부분을 덮기 위해서 스트립형태의 박리지(release paper)가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최종적으로 허용된 특허 청구범위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Claims (19)

  1. 기다란 부재를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을 가진 외측 표면을 가지고 있는 부직포로 된 기다란 벽; 및
    상기 벽의 상기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외측 반사 레이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감겨서 튜브형 캐버티를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면 기다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상기 튜브형 캐버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서로 멀어지게 펼쳐질 수 있고,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양 측면은 자체-감김 형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벽의 외측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벽은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사이에 뻗어 있는 감기지 않은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부직포 벽의 상기 폭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반사 레이어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실질적으로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이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과 대체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사이에 뻗어 있는 이음매를 제공하도록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매 위에 놓인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반사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사이에 뻗어 있는 이음매를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매 위에 놓인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반사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벽은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사이에 뻗어 있는 감기지 않은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측 반사 레이어는 상기 부직포 벽의 상기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반사 레이어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중의 하나는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중의 하나에 인접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사이에 뻗어 있는 이음매를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은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중에서 반경방향으로 최외측에 있는 측면이 상기 반사 레이어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의 상기 반대쪽으로 향하는 양 측면 중에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최외측에 있는 측면이 압력 감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반사 레이어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19. 제 1 항에 있어서, 기다란 상기 부직포 벽은 제1 폴리머 재료 및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폴리머 재료는 상기 제2 폴리머 재료와 상이한 녹는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감김성 부직포 슬리브.
KR1020107027379A 2008-06-12 2009-06-11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 KR101805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89408P 2008-06-12 2008-06-12
US61/060,894 2008-06-12
US12/481,670 2009-06-10
US12/481,670 US20090311456A1 (en) 2008-06-12 2009-06-10 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PCT/US2009/046984 WO2009152293A2 (en) 2008-06-12 2009-06-11 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880A true KR20110036880A (ko) 2011-04-12
KR101805108B1 KR101805108B1 (ko) 2017-12-05

Family

ID=4141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379A KR101805108B1 (ko) 2008-06-12 2009-06-11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11456A1 (ko)
EP (1) EP2286137B1 (ko)
JP (1) JP5547723B2 (ko)
KR (1) KR101805108B1 (ko)
CN (1) CN102057207B (ko)
WO (1) WO200915229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789A (ko) * 2011-08-22 2015-01-13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3866B2 (en) * 2004-09-16 2012-09-1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US8852490B2 (en) * 2009-04-09 2014-10-07 Pat Halton Fore, III Systems and methods of concrete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fter
JP5957445B2 (ja) * 2010-05-10 2016-07-27 フェデラル−モーグル パワートレ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ederal−Mogul Powertrain, Inc. 不織自動巻き付き熱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成方法
US20110290532A1 (en) * 2010-05-28 2011-12-01 Cano Jr Miguel A Headphone cord sleeve
JP2012005196A (ja) * 2010-06-15 2012-01-0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護部材
JP5722562B2 (ja) * 2010-07-21 2015-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DE102011005162A1 (de) 2011-03-07 2012-09-13 Tesa Se Klebeland für die Kabelbandagierung
US9909237B2 (en) 2013-02-04 2018-03-06 Federal-Mogul Powertrain Llc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4176108A (ja) * 2013-03-06 2014-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弾性部材付き固定テー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AU2014243784A1 (en) * 2013-03-13 2015-11-05 T-Ink, Inc. Automatic sensing methods and devices for inventory control
US9123018B2 (en) 2013-03-13 2015-09-01 T+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ne or more objects hung from a display peg
US9633758B2 (en) 2013-05-28 2017-04-25 Federal-Mogul Powertrain, Inc. Wrapped textile sleeve with bonded closure mechanism NA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518511B2 (en) * 2013-07-26 2019-12-31 Federal-Mogul Powertrain Llc Wrappable protective sleeve with closure and locating feature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use thereof
CN104565684A (zh) * 2013-10-22 2015-04-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带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703066B2 (en) 2013-11-25 2020-07-0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Spiral wrapped non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4696668A (zh) * 2013-12-04 2015-06-10 陈小磊 一种液氯加热保温管
CN106414054B (zh) * 2014-05-01 2018-10-12 费德罗-莫格尔动力系有限责任公司 微孔反射性纺织套筒及其制作方法
US10315379B2 (en) 2014-07-16 2019-06-11 Federal-Mogul Powertrain Llc Wrappable abrasion resistant, reflective thermal protectiv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711816B2 (ja) * 2014-08-06 2020-06-17 珠海漢盈科技有限公司Handy Technology (Zhuhai) Ltd. 自己発熱保温型フィルム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及びアイシート
JP2016080177A (ja) * 2014-10-21 2016-05-16 マグ・イゾベール株式会社 保温用積層体
US11059647B2 (en) 2015-03-03 2021-07-13 Touchcode Holding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US9876339B2 (en) * 2015-07-06 2018-01-23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integral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840681B2 (en) * 2015-07-30 2020-11-1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807341B2 (en) 2015-08-04 2020-10-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reflective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L3323605T3 (pl) * 2016-11-18 2020-09-21 Heraeus Electro-Nite International N.V. Rura okręcana
US11434590B2 (en) * 2017-07-28 2022-09-06 Federal-Mogul Powertrain Llc Braided textile sleeve with locked yarn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190308385A1 (en) * 2018-04-06 2019-10-1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Self-wrapping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FR3086722A1 (fr) * 2018-09-27 2020-04-03 Airbus Operations Canalisation comportant une enveloppe de protection anti-jet et aeronef comprenant ladite canalisation
US11378221B2 (en) * 2019-05-14 2022-07-05 Michael S. Flynn Vapor retarder for insulated pipe
US11506327B1 (en) * 2021-04-28 2022-11-22 Mark David Cooper Pipe shiel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250A (en) * 1963-06-06 1967-04-04 Minnesota Mining & Mfg Insulating sleeves
US4862922A (en) * 1983-01-18 1989-09-05 The Bentley-Harris Manufacturing Company Abrasion resistant sleeve for flat substrates
US4891256A (en) * 1983-04-26 1990-01-02 The Bentley-Harris Manufacturing Co. Wraparound closure devic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DK8289A (da) * 1988-01-12 1989-07-13 Raychem Ltd Kompositmateriale
JPH09269098A (ja) * 1996-04-01 1997-10-14 General Shoko:Kk 被覆管
US5849379A (en) * 1997-01-06 1998-12-15 Bentley-Harris Inc. Wrappable sleeve
JPH11205943A (ja) * 1997-06-30 1999-07-30 Yazaki Corp ハーネス用チューブ
IT1318099B1 (it) * 2000-06-30 2003-07-23 Getters Spa Pannello evacuato per l'isolamento termico di corpi cilindrici
JP2002302858A (ja) * 2001-04-02 2002-10-18 Kanebo Ltd 円筒型不織布
AR034969A1 (es) * 2001-08-06 2004-03-24 Federal Mogul Powertrain Inc Camisa termicamente aislante
DE10149071A1 (de) * 2001-10-05 2003-04-17 Tesa Ag Verfahren zur Ummantelung von langgestrecktem Gut, wie insbesondere Kabelsätzen
KR200299419Y1 (ko) * 2002-09-28 2002-12-31 김동선 배관보온재용마감재
CN1805843A (zh) * 2003-05-01 2006-07-19 弗德罗-莫格尔动力系公司 复合可偏卷反射片和套筒
US20040219846A1 (en) * 2003-05-01 2004-11-04 Federal-Mogul World Wide, Inc. Composite biasable reflective sheet and sleeve
KR20050092673A (ko) * 2004-05-25 2005-09-22 (주)삼현케미칼 스티로풀을 이용한 배관커버
TW200624617A (en) * 2004-07-20 2006-07-16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Self-curling sleeve
JP2007146964A (ja) * 2005-11-28 2007-06-14 Hayakawa Rubber Co Ltd 配管防音構造
US7523532B2 (en) * 2006-04-10 2009-04-28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Non-woven self-wrapping acoustic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070100207A (ko) * 2007-09-14 2007-10-10 (주)아산씨에스 파이프 보온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789A (ko) * 2011-08-22 2015-01-13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친환경 부직 배터리 커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6137A4 (en) 2011-08-03
CN102057207A (zh) 2011-05-11
JP5547723B2 (ja) 2014-07-16
WO2009152293A2 (en) 2009-12-17
US20090311456A1 (en) 2009-12-17
CN102057207B (zh) 2014-12-24
WO2009152293A3 (en) 2010-03-04
KR101805108B1 (ko) 2017-12-05
EP2286137B1 (en) 2014-06-18
JP2011524824A (ja) 2011-09-08
EP2286137A2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880A (ko) 부직포로 된 자체-감김성 방열 슬리브
JP5957445B2 (ja) 不織自動巻き付き熱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成方法
US8663766B2 (en) Fabric for end fray resistance and protective sleeves formed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20060118193A1 (en) Self-closing protection sheath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190291383A1 (en) Wrappable abrasion resistant, reflective thermal protectiv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926135B2 (en) Wrappable laminated textile sleeve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method of reducing cracking in a foil layer of a wrappable textile sleeve
JP4330446B2 (ja) オーバーラップにより再閉鎖可能な保護シース及びその用途
WO2018169820A1 (en) Textile sleeve having a low melt adhesive coating with protective layer there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4753778B2 (ja) 可撓性ホース
JPH08274488A (ja) 電磁波シールド材
JP6693615B1 (ja) 固定部材付き配線部材
JP3501087B2 (ja) クランプの取付構造およびクランプ
US20220134972A1 (en) Wiring member with exterior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member with exterior member
GB2347984A (en) Protector for use in forming a protective sleeve
JP2020145196A (ja) 固定部材付き配線部材
MX2008009111A (en) Fabric for end fray resistance and protective sleeves formed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