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902A - 모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902A
KR20110035902A KR1020100091464A KR20100091464A KR20110035902A KR 20110035902 A KR20110035902 A KR 20110035902A KR 1020100091464 A KR1020100091464 A KR 1020100091464A KR 20100091464 A KR20100091464 A KR 20100091464A KR 20110035902 A KR20110035902 A KR 2011003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craper
hair
frame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322B1 (ko
Inventor
히데유키 구사모토
카즈히로 이시야마
마코토 가와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묘수틀과 묘재대의 하단부의 사이에 진흙이 부착하기 어려운 모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의 단부를 받는 묘수틀(81)의 위쪽으로 상기 묘수틀(81)을 따라 좌우 이동하여 모를 상기 모 취출구(78)에 공급하는 묘재대(80)와 상기 묘재대(80)의 하부에 스크레이퍼(29)를 장착하고, 묘수틀(81)과 접하는 스크레이퍼(29)에 홈(29a)을 설치한 모 이식기이며, 묘재대(80)를 좌우로 슬라이드시킬 때, 스크레이퍼(29)가 묘수틀(81) 상에 부착한 진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스크레이퍼(29)에 홈(29a)을 설치하고 있으면, 묘수틀(81) 상에 진흙이 퇴적하고 있어도 묘재대(80)가 좌우로 이동할 때마다 스크레이퍼(29)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묘수틀(81) 상의 진흙을 없앨 수 있고, 무리하게 묘재대(80)를 슬라이드시켜 묘재대(80)를 파손시킬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모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모 이식기의 일례인 승용형 모내기기에 있어서, 모의 단부를 받는 묘수(苗受)틀과, 이 묘수틀에 구비하는 모 취출구와, 묘수틀의 위쪽에서 상기 묘수틀을 따라 좌우 왕복 움직여 모를 상기 모 취출구에 공급하는 묘재대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8-154535호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모 이식기로 모의 이식작업을 진행시키면 묘수틀과 좌우 왕복 움직이는 묘재대의 하단부 사이에 진흙이 부착하여 묘재대의 이동이 부드럽게 실시될 수 없는 것 등이 있으므로, 모의 이식작업을 중단하고, 빈번히 진흙을 막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묘수틀과 묘재대의 하단부 사이에 진흙이 부착 하기 어려운 모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1과 관련되는 발명은, 묘재면에 모를 실어 좌우 이동하는 묘재대(80)와, 상기 묘재대(80)에 실은 모의 단부를 받는 묘수틀(81)과, 상기 묘수틀(81)에 구비하는 모 취출구(78)와, 상기 모 취출구(78)에 공급된 모를 심는 모 이식장치(37)를 설치하고, 상기 묘재대(80)는, 상기 묘수틀(81)과 위쪽으로 상기 묘수틀(81)를 따라 좌우 이동하고 모를 상기 모 취출구(78)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묘재대(80)의 하단부에, 상기 묘수틀(81)와 접하여 상기 묘수틀(81) 상의 흙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29)를 장착하고, 상기 스크레이퍼(29)에는, 상기 묘수틀(81)에 면하는 홈(29a)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2와 관련되는 발명은,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의 묘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만큼 폭이 좁게 구성하기 위하여, 스크레이퍼(29)의 좌우 양측면이 묘재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 내지 6도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3과 관련되는 발명은, 묘재대(80)의 묘재면의 뒤편에 상기 묘재대(80)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를 장착하고, 상기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와 스크레이퍼(29)를 상기 묘재대(80)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3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4와 관련되는 발명은, 단면 형상이 コ자형의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의 칸막이 벽부(80a)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쪽이든 1항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5와 관련되는 발명은, 스크레이퍼(29)와 묘재대(80)의 하단부의 접속부에 스프링(36)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쪽이든 1항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의 하단부에 장착하였으므로, 묘재대(80)를 묘수틀(81)를 따라 좌우에 슬라이드시킬 때, 스크레이퍼(29)가 묘수틀(81) 상에 부착한 진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무리하게 묘재대(80)를 슬라이드시켜 묘재대(80)를 파손시킬 가능성이 없다. 또, 스크레이퍼(29)의 묘수틀(81)과 접하는 측면에 홈(29a)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묘수틀(81) 상에 진흙이 퇴적하고 있어도 묘재대(80)가 묘수틀(81)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스크레이퍼(29)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묘수틀(81) 상의 진흙을 없앨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스크레이퍼(29)는, 묘재대(80)의 묘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만큼 폭이 좁게 구성하기 위하여, 스크레이퍼(29)의 좌우 양측면이 묘재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 내지 6도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으므로 진흙을 부수기 쉬워지며, 또 스크레이퍼(29)의 첨단측 만큼 진흙이 묘수틀(81) 상으로부터 밀려나오기 쉬워지며, 진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묘재대(80)의 묘재면의 뒤편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와 스크레이퍼(29)를 체결 부재(31)로 묘재대(80)에 체결했으므로, 묘재대(80)와 스크레이퍼(29) 뿐만 아니라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도 함께 묘재대(80)에 장착할 수 있고, 게다가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의 강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스크레이퍼(29)로서 단면 형상이 コ자형의 부재를 이용하므로 스크레이퍼(29)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스크레이퍼(29)와 묘재대(80)의 하단부의 접속부에 스프링(36)을 배치하는 것으로, 묘수틀(81) 상에 장애물이 있으면, 묘재대(80)를 묘수틀(81)을 따라 이동시켜도 스크레이퍼(29)가 그 장애물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어, 묘재대(80)가 파손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내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내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의 모 전송 전동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의 모 이송량 변경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와 묘수틀 부분의 일부 세로측 단면도(기체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좌측에서 본 도면)(도 5(a))와 스크레이퍼의 측면도(도 5(b))와 도 5(b)의 화살표 S방향에서 본 스크레이퍼를 나타내는 도면(도 5(c))이다.)
도 6은,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의 하단부를 커트한 부분을 사선으로 나타내는 세로측 단면도(기체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의 하측으로부터 덮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측면도(도 7(a)), 도 7(a)의 S1시시(矢視)도(도 7(b)), 도 7(a)의 S2-S2선 절단도(도 7(c))이다.
도 8은,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에 스크레이퍼를 아래쪽으로부터 덮기 위한 측면도(도 8(a)), 도 8(a)의 S1-S1선 절단 시시도(도 8(b)), 도 8(a)의 S2-S2선 시시도(도 8(c))이다.
도 9는,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에 스크레이퍼를 장착한 측단면도(도 9(a))와 도 9(a)의 화살표 S방향에서 본 도면(도 9(b))이다.
도 10은, 도 1의 모내기기의 묘재대에 스크레이퍼를 장착한 측단면도이다.
이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실시의 한 형태이며, 특허 청구의 범위를 구속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6조식의 시비 장치 부착의 승용형의 모내기기(1)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승용형의 모내기기(1)는, 주행 차체(2)의 뒤측에 승강 링크장치(3)를 통하여 모 이식부(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차체(2)의 후부 위쪽에 시비 장치(5)의 본체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2)는, 구동륜인 각 좌우 한 쌍의 전륜(6) 및 후륜(7)을 구비하는 4륜 구동차량이며, 기체의 앞 부분에 미션 케이스(8)가 배치되며, 그 미션 케이스(8)의 좌우 측방에 좌우 한 쌍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9)가 설치되며, 상기 전륜 파이널 케이스(9)의 변향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 지지부로부터 밖으로 향해 돌출하는 전륜 차축에 전륜(6)이 장착되어 있다. 또, 미션 케이스(8)의 배면부에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가 고착되어 있고, 그 메인프레임(10)의 후단 좌우 중앙부에 전후 수평으로 설치한 좌우 한 쌍의 후륜 롤링축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 한 쌍의 후륜 기어 케이스(12)가 롤링 자재(自在)로 지지되며, 그 후륜 기어 케이스(12)로부터 밖으로 향해 돌출하는 후륜 차축에 후륜(7)이 장착되어 있다.
원동기가 되는 엔진(13)은 메인프레임(10) 위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13)의 회전 동력이, 벨트 전동장치(14)를 통하여 정 역전 전환이 가능한 전동장치가 되는 유압식의 전후진 무단 변속 장치(15)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무단 변속 장치(15)로부터의 출력이 미션 케이스(8)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8)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미션 케이스(8) 내의 전동 분기부에서 주행용 전동 경로와 이식용 전동 경로에 분기하여 전동되며, 주행 동력과 외부 취출 동력으로 분리하여 꺼내진다.
그리고, 주행 동력은, 일부가 전륜 파이널 케이스(9)에 전달되어 전륜(6)을 구동함과 동시에, 나머지가 후륜 기어 케이스(12)에 전달되어 후륜(7)을 구동한다. 또, 외부 취출 동력은, 취출 전동축(17)을 통하여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설치한 이식클러치 케이스(18)에 전달되며, 그리고 이식 전동축(19)에 의해서 모 이식부(4)로 전동됨과 동시에, 시비 전동 기구에 의해서 시비 장치(5)로 전동된다.
엔진(13)의 상부는 엔진 커버(20)로 덮여 있고, 그 위에 좌석(21)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21)의 전방에는 각종 조작 기구를 내장하는 프런트 커버(22)가 있고, 그 위쪽에 전륜(6)을 조향 조작하는 핸들(23)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23)의 우측에는, 상기 전후진 무단 변속 장치(15)를 조작하는 전후진 변속 레버(20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후진 변속 레버(203)의 그립부에는, 모 이식부(4)의 승강 조작 및 작동의 입절(入切)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이식 승강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커버(20) 및 프런트 커버(22)의 하단 좌우 양측은 수평 모양의 플로어 스텝(26)으로 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2)의 앞 부분 좌우 양측에는, 보급용의 모을 실어 두는 예비 묘재대(27)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링크 장치(3)는, 1개의 상 링크(70)와 좌우 한 쌍의 하 링크(7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 링크(70) 및 하 링크(71)는, 그 기부(基部)측이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에 입설(立設)한 배면시문형(背面視門形)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720)에 회동 자재로 장착되어 그 첨단측에 세로 링크(7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링크(73)의 하단부에 모 이식부(4)에 회전 자재로 지승(支承)된 연결축(74)이 삽입 연결되며, 연결축(74)을 중심으로서 모 이식부(4)가 롤링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0)에 고착한 지지 부재와 상 링크(70)에 일체 형성한 스윙 암의 첨단부와의 사이에 승강 실린더(7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 실린더(76)를 신축시킴으로써, 상 링크(70)가 상하로 회동하여, 모 이식부(4)가 거의 일정 자세인 채 승강한다.
모 이식부(4)는 6조식의 구성으로, 프레임을 겸하는 전동 케이스(77), 매트 묘를 실어 좌우 왕복 움직이고, 모를 1주분씩 각 조의 모 취출구(78)에 공급하는 동시에 가로 일렬 분의 모를 모두 모 취출구(78)에 공급하면 모 전송벨트(79)에 의해 모를 아래쪽으로 이송하는 묘재대(80), 모 취출구(78)에 공급된 모를 모 이식도구(37a)로 밭에 심어 주는 모 이식장치(37) 등을 갖추고 있다.
주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대로, 묘재대(80)는, 묘재면의 뒤편에서, 그 이면측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한 묘수틀(81)을 따라 좌우 이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이 묘재대(80)는, 상하로 늘어나는 복수의 칸막이 벽부(80a)(도 2, 도 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칸막이 벽부(80a)에 의해 구분되어 각 조의 묘재부(80b)(도 2)가 구성되며, 6조 분의 모를 탑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묘수틀(81)에 6조 분의 상기 모 취출구(78)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7)의 좌우 양측에서 돌출하여 상기 전동 케이스(77) 내의 동력으로 리드 캠(82a)을 가로 방향으로 좌우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캠축(82)이 설치되며, 리드 캠(82a)과 묘재대(80)가 연결되어 있고, 리드 캠축(82)이 구동 회전함으로써 묘재대(80)가 좌우 왕복 움직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리드 캠축(82)은, 그 일단부 좌단부가 전동 케이스(77)로 지지되어 있다.
묘재대(80)의 이면측의 상하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위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120) 및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가 각각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위쪽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120)는, 측면시로 아래쪽이 노치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는 회전 자재의 지지 롤러(122)가 계합(係合)하고 있다. 이 지지 롤러(122)는, 위쪽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120)를 따르는 적당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며, 전동 케이스(77)의 위쪽에 고착된 묘재대 지지 프레임(123)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는, 묘수틀(81)에 위쪽부터 실린다. 따라서, 묘재대(8)는, 지지 롤러(122)와 묘수틀(8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묘재대(80) 지지 프레임(123)에는 묘재대(80)가 좌우 이동단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좌우 각각의 이동단 센서(131)(도 4)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단 센서(131)는 묘재대(80)의 좌우 방향 단부의 이면 측에 돌출하는 칸막이 벽부(80a)가 닿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 전송벨트(79)는, 구동 롤러(84)와 종동 롤러(85)에 감겨져 있다. 구동 롤러(84)는 좌우 방향의 모 전송 구동축(86)과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모 전송 구동축(86)은, 각 2조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라쳇 기구(87)에 의해, 모 전송벨트(79)가 모 전송 방향에만 회전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모 전송벨트(79)가, 묘재대(80)의 좌우 이동단으로 상기 묘재대(80) 상의 모를 묘수틀(81) 측으로 이송하는 모 이송 장치가 된다.
모 전송벨트(79)의 구동 기구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전동 케이스(77)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돌출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측 암(8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케이스(77)의 우측의 구동측 암(88)은, 리드 캠축(82)을 통하여 회전 구동한다. 또, 모 전송 구동축(86)의 위쪽에는 좌우 방향의 중계축(89)이 각 2조마다 설치되며, 거기에 종동측 암(90)이 장착되어 있다. 중계축(89)과 모 전송 구동축(86)이란, 각각 제 1 암(91) 및 제 2 암(92) 및 링크(93)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94)에 의해 전동 연결되어 있다.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행정의 단부에 도달하면, 구동측 암(88)이 종동측 암(90)에 그 아래쪽으로부터 닿아서, 중계축(89)(도 3)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그 회전이 링크 기구(94) 및 라쳇 기구(87)를 통하여 모 전송 구동축(86)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모 전송벨트(79)가 소정량만 작동한다. 또한,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양단부에서 각각 모 전송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1개의 구동측 암(88)에 대응하여 좌우에 2개의 종동측 암(90)이 동일한 중계축(89)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암(88)이 종동측 암(90)으로부터 멀어지면, 중계축(89)에 건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장력(張力)에 의해서 중계축(89) 및 종동측 암(90)은 구동전의 위치로 돌아온다.
또한, 링크 기구(94) 및 라쳇 기구(87)는, 우측 2조 분의 것은 묘재대(80)의 우단부, 중앙 2조 분의 것은 오른쪽에서 3조째의 묘재부(80b)의 우단부, 좌측 2조 분의 것은 묘재대(80)의 좌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2조 분의 링크 기구(94) 및 라쳇 기구(87)는, 좌우 한쪽 측인 좌측으로 편위하는 전동 케이스(77)의 모 전송 전동부(77a)보다 좌우 다른 쪽 측인 우측으로 편위하여 배치되므로, 묘재대(80)와 전동 케이스(77)를 전후에 접근하면서, 전동 케이스(77)에 간섭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라쳇 기구(87)에는, 각각 2조 분의 모 전송벨트(79)의 구동을 입절하는 모 전송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 전송 클러치를 조작하는 모 전송 클러치 와이어(132)(도 3)가, 라쳇 기구(87)로부터 묘재대(80)의 이면측에서 상기 묘재대(80)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 전송 클러치 와이어(132)의 타단은, 각 2조마다의 이식을 입절하는 휴 클러치 레버(133)(도 1, 도 2)에 연결되어 있다. 이 휴 클러치 레버(133)는, 주행 차체(2)의 후부에 합계 3개가 설치되며, 각각의 휴 클러치 레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 이식부(4)의 묘재대(80)의 전 측에는, 묘수틀(81)을 상하 이동시켜 모 이식장치(37)(도 1, 도 2)가 모 취출구(78)에서 꺼내는 1주 당의 모의 양을 변경하는 모 취출량 조절 레버(201)(도 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모 취출량 조절 레버(201)의 조작 위치를, 모 취출량 조절 레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측 암(88)은, 전동 케이스(77)의 모 전송 전동부 77 a의 좌우 양측의 적당 위치에 좌우 각각 2 개씩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 외측의 구동측 암(88)은,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우단으로 이동했을 때, 오른쪽의 중계축(89)의 우측의 종동측 암(90)에 닿는다. 오른쪽 안쪽의 구동측 암(88)은,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우단으로 이동했을 때, 중앙의 중계축(89)의 우측의 종동측 암(90)에 닿음과 동시에,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좌단으로 이동했을 때, 오른쪽의 중계축(89)의 좌측의 종동측 암(90)에 닿는다. 왼쪽 안쪽의 구동측 암(88)은,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좌단으로 이동했을 때, 중앙의 중계축(89)의 좌측의 종동측 암(90)에 닿음과 동시에,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우단으로 이동했을 때, 왼쪽의 중계축(89)의 우측의 종동측 암(90)에 닿는다. 왼쪽 바깥측의 구동측 암(88)은, 묘재대(80)가 좌우 이동 좌단으로 이동했을 때, 왼쪽의 중계축(89)의 좌측의 종동측 암(90)에 닿는다. 따라서, 합계 6개의 종동측 암(90)에 대응하고, 구동측 암(88)의 개수를 4개로서 수를 삭감시키고 있다.
여기서, 좌우 각각의 중계축(89)에 있어서의 좌우 각각의 종동측 암(90)은, 상기 중계축(89)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하고 있지만, 좌우 중앙의 중계축(89)에 있어서의 좌우의 종동측 암(90)은, 상기 중계축(89)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이동으로 양분하여 전동 케이스(77)의 좌우 양측 안쪽의 구동측 암(88)으로부터 좌우 중앙의 중계축(89)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 안쪽의 구동측 암(88)을 좌우의 중계축(89)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암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또, 각 중계축(89)의 좌우의 종동측 암(90)을, 각 중계축(89)에 있어서 대략 좌우 대칭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각 2조마다에서 대략 좌우 중앙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모 이동량 변경 모터(135)에 의한 모 이송량의 변경 설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묘재대(80)의 각 조의 묘재부(80b)의 모 전송벨트(79) 근처의 적당한 위치에는, 각각 모 감소센서(136)(도 2, 도 4)를 설치하고 있다. 이 모 감소센서(136)는, 모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묘재대(80) 상의 적당한 위치에서 모가 감소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오른쪽에서 1조째, 4조째 및 6조째의 묘재부(80b)의 모 전송벨트(79) 근처의 적당한 위치에는, 각각 모 이동량 센서(137)(도 1∼도 3)를 설치하고 있다. 이 모 이동량 센서(137)는, 스프링(138)(도 3)으로 묘측 위쪽으로 회동하는 측에 힘이 걸리는 센서 설치 암(146)(도 3)의 첨단에 설치되며, 외주면이 모의 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식이며, 그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형의 센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구비하고, 모 전송벨트(79)의 모의 이송 방향으로의 묘재대(80) 상의 모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또한, 후술하는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에 의한 모 전송벨트(79)의 모의 최대 이송량보다도, 모 이동량 센서(137)의 외주 길이가 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묘 이동량 센서(137)는, 회전 각도를 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값으로서 검출하고, 모 전송 작동의 전후의 각도값으로부터 모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이지만, 모 전송 작동의 전후로 0도의 각도값을 또 검출한 경우에서도 모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360도로 모 전송 작동 전의 각도값의 차이 및 모 전송 작동 후의 각도값과 0도의 차이의 양쪽 모두의 차이를 가산하여 연산하는 다음의 연산식(1)
모의 이동량={360도-모 전송 작동 전의 각도값}+{모 전송 작동 후의 각도값-0도} ...(1)에 의해, 각도값을 검출하기만 하는 간단한 센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로, 모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 이동량 센서(137)를 모 전송 클러치에 가까운 위치의 조에 설치하고, 모 이동량 센서(137)의 방호 프레임을 겸하는 후술하는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의 모터 지지 프레임(139)을, 오른쪽에서 1조째, 4조째 및 6조째의 묘재부(80b)의 이면측에만 설치하고, 모터 지지 프레임(139)의 안쪽에, 모 전송 클러치 와이어(132)(도 3)를 통하고, 모터 지지 프레임(139)이 모 전송 클러치 와이어(132)의 방호 프레임도 겸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 이동량 센서(137)는, 묘재부(80b)의 좌우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모 감소센서(136)는, 모 이동량 센서(137)를 설치하지 않은 묘재부(80b)에서는 상기 묘재부(80b)의 좌우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만, 모 이동량 센서(137)를 설치한 묘재부(80b)에서는 상기 묘재부(80b)의 좌우 방향 일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모 이동량 센서(137)를 모 감소센서(136)에 우선하여 묘재부(80b)의 좌우 중앙에 위치시키고, 모의 이동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조의 모 감소센서(136)는, 모 이동량 센서(137)보다 약간 묘재대(80)를 따라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 이동량 센서(137)를 설치한 묘재부(80b)의 모 전송벨트(79)보다 위쪽 위치에는, 묘재부(80b) 상의 모의 양을 판별하는 각각의 묘량 센서(140)(도 3)를 설치하고 있다. 이 묘량 센서(140)는, 묘수틀(81)로부터 묘재대(80)를 따라 모 1매분 상측의 위치(묘수틀(81)에서 58cm의 위치)에 설치되며, 그 위치에서의 모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묘재대(80) 상의 모의 양의 대소를 판별한다. 상기 묘량 센서(140)는, 묘재부(80b)의 좌우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각 2조마다 묘재부(80b)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의 칸막이 벽부(80a)의 뒤편에는, 2조마다 모 전송벨트(79)에 의한 모의 이송량을 변경하기 위한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도 3, 도 4)를 설치하고 있다. 이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가, 모 이송 장치에 의한 모의 이송량을 변경하는 모 이송량 변경 장치가 된다.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는, 각 2조마다 좌우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모 이송량의 변경을 각 2조마다 적정하게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의 피니언(135a)(도 4)에 서로 맞물려 회동하는 부채꼴 기어(141)를 설치하고, 상기 부채꼴 기어(141)로부터 연결 로드(142)를 통하여 중계축(89)과 일체 회전하는 모 전송 규제 암(143)(도 4)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모 전송 규제 암(143)에 설치한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로드(142)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모 이송량 변경 모터(135)를 구동하여 부채꼴 기어(141)를 회동시켜,모 전송 규제 암(143)을 그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모 전송 작동으로 긴 구멍에 의해 중계축(89)을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측 암(88)이 종동측 암(90)으로부터 멀어지면, 중계축(89) 및 종동측 암(90)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장력으로, 규제 부재가 되는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의 단부에 연결 로드(142)의 단부가 닿는 위치까지 돌아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모 전송 규제 암(143)은, 우측 2조분은 우측의 종동측 암(90), 좌측 2조분은 좌측의 종동측 암(90)과 겸용하여, 중앙 2조분은 전용의 중앙 모 전송 규제 암(144)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의 모 전송 규제 암은 각각 외측의 종동측 암(90)이 되기 위해, 연결 로드(142)의 착탈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쉽다.
묘재대(80)의 묘재면(80c)(도 4)의 위쪽에는, 매트 모의 상부의 표면에 닿아서 상기 매트 묘를 묘재면(80c)측으로 압압하는 모 누름 도구(130)(도 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 누름 도구(130)에 의해, 매트 묘를 모 전송벨트(79) 측에 적당히 압압하여, 모 전송 벨트(79)로 확실히 정밀도 좋게 매트 묘를 이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 이식부(4)의 하부에는, 중앙 2조 분의 모 이식위치를 정지(整地)하는 센터 플로트(100) 및 좌우 각각 외측 2조 분의 모 이식위치를 정지하는 사이드 플로트(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로트인 센터 플로트(100) 및 사이드 플로트(101)를 밭의 진흙면에 접지시킨 상태로 기체를 진행시키면, 센터 플로트(100) 및 사이드 플로트(101)가 진흙면을 정지하면서 활주하고, 그 정지 자취에 모 이식장치(37)에 의해 모가 이식된다. 각 플로트는 밭 표토면의 요철에 맞추어 전단측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이식작업 시에는 센터 플로트(100)의 앞 부분의 상하 이동이 상하 이동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76)를 제어하는 유압 밸브를 바꾸어 모 이식부(4)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모의 이식 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시비 장치(5)는, 비료 저장 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비료를 각 조의 비료 조출부(63)에 의해서 일정량씩 계속 내보내고, 그 비료를 비료 이송 호스(111)로 센터 플로트(100) 및 사이드 플로트(101)에 장착한 시비 가이드(112)까지 이끌어, 시비 가이드(112)의 전 측에 설치한 작구체(113)에 의해서 모 이식조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 홈 내로 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터(114)로 구동하는 블로어(115)로 발생시킨 압력풍을 좌우 방향으로 긴 에어 챔버(116)를 경유하여 비료 이송 호스(111) 내로 불어와, 비료 이송 호스(111) 내의 비료를 모 이식부(4) 측의 비료 토출구 시비 가이드(112)로 강제적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비 홈 내에 공급된 비료는, 시비 가이드(112) 및 작구체(113)의 후방에서 센터 플로트(100) 및 사이드 플로트(101)에 장착한 복토판(117)에 의해 복토된다.
각 조의 시비 가이드(112) 및 작구체(113)는, 대응하는 모 이식장치(37)와의 위치 관계 거리를 균일하게 하여 각 조의 비효(肥效)를 균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각각 전후방향에 있어서 기체 측면시로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각 조의 복토판(117)도 대응하는 시비 가이드(112), 작구체(113) 및 모 이식장치(37)와의 위치 관계를 거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복토판을 앞쪽에 위치시켜 시비 가이드에 너무 접근하면, 복토판으로 밀려들 수 있는 진흙이 시비 가이드 내에 공급되어 상기 시비 가이드에 진흙이 쌓일 가능성이 있어, 복토판을 뒤쪽에 위치시켜 시비 가이드로부터 너무 떼어 놓으면, 복토판으로 복토하기까지 밭 내의 물 등에 의해 시비 홈의 바닥으로부터 비료가 약간 떠오르고, 그 결과 복토량이 적게 되어, 적절한 비효를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5(a)의 묘재대(80)와 상기 묘재대(80)를 재치(載置)한 묘수틀 부분의 일부 세로측 단면도(기체의 전진 방향을 향하고 좌측에서 본 도면)와 도 5(b)의 스크레이퍼(29)의 측면도와 도 5(c)에 도 5(b)의 화살표 S방향에서 본 스크레이퍼(29)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묘재대(80)의 하단부를 커트한 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내는 세로측 단면도(기체의 전진 방향을 향하고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스크레이퍼(29)는 묘재대(80)의 하단부의 커트 부분으로부터 묘재대(80)의 위쪽을 향해 볼트(30)와 체결 부재인 나사(31)로 묘재대(80)의 표면과 이면의 양측에서 고정한다. 또한, 스크레이퍼(29)의 재질은 철 등의 금속, 내구성이 뒤떨어지지만 탄성재인 고무라도 좋다.
묘수틀(81)과 묘재대(80)의 작은 틈새에 진흙이 비집고 들어가, 그것이 고착하면 묘재대(80)를 슬라이드 할 수 없게 되고, 또는 무리하게 슬라이드시키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의 하단부에 달았으므로, 묘재대(80)를 좌우에 슬라이드시킬 때, 스크레이퍼(29)가 묘수틀(81) 상에 부착한 진흙을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29)의 아래쪽에는 도 5(b)와 도 5(c)에 나타내는 대로 복수의 홈(29a)을 설치하면, 묘수틀(81) 상에 진흙이 퇴적하고 있어도 묘재대(80)가 기체의 전진 방향을 전측으로 했을 때의 좌우 방향(묘수틀(81)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스크레이퍼(29)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묘수틀(81) 상의 진흙을 없앨 수 있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대로, 스크레이퍼(29)는, 묘재대(80)의 두께 방향으로 묘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만큼, 폭이 좁아지게 구성했으므로 진흙을 부수기 쉬워지며, 또한 스크레이퍼(29)의 첨단의 묘재대(80)의 묘재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진흙이 묘수틀(81) 상으로부터 밀려나오기 쉬워지며, 진흙을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또 홈(29a)의 묘재대(80)의 두께 방향의 폭을 크게 하는 것으로, 진흙의 누락이 좋아진다.
나사(31)로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의 하단부에 고정하는 경우에, 묘재대(8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를 묘재대(80)에 이면 측에 장착하고, 상기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의 묘재대(80)의 이면과 접하는 측면 부분을 비교적 길게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측면 부분을 통하여 나사(31)를 묘재대(80)의 이면측에서 달면 스크레이퍼(29) 뿐만 아니라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도 함께 묘재대(80)에 달 수 있고,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33)의 강도를 종래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크레이퍼(29)를 강철제로서, 상기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에 아래쪽부터 씌우기 위해 도 7(a)의 측면도, 도 7(b)에 나타내는 도 7(a)의 S1시시도, 도 7(c)에 나타내는 도 7(a)의 S2-S2선 절단면도에 나타내는 대로, 단면 コ자형의 부재를 이용하면, 스크레이퍼(29)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강철제의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에 아래쪽부터 씌우기 위해 도 8(a)의 측면도, 도 8(b)에 나타내는 도 8(a)의 S1-S1선 절단시시도, 도 8(c)에 나타내는 도 8(a)의 S2시시도에 나타내는 대로, 단면 コ자형의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도 9(a)의 묘재대(80)에 스크레이퍼(29)를 장착한 경우의 측단면도(도 9(a))와 도 9(a)의 화살표 S방향에서 본 도면(도 9(b))에 나타내는 대로, 단면 コ자형의 강철제의 스크레이퍼(29)를 준비하고, 묘재대(80)의 하단부 평면에 상기 스크레이퍼(29)의 평면을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고, 그것들 평면의 사이에 스프링(36)을 장착해 두고, 스크레이퍼(29)의 하단부를 묘수틀(81) 윗면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묘수틀(81) 상에 장애물(d)이 있으면, 묘재대(80)를 좌우로 이동시켜도 스크레이퍼(29)가 그 장애물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도 10의 기체의 측면 방향에서 본 묘재대(80)에 스크레이퍼(29)를 장착한 경우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대로, 묘재대(80)의 하단부를 도려낸 직사각형 홈을 형성하고, 묘재대(80)의 하단부에 가능했던 개구부로부터 묘재대(80)의 도려낸 상기 직사각형 홈에 스크레이퍼(29)를 삽입하고, 묘재대(80)의 하단부의 개구부의 기체 후방부의 외측으로부터 스크레이퍼(29)에 볼트(30)로 단단히 조여 스크레이퍼(29)를 묘재대(80)에 고정한다. 이때 스크레이퍼(29)의 하단부는 묘재대(80)의 하단부 평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장착한다. 또한 단단히 조인 볼트(30)의 첨단측의 스크레이퍼(29)에는 공간을 생기는 볼트 홈(95)을 스크레이퍼(29)에 형성해 두고, 볼트를 조이기 전에 상기 볼트 홈(95) 내에 스프링(36)을 배치해 둔다.
상기 구성의 경우는, 도 10에 나타내는 대로, 기체 전측의 묘수틀(81)과 묘재대(80)의 사이에 장애물(d)이 있어도 스프링(36)의 작용으로 스크레이퍼(29)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묘수틀(81)과 묘재대(80)가 파손할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승용형의 모내기기(1)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승용형의 모내기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의 작업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1.모내기기 29. 스크레이퍼
29a. 홈 31. 나사
33. 아래쪽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 36. 스프링
37. 모 이식장치 78. 모 취출구
80. 묘재대 80a. 칸막이 벽부
81. 묘수틀

Claims (5)

  1. 묘재면에 모를 실어 좌우 이동하는 묘재대와, 상기 묘재대에 실은 모의 단부를 받는 묘수틀과, 상기 묘수틀에 구비하는 모 취출구와, 상기 모 취출에 공급되는 모를 이식하는 모 이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묘재대는, 상기 묘수틀의 상측에서 상기 묘수틀을 따라 좌우 이동하여 모를 상기 모 취출구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묘재대의 하단부에, 상기 묘수틀과 접하여 상기 묘수틀 상의 흙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장착하고, 상기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묘수틀에 면하는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묘재대의 묘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만큼 폭이 좁게 구성하기 위하여, 스크레이퍼의 좌우 양측면이 묘재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1 내지 6도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묘재대의 묘재면의 뒤편에 상기 묘재대의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좌우 이동용 안내 부재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묘재대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의 단면 형상은 コ자형이고,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묘재대의 칸막이 벽부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와 상기 묘재대의 하단부의 접속부에 스프링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KR1020100091464A 2009-09-30 2010-09-17 모 이식기 KR10127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5785A JP2011072232A (ja) 2009-09-30 2009-09-30 苗移植機
JPJP-P-2009-225785 200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902A true KR20110035902A (ko) 2011-04-06
KR101276322B1 KR101276322B1 (ko) 2013-06-18

Family

ID=4388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464A KR101276322B1 (ko) 2009-09-30 2010-09-17 모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072232A (ko)
KR (1) KR101276322B1 (ko)
CN (1) CN102027828B (ko)
TW (1) TWI383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8717B2 (ja) * 2010-02-26 2013-11-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5741250B2 (ja) * 2011-06-27 2015-07-01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4025783A (zh) * 2014-05-23 2014-09-10 长兴泗安科林植保专业合作社 一种插秧机
JP6877950B2 (ja) * 2016-10-20 2021-05-26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411U (ko) * 1980-11-20 1982-06-02
JPH0353621Y2 (ko) * 1985-04-10 1991-11-25
JPS61170221U (ko) * 1985-04-10 1986-10-22
JPH0637625Y2 (ja) * 1987-11-13 1994-10-05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苗載置台装置
JP2627471B2 (ja) * 1992-05-08 1997-07-09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接地型の連続鉢苗移植機
CN2129508Y (zh) * 1992-07-14 1993-04-14 罗木生 轻便手动插秧机
JPH1132528A (ja) * 1997-07-17 1999-02-0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における苗植装置
JP2003199408A (ja) * 2002-01-08 2003-07-15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08154535A (ja) * 2006-12-25 2008-07-10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4867816B2 (ja) * 2007-06-25 2012-02-01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72232A (ja) 2011-04-14
CN102027828B (zh) 2015-07-01
TWI383738B (zh) 2013-02-01
TW201124072A (en) 2011-07-16
CN102027828A (zh) 2011-04-27
KR101276322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895B (zh) 苗移植機
KR101185620B1 (ko) 모 이식기
KR101276322B1 (ko) 모 이식기
TWI484900B (zh) Seedling plant
WO2019082517A1 (ja) 乗用田植機
JP2010273617A (ja) 苗移植機
JP2011244718A (ja) 作業機
JP5504687B2 (ja) 苗移植機
JP5505023B2 (ja) 苗移植機
JP2011244767A (ja) 苗移植機
JP2011004650A (ja) 苗移植機
JP2005021062A (ja) 苗移植機
JP7353883B2 (ja) 苗移植機
JP4089365B2 (ja) 粉粒体吐出機
JP5217493B2 (ja) 苗移植機
KR20140103054A (ko) 모종 이식기
CN110313279B (zh) 水田作业机
JP2014007997A (ja) 苗移植機
JP2011067136A (ja) 苗移植機
JP4325418B2 (ja) 苗移植機
JP2009153403A (ja) 移植機の伝動装置
JP3561420B2 (ja) 移植機
JP2011050264A (ja) 苗移植機
JP2002253010A (ja)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機構
JP2013202011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