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155A -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155A
KR20110034155A KR1020090091579A KR20090091579A KR20110034155A KR 20110034155 A KR20110034155 A KR 20110034155A KR 1020090091579 A KR1020090091579 A KR 1020090091579A KR 20090091579 A KR20090091579 A KR 20090091579A KR 20110034155 A KR20110034155 A KR 2011003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eyes
mirror
sea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재
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155A/ko
Publication of KR2011003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는,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와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수평 거리를 인식하는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를 각각 구동하여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방향을 가변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가 운전자의 눈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자동차, 미러, 설정, 반사, 운전자, 룸, 사이드, 위치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irrors of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위치 및 거리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룸 미러 및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중이나 후진시 후방이나 주위를 살피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에 취부되는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교체되었을 경우 운전자 각자의 체형에 맞도록 아웃사이드 미러를 조절하여 차량의 후방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차안에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가 보급되었다.
이와 같은 아웃사이드 미러는 각도 조절방식에 따라 3선와이어식과 2모터방 식으로 각도를 조절하고 있는바, 2모터방식은 2개의 소형직류모터와 감속기어가 있어 미러의 배면에 부착된 베이스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약 10~20°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와 병행하여, 차량 내부의 사람의 모습을 인식 저장하여 자리나 핸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운전자 판별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운전자 판별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해상도의 영상 입력수단으로 운전자의 얼굴 형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와, 상기 CCD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운전자 얼굴 형상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운전자 얼굴 형상을 비교하여 지정된 운전자 인가를 판단하는 형상 인식 시스템(20)과, 상기 형상 인식 시스템(20)의 비교에 따라 지정된 운전자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의 체격과 취향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둔 제어값을 출력시키는 콘트롤 박스(30)와, 상기 콘트롤 박스(30)의 제어값에 따라 시동과 시트 및 아웃 사이드 미러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동을 걸어주는 시동장치(41)와, 시트의 높낮이와 거리를 조절하는 시트조작장치(42)와,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아웃 사이드 미러 조절장치(43)등으로 구성되며, 룸 미러, 핸들, 오디오 등도 자동조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에서 상기 카메라(10)는 운전자의 얼굴 형상을 고해상도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형상 인식 시스템(20)에 인가시킨다.
상기 형상 인식 시스템(20)은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형상과 미리 기억시켜 놓은 운전자의 얼굴 형상을 비교하여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운전자가 미리 지정된 운전자인가를 판단하고 형상 인식 판단 결과값을 출력시킨다.
상기 형상 인식 시스템(20)에서 지정된 운전자임을 나타내는 형상 인식 판단 결과값은 상기 콘트롤 박스(30)에 인가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30)에서는 지정된 운전자별로 체격 및 취향에 따라 기억시켜 놓은 제어값을 출력시키게 된다.
즉, 상기 콘트롤 박스(30)에는 지정된 운전자 별로 각각의 체격 및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운전조건을 맞추어 줄 수 있는 제어값이 메모리되어 있게 되고 상기 형상 인식 시스템(20)에서 비교판단된 결과값에 따라 정해진 운전자의 취향과 체격에 따른 제어값을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콘트롤 박스(30)에서 출력된 제어값은 시동장치(41)에 인가되어 자동차 시동을 걸어주는 한편 시트조절장치(42)와 아웃 사이드 미러 조절장치(43)에 인가되어 시트의 높낮이와 거리 및 아웃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운전자의 체격 또는 운전습관에 따라 시트, 아웃 사이드 미러를 조절해 주어야 하나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에서는 운전자만 확인되면 확인된 운전자가 지정한 대로 시트의 높낮이와 거리 및 아웃 사이드 미러 각도를 조절해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 박스(30)의 제어값에 따라 핸들의 높낮이 조절과 오디 오 상태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트롤 박스(30)의 제어값에 따라 조절되는 제어 대상물은 추가 및 감소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형상 인식 시스템(20)에서 지정된 운전자임이 확인되면 콘트롤 박스(30)에서 제어 대상물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운전자 판별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운전자의 얼굴 형상을 미리 기억시켜 놓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운전자와 상기 저장된 운전자의 얼굴 형상을 비교하여 지정(저장)된 운전자임이 확인되면 시트의 높낮이와 거리 및 아웃 사이드 미러 각도를 조절하므로, 운전자가 교체되거나 지정된 운전자라 할지라고 운전자의 자세가 변경되었을 때, 시트의 높낮이와 거리 및 아웃 사이드 미러 각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눈 높이와 위치(핸들 또는 계기판으로부터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룸 미러 및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는,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와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인식하는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를 각각 구동하여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방향을 가변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 및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가 운전자의 눈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카메라 주위에 설치되어 야간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이 영상 처리부에서 선명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얼굴을 비추는 적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주기로 운전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레이져 스캐닝하는 레이져 스캐닝 장치; 및 상기 레이져 스캐닝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은,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 그리고 운전석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 그리고 수평 거리에 따라 운전자 눈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방향이 운전자의 눈을 향하도록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은 설정된 주기로 반복하고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 설정 과정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한 대의 자동차가 여러명의 운전자에 의해 운전될 수 있는 가능성은 우리 주변 어디든지 존재한다.
즉, 한 대의 자동차를 가족 구성원들이 필요에 따라 여러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고, 초보 운전을 도와주는 경우, 법인 차량이나 자동차를 렌트할 경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한 사람의 운전자에 의해 자동차가 운전되지 않을 경우나 운전자의 운전 자세가 변할 경우는 반드시 룸 미러 또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눈 높이와 위치(핸들 또는 계기판으로부터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룸 미러 및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므로, 운전자 또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게 최적으로 룸 미러 또는 아웃 사이드 미러 반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로 룸 미러 또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의 눈 높이, 눈의 위치(좌/우) 및 핸들 또는 계기판과 운전자의 눈 사이의 거리 등을 인식하는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1)와, 자동차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자동차 내부 및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룸 미러(3)와, 상기 룸 미러(3)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룸 미러(3)의 반사 방향을 상하좌우 방 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액츄에이터(4)와, 자동차 외부 좌측에 설치되어 자동차 좌측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좌측 아웃 사이드 미러(5)와, 상기 좌측 아웃 사이드 미러(5)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좌측 아웃 사이드 미러(5)의 반사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액츄에이터(6)와, 자동차 외부 우측에 설치되어 자동차 우측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7)와, 상기 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7)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5)의 반사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3 액츄에이터(8)와,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1)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자동차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의 눈 높이, 눈의 위치(좌/우) 및 핸들 또는 계기판과 운전자의 눈 사이의 거리 등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룸 미러(3),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5, 7)의 반사 각도가 운전자의 눈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4, 6, 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a), 영상 처리부(1b), 적외선 램프(1c), 초음파 센서(1d)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1a)는 운전석 전방의 루프 패널 하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b)는 카메라(1a)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적외선 램프(1c)는 운전석 전방의 루프 패널 하측, 즉 카메라(1a) 주위 에 설치되며, 야간에 카메라(1a)에 의해 촬영되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이 영상 처리부(12)에서 선명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야간에 작동되어 운전자의 얼굴을 비추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조등과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센서(1d)는 운전석 전방의 루프 패널 하측에 설치되어 운전석의 전방 일측(핸들 또는 계기판)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대체적으로 얼굴까지의 수평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초음파 센서(1d)는 그 대역이 대략 30°이내로 직진성이 뛰어난 협대역 초음파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영상 처리부(1b) 및 초음파 센서(1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눈 높이(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 및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의 눈의 수평 거리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4, 6, 8)를 구동하는 값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2)는 타이머를 내장하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초기 설정된 후 약 10분 간격)로 운전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룸 미러(3) 및 아웃 사이드 미러(5, 7)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운전자 눈의 높이와 위치 파악이 곤란할 경우(예를 들어, 선글라스를 착용한 운전자일 경우)에 입력되는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얼굴 형태를 파악하여 운전자의 일반적인 눈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제 1, 2, 3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는 제 1, 2, 3 액츄에이터가 일정전압에서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외부에서 강제로 거울을 작 동했을 때에도 무리 없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1)가 카메
라(1a), 적외선 램프(1c), 및 초음파 센서(1d)를 이용해 운전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가 상기한 카메라(1a), 적외선 램프(1c), 및 초음파 센서(1d)를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카메라(1a), 적외선 램프(1c), 및 초음파 센서(1d)는 레이져 스캐닝(laser scanning) 장치와 같은 3D 스캐닝 장치를 통해 통합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운전자 인식 장치(1)가 레이져 스캐닝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레이져 스캐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스캐닝한 후, 스캐닝한 얼굴 영상을 영상 처리부(1b)에 전달하고, 영상 처리부(1b)는 전달받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영상처리부(1b)로부터 운전자의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측정한다(1S). 그리고, 상기 초음파 센서(1d)로부터 운전자의 눈의 수평 거리를 측 정한다(2S).
이와 같이 측정된 값에 따라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인식한다(3S).
그리고, 인식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룸 미러(3)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5, 7)의 방향을 가변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4, 6, 8)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룸 미러(3)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5, 7)의 반사 각도가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한다(4S).
그리고,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팅된 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5S, 6S, 7S), 상기 과정(1S-4S)을 반복하고,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8S)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운전자의 눈 높이와 위치(핸들 또는 계기판으로부터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룸 미러 및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므로, 운전자 또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게 최적으로 룸 미러 또는 아웃 사이드 미러 반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로 룸 미러 또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전자 판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의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 1a: 카메라
1b: 영상 처리부 1C: 적외선 램프
1d: 초음파 센서 2: 제어부
3: 룸 미러 4, 6, 8: 액츄에이터
5, 7: 아웃 사이드 미러

Claims (9)

  1.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와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인식하는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를 각각 구동하여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방향을 가변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 및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가 운전자의 눈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석의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카메라 주위에 설치되어 야간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이 영상 처리부에서 선명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얼굴을 비추는 적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주기로 운전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위치 인식 장치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레이져 스캐닝하는 레이져 스캐닝 장치; 및
    상기 레이져 스캐닝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장치.
  7.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 그리고 운전석 전방 일측으로부터 운전자 눈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 그리고 수평 거리에 따라 운전자 눈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의 반사 방향이 운전자의 눈을 향하도록 상기 룸 미러 및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은 설정된 주기로 반복하고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 설정 과정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운전자 눈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눈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러 자동 설정 방법.
KR1020090091579A 2009-09-28 2009-09-28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KR20110034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579A KR20110034155A (ko) 2009-09-28 2009-09-28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579A KR20110034155A (ko) 2009-09-28 2009-09-28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155A true KR20110034155A (ko) 2011-04-05

Family

ID=4404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579A KR20110034155A (ko) 2009-09-28 2009-09-28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1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9000A (zh) * 2013-07-31 2013-10-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调节装置、方法、系统及汽车
KR101390355B1 (ko) * 2013-01-21 201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미러 반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50232033A1 (en) * 2012-09-21 2015-08-20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mirror for a motor vehicle
CN105966317A (zh) * 2016-05-12 2016-09-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后视镜调节控制方法、模型预测控制处理器及其设备
US9602624B2 (en) 2013-09-30 2017-03-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L.P. Facilitating content management based on profiles of members in an environment
CN107264410A (zh) * 2017-05-31 2017-10-20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后视镜及其工作方法
KR20190018868A (ko) * 2017-08-16 2019-02-26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룸 미러 자동 설정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2033A1 (en) * 2012-09-21 2015-08-20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mirror for a motor vehicle
US9446716B2 (en) * 2012-09-21 2016-09-20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mirror for a motor vehicle
KR101390355B1 (ko) * 2013-01-21 201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미러 반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CN103359000A (zh) * 2013-07-31 2013-10-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调节装置、方法、系统及汽车
US9602624B2 (en) 2013-09-30 2017-03-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L.P. Facilitating content management based on profiles of members in an environment
US9819764B2 (en) 2013-09-30 2017-11-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content management based on profiles of members in an environment
CN105966317A (zh) * 2016-05-12 2016-09-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后视镜调节控制方法、模型预测控制处理器及其设备
CN105966317B (zh) * 2016-05-12 2018-03-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后视镜调节控制方法、模型预测控制处理器及其设备
CN107264410A (zh) * 2017-05-31 2017-10-20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后视镜及其工作方法
CN107264410B (zh) * 2017-05-31 2020-01-21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后视镜及其工作方法
KR20190018868A (ko) * 2017-08-16 2019-02-26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룸 미러 자동 설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155A (ko) 자동차의 미러 자동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CN110239441B (zh) 一种后视镜的视野自动调整方法和装置
CN108621947B (zh) 一种自适应调节的车载抬头显示系统
JP2009113621A (ja) 乗員画像撮像装置、運転支援装置
KR20160108362A (ko) 차량 미러 조절
JP2003260933A (ja) 自動眩しさ調節装置
TWI593578B (zh) 車輛及應用於該車輛之自動調節系統及自動調節方法
JP5369815B2 (ja) 障害物視認装置
KR20130013711A (ko) 자동 미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321522B1 (ko) 접이식 사이드 미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JP2006015872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および視界調整システム
KR20020007646A (ko) 자동차용 미러 각도 자동 조정 장치
CN110228418B (zh) 用于车辆内后视镜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车辆
KR101941057B1 (ko) 다기능 adas 전방 카메라 장치
KR100512855B1 (ko) 차량의 미러 각도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58208A (ko)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오토 폴딩 시스템 및 방법
JP4026471B2 (ja) 車両用視認機器調整装置
KR20110069551A (ko) 전동 룸미러의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23578B1 (ko) 차량의 리어 미러 자동 조정 시스템
KR20140023488A (ko) 차량의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691418A (zh) 一种电子汽车后视镜系统
CN210047399U (zh) 一种后视镜调节组件和车辆
KR20060072268A (ko)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선바이저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US20220292841A1 (en) Vehicle camera mirror system with adjustable video feed
EP4328090A1 (en) Auto dimming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