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673A - 도어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673A
KR20110033673A KR1020090091253A KR20090091253A KR20110033673A KR 20110033673 A KR20110033673 A KR 20110033673A KR 1020090091253 A KR1020090091253 A KR 1020090091253A KR 20090091253 A KR20090091253 A KR 20090091253A KR 20110033673 A KR20110033673 A KR 2011003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support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120B1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09009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가 상하 유동이 방지되어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는,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100,100')와; 가구(F)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0,100')의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210,210')과; 상기 도어(100,1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210,210')을 따라 구르는 바퀴(220,220')와; 상기 도어(100,10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바퀴(220,220')가 상기 도어(100,100')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30,230')와; 상기 도어(100,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바퀴(220,220')가 레일(210,210')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균형수단(2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랍, 닫힘, 중첩, 균형, 링크

Description

도어 개폐구조{Opening-closing structur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가 상하 유동이 방지되어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랍이나 도어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서랍이나 도어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또한, 좌우로 개폐되는 미닫이문 등에도 자동닫힘장치가 구비되어, 도어가 자동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좌우로 개폐되는 종래의 미닫이문은 작동 중에 도어의 상하 유동으로 인해 레일바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미닫이문에 자동닫힘장치를 적용하면, 이와 같은 도어의 상하 유동은 더욱 심각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의 바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성을 가지는 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닫힘은 물론 자동 열림도 동시에 가능한 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는,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와;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도어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바퀴와; 상기 도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바퀴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바퀴지지대와; 상기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바퀴가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균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구조에 따르면,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가구에, 도어를 자동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자동개폐기구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닫힘과 열림이 모두 자동적으로 제어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도어의 충돌로 인한 소음과 도어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다. 즉, 각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자동개폐기구와 링크 등의 크기 및 설치위치가 서로 상이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도어가 서로 개폐되는 경우에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도어의 닫힘과 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균형수단이 구비된다. 즉, 도어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차단하는 균형롤러가 구비되는 균형수단이 가구에 더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바퀴가 레일을 이탈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어 이탈을 방지하는 균형수단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내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롤러지지대를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에 의해 균형롤러가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위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는, 좌우로 유동하여 서로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와, 상기 좌측도어(100)가 자동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상기 우측도어(100')가 자동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우측닫힘 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와, 상기 좌측도어(100)가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좌측링크(200)와, 상기 우측도어(100')가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우측링크(200')와, 가구(F)나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도어(100)와 우측도어(100')가 좌우로 유동하여 서로 선택적으로 겹쳐지도록 안내하는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구(F)의 전방(도 2에서)에는,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각각 이격 설치되며, 좌측의 좌측도어(100)는 우측도어(100')보다 상기 가구(F)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도어(1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우측도어(100')와 가구(F) 사이의 틈새로, 상기 좌측도어(100)가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도어(100')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도어(100)의 상단보다 더 높게 돌출된다. 즉, 상기 우측도어(100')의 상하 크기는, 상기 좌측도어(100)의 상하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우측도어(100')의 상단은 상기 좌측도어(100)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다.
이는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서로 겹쳐지는 경우에, 상기 좌측링크(200)와 우측링크(200')는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 등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좌측도어(100)와 우측도어(100')의 상하 길이를 다르게 하는 대신, 좌측도어(100)와 우측도어(100')가 동일한 상하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의 높이만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좌측도어(100)가 닫히거나 열리는 것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는 좌우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F)의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우측닫힘기구(120')와 우측열림기구(120'a)도,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의 열림기구(120a,120'a) 및 닫힘기구(120,120')는, 그 설치위치와 설치방향만 달리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되며,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닫힘기구(120,120') 및 열림기구(120a,120'a)는,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를 구성하며, 상기 제1레일(210)과 제2레일(210')의 후방(도 2에서)에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좌측링크(200) 및 우측링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닫힘기구(120,120') 및 열림기구(120a,120'a)의 걸림스위치(130)에 일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좌측링크(200) 및 우측링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우측 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닫힘기구(120,120') 및 열림기구(120a,120'a)의 걸림스위치(130)에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일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좌측링크(200) 및 우측링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에 구비된다. 즉, 상기 좌측링크(200) 및 우측링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되며, 이러한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좌측링크(200) 및 우측링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202)와, 상기 지지부(20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벤딩(bending)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부(20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204)는,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닫힘기구(120) 및 우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은, 상기 가구(F)의 상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210)과 제2레일(210')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F)의 상면에는 좌우로 길게 소정 크기의 폭을 가지는 고정편(212)이 장착되고, 이러한 고정편(212)의 전후단에 상기 제1레일(210)과 제2레일(210')이 각각 가구(F)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210)은, 상기 제2레일(210')보다 가구(F)의 전방에 설치된다.
한편, 도 2에는, 상기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 그리고, 상기 닫힘기구(120,120') 및 열림기구(120a,120'a) 등이 가구(F)의 상면에 구비되어 도어(100,100')의 개폐를 안내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레일(210,210')과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등은 가구(F)의 하면에도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에는, 상기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좌측바퀴(220) 및 우측바퀴(220')와, 상기 좌측바퀴(220) 및 우측바퀴(220')와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는, 일단은 상기 도어(100,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바퀴(220,2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30')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
Figure 112009059170308-PAT00001
'형상(우측에서 볼 때)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2개가 나란히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230) 또는 제2지지대(230')를 각각 2개씩 구비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좌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지지대(230')의 크기는, 상기 제1지지대(230)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우측링크(200')가 좌측링크(200)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지지대(230')도 상기 제1지지대(230)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우측도어(100')가 상기 가구(F)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우측도어(100')의 상단 높이가 좌측도어(100)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지지대(230')의 높이와 전후길이는 상기 제1지지대(230)의 높이와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서로 겹쳐져 중첩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도어(100)는 상기 우측도어(100')와 가구(F)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도어(100) 및 좌측바퀴(220)는 상기 제2레일(210')과 우측도어(10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의 하단에는, 각각 상기 좌측바퀴(220)와 우측바퀴(220')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바퀴(220)는 상기 제1지지대(23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우측바퀴(220')는 상기 제2지지대(230')의 외측에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바퀴(220)는 상기 제1지지대(230)의 하단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바퀴(220')는 상기 제2지지대(230')의 하단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에는, 상기 도어(100,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바퀴(220,220')가 레일(210,210')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균형수단(2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균형수단(250)은, 상기 도어(100,100')가 상방으로 들리지 않도록 제어하여 도어(100,100')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균형수단(250)의 상세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와 링크(200,200')가 결합되는 경우의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로부터 링크(200,200')가 분리되는 경우의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상태가 부분 절개된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자동개폐기구는, 도 2의 자동개폐기구가 상하로 뒤집어진 형태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는, 상기 링크(200,20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형성된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홀(140)과,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200,200')가 걸어지는 돌기(132,133)와, 상기 당김부재(1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체결단(134)과,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136,1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132,133)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좌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132)와, 상단 우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는 소 정의 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132)는 상기 도어(100,100')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링크(200,200')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133)는 상기 도어(100,100')가 열리는 경우에 링크(200,20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136,13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우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136)과,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좌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돌기(132,133)와 대칭되는 하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부를 당겨 걸림스위치(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적어도 하측(도 4에서)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홀(14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142)과, 상기 수평홀(14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144)과, 상기 가이드홀(144)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14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내홀(140)은 3단계의 경사를 가진다. 즉 안내홀(140)의 좌측은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길이방향과 같이 좌우로 수평으로 소정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평홀(14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평홀(142)의 우측에는 수평홀(142)보다 아래로 소정 각도로 꺽여진 가이드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44)의 우측에는 더 큰 각도로 아래로 꺽여진 고정홀(1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44)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 유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에 수용되는 경우나,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안 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당김부재(15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좌측단은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하단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당김부재체결단(1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15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댐퍼(160)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복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중앙 부분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댐퍼(160)는 댐퍼홀더(162)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우측단에는 로드(164)가 돌출되어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160)에 의해 감속되어 결국, 도어(100,10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양단에는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가 볼트(bolt)에 의해 상기 가구(F)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홀(170)이 관통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균형수단(2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균형수단(250)이 설치된 가구의 좌측면도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균형수단(25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균형수단(250)을 구성하는 안내돌기(262)의 설치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형수단(250)은, 상기 바퀴(220,220') 의 설치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균형롤러(252)와, 상기 균형롤러(252)가 상기 지지대(230,23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지지하는 롤러지지대(254)와, 상기 도어(100,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잡아주는 지지부재(256)와,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균형롤러(252)가 상기 바퀴(220,220')가 접하는 가구(F)의 반대편 일면에 접하도록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기구(258)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균형롤러(252)는 회전 가능한 바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퀴(220,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가구(F) 상판의 아래에 설치된다. 즉, 상기 균형롤러(252)는, 상기 바퀴(220,220')가 유동하는 레일(210,210')이 설치되는 가구(F)의 상판 반대면(저면)에 구비되어 회전한다.
상기 롤러지지대(2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형롤러(252)가 끼워지는 수평대(254')와, 상기 수평대(25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대(2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대(2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230,230')에 체결된다.
상기 수직대(25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262)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262)는, 안내수단(260)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정위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대(254")의 중앙 부근은 상기 지지부재(256)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부재(256)는, 상기 도어(100,100')의 후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수직대(254")를 잡아주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재(25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안내수단(260)을 구성하는 유동통로(264)와 수용홈(266)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256)에는 상하로 소정 폭을 가지는 유동통로(26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66)은 상기 유동통로(264)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66)은, 상기 롤러지지대(254)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설치시 상기 안내돌기(262)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통로(264)는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안내돌기(262)가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홈(266)으로부터 빠져나와 상하로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조절기구(2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지지대(254)에 달려있는 상기 균형롤러(252)가 가구(F)의 상판 하면에 접하도록 롤러지지대(254)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절기구(258)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상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러한 롤러지지대(254)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230,230')를 관통하여 가구(F)의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롤러지지대(254)의 상단에 상기 조절기구(258)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균형수단(250)에는, 상기 균형롤러(252)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2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수단(260)은,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 출 형성되는 상기 안내돌기(262)와, 상기 지지부재(256)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262)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상기 유동통로(264)와, 상기 유동통로(264)로부터 측방으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262)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수용홈(266)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상기 좌측도어(100)가 우측으로 열린 상태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즉 상기 좌측도어(1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우측도어(100')와 가구(F)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좌측도어(100)와 제1레일(2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우측도어(100')와 제2레일(21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서로 겹쳐져 중첩되는 경우에도, 상기 좌측도어 및 제1지지대(230)는 상기 우측도어(100') 또는 제2지지대(23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좌측링크(200)는,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의 걸림스위치(130),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 결합되어 좌측도어(100)의 열림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도어(100)는,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며, 정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가 위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품의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의 설치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즉, 여기에서는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제1레일(210) 또는 제2레일(210')의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제1레일(210)의 전방에 설치된다. 즉,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제1레일(210)과 좌측도어(10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도면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와 좌측열림기구(120a)가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제1레일(210)과 좌측도어(100) 사이의 거리를 더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가 상기 제1레일(210)과 좌측도어(100)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좌측링크(200)의 길이가 제1실시예에 비해 짧아진다. 즉, 좌측링크(200)의 지지부(202)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레일(210')의 후측에 설치된다. 다만, 여기에서도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를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의 설치 를 도 2와 같이 눕혀진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가, 상기 제1레일(210) 또는 제2레일(210')의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되도록 하면, 상기 좌측도어(100)와 우측도어(100')의 중첩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우측도어(100')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우측도어(10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측도어(100)와 겹쳐진 상태가 상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도어(100')와 가구(F) 사이에 좌측도어(10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지지대(230)와 좌측링크(200) 등은 상기 제2지지대(23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처럼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가 상기 좌측도어(100)와 제1레일(2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도어(100)와 제1레일(2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우측도어(100')와 제2레일(21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도어(100) 및 우측도어(100')가 서로 겹쳐져 중첩되는 경우에도, 상기 좌측도어 및 제1지지대(230) 그리고 좌측링크(200)는, 상기 우측도어(100') 또는 제2지지대(23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도어 개폐구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제1실시예에 의해 도어(100,100')가 개폐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의 좌측도어(100)를 우측으로 밀면, 상기 좌측바퀴(220)가 제1 레일(210)을 따라 구르게 되므로, 상기 좌측도어(100)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좌측링크(200)의 걸림부(204)는,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 보다 자세히는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도어(100)의 우측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스위치(130)도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결국에는 상기 좌측링크(200)와 걸림스위치(130)는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는, 다시 상기 좌측링크(200)는,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의 걸림스위치(130), 즉,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의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 위치되어, 좌측열림기구(120a)에 의해 우측으로 계속 열려진다. 그런 다음,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에 의해 열림이 정지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도어(100)를 좌측으로 밀어 닫는다. 이때에는 상기 좌측링크(200)의 걸림부(204)가, 좌측열림기구(120a)의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좌측열림기구(120a)와 분리되고, 다시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에 걸어진 상태로 좌측도어(100)의 닫힘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도어(1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204)가 상기 좌측열림기구(120a)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에 접근하여 상기 닫힘돌기(132)에 부딪힌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 힘으로 인하여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가이드홀(144)로 이동한다.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가이드홀(144)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당김부재(15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가이드홀(144)을 따라 미끌어져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자동적으로 수평홀(14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돌기(132,133)에 상기 좌측링크(200)의 걸림부(204)가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좌측도어(100)는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닫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당김부재(150)에 의해 저절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좌측도어(100)를 끝까지 닫지 않아도 좌측도어(100)는 저절로 닫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좌측닫힘기구(120)의 걸림스위치(130)에는 상기 댐퍼(160)의 로드(16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댐핑력에 의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좌측 이동속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좌측도어(100)의 닫힘시 충돌이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도 9과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본다.
이때의 도어(100,100') 열림과 닫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즉, 도 9과 같은 상태에서 우측의 우측도어(100')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우측도어(100')는 도 10과 같이 좌측도어(100)와 겹쳐진다.
이때에는, 각 지지대(230,230')와 링크(200,200') 등은 서로 간섭되지 않으 므로, 좌측도어(100)와 우측도어(100')는 서로 완전히 겹쳐진다.
이와 같이, 상기 우측도어(100')가 열릴 때의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와 우측링크(200')의 작동은,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살펴본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좌측링크(200)의 작동과 같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우측도어(100')를 다시 우측으로 밀게 되면, 우측도어(100')가 슬라이딩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상기 우측닫힘기구(120') 및 우측열림기구(120'a)와 우측링크(200')의 작동은,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살펴본 좌측닫힘기구(120) 및 좌측열림기구(120a)와 좌측링크(200)의 작동과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100,10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균형롤러(252)가 가구(F)를 따라 좌우로 함께 유동한다. 즉, 상기 균형수단(250)이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3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100,100')의 유동과 함께 균형롤러(25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00,100')의 상방 유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수단(250)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지지부재(256)가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안내돌기(262)는 상기 지지부재(256)의 수용홈(266)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우선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230,230')를 관통하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상기 지지부재(256)를 상기 도 어(100,100')의 후면에 밀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도 7과 같이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안내돌기(262)는 ①의 위치에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시계방향(위에서 볼 경우)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262)는 시계방향(화살표)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동통로(264)로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 안내돌기(262)는, 도 7의 ②의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262)가 유동통로(264)에 들어가면, 상기 균형롤러(252)가 가구(F)의 상판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조절기구(258)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상측으로 유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균형롤러(252)가 상기 가구(F)의 상판 하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기구(258)를 조여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어 균형수단(25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56)에는 유동통로(264)와 수용홈(26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균형롤러(252)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구(F)의 상면에 레일(210,210')과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등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각 부품들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가구(F)의 상면에 레일(210,210')과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등을 설치하는 외에, 상기 레일(210,210')과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 등을 가구(F)의 하면에도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상하에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하면, 도어(100,100')의 개폐가 보다 원활해지며, 도어(100,100')의 유동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균형수단(250)을 상기 가구(F)의 상판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균형수단(250)을 상기 가구(F)의 하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은 균형수단(250)을 가구(F)의 하판에 설치하여 도어(100,10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자동개폐기구와 링크가 결합되는 경우의 자동개폐기구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자동개폐기구로부터 링크가 분리되는 경우의 자동개폐기구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균형수단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균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균형수단의 안내돌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어가 서로 겹쳐진 상태를 보인 상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방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어가 서로 겹쳐진 상태를 보인 상방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 도어 120,120'. 닫힘기구
120a,120'a. 열림기구 200,200'. 링크
210,210'. 레일 220,220'. 바퀴
230,230'. 지지대 250. 균형수단
260. 안내수단 F. 가구

Claims (5)

  1.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100,100')와;
    가구(F)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0,100')의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210,210')과;
    상기 도어(100,1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210,210')을 따라 구르는 바퀴(220,220')와;
    상기 도어(100,10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바퀴(220,220')가 상기 도어(100,10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30,230')와;
    상기 도어(100,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바퀴(220,220')가 레일(210,210')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균형수단(2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구조.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수단(250)은,
    상기 바퀴(220,220')가 유동하는 레일(210,210')이 설치되는 가구(F)의 상판 반대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균형롤러(252)와;
    상기 균형롤러(252)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대(254)와;
    상기 롤러지지대(254)를 잡아주는 지지부재(256)와;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균형롤러(252)가 상기 바퀴(220,220')가 접하는 가구(F)의 반대편 일면에 접하도록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기구(25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수단(250)에는, 상기 균형롤러(252)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2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안내수단(260)은,
    상기 롤러지지대(25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262)와;
    상기 지지부재(256)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262)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통로(264)와;
    상기 유동통로(264)로부터 측방으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262)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26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F)의 일면에는, 상기 도어(100,100')가 자동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어(100,100')의 일측에는,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의 걸림스위치(13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도어(100,100')의 자동 닫힘 또는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200,200')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200,200')는, 상기 지지대(230,230')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기구(120,120',120a,120'a)는,
    상기 가구(F)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0,100')의 자동 닫힘을 제어하는 닫힘기구(120,120')와;
    상기 가구(F)의 일측에 상기 닫힘기구(120,120')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도어(100,100')의 자동 열림을 제어하는 열림기구(120a,1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구조.
KR1020090091253A 2009-09-25 2009-09-25 도어 개폐구조 KR10114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53A KR101148120B1 (ko) 2009-09-25 2009-09-25 도어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53A KR101148120B1 (ko) 2009-09-25 2009-09-25 도어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673A true KR20110033673A (ko) 2011-03-31
KR101148120B1 KR101148120B1 (ko) 2012-05-23

Family

ID=4393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253A KR101148120B1 (ko) 2009-09-25 2009-09-25 도어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85B1 (ko) * 2015-10-01 2017-10-12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784982B1 (ko) 2015-10-13 2017-10-12 김용갑 병렬식 속도조절댐퍼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6217B2 (ja) 2001-01-31 2003-07-14 オーリス株式会社 引き違い戸装置
JP3594240B2 (ja) * 2001-04-10 2004-11-24 オーリス株式会社 引き違い戸装置
EP1835105B1 (de) * 2006-03-17 2013-08-14 HAUTAU GmbH Beschlagsystem für einen abstellbaren Schiebefluegel
KR200448166Y1 (ko) * 2008-03-17 2010-03-24 안중식 일체형 도어 연결부재를 갖는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20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176B2 (en) Platform screen gate system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KR20150077000A (ko)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197538B1 (ko)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KR20110102066A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TW201600700A (zh) 移動門用的輪箍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0942221B1 (ko) 스텝리스 슬라이딩 도어
KR20130133771A (ko) 슬라이딩 도어 롤러 가이드 및 가구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롤러 가이드 장치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CN103422762B (zh) 用于多门左右缓冲开合的导向装置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KR20170005974A (ko)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JP2007146545A (ja) 引き戸装置
JP2002021435A (ja) 折戸用ローラー装置及びこの折戸用ローラー装置を備えた家具及びクローゼット
KR200332006Y1 (ko)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102138297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439694Y1 (ko) 미닫이도어용 이동안내부재의 고정구조
JP3128272U (ja) 重力自動開閉引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