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902A - 미닫이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902A
KR20110032902A KR1020090090643A KR20090090643A KR20110032902A KR 20110032902 A KR20110032902 A KR 20110032902A KR 1020090090643 A KR1020090090643 A KR 1020090090643A KR 20090090643 A KR20090090643 A KR 20090090643A KR 20110032902 A KR20110032902 A KR 2011003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rtial
opening
bel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102009009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902A/ko
Publication of KR2011003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레일과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 새시 및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도어 새시;와, 상기 도어 새시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분할 개폐하도록 개방방향을 따라 순차로 중첩 배치되는 적어도 제 1 부분도어, 제 2 부분도어 및 제 3 부분도어를 갖는 도어부; 및 상기 제 2 부분도어의 상부에서 개폐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기 개폐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풀리와 제 2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를 연결하도록 띠 형상으로 마련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이동력을 상기 제 2 부분도어로 전달하는 결합부재를 갖는 연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종래에 비하여 도어 새시의 개구부의 개방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미닫이, 도어, 연동, 풀리, 벨트, 결합부재

Description

미닫이 도어 조립체{Sliding door assembly}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부분도어를 연동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획된 공간에는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다. 도어 조립체는 개폐방식에 따라 크게 미닫이 도어 조립체와 여닫이 도어 조립체로 구분된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고, 여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를 회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현관문과 거실의 사이,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도어 새시와, 개구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는 부분도어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의 폐쇄 작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각 부분도어들을 파지하여 가압하여야 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와 도어 섀시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부분도어를 연동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레일과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 새시 및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도어 새시;와, 상기 도어 새시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분할 개폐하도록 개방방향을 따라 순차로 중첩 배치되는 적어도 제 1 부분도어, 제 2 부분도어 및 제 3 부분도어를 갖는 도어부; 및 상기 제 2 부분도어의 상부에서 개폐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기 개폐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풀리와 제 2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를 연결하도록 띠 형상으로 마련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이동력을 상기 제 2 부분도어로 전달하는 결합부재를 갖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제 1 부분도어를 고정결합하는 제 1 결합부재와,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상부레일을 고정결합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제 1 풀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는 제 2 풀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부분도어의 후방에 형성된 클립형상의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벨트에 압착되어 고정된 압착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ㄴ"자 형상의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편의 일면중 상기 제 1 부분도어 및 제 2 부분도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턱과 마주보는 양단부에는 고정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톱니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꺾여져 연장된 다른 일면에는 상기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의 양단이 고정되는 두 개의 결착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벨트는 플렉시블한 금속재질 또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부분도어를 연동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 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각 부분도어(210, 220, 230)의 판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 1 부분도어(210)가 구비되는 측을 '전방'이라 하며, 제 3 부분도어(230)가 구비되는 측을 상대적으로 '후방'이라고 방향성을 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상부레일 부분을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상부영역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상부영역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는 도어 새시(100)와 도어부(200) 및 연동부(300)를 포함한다.
도어 새시(100)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도어부(200)에 의해 개폐되는 이동통로인 개구부(110)를 형성한다. 도어 새시(100)는 나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강철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새시(100)는 건축 구조물의 천정 즉, 개구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레일(120)과,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 새시(140) 및 건축 구조물의 바닥, 즉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레일(130)을 포함한다.
상부레일(120)은 후술하는 제 1 부분도어(210)와 제 2 부분도어(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가이드턱(124)과 제 2 가이드턱(126)을 포함한다. 그리고 방풍성과 외관상의 미려함을 위하여, 상부레일(120)의 전면에는 전면턱(122)이, 그리고 후면에는 고정문인 제 3 부분도어(230)가 끼워지는 한 쌍의 후면턱(128) 구비된다. 여기서,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가이드턱(124)과 제 2 가이드턱(126)이 배치된다.
측면 새시(140)는 개구부(110)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도어 새시(100)의 측벽을 형성한다. 각 측면 새시(140)는 개구부(110)의 폐쇄상태에서 후술하는 제 1 부분도어(210) 및 제 3 부분도어(230)의 측벽에 접촉된다.
그리고 하부레일(130)은 각 부분도어(210, 220, 230)의 하부영역을 수용한다. 이때 하부레일(130)에는 제 1 가이드홈(132), 제 2 가이드홈(134) 및 제 3 가이드홈(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홈(132, 134, 136)에는 각 부분도어(210, 220, 23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제 1 하부턱(218), 제 2 하부턱(228) 및 제 3 하부턱(238)이 삽입됨으로써 각 부분도어(210, 220, 230)의 슬라이딩이 가이드된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3 부분도어(230)는 고정문을 이루나, 제 3 부분도어(23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하부레일(130)에 형성된 각 가이드홈(132, 134, 136)은 부분도어(210, 220, 2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외기가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도어부(200)는 도어 새시(10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판상의 제 1 내지 제 3 부분도어(210, 220, 230)를 포함한다.
제 1 부분도어(210)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제 1 부분도어(210)는 제 1 부분도어(2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 1 도어 프레임(212)과, 제 1 도어 프레임(212)의 중앙영역에 마련되는 제 1 도어 패널(214)을 갖는다.
제 1 도어 프레임(212)은 나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강철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 프레임(212)의 전면 및 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 패널(214)은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미감을 고려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 패널(214)은 나무,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 프레임(212)의 상벽에는 도어 새시(100)의 상부레일(120)에 돌출형성된 제 1 가이드턱(124)에 삽입되는 제 1 상부홈(216)이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벽에는 도어 새시(100)의 하부레일(13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홈(132)에 삽입되는 제 1 하부턱(218)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 2 부분도어(220) 및 제 3 부분도어(230)도 제 1 부분도어(2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제 2 부분도어(220) 및 제 3 부분도어(230)는 각각 제 2 도어 프레임(222) 및 제 3 도어 프레임(232), 제 2 도어 패널(224) 및 제 3 도어 패널(234)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도어 프레임(222)의 상벽과 하벽에도 각각 제 2 상부홈(226)과 제 2 하부턱(228)이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3 도어(230)는 고정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도어 프레임(232)의 상벽에는 홈 구조가 없고, 하벽에만 제 3 하부턱(238)이 구비되어 있다.
도어부(200)가 도어 새시(100)의 개구부(110)를 폐쇄한 폐쇄상태에서 각 부분도어(210, 220, 230)의 경계영역에는 각 도어 프레임(212, 222, 232)이 중첩되어 있다. 즉, 제 1 도어 프레임(212)의 타측변과 제 2 도어 프레임(222)의 일측변이 중첩되어 있으며, 제 2 도어 프레임(222)의 타측변과 제 3 도어 프레임(232)의 일측변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도어 프레임(222)의 일측 전면과 타측 후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솔 형상의 방풍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방풍부재는 제 1 도어 프레임(212) 및 제 2 도어 프레임(222) 사이, 제 2 도어 프레임(222)과 제 3 도어 프레임(23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부분도어(210, 220, 230)가 도어 프레임(212, 222, 232)과 도어 패널(214, 224, 234)로 마련된다고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부분도어(210, 220, 230)는 하나의 패널형상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는 제 2 부분도어(220)에 마련되어 제 1 부분도어(210)의 개폐 이동에 따라 제 2 부분도어(220)가 이에 연동되어 같이 개폐되도록 하는 연동부(300)를 더 포함한다.
연동부(300)는 제 2 부분도어(220)의 상벽에 길이방향, 즉 제 2 부분도어(220)의 개폐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풀리(310, 320)와, 한 쌍의 풀리(310, 320)에 결합되는 벨트(330)와, 제 1 부분도어(210)로부터 발생된 벨트(330)의 이동력을 제 2 부분도어(220)로 전달하는 결합부재(340, 3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풀리(310, 320)와 벨트(330) 및 결합부재(340, 350)는 제 1 부분도어(210)의 후방과 제 2 부분도어(220)의 전방이 마주보는 영역, 즉 상부레일(120)의 제 1 가이드턱(124)와 제 2 가이드턱(12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풀리(310, 320)는 원통의 도르레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 2 부분도어(220)의 상벽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풀리(310, 320)는 제 2 부분도어(2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풀리(310)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풀리(320)를 포함한다.
벨트(330)는 한 쌍의 풀리(310, 320)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 쌍의 풀리(310, 320)를 연결한다. 벨트(330)는 소정 두께의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마련된다. 벨트(33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되며, 얇은 금속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와이어로 벨트(330)를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높은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와이어로 벨트(330)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으며, 벨트(330)은 러버 재질 또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340, 350)는 각 풀리(310, 3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330)와 제 1 부분도어(240)를 고정결합하는 제 1 결합부재(340)와,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330)와 상부레일(120)을 고정결합하는 제 2 결합부재(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도어(210)와 제 2 부분도어(220)가 폐쇄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 1 결합부재(340)는 제 1 풀리(3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 결합부재(350)는 제 2 풀리(3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는 제 1 결합부재(340)와 제 2 풀리(320) 사이의 거리 및 제 2 결합부재(350)와 제 1 풀리(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 1 부분도어(210)와 제 2 부분도어(220)의 개방량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재(340)는 제 1 부분도어(210)의 제 1 상부홈(216)의 후방에 형성된 클립형상의 결합편(342)과, 결합편(342) 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벨트(330)에 압착되어 고정된 압착편(3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결합부재(350)는 "ㄴ"자 형상의 고정편(352)으로 이루어지는데, 고정편(352)의 일면중 제1 가이드턱(124) 및 제 2 가이드턱(126)과 마주보는 양단부에는 고정톱니(352a)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톱니(352a)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꺾여져 연장된 다른 일면에는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330)의 양단이 고정되는 두 개의 결착공(358) 마련되어 있다. 고정편(352)의 고정톱니(352a)는 상부레일(120)의 제1 가이드턱(124) 및 제 2 가이드턱(126)에 톱니의 고정작용에 의하여 밀착지지됨으로써 고정편(352)을 상부레일(1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 1 결합부재(340)에 의하여 제 1 부분도어(210) 에 고정된 벨트(330)가 제 1 부분도어(210)의 개폐에 의하여 힘을 받으면, 벨트(330)는 제 2 결합부재(350)에 의하여 상부레일(1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벨트(330)의 이동력은 한 쌍의 풀리(310, 320)를 거쳐 제 2 부분도어(220)로 전달된다. 즉, 제 1 부분도어(210)의 개폐에 연동되어 제 2 부분도어(220)가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이 새시도어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나, 행거 도어를 포함하는 일반 미닫이 도어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어부(200)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어부(200)의 개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폐쇄상태의 제 1 부분도어(210)의 파지부(240)를 파지하고 개방방향을 따라 가압한다.
그러면, 제 1 부분도어(210)가 개방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 1 부분도어(210)의 이동력은 제 1 결합부재(340)에 의하여 벨트(330)에 전달된다.
이때 벨트(330)는 제 2 결합부재(350)에 의하여 상부레일(1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330)의 이동력은 한 쌍의 풀리(310, 320)가 고정되어 있는 제 2 부분도어(220)로 전달된다.
여기서, 한 쌍의 풀리(310, 320)는 벨트(33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고, 제 2 부분도어(220)는 제 1 부분도어(210)에 연동되어 개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 1 부분도어(21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방되는 경우의 역방향으로 제 2 부분도어(220)가 폐쇄될 것임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부분도어(210)를 개폐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제 2 부분도어(210)까지 동시에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부분도어(210)와 제 2 개방도어(220)가 연동되는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제 2 개방도어(220)의 후방에 또 하나의 연동부(300)를 구비한다면 제 3 부분도어(230) 역시 제 1 부분도어(210)에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제 3 부분도어(230)가 고정문이 아닌 미닫이문이라는 것이 당연히 전제되어 있음을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상부레일 부분을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상부영역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상부영역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도어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닫이 도어 조립체 100 : 도어 새시
110 : 개구부 120 : 상부레일
122 : 전면턱 124 : 제 1 가이드턱
126 : 제 2 가이드턱 128 : 후면턱
130 : 하부레일 132 : 제1 가이드홈
134 : 제 2 가이드홈 136 : 제 3 가이드홈
140 : 측면 새시 200 : 도어부
210 : 제 1 부분도어 212 : 제 1 도어 프레임
214 : 제 1 도어 패널 216 : 제 1 상부홈
218 : 제 1 하부턱 220 : 제 2 부분도어
222 : 제 2 도어 프레임 224 : 제 2 도어 패널
226 : 제 2 상부홈 228 : 제 2 하부턱
230 : 제 3 부분도어 232 : 제 3 도어 프레임
234 : 제 3 도어 패널 238 : 제 3 하부턱
240 : 파지부 300 : 연동부
310 : 제 1 풀리 320 : 제 2 풀리
330 : 벨트 340 : 제 1 결합부재
342 : 결합편 344 : 압착편
350 : 제 2 결합부재 352 : 고정편
352a : 고정톱니 358 : 결착공

Claims (6)

  1.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레일과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 새시 및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도어 새시;
    상기 도어 새시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분할 개폐하도록 개방방향을 따라 순차로 중첩 배치되는 적어도 제 1 부분도어, 제 2 부분도어 및 제 3 부분도어를 갖는 도어부; 및
    상기 제 2 부분도어의 상부에서 개폐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기 개폐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풀리와 제 2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를 연결하도록 띠 형상으로 마련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이동력을 상기 제 2 부분도어로 전달하는 결합부재를 갖는 연동부;
    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제 1 부분도어를 고정결합하는 제 1 결합부재와,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상부레일을 고정결합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제 1 풀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제 2 풀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부분도어의 후방에 형성된 클립형상의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벨트에 압착되어 고정된 압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ㄴ"자 형상의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편의 일면중 상기 제 1 부분도어 및 제 2 부분도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턱과 마주보는 양단부에는 고정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톱니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꺾여져 연장된 다른 일면에는 상기 후방영역에 배치된 벨트의 양단이 고정되는 두 개의 결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플렉시블한 금속재질 또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20090090643A 2009-09-24 2009-09-24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20110032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43A KR20110032902A (ko) 2009-09-24 2009-09-24 미닫이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43A KR20110032902A (ko) 2009-09-24 2009-09-24 미닫이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02A true KR20110032902A (ko) 2011-03-30

Family

ID=4393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43A KR20110032902A (ko) 2009-09-24 2009-09-24 미닫이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9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05A (ko) 2015-04-27 2016-11-04 김진호 도어의 하판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190047552A (ko) * 2017-10-27 2019-05-08 정영호 포켓 연동도어
CN112008170A (zh) * 2020-09-14 2020-12-01 力同机械自动化(上海)有限公司 双层滑动门导向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05A (ko) 2015-04-27 2016-11-04 김진호 도어의 하판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190047552A (ko) * 2017-10-27 2019-05-08 정영호 포켓 연동도어
CN112008170A (zh) * 2020-09-14 2020-12-01 力同机械自动化(上海)有限公司 双层滑动门导向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1471A3 (en) Window assembly with movable interior sash
KR20110032902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WO2019010742A1 (zh) 一种推拉门窗
EP1803887A3 (fr) Ensemble bloc baie avec volet roulant et bloc d&#39;huisserie
KR100985350B1 (ko) 창문 새시
KR20100096460A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CN110485867A (zh) 侧滑窗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ITPI20100042A1 (it) Struttura di finestra
JP2012193586A (ja) 建具
KR20030062090A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1266844B1 (ko)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JP6462460B2 (ja)
JP5243208B2 (ja) 引戸ユニット
JP4984065B2 (ja) スライド式折戸
JP4640352B2 (ja) ドア取付用縦枠構造及びドア取付用縦枠施工方法
CN101660386A (zh) 一种有框窗竖档
JPH09273362A (ja) 開閉装置
JP6815077B2 (ja) 建具
JP2003120150A (ja) 防音機能付の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JP4157411B2 (ja) 開口部装置
JP2020147952A (ja)
JP6434824B2 (ja) 引戸
JP2024025465A (ja) 開閉装置
KR20230052334A (ko) 탄성롤러를 구비한 미닫이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