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579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579A
KR20110030579A KR1020117000898A KR20117000898A KR20110030579A KR 20110030579 A KR20110030579 A KR 20110030579A KR 1020117000898 A KR1020117000898 A KR 1020117000898A KR 20117000898 A KR20117000898 A KR 20117000898A KR 20110030579 A KR20110030579 A KR 2011003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ft
display device
potentia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115B1 (ko
Inventor
하지메 이마이
히데끼 기따가와
신야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1/46Electric circuits using a capaci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7Special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use of low carrier mobility technolog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54)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52)와, TFT(52)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이며, TFT(52)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TFT(52)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Vpulse2)가 입력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영역에 포토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에 포토센서를 구비한 구성의 것이 있으며, 지문 인증이나 터치 패널에 대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도 6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러한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표시 영역의 구성과, 당해 표시 영역을 구동하는 회로 블록을 도시한다.
표시 영역에 있어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화소(18)는, 액정 용량(CLC), 보조 용량(C2), TFT(M4)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회로 이외에, 센서 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회로(10)는, n 채널형의 증폭기 TFT(M1), 포토센서(D1) 및, 용량(C1)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회로에 있어서, TFT(M4)의 게이트는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어 있고, TFT(M4)의 소스는 데이터 라인(6')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 용량(CLC)은 TFT(M4)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용량(C2)은 화소 전극과 공통 배선(TFTCOM)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라인(GL) 및 공통 배선(TFTCOM)은 게이트 드라이버(15)에 의해 구동되고, 데이터 라인(6')은 소스 드라이버(14)에 의해 구동된다.
센서 회로(10)에 있어서, 포토센서(D1)의 캐소드와 용량(C1)의 일단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증폭기 TFT(M1)의 게이트는, 포토센서(D1)와 용량(C1)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 TFT(M1)의 드레인은 데이터 라인(6')에 접속되어 있고, 증폭기 TFT(M1)의 소스는 센서 출력 배선(6)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6')은, 데이터 신호의 기입 기간 외에 설정되는 센서 구동 기간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통하여 센서 판독 드라이버(17)에 의해 구동되고, 센서 출력 배선(6)의 전압은 센서 판독 드라이버(17)에 의해 판독된다.
포토센서(D1)의 애노드는 리셋 배선(RST)에 접속되어 있고, 용량(C1)의 타단부는 행 선택 배선(RS)에 접속되어 있다. 리셋 배선(RST) 및 행 선택 배선(RS)은, 센서 행 드라이버(16)에 의해 구동된다.
도 7에 상기 센서 회로(10)를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증폭기 TFT(M1)의 드레인은, 데이터 라인(6')에 접속되고, 센서 구동 기간에 센서 판독 드라이버(17)로부터 전압(Vdd)을 인가한다. 증폭기 TFT(M1)의 소스는 센서 출력 배선(6)에 센서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한다. 증폭기 TFT(M1)의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용량(Cagd)이 형성되어 있고, 증폭기 TFT(M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는 용량(Cags)이 형성되어 있다.
포토센서(D1)는 TFT(101)의 다이오드 접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TFT(101)의 게이트와 드레인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애노드(A)와, TFT(101)의 소스로 이루어지는 캐소드(K)를 갖고 있다. 애노드(A)는 리셋 배선(RST)으로부터 전압(Vrst)을 인가한다. 애노드(A)와 캐소드(K) 사이, 즉 TFT(10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는 용량(Cdgs)이 형성되어 있다.
용량(C1)은 용량값(Cst)을 갖고 있으며, 상기 타단부에는 행 선택 배선(RS)으로부터 전압(Vpulse1)이 인가된다.
증폭기 TFT(M1)의 게이트와, 포토센서(D1)의 캐소드와, 용량(C1)의 일단부의 접속점을 노드(NetA)라고 칭한다.
이어서, 도 8을 사용하여 상기 구성의 센서 회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 구동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6')은 소스 드라이버(14)로부터 분리되어, 센서 판독 드라이버(17)에 접속된다. 센서 구동 기간의 초기의 시각 t1에, 센서 행 드라이버(16)로부터 리셋 배선(RST)에 인가하는 전압(Vrst)을 High 레벨(여기서는 0V)로 함으로써, 포토센서(D1)가 순방향으로 도통하여, 노드(NetA)의 전위(VnetA)는 High 레벨(여기서는 0V)이 된다. 또한, 이때, 센서 행 드라이버(16)로부터 행 선택 배선(RS)에 인가하는 전압(Vpulse1)을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한다. 센서 판독 드라이버(17)로부터 데이터 라인(6')에 인가하는 전압(Vdd)은 직류 전압인 15V로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시각 t2에, 센서 행 드라이버(16)는 전압(Vrst)을 Low 레벨(여기서는 -10V)로 한다. 이때, 포토센서(D1)는 애노드(A)의 쪽이 캐소드(K)보다 전위가 낮아지므로 역 바이어스 상태로 된다.
시각 t2부터는 차지 기간(T1)이 개시된다. 차지 기간(T1)에서는 노드(NetA)에 포토센서(D1)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차지가 행해진다. 포토센서(D1)에 광이 조사되면, 캐소드(K)로부터 애노드(A)를 향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가, 조사광의 강도에 따라 변화한다. 명부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가 크기 때문에, 애노드(A) 즉 전위(VnetA)가 급속하게 감소하고, 암부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가 작기 때문에, 전위(VnetA)가 완만하게 감소한다.
차지 기간(T1)이 종료하는 시각 t3에 있어서, 센서 행 드라이버(16)는 전압(Vpulse1)을 High 레벨(여기서는 20V)로 한다. 그러면, 전위(VnetA)는, 용량(C1)에 의한 용량 결합에 의해 부전위로부터 정전위로 상승되어, 명부와 암부의 전위차는 유지된다. 이때, 증폭기 TFT(M1)은 도통하지만, 전위(VnetA), 즉 증폭기 TFT(M1)의 게이트 전위는, 용량(Cagd) 및 용량(Cags)에 의한 용량 결합을 통한 부트스트랩 효과에 의해서도 상승된다. 따라서, 증폭기 TFT(M1)은, 부트스트랩 효과가 없는 경우보다 높은 출력 전압(Vout)을 소스로부터 출력한다. 시각 t3부터 센서 출력의 출력 기간(T2)이 개시된다.
전체 용량값(Ctotal)을,
Ctotal=Cdgs+Cst+Cagd+Cags
로 하고(단, 우변의 각 용량값은 용량명으로 대용했다),
α=Cst/Ctotal
로 하면, 전압(Vpulse1)에 의한 전위(VnetA)의 승압분(ΔVnetA)은,
ΔVnetA=α×Vpulse1p -p
로 된다. 단, Vpulse1p -p는 Vpulse1의 피크 투 피크 전압이며, 상기 예에서는 20V이다.
출력 전압(Vout)은 전위(VnetA)에 따른 전압이 되므로, 출력 기간(T2)에 출력 전압(Vout)을 센서 판독 드라이버(17)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포토센서(D1)의 센서 출력, 즉 포토센서(D1)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출력 기간(T2)이 종료하는 시각 t4에 있어서, 센서 행 드라이버(16)는 전압(Vpulse1)을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하여 센서 구동 기간을 종료한다.
국제 공개 WO2007/145347호 공보(공개일 2007년 12월 21일)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17708호 공보(공개일 2005년 8월 11일) 일본 특허 공개 평11-26740호 공보(공개일 1999년 1월 29일)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센서 회로(10)에 있어서는, 출력 기간(T2)에 포토센서(D2)의 센서 출력을 검출할 때에 출력 전압(Vout)은 센서 출력 배선(6)이나 AD 변환 회로의 입력부에 있어서의 홀드 콘덴서 등의, 증폭기 TFT(M1)의 소스보다 하류측의 부하를 충전한 결과 얻어지는 전압이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Vout)은 어느 한 시상수에 따라 상승하여, 출력 기간(T2)에 있어서의 출력 전압(Vout)의 최종값이 명부와 암부에서 어느 정도 상이한지가 명암의 차로서 검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증폭기 TFT(M1)는 소스 팔로워로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의 출력 기간(T2)에 있어서의 최종값의 최대값은 Vout=VnetA-Vth≤Vdd(Vth는 증폭기 TFT(M1)의 임계값 전압)이며, 명부와 암부 사이에서 얻을 수 있는 출력 전압(Vout)의 최종값의 차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는, 이 최종값의 차가 작기 때문에, 명암을 충분히 식별할 수 없었다.
또한, 표시 장치가 보다 고정밀화됨에 따라, 1개의 혹은 1행당 센서 회로(10)에 할당할 수 있는 센서 구동 기간이 매우 짧아지므로, 출력 기간(T2)을, 소스 팔로워로서 동작하는 증폭기 TFT(M1)가 도통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이행하는 시점보다 이전이 되는, Vout<VnetA-Vth를 만족하는 매우 짧은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은 부득이하다. 그 결과, 명암의 차는 점점 식별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그런데 표시 패널을 아몰퍼스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몰퍼스 실리콘을 사용한 TFT는 임계값 전압(Vth)이 크고 이동도가 작은 점에서 증폭기 TFT(M1)의 증폭기 능력이 폴리실리콘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작으므로, 이 명암의 식별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증폭기 TFT(M1)의 출력 시에 전위(VnetA)를 높게 함으로써 큰 출력 전류를 확보할 필요, 즉 센서 출력이 큰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다 큰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고자 하면, 마찬가지로 전위(VnetA)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전위(VnetA)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1) 전압(Vpulse1)의 피크 투 피크 전압(Vpulse1p-p)을 크게 하고, 2) 용량(C1)의 용량값(Cst)을 크게 하고, 3) 전압(Vdd)을 크게 하고, 4) 증폭기 TFT(M1)의 채널 폭(W)을 크게 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1)의 방법에서는 센서 행 드라이버(16) 등의 전압(Vpulse1)을 공급하는 IC를 고내압화할 필요가 있어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2)의 방법에서는 용량(C1)의 점유 면적이 증가하여 화소의 개구율이 감소하고, 3)의 방법에서는 센서 판독 드라이버(17) 등의 전압(Vdd)을 공급하는 IC를 고내압화할 필요가 있어, 비용 상승 및 소비 전류의 증대를 초래하고, 4)의 방법에서는 증폭기 TFT(M1)의 점유 면적이 증가하여 화소의 개구율이 감소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이, 화소에 포토센서를 구비한 종래의 표시 장치에는,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하고자 하면,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포토센서가 출력한 신호가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TFT의 드레인에 제1 펄스 신호의 제1 펄스가 인가되면, TFT의 게이트·드레인간의 용량 결합에 의해 게이트 전위가 상승됨과 함께, 도통 상태로 된 TFT의 게이트·소스간의 용량 결합에 의해 게이트 전위가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TFT의 게이트 전위가 종래보다 크게 상승하여, 당해 게이트 전위에 따른 전위가 되는 소스 팔로워 출력도, 종래보다 높은 전위로 된다.
이에 의해, 소스 팔로워 출력, 즉 포토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포토센서에 대한 조사광의 명암의 차를 광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종래보다 크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는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소자 크기의 확대 등을 행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이상에 의해,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에 접속된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량의 상기 게이트와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일단부에,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전에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됨과 함께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제2 펄스를 갖는 제2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의 상승보다 먼저 제2 펄스 신호의 제2 펄스를 용량을 통하여 TFT의 게이트에 인가함으로써, 미리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켜 둘 수 있으므로, TFT의 드레인에 제1 펄스를 인가했을 때에 게이트 전위를 매우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 펄스는, 상기 제1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 기간 모두에 있어서 소스 팔로워 출력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스 팔로워 출력의 검출 기간을 제1 펄스 기간의 타이밍만을 기준으로 하여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와, 상기 제2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 및 제2 펄스 양쪽의 High 레벨을,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원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펄스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펄스의 종료 시점 중 빠른 쪽의 타이밍에, 상기 소스 팔로워 출력의 전위는 상기 TFT의 게이트 전위로부터 상기 TFT의 임계값 전압만큼 차감한 전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소스 팔로워 출력의 출력 기간이, 소스 팔로워 출력이 TFT를 차단 상태로 하는 전위에 도달하지 않는 짧은 기간일 때에, 소스 팔로워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 의해 명암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 및 고속 구동의 광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포토센서 및 상기 TFT는, 화소행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포토센서 및 TFT가 화소행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 화소행의 광검출을 순차적인 주사로 행하는 경우에, 각 주사 기간이 짧아 소스 팔로워 출력의 출력 기간이 짧아져도, 소스 팔로워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 의해 명암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 및 고속 구동의 광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은 아몰퍼스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아몰퍼스 실리콘을 사용하여 TFT를 구성함으로써 TFT의 증폭기 능력이 낮아져도, 소스 팔로워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 의해 명암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가, COG(Chip On Glass)의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COG 실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제1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에, 전원 전압에 변경이 없는 종래의 아키텍쳐에 의한 IC 칩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포토센서는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포토센서의 캐소드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포토센서의 캐소드로부터 애노드를 향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가, 조사광의 강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당해 누설 전류에 따른 TFT의 게이트 전위로부터 소스 팔로워 출력을 도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이 액정을 표시 소자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포토센서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스 팔로워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 의해 명암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포토센서가 출력한 신호가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TFT의 드레인에 제1 펄스 신호의 제1 펄스가 인가되면, TFT의 게이트·드레인간의 용량 결합에 의해 게이트 전위가 상승됨과 함께, 도통 상태로 된 TFT의 게이트·소스간의 용량 결합에 의해 게이트 전위가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TFT의 게이트 전위가 종래보다 크게 상승하여, 당해 게이트 전위에 따른 전위가 되는 소스 팔로워 출력도, 종래보다 높은 전위로 된다.
이에 의해, 소스 팔로워 출력 즉 포토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포토센서에 대한 조사광의 명암의 차를 광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종래보다 크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는,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소자 크기의 확대 등을 행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이상에 의해,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에 용량을 통하여,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전에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됨과 함께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제2 펄스를 갖는 제2 펄스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의 상승보다 먼저 제2 펄스 신호의 제2 펄스를 용량을 통하여 TFT의 게이트에 인가함으로써, 미리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켜 둘 수 있으므로, TFT의 드레인에 제1 펄스를 인가했을 때에, 게이트 전위를 매우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 펄스는, 상기 제1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 기간 모두에 있어서 소스 팔로워 출력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스 팔로워 출력의 검출 기간을 제1 펄스 기간의 타이밍만을 기준으로 하여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와, 상기 제2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펄스 및 제2 펄스 양쪽의 High 레벨을,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원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펄스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펄스의 종료 시점 중 빠른 쪽의 타이밍에, 상기 소스 팔로워 출력의 전위가 상기 TFT의 게이트 전위로부터 상기 TFT의 임계값 전압만큼 차감한 전위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제1 펄스의 펄스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소스 팔로워 출력의 출력 기간이, 소스 팔로워 출력이 TFT를 차단 상태로 하는 전위에 도달하지 않는 짧은 기간일 때에, 소스 팔로워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 의해 명암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 및 고속 구동의 광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이,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이며,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가 입력된다.
이상에 의해,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이상과 같이,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를 입력한다.
이상에 의해,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센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b)는 (a)의 센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 회로의 동작의 상세를 나타내는 각 전압 및 전위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파형의 일부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표시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며, 포토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며, 센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센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도 7의 센서 회로의 동작의 상세를 나타내는 각 전압 및 전위의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4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1)(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1)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이며, 표시 패널(2) 및 호스트 컨트롤러(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2)은, 표시/센서 영역(2a)과, 소스 드라이버(4)(데이터 신호선 구동 회로)와, 게이트 스캔 회로(5)(주사 신호선 구동 회로)와, 센서 스캔 회로(6)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센서 영역(2a)은, 표시 패널(2)에 아몰퍼스 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 CG(Continuous Grain) 실리콘, 미결정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영역이며,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한 화소와 센서 회로(SC)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비하고 있다. 소스 드라이버(4)는 LSI 칩을 표시 패널(2) 상에 직접 실장한 것이며, 소위 COG(Chip On Glass)의 형태를 취한다. 소스 드라이버(4)는 표시/센서 영역(2a)에 화소용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신호선에 출력함과 함께, 센서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처리한다. 게이트 스캔 회로(5)는, 표시/센서 영역(2a)의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는 데 사용하는 주사 신호를 주사 신호선에 출력한다. 센서 스캔 회로(6)는, 표시/센서 영역(2a)의 센서 회로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호스트 컨트롤러(3)는, 표시 패널(2)의 외부에 설치된 컨트롤 기판이며, 소스 드라이버(4)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와, 게이트 스캔 회로(5)에 공급하는 클록 신호나 스타트 펄스 등과, 센서 스캔 회로(6)에 공급하는 클록 신호나 스타트 펄스, 전원 전압 등을, 소스 드라이버(4)에 공급한다. 게이트 스캔 회로(5) 및 센서 스캔 회로(6)에 대한 상기한 공급 신호 및 공급 전압은, 소스 드라이버(4)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5에, 표시/센서 영역(2a)과 소스 드라이버(4)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다.
표시/센서 영역(2a)에서는, R의 회소(PIXR)와, G의 회소(PIXG)와, B의 회소(PIXB)가 1조가 되어 각 화소가 구성되어 있고, 각 화소에 센서 회로(SC)가 1개씩 구비되어 있다. 각 화소에 있어서, 회소(PIXR)와 회소(PIXG)와 회소(PIXB)는 1 수평 기간 내에 시분할로 구동된다. 각 회소는, 주사 신호선(GL)과 데이터 신호선(SL)(R에 대해서는 SLR, G에 대해서는 SLG, B에 대해서는 SLB)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있고, 선택 소자인 TFT(51)에 의해 액정 용량(CL)에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는 구성이다. 데이터 신호선(SLR)은 스위치(SWR)를 통하고, 데이터 신호선(SLG)은 스위치(SWG)를 통하고, 데이터 신호선(SLB)은 스위치(SWB)를 통하여, 각각 소스 드라이버(4)의 동일한 단자(P)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소의 색의 종류로서는 상기한 RGB와 같은 3색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색의 종류가 가능하다.
센서 회로(SC)는, 스위치(SWR·SWG·SWB)에 대하여 상기 단자(P)와는 반대측의 영역에서 상기 회소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n채널형의 증폭기 TFT(TFT)(52)와 용량(53)과 포토센서(54)를 구비하고 있다. 증폭기 TFT(52)는 도 6의 증폭기 TFT(M1)와, 용량(53)은 도 6의 용량(C1)과, 포토센서(54)는 도 6의 포토센서(D1)와, 각각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증폭기 TFT(52)의 드레인 단자는 데이터 신호선(SLG)에 접속되어 있고, 증폭기 TFT(52)의 소스 단자는 데이터 신호선(SLB)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53)과 포토센서(54)는, 포토센서(54)의 캐소드측을 서로의 접속점으로 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당해 접속점인 노드(NetA)는 증폭기 TFT(52)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용량(53)의 타단부는 화소행마다 설치된 행 선택 라인(RS)을 통하고, 또한 포토센서(54)의 애노드는 화소행마다 설치된 리셋 배선(RST)을 통하여, 각각 센서 스캔 회로(6)에 접속되어 있다. 각 화소행의 행 선택 라인(RS)에는 그 화소행의 모든 용량(53)의 상기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각 화소행의 리셋 배선(RST)에는, 그 화소행의 모든 포토센서(54)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선(SLG)의 단자(P)측과는 반대측의 일단부는, 스위치(SWS)를 통하여 전원 V0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4)에서는, 소스 입출력 회로(47)의 출력이 각각 단자(P)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출력 회로(47)는, 연산 증폭기의 볼티지 팔로워로 이루어지는 버퍼(47a)와 스위치부(47b)가 1개씩 1조가 된 각 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단이 1개의 상기 단자(P)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47a)의 입력은 DA 변환 회로(46)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고, 버퍼(47a)의 출력은 단자(P)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부(47b)는, AD 변환 회로(45)의 입력을 단자(P)에 접속할지 단자(P)로부터 차단할지의 전환을 행하는 회로이다. DA 변환 회로(46)는 DA 변환 회로(46)에 전용 전원 및 GND를 사용하고 있으며, AD 변환 회로(45)는 AD 변환 회로(45)에 전용 전원 및 GND를 사용하고 있다.
표시/센서 영역(2a)에 있어서 회소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기간에는 버퍼(47a)의 전원이 투입되고, 스위치부(47b)는 AD 변환 회로(45)의 입력을 단자(P)로부터 차단한다. 이에 의해, RGB의 각 소스 출력(데이터 신호)(Vd)이 시계열로 표시/센서 영역(2a)에 공급된다. 표시/센서 영역(2a)측에서는, 스위치(SWR·SWG·SWB)가 순차적으로 교체하여 ON 상태로 되고, 데이터 신호선(SLR·SLG·SLB)에 순차적으로 소스 출력(Vd)이 출력되어 회소(PIXR·PIXG·PIXB)에 의해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이때, 스위치(SWS)는 OFF 상태에 있다.
표시/센서 영역(2a)에 있어서 백라이트 혹은 외광의 광 조사에 의한 광강도의 검출을 행하는 센서 구동 기간에는 스위치(SWR·SWG·SWB)가 OFF 상태로 되고, 스위치(SWS)가 ON 상태로 되고 데이터 신호선(SLG)을 전원 V0에 접속한다. 또한, 사전에 센서 스캔 회로(6)로부터 포토센서(54)의 순방향을 사용하여 용량(53)을 소정 전압으로 충전해 둠으로써, 광강도의 검출 기간에 증폭기 TFT(52)의 게이트를 포토센서(54)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에 따른 전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신호선(SLB)이 검출된 광의 강도에 따른 전압이 되므로, 스위치(SWB)를 ON 상태로 하여 데이터 신호선(SLB)을 소스 드라이버(4)의 단자(P)에 접속한다.
이때, 소스 드라이버(4)측에서는 버퍼(47a)의 전원이 차단되어 버퍼(47a)의 출력이 하이 임피던스로 됨과 함께, 스위치부(47b)가 AD 변환 회로(45)의 입력을 단자(P)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센서 회로(SC)의 아날로그 출력인 센서 전압(Vs)이 AD 변환 회로(45)에 입력된다. AD 변환 회로(45)는 입력된 센서 전압(Vs)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디지털 데이터는 후속하는 처리 회로에서 광강도의 검출 결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4)는, 포토센서(54)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어서, 도 1을 사용하여,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센서 회로(SC)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에, 센서 회로(SC)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는 센서 구동 기간에, 전원 V0으로부터 스위치(SWS) 및 데이터 신호선(SLG)을 통하여 전압(제1 펄스 신호)(Vpulse2)이 입력된다. 증폭기 TFT(52)의 소스는 센서 출력 배선이 되는 데이터 신호선(SLB)에 센서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한다. 증폭기 TFT(52)의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용량(Cagd)이 형성되어 있고, 증폭기 TFT(52)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는 용량(Cags)이 형성되어 있다.
포토센서(54)는 TFT(트랜지스터)(11)의 다이오드 접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TFT(11)의 게이트와 드레인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애노드(A)와, TFT(11)의 소스로 이루어지는 캐소드(K)를 갖고 있다. 애노드(A)는 리셋 배선(RST)으로부터 전압(Vrst)을 인가한다. 애노드(A)와 캐소드(K) 사이, 즉 TFT(1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는 용량(Cdgs)이 형성되어 있다.
용량(53)은 용량값(Cst)을 갖고 있으며, 행 선택 배선(RS)측의 일단부에는 행 선택 배선(RS)으로부터 전압(제2 펄스 신호)(Vpulse1)이 입력된다.
이어서, 도 1의 (b)를 사용하여, 상기 구성의 센서 회로(SC)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 구동 기간에는, 데이터 신호선(SLG)은 스위치(SWG)가 OFF 상태로 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4)로부터 분리되고, 데이터 신호선(SLB)은 스위치(SWB)가 ON 상태로 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4)에 접속된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4)에 있어서는, 단자(P)가 스위치부(47b)에 의해 AD 변환 회로(45)의 입력에 접속된다. 센서 구동 기간의 초기의 시각 t1에, 센서 스캔 회로(6)로부터 리셋 배선(RST)에 인가하는 전압(Vrst)을 High 레벨(여기서는 0V)로 함으로써, 포토센서(54)가 순방향으로 도통하고, 노드(NetA)의 전위(VnetA)는 High 레벨(여기서는 0V)이 된다. 또한, 이때, 센서 스캔 회로(6)로부터 행 선택 배선(RS)에 인가하는 전압(Vpulse1)은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된다. 전원 V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선(SLG)에 인가되는 전압(Vpulse2)은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된다.
계속해서, 시각 t2에, 센서 스캔 회로(6)는 전압(Vrst)을 Low 레벨(여기서는 -10V)로 한다. 이때, 포토센서(54)는 애노드(A)의 쪽이 캐소드(K)보다 전위가 낮아지므로 역 바이어스 상태로 된다.
시각 t2부터는 차지 기간(T1)이 개시된다. 차지 기간(T1)에서는 노드(NetA)에 포토센서(54)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차지가 행해진다. 포토센서(54)에 광이 조사되면, 캐소드(K)로부터 애노드(A)를 향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가, 조사광의 강도에 따라 변화한다. 명부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가 크기 때문에, 캐소드(K)의 전위, 즉 전위(VnetA)가 급속하게 감소되고, 암부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가 작기 때문에, 전위(VnetA)가 완만하게 감소된다. 이 차지 기간(T1)에 있어서의 전위(VnetA)는, 포토센서(54)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가 된다.
차지 기간(T1)이 종료하는 시각 t3에 있어서, 센서 스캔 회로(6)는 전압(Vpulse1)을 High 레벨(여기서는 20V)로 한다. 그러면, 전위(VnetA)는, 용량(53)에 의한 용량 결합에 의해, 부전위로부터 정전위로 상승된다. 이때, 명부와 암부의 전위차는 유지되지만, 전압(Vpulse2)이 Low 레벨이므로 증폭기 TFT(52)에는 아직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계속해서, 시각 t3보다 이후의 시각 t4에, 전원 V0의 전압(Vpulse2)이 High 레벨(여기서는 20V)로 된다. 이에 의해, 증폭기 TFT(52)가 도통하지만, 전위(VnetA), 즉 증폭기 TFT(52)의 게이트 전위는, 용량(Cagd) 및 용량(Cags)에 의한 용량 결합을 통한 부트스트랩 효과에 의해 더욱 크게 상승된다. 이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 전압(Vpulse2)의 펄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한 승압에 의해, 전위(VnetA)는,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 항상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증폭기 TFT(52)는 종래보다 높은 출력 전압(Vout)을 소스로부터 출력한다. 단, Vout≤(Vpulse2의 High 레벨)이므로, 기간(T2)이 증폭기 TFT(52)가 OFF 상태로 될 때까지의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위(VnetA)는 VnetA≤(Vpulse2의 High 레벨)+Vth의 범위 내에서 출력 전압(Vout)을 종래보다 높게 하는 효과,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의 명암의 차를 종래보다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기간(T2)이 증폭기 TFT(52)가 OFF 상태로 될 때까지의 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위(VnetA)를 VnetA>(Vpulse2의 High 레벨)+Vth로 설정하고 있으면, 기간(T2) 도중에 출력 전압(Vout)이 Vpulse2의 High 레벨에 가까운 값으로 포화되지만, 출력 전압(Vout)의 변화 속도는 종래보다 크기 때문에, 포화될 때까지의 기간에서는 출력 전압(Vout)의 명암의 차를 종래보다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시각 t4부터 센서 출력의 출력 기간(T2)이 개시된다.
전체 용량값(Ctotal)을,
Ctotal=Cdgs+Cst+Cagd+Cags
로 하고(단, 우변의 각 용량값은 용량명으로 대용했다),
α=Cst/Ctotal
β=Cagd/Ctotal
로 하면, 전압(Vpulse1)에 의한 전위(VnetA)의 승압분(ΔV1netA)은,
ΔV1netA=α×Vpulse1p -p
이 되고, 전압(Vpulse2)에 의한 전위(VnetA)의 승압분(ΔV2netA)은,
ΔV2netA=β×Vpulse2p -p
로 된다. 단, Vpulse1p -p는 Vpulse1의 피크 투 피크 전압, Vpulse2p -p는 Vpulse2의 피크 투 피크 전압이며, 상기 예에서는 양쪽 모두 20V이다.
이에 의해, 전압(Vpulse1) 및 전압(Vpulse2)에 의한 전위(VnetA)의 전체 승압분(ΔVallnetA)은,
ΔVallnetA=ΔV1netA+ΔV2netA
이 된다.
여기서, ΔV1netA와 종래의 상기 ΔVnetA는 전압(Vpulse1)의 펄스 상승의 타이밍(=시각 t3)에 있어서의 증폭기 TFT의 드레인 인가 전압의 차이에 따라, 서로 약간 상이하기는 하지만,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ΔVallnetA는 종래의 상기 ΔVnetA보다 거의 ΔV2netA 정도 크다. 그 결과, 전위(VnetA)에 따른 전압이 되는 출력 전압(Vout)은 종래보다 커진다.
출력 기간(T2)에, 출력 전압(Vout)을 소스 드라이버(4)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포토센서(54)의 센서 출력, 즉 포토센서(54)에 대한 조사광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출력 전압(Vout)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있으므로, AD 변환 회로(45)의 입력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있는 것이 되어, AD 변환 회로(45)는 명암의 차를 고분해로 판독할 수 있다.
출력 기간(T2)이 종료하는 시각 t5에 있어서 전원 V0의 전압(Vpulse2)이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되고, 계속하여 시각 t6에 있어서 센서 스캔 회로(6)로부터 인가되는 전압(Vpulse1)이 Low 레벨(여기서는 0V)로 되어, 센서 구동 기간이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센서 회로(SC)의 구동에 있어서는, 시각 t3부터 시각 t6까지의 기간에는 전압(Vpulse1)의 펄스(제2 펄스)가 용량(53)을 통하여 노드(NetA), 즉 증폭기 TFT(52)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출력 기간(T2)에는 전압(Vpulse2)의 펄스(제1 펄스)가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 인가되게 된다.
도 2에, 출력 기간(T2)에 있어서의 각 전압·전위의 구체적인 파형예를 도시한다.
전위(VnetA)는 기간(T2)에 있어서 점증하지만 거의 일정하며, 출력 전압(Vout)은 증폭기 TFT(52)의 소스로부터 하류측의 부하에 따른 시상수에 따라 계속하여 상승한다.
도 3에, 전위(VnetA) 및 출력 전압(Vout)의 파형을, 본 실시 형태(도 2의 것)와 종래(도 9의 것)에 대하여 아울러 도시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전위(VnetA)는 출력 기간(T2)에 거의 11.02V로 승압되는 것에 대해, 실선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전위(VnetA)는, 기간(T1)의 종료 시에 일단 거의 10.71V로 승압된 후에, 출력 기간(T2)에 2.54V 정도 더 높은 거의 13.25V까지 승압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전위(VnetA)는 종래보다 거의 2.23V 높아진다.
그리고 출력 기간(T2)의 종료 시점에 있어서의 종래의 출력 전압(Vout)은 0.86V인 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출력 전압(Vout)은 종래보다 0.40V 정도 높은 1.26V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기간(T2)에 있어서,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 인가하는 펄스에 의한 전위(VnetA)의 승압 효과가, 드레인에 항상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의 부트스트랩 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전위(VnetA)의 전위를 종래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의 명암에 의한 차도 그만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증폭기 TFT(52)의 드레인에 전압(Vpulse2)의 펄스를 인가하기만 해도 전위(VnetA)가 큰 승압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한 예와 같이 노드(NetA)에 미리 용량(53)을 통하여 전압(Vpulse1)의 펄스를 인가해 둠으로써 2단계의 승압이 행해져 노드(NetA)를 매우 크게 승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전압(Vpulse1)의 펄스의 하강 타이밍을 전압(Vpulse2)의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이후가 되도록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압(Vpulse1)의 펄스의 하강 타이밍을, 전압(Vpulse2)의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후이며, 전압(Vpulse2)의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이전이 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출력 기간(T2)은, 전압(Vpulse2)의 펄스의 상승 타이밍부터 전압(Vpulse1)의 하강 타이밍까지가 되어, 출력 전압(Vout)을 이 기간 동안에 검출하면 된다.
또한, 센서 회로(SC)에 있어서, 용량(Cdgs, Cst, Cagd, Cags) 각각에 대해서는, 기생 용량을 사용해도 좋고, 전극을 대향시킴으로써 의도적으로 용량을 형성해도 좋다. 전체 승압분(ΔVallnetA)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α 및 β를 크게 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β를 크게 하기 위하여 Cagd를 크게 하면 Ctotal이 커지기 때문에, 반대로 α가 작아지므로, 각 용량값은 균형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전압(Vpulse1)의 High 레벨과 전압(Vpulse2)의 High 레벨을, 종래의 전압(Vpulse1)과 동등하게 하여, 전원 전압에 변경이 없는 종래와 같은 아키텍쳐에 의한 전원부 및 IC를 구성 가능하게 함과 함께, 전원 전압의 종류를 저감시켜 전원부의 구성이 복잡하지 않게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압(Vpulse1)의 High 레벨과 전압(Vpulse2)의 High 레벨 중 한쪽 또는 양쪽을, 보다 높게 함으로써도 전체 승압분(ΔVallnetA)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압(Vpulse1)의 High 레벨 및 전압(Vpulse2)의 High 레벨과, 각 용량값의 모든 밸런스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 장치의 제품의 사양에 의해, 사용 가능한 용량 및 전압이 변화되므로, 거기에 맞추어 전체 승압분(ΔVallnetA)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폭기 TFT(52)의 소스 팔로워 출력, 즉 포토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포토센서(54)에 대한 조사광의 명암의 차를 종래보다 크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내믹 레인지의 확대에는, 포토센서(54)의 센서용 전원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소자 크기의 확대 등을 행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이상에 의해, 표시 영역에 구비된 포토센서의 센서용 전원 전압의 상승이나 화소의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센서 출력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효과는 즉, 증폭기 TFT(52)의 출력 전류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커지는 만큼, 출력 기간(T2)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커지는 만큼, 용량(53)의 용량값(Cst)을 작게 하여 용량(53)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키고, 화소의 개구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증폭기 TFT(52)의 출력 전류를 크게 할 수 있는 만큼, 증폭기 TFT(52)의 채널 폭을 작게 하여 증폭기 TFT(52)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키고, 화소의 개구율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대로 2단계의 승압을 행하는 경우에 전압(Vpulse1, Vpulse2)의 피크 투 피크 전압을 작게 하여, 내압이 작은 IC를 사용 가능하게 함과 함께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포토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증이나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4 : 소스 드라이버(광강도 검출 수단)
11 : TFT(트랜지스터)
52 : TFT
53 : 용량
54 : 포토센서
Vout : 출력 전압(소스 팔로워 출력)
Vpulse1 : 전압(제2 펄스 신호)
Vpulse2 : 전압(제1 펄스 신호)

Claims (15)

  1.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접속된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량의 상기 게이트와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일단부에,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전에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됨과 함께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되는 제2 펄스를 갖는 제2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는, 상기 제1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와, 상기 제2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펄스의 종료 시점 중 빠른 쪽의 타이밍에, 상기 소스 팔로워 출력의 전위는 상기 TFT의 게이트 전위로부터 상기 TFT의 임계값 전압만큼 차감한 전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 및 상기 TFT는, 화소행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아몰퍼스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가, COG(Chip On Glass)의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는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포토센서의 캐소드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이 액정을 표시 소자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표시 영역에 설치되어 조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소스 팔로워를 구성하는 n 채널형의 TFT와, 상기 TFT의 소스 팔로워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조사광의 강도 검출을 행하는 광강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TFT의 드레인에, 상기 신호가 상기 TF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하는 제1 펄스를 갖는 제1 펄스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용량을 통하여,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전에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로 상승됨과 함께 상기 제1 펄스의 상승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제2 펄스를 갖는 제2 펄스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는, 상기 제1 펄스의 하강 타이밍보다 후에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와, 상기 제2 펄스의 High 레벨의 전위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펄스의 종료 시점 중 빠른 쪽의 타이밍에, 상기 소스 팔로워 출력의 전위가 상기 TFT의 게이트 전위로부터 상기 TFT의 임계값 전압만큼 차감한 전위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제1 펄스의 펄스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17000898A 2008-07-11 2009-04-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207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1761 2008-07-11
JP2008181761 2008-07-11
PCT/JP2009/058517 WO2010004803A1 (ja) 2008-07-11 2009-04-30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579A true KR20110030579A (ko) 2011-03-23
KR101207115B1 KR101207115B1 (ko) 2012-12-03

Family

ID=4150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898A KR101207115B1 (ko) 2008-07-11 2009-04-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54110B2 (ko)
EP (1) EP2302489A4 (ko)
JP (1) JP5329539B2 (ko)
KR (1) KR101207115B1 (ko)
CN (1) CN102067072B (ko)
BR (1) BRPI0915409A2 (ko)
RU (1) RU2464623C2 (ko)
WO (1) WO2010004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82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좌표 측정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6137B (zh) * 2010-06-15 2014-05-01 Ind Tech Res Inst 主動式光感測畫素、主動式光感測陣列以及光感測方法
JP5710449B2 (ja) * 2011-04-13 2015-04-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駆動回路、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962167B2 (ja) * 2012-04-19 2016-08-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検出回路、センサー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KR102112089B1 (ko) * 2013-10-16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615813B1 (ko) * 2014-05-30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분할 구동방식의 터치 센싱 장치
CN109215555B (zh) * 2015-05-07 2022-02-08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光电传感器和显示面板
US11301708B2 (en) 2019-10-01 2022-04-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sensing circu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691B2 (ja) 1995-02-23 2003-02-04 株式会社東芝 座標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3369911B2 (ja) 1997-06-30 2003-01-2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US6410899B1 (en) * 1998-06-17 2002-06-25 Foveon, Inc. Active pixel sensor with bootstrap amplification and reduced leakage during readout
US6999122B1 (en) * 1999-07-22 2006-02-14 Minolta Co., Ltd. Solid-state logarithmic image sensing device
US6809768B1 (en) * 2000-02-14 2004-10-26 Foveon, Inc. Double slope pixel sensor and array
NO315728B1 (no) * 2000-03-22 2003-10-13 Thin Film Electronics Asa Multidimensjonal adresseringsarkitektur for elektroniske innretninger
WO2003073159A1 (en) * 2002-02-20 2003-09-04 Planar Systems, Inc. Light sensitive display
KR100790606B1 (ko) * 2003-08-05 2008-01-02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컨트롤러, 자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4168945B2 (ja) 2004-01-29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KR100685239B1 (ko) * 2004-01-29 2007-02-2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지스터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및 화상처리장치
US7612818B2 (en) * 2004-03-29 2009-11-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Input sensor contain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127243B2 (ja) * 2004-05-24 2008-07-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センサ、光センサの読取方法、マトリクス型光センサ回路および電子機器
US8704803B2 (en) * 2004-08-27 201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display device
JP4814028B2 (ja) * 2005-12-01 2011-11-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584215B2 (ja) * 2006-04-17 2010-11-17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外光感知センサー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7859526B2 (en) * 2006-05-01 2010-12-28 Konicek Jeffrey C Active matrix emissive display and optical scanner system, methods and applications
JP2007304519A (ja) * 2006-05-15 2007-11-22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GB2439098A (en) * 2006-06-12 2007-12-19 Sharp Kk Image sensor and display
JP4215086B2 (ja) * 2006-09-27 2009-01-2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WO2008047677A1 (ja) * 2006-10-19 2010-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82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좌표 측정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4623C2 (ru) 2012-10-20
CN102067072B (zh) 2013-08-21
US8654110B2 (en) 2014-02-18
US20110090193A1 (en) 2011-04-21
JPWO2010004803A1 (ja) 2011-12-22
BRPI0915409A2 (pt) 2015-11-03
KR101207115B1 (ko) 2012-12-03
RU2011100819A (ru) 2012-07-20
WO2010004803A1 (ja) 2010-01-14
JP5329539B2 (ja) 2013-10-30
CN102067072A (zh) 2011-05-18
EP2302489A4 (en) 2014-04-02
EP2302489A1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1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46726B1 (ko) 시프트 레지스터 유닛, 게이트 구동 회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구동 방법
US20180024677A1 (en) Touch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110539B2 (en) Photo sensor of a photo type touch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62602A1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sensor
US20070052874A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ensor in pixel
KR20120111674A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7414601B2 (e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3056702B (zh) 相位调制装置以及相位调制方法
WO2010007890A1 (ja) 表示装置
EP3726518A1 (en) Pixel driving circuit,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27342B1 (ko) 반도체집적회로 및 액정표시 구동용 반도체집적회로
US115627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figured for speeding up gate drive of pixel transistors
KR20040023569A (ko) 표시 구동 방법, 표시 소자, 및 표시 장치
US8593443B2 (en) Display device
US20070273633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JPWO2004042691A1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761612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70079521A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90115760A1 (en) Field-Through Compensa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20090289915A1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sensors
US10135444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booster part, and booster
KR2010000602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1034540A (ja) 表示装置
TWI756098B (zh) 指紋畫素單元、指紋感測裝置及整合積體電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