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490A -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490A
KR20110030490A KR1020107029289A KR20107029289A KR20110030490A KR 20110030490 A KR20110030490 A KR 20110030490A KR 1020107029289 A KR1020107029289 A KR 1020107029289A KR 20107029289 A KR20107029289 A KR 20107029289A KR 20110030490 A KR20110030490 A KR 2011003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essure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부르크하르트
안드레아스 호프만
게르하르트 숍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3Atmospheric pressure
    • F02D2200/704Estim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02D41/187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using a hot wire flow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연 기관이 흡입 파이프(7)를 포함하고 가스 유입 밸브 (12)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Z1-Z4)의 연소 챔버(9)와 연통하는 흡입관(1)을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흡입관(1) 내에 배치되고 공기 유동 스트림을 압축하도록 구현된 압축기(19)를 더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상기 압축기(19)의 하류에서 상기 흡입관(1)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파이프(7)로의 상기 압축기의 압축 공기 유동 스트림이 쓰로틀링될 수 있도록 하는 쓰로틀 밸브(5)를 더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상기 흡입관(1) 내에 배치된 차분 압력 센서(29)로서,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존재하는 로딩 압력(loading pressure)(PUT)과 상기 흡입관(1)의 외부에서 존재하는 주변 압력(AMP) 간의 차분 압력(PUT_AMP_DIFmes)을 탐지하도록 구현된 차분 압력 센서(29)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은 공기 흡입 파이프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 시스템(intake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가스 유입 밸브(gas inlet valve)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의 연소 챔버와 연통한다.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된 압축기는 질량 공기 유동(mass air flow)을 압축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된 쓰로틀 밸브는 공기 흡입 파이프 내로의 압축된 질량 공기 유동이 쓰로틀링될 수 있도록 한다.
내연 기관의 터보차저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by preference)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압축기와 터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체(arrangement)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된 압축기가 공기 흡입 시스템을 거치는 질량 공기 유동을 압축한다. 이런 방식으로 압축된 공기는 가스 유입 밸브를 매개로 내연 기관의 개개의 실린더의 연소 챔버 내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실린더의 실린더 헤드에 분사 밸브가 배치되는데 상기 분사 밸브를 매개로 기정의된 연료량이 연소 챔버 내로 공급될 수 있다. 개개의 연소 챔버 내 공기/연료 혼합물의 연소에 이어서, 배기 가스가 가스 유출 밸브를 매개로 연소 챔버를 벗어나 터보차저의 터빈이 배치되는 배기 가스 시스템으로 배출(discharge)된다. 공기 흡입 시스템을 거치는 질량 공기 유동이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는 방식으로 배기 가스에 의해서 터빈이 구동된다.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주변 압력(ambient pressure)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보증하는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내연 기관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들의 기술적 특징들(features)에 의해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내연 기관은 공기 흡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흡입 시스템은 공기 흡입 파이프를 포함하고 가스 유입 밸브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의 연소 챔버와 연통(communicate)한다. 내연 기관은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되고 질량 공기 유동을 압축하도록 구현된 압축기를 더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상기 압축기의 하류에서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 파이프로의 상기 압축기의 압축된 질량 공기 유동이 쓰로틀링될 수 있도록 하는 쓰로틀 밸브를 더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 배치된 차분 압력 센서로서, 상기 압축기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charge pressure)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 간의 차분 압력(differential pressure)을 측정하도록 구현된 차분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한다. 차분 압력 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내연 기관이 특히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주변 압력 측정을 위한 추가적인 센서들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차지 압력과 주변 압력 간의 차분 압력이 차분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다. 따라서 기정의된 주변 압력에서 차지 압력이 차분 압력에 따라서 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기정의된 차지 압력에서 주변 압력이 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연 기관은 상기 주변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현된 주변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이것이 가지는 이점은 결정된 주변 압력이 바람직하게는 절대 압력 센서로서 구현된 주변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주변 압력에 의해서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주변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주변 압력이 결정된 주변 압력에 의해서 타당성이 입증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내연 기관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는 내연 기관의 구동 방법과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는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는 압축기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과 공기 흡입 시스템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 간의 측정된 차분 압력에 따라서 주변 압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차분 압력 센서에 의해서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주변 압력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이런 방식으로 주변 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지는 이점은 내연 기관의 과급된(過給, supercharged) 동작 상태 동안 주변 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여기서 내연 기관의 과급된 동작 상태는 주변 압력보다 높은 차지 압력을 특징으로 한다. 주변 압력은 내연 기관의 중요한 동작 파라미터로서 여겨지는데 그것이 내연 기관의 동작 특성들 및 배기 가스 배출물(emissions)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내연 기관의 동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는 주변 압력에 따라서 제어된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지 압력이 결정되고 상기 차지 압력에 따라서 상기 주변 압력이 결정된다. 차분 압력 센서에 의해서 차분 압력이 가용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further) 파라미터로서 결정된 차지 압력에 의해서 주변 압력이 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 밸브의 하류 및 상기 가스 유입 밸브의 상류에서 우세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이 결정되고, 상기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에 따라서 상기 차지 압력이 결정된다. 차지 압력이 결정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차지 압력 센서가 요구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결정된다. 상기 쓰로틀 밸브의 결정된 개방 정도가 특성(characteristic) 쓰로틀 밸브 개방의 기정의된 개방 정도와 비교된다.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은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개방 정도 이상의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에서 상기 쓰로틀 밸브에 걸친 압력 저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기정의된 개방 정도에 이르고 난 후에, 상기 쓰로틀 밸브에 걸친 압력 저하가 결정되되, 상기 압력 저하는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 이상인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와 결부된다(associatekd with).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개방 정도에 이를 때, 상기 차지 압력이 결정된 상기 압력 저하에 따라서 결정된다. 차지 압력은 압축기의 하류 및 쓰로틀 밸브의 상류에서 우세한 압력이다. 예를 들어 쓰로틀 밸브의 하류 및 가스 유입 밸브의 상류에서 우세한 압력인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이 기정의되면,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에 이르렀을 때 차지 압력이 쓰로틀 밸브에 걸친 결정된 압력 저하에 따라서 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에서 쓰로틀 밸브에 걸친 압력 저하는 쓰로틀 밸브를 통한(through) 압축된 질량 공기 유동에 기인한 파이프 마찰(pipe friction)과 결부된다.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은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에 의존하고 다시 말해서 내연 기관의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쓰로틀 밸브의 현재의 개방 정도는 현재의 회전 속도와 결부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개방 정도와 비교된다.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개개의 개방 정도의 압력 저하는 바람직하게는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참조 내연 기관에 따라서 결정되고 결정된 후에 저장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의 개개의 개방 정도가 존재할 때 개개의 압력 저하가 특히 신속하게 이용가능하다.
이하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내연 기관을 나타낸다.
도 2는 주변 압력을 결정하는 다양한 수학식(equations)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순서도이다.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지는 요소들이 도면들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서 라벨링된다.
내연 기관(도 1)은 공기 흡입 시스템(1)과 엔진 블록(2)과 실린더 헤드(3)와 배기 가스 시스템(4)을 포함한다. 공기 흡입 시스템(1)은 바람직하게는 압축기(19)와, 차지 공기 냉각기(31)와, 쓰로틀 밸브(5)와 공기 흡입 파이프(7)를 포함하는데, 공기 흡입 파이프는 흡입 포트를 매개로 실린더(Z1 - Z4)를 향하여서 엔진 블록(2)의 연소 챔버(9) 내로 이어진다. 압축기(19)와 병렬로 제1 바이패스 라인(27)이 배치되는데, 제1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서 제1 바이패스 밸브(21)가 결부된다. 엔진 블록(2)은 커넥팅 로드(10)를 매개로 실린더(Z1 - Z4)의 피스톤(11)에 연결된 크랭크축(8)을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바람직하게는 채움-피제어(fill-controlled) 내연 기관이고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에 배치된다.
실린더 헤드(3)는 하나 이상의 가스 유입 밸브(12), 하나 이상의 가스 유출 밸브(13), 밸브 기어들(valve trains)(20, 24)을 구비하는 밸브 액추에이팅 기구를 포함한다. 실린더 헤드(3)는 분사 밸브(22)와 스파크 플러그(23)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분사 밸브(22)는 공기 흡입 파이프(7)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기 가스 시스템(4)은 압축기(19)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터빈(3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기(19)와 터빈(37)이 함께 내연 기관의 터보차저를 형성한다. 터빈(37)과 병렬로 제2 바이패스 라인(33)이 배치되고 제2 바이패스 라인은 제2 바이패스 밸브(35)를 포함한다.
흡입된(aspirated) 공기는 공기 필터(15)를 거치고 공기 필터(15)의 하류에 배치된 질량 공기 유량계(17)를 거쳐 내연 기관의 압축기(19) 내로 흘러가는데, 상기 압축기는 상기 질량 공기 유량계(17)의 하류에 배치된다. 바이패스 라인(27)의 제1 바이패스 밸브(21)는 통상 닫혀 있고,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과급된 동작 상태로부터 비-과급된(자연적으로 흡입된(naturally aspirated)) 동작 상태로의 부하 사이클 변화와 같은, 내연 기관 내에 기정의된 부하 사이클 변화들이 발생했을 때에만 개방된다. 과급된 동작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압축기(19)의 하류 및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PUT)이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19)에 의해서 압축된 공기는 압축기(19)의 하류 및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 배치되고 압축 공기를 냉각시킬 목적으로 구현된 차지 공기 냉각기(31)를 거쳐 쓰로틀 밸브(5)로 유입되고 그 후 상기 쓰로틀 밸브(5)의 하류에 배치된 공기 흡입 파이프(7)를 거쳐 가스 유입 밸브(12)를 매개로 실린더(Z1-Z4)의 연소 챔버(9) 내로 유입된다. 분사 밸브에 의해서 기정의된 연료량이 공급되고 실린더(Z1-Z4)의 피스톤(11)에 의해서 압축이 이뤄진 후에, 스파크 플러그(23)에 의해서 공기/연료 혼합물이 점화된다. 공기/연료 혼합물의 연소로부터 초래되는 배기 가스는 가스 유출 밸브(13)를 매개로 배출되어 배기 가스 시스템(4)으로 유입되고 배기 가스 시스템(4)에서 예를 들어 터빈(37)에 의해서 촉매 컨버터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 배기 가스의 일부가 터빈(37)을 지나가게 경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2 바이패스 밸브(35)가 액추에이트될 수 있어서, 터빈(37)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압축기(19)와 터빈(37)의 회전 속도를 저어할 수 있다.
각각 상이한 피측정 변수들을 기록하고(register) 피측정 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센서들과 결부된 제어 유닛(25)에 제공된다. 제어 유닛(25)은 내연 기관 동작 장치로서도 기술될 수 있다.
차지 공기 냉각기(31)는 바람직하게는 차분 압력 센서(29)를 구비한다. 차분 압력 센서(29)는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PUT)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 간의 차분 압력(PUT_AMP_DIFmes)을 측정하도록 구현된다. 공기 흡입 파이프(7)와 결부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 센서(34)가 쓰로틀 밸브(5)의 하류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을 측정하도록 구현된다.
내연 기관의 동작 거동을 모델링할 목적으로 그리고 주변 압력이 변동하는 경우에 주변 압력의 변동에 따라서 쓰로틀 밸브의 활성화 또는 예를 들어 분사 밸브(22) 또는 스파크 플러그(23) 또는 바이패스 밸브(21 및/또는 35)과 같은 내연 기관의 다른 액추에이터의 활성화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 유닛(25)에서 주변 압력(AMP)이 사용된다. 따라서, 주변 압력(AMP)에 관한 정보(knowledge)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압축기(19) 및 터빈(37)의 회전 속도의 신뢰성 있는 제어 또는 조정을 위해서 요구된다.
주변 압력(AMP)이 결정되는 방식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학식 F1은 차분 압력 센서(29)에 의해서 측정된 차분 압력(PUT_AMP_DIFmes)을 나타낸다.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PUT)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 간의 차로부터 차분 압력(PUT_AMP_DIFmes)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분 압력 센서(29)가 절대 압력 센서로서 구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차지 압력(PUT)과 주변 압력(AMP)이 차분 압력 센서(29)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측정될 수 없다.
수학식 F2에 의하면, 수학식 F1의 상응하는 이항(transposition)에 의해서 계산적으로 주변 압력(AMP)이 얻어진다. 수학식 F2에 의하면, 차지 압력(PUT)에 따라서 주변 압력(AMP)이 결정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매 회전 속도는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이라고 명명된 것과 결부된다.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은 일반적으로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질량 공기 유동의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와 결부된다. 상기 기정의된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는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 이상인 쓰로틀 밸브(5)의 개방 정도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매 회전 속도는 각각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와 결부된다(수학식 F8).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 MAP DIFTPS _U)가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참조 내연 기관의 도움으로 결정되고 제어 유닛(25)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쓰로틀 밸브(5)의 개방 정도가 예를 들어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에 의해서 내연 기관의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탐지되고, 상기 회전 속도와 결부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 이상이면,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의 값이 회전 속도 및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에 따라서 제어 유닛(25)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어터를 기초로 하여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에서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는 쓰로틀 밸브(5)를 통한 질량 공기 유동에 기인하는 파이프 마찰로부터 초래된다. 쓰로틀 밸브(5)에 걸친 결정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는 내연 기관의 과급된 동작 상태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수학식 F4에 의하면,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가 차지 압력(PUT)과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 간의 차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이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 센서(34)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이 쓰로틀 밸브 개방,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 및 가능하게는 다른 피측정 변수들에 따라서 공기 흡입 파이프 채움 모델의 도움으로 계산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내연 기관의 기정의된 회전 속도에서 및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 이상인 개방 정도에서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가 이미 기정의되기 때문에, 또한 수학식 F4의 상응하는 이항을 뒤따르는 수학식 F6의 도움으로 내연 기관의 과급된 동작 상태에서 차지 압력(PUT)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에서 쓰로틀 밸브(5)에 걸친 기정의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와,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 센서(34)에 의해서 측정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과, 차분 압력 센서(29)에 의해서 측정된 차분 압력(PUT_AMP_DIFmes)과 같은 이미 기정의된 변수들의 함수로서 차지 압력(PUT)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수학식 F10DML 도움으로 특히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주변 압력(AMP)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한 특히 추가적인 주변 압력 센서가 압축기(19)의 하류 및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 배치될 때 예를 들어 주변 압력(AMP)의 기술된 결정 후에와 같이, 차분 압력 센서(29)에 M이해서 특히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기정의된 주변 압력에서 차지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주변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주변 압력이 측정된 주변 압력과의 비교에 의해서 결정된 주변 압력에 대한 타당성 입증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주변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주변 압력에 따라서 그리고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도움으로 결정된 차지 압력과의 비교에 의해서 차지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내연 기관 동작 장치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프로그램을 실행할 목적으로 제어 유닛(25)이 구현된다.
단계 S1에서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단계 S2에서 현재의 쓰로틀 밸브 개방(TPS)의 개방 정도와 내연 기관의 현재의 회전 속도(N)가 측정된다.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가 내연 기관의 측정된 회전 속도(N)에 따라서 결정된다. 단계 S4에서, 쓰로틀 밸브 개방(TPS)의 측정된 개방 정도가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결정된 개방 정도와 비교된다. 쓰로틀 밸브 개방(TPS)의 현재의 개방 정도가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보다 작다면, 현재의 회전 속도(N)와 쓰로틀 밸브 개방(TPS)의 현재의 개방 정도가 다시 측정된다. 쓰로틀 밸브 개방(TPS)의 현재의 개방 정도가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 이상이면, 단계 S6에서 회전 속도(N)와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결정된 개방 정도에 따라서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가 결정된다.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5)에 저장된다. 단계 S8에서,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 센서(34)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는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과 그리고 쓰로틀 밸브(5)에 걸친 결정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에 따라서 거기서 차지 압력(PUT)이 결정된다. 단계 S10에서, 차지 압력(PUT)과 차분 압력 센서(29)에 의해서 결정된 차분 압력(PUT_AMP_DIFmes)에 따라서 주변 압력(AMP)이 결정된다. 프로그램은 단계 S12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프로그램이 재시작될 수도 있다.

Claims (7)

  1. - 공기 흡입 파이프(7)를 포함하고 가스 유입 밸브 (12)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Z1-Z4)의 연소 챔버(9)와 연통(communicate)하는 공기 흡입 시스템(1),
    - 공기 흡입 시스템(1) 내에 배치되고 질량 공기 유동을 압축하도록 구현된 압축기(19),
    - 상기 압축기(19)의 하류에서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 파이프(7) 내로의 상기 압축기의 압축된 질량 공기 유동이 쓰로틀링될 수 있도록 하는 쓰로틀 밸브(5), 그리고
    -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 내에 배치된 차분 압력 센서(29)로서,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charge pressure)(PUT)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 간의 차분 압력(PUT_AMP_DIFmes)을 측정하도록 구현된 차분 압력 센서(29)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압력(AMP)을 측정하도록 구현된 주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른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PUT)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 간의 측정된 차분 압력(PUT_AMP_DIFmes)에 따라서 상기 주변 압력(AMP)이 결정되는,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압력(PUT)이 결정되고 상기 차지 압력(PUT)에 따라서 상기 주변 압력(AMP)이 결정되는,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 밸브(5)의 하류 및 상기 가스 유입 밸브(12)의 상류에서 우세한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이 결정되고,
    상기 공기 흡입 파이프 압력(MAP)에 따라서 상기 차지 압력(PUT)이 결정되는,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 상기 쓰로틀 밸브(5)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고,
    - 상기 쓰로틀 밸브(5)의 결정된 개방 정도가 특성(characteristic)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기정의된 개방 정도와 비교되되,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은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 이상의 상기 쓰로틀 밸브(5)의 개방 정도에서 상기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기정의된 개방 정도에 이르고 난 후에, 상기 쓰로틀 밸브(5)에 걸친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가 결정되되, 상기 압력 저하는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 이상인 상기 쓰로틀 밸브(5)의 개방 정도와 결부되고(associated with),
    - 상기 특성 쓰로틀 밸브 개방(TPS_U)의 개방 정도에 이를 때, 상기 차지 압력(PUT)이 결정된 상기 압력 저하(PUT_MAP_DIFTPS _U)에 따라서 결정되는,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른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로서,
    상기 압축기(19)의 하류 및 상기 쓰로틀 밸브(5)의 상류에서 우세한 차지 압력(PUT)과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1)의 외부에서 우세한 주변 압력(AMP) 간의 측정된 차분 압력(PUT_AMP_DIFmes)에 따라서 상기 주변 압력(AMP)이 결정을 결정하도록 구현된,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KR1020107029289A 2008-05-28 2009-05-25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KR20110030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5549A DE102008025549B4 (de) 2008-05-28 2008-05-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8025549.1 2008-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490A true KR20110030490A (ko) 2011-03-23

Family

ID=4103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289A KR20110030490A (ko) 2008-05-28 2009-05-25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67678A1 (ko)
KR (1) KR20110030490A (ko)
CN (1) CN102046948B (ko)
DE (1) DE102008025549B4 (ko)
WO (1) WO20091441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80A (ko) * 2014-02-20 2015-08-28 게 옌바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오게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0836A1 (en) * 2011-10-06 2013-04-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rottle position sensor elimination
US9133759B2 (en) * 2012-06-27 2015-09-15 Cummin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flow to an air compressor
US9273619B2 (en) * 2012-12-10 2016-03-01 Fca Us Llc Supercharged engine and method of control
US9528518B2 (en) 2014-06-16 2016-12-27 Cummin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diverting airflow to a pressure source
AT518102B1 (de) 2015-12-29 2017-10-15 Ge Jenbacher Gmbh & Co Og Zustandsbestimmung eines Filtermodul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225A (en) * 1980-07-04 1982-01-27 Hitachi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percharger
JPS59122736A (ja) * 1982-12-29 1984-07-16 Kawasaki Heavy Ind Ltd 電子燃料噴射装置
JPH01280662A (ja) * 1988-05-06 1989-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制御用大気圧検出装置
JP3449813B2 (ja) * 1995-01-06 2003-09-22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内燃機関における大気圧推定装置
US5816047A (en) * 1996-09-03 1998-10-06 Dresser Industr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wastegate valve for a turbo charger
US6016460A (en) * 1998-10-16 2000-01-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with model-based barometric pressure estimator
DE19964193B4 (de) * 1999-08-17 2009-04-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uftmassenmesser zum Bestimmen des Umgebungsdruckes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US6430515B1 (en) * 1999-09-20 2002-08-0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barometric pressure for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10890B2 (ja) * 2000-09-18 2009-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機械式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6293103B1 (en) * 2000-09-21 2001-09-25 Caterpillar Inc. Turbocharger system to inhibit reduced pressure in intake manifold
TW559640B (en) * 2001-10-31 2003-11-01 Yamaha Motor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tmospheric pressure of engine
DE10206767A1 (de) * 2002-02-19 2003-09-11 Daimler Chrysler Ag Verfharen zur Ermittlung des Atmosphärendruckes auf der Basis des Druckes in der Ansauglei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6804601B2 (en) * 2002-03-19 2004-10-12 Cummins, Inc. Sensor failure accommodation system
FR2853012B1 (fr) * 2003-03-26 2006-06-16 Siemens Vdo Automotive Mesure de la pression ambiante dans un moteur turbocompresse
DE102004051837B4 (de) * 2004-10-25 2006-11-0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Steuern und zum Diagnostizieren eines Abgasturboladers
DE102005004741A1 (de) * 2005-02-02 2006-08-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von Sensoren einer Luftzufüh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15110B3 (de) * 2005-04-01 2006-08-3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r Ersatzgröße für einen Umgebungsdruck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5045857B3 (de) * 2005-09-26 2006-11-23 Siemens Ag Verfahren zum Bestimmen des Umgebungsdrucks i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05422A1 (de) * 2006-02-03 2007-08-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Computerprogramm-Produkt,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13501B4 (de) * 2006-03-23 2009-12-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33460B3 (de) * 2006-07-19 2007-10-3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Umgebungsdrucks mit Hilfe eines Ladedrucksensors bei einem Turbomotor
DE102007012340B3 (de) * 2007-03-14 2008-05-15 Siemens Ag Verfahren zum Ermitteln und Einregeln des Luftmassenstroms im Saugrohr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zugehöriges Steuerger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80A (ko) * 2014-02-20 2015-08-28 게 옌바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오게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25549A1 (de) 2009-12-03
US20110067678A1 (en) 2011-03-24
CN102046948B (zh) 2013-10-30
CN102046948A (zh) 2011-05-04
DE102008025549B4 (de) 2010-07-01
WO2009144194A1 (de)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0382B (zh) 用于对内燃机的进气系统进行诊断的诊断方法和装置
US738044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rotary speed of a compressor, especially a turbocharger
CN102057147B (zh) 用于诊断内燃机进气道的方法和装置
US8091358B2 (en) Control method for a turbocharger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4174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 intercooler bypass valve
US53319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erring the actual air charg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uring transient conditions
KR101548908B1 (ko) 배기-가스 과급기를 구비한 내연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44122B1 (ko) 내연기관의 소기 공기 질량 및/또는 포집 효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6087053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及び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の異常診断方法
RU247471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бортовой диагностики
KR20110030490A (ko)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RU2645856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двигателя с наддув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двигатель
US10801426B2 (en) Method for starting a gaseous fuel combustion engine
CN110249120B (zh) 使用对置活塞发动机中的机械增压器空气流量特性的质量空气流量传感器监测
US74043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90428B2 (ja) ターボチャージドエンジンを制御するための空気供給制御方法
US2012029808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element,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135228B1 (ko) 터보차지 엔진에서의 대기 압력 측정 방법
JP2009002249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上流圧推定装置
EP2354501B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250191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3669060A1 (en) A method of controlling combustion of fuel in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computer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control combustion process in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Andersson Comparison of two exhaust manifold pressure estimation methods
JP2021124047A (ja) エンジンシステム
KR20000066779A (ko) 터보 챠저의 웨스트 게이트 액츄에이터 고장진단 기능을 구비한연료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