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606A -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606A
KR20110029606A KR1020090087355A KR20090087355A KR20110029606A KR 20110029606 A KR20110029606 A KR 20110029606A KR 1020090087355 A KR1020090087355 A KR 1020090087355A KR 20090087355 A KR20090087355 A KR 20090087355A KR 20110029606 A KR20110029606 A KR 2011002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filtering
unit
cleaner
filt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기
안중길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09008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606A/ko
Publication of KR2011002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1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ails, flange grooves, or the like railway parts, e.g. removing ice from contact rails, removing mud from flange grooves
    • E01H8/105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loosening, remov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e.g. removing by blowing, flushing, suction; Application of melting liquids; Loosening or removing by means of heat, e.g. cleaning by plasma torches, drying by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주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전동차 이용 고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하는 전륜과 후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륜과 후륜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트롤리 및 상기 설치대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구비된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한 1차필터링과 2차필터링에 의해 잔류시키는 제1여과장치 및 집진필터를 구비하여 제1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제2여과장치를 구비한 청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을 포함한 지하 터널 내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레일 주변에 존재하는 쇳가루, 미세먼지, 슬러지 등의 오염물질을 진공 상태로 흡입한 후 복수의 여과과정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전동차 이용 고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Vacuum cleaner for rail road}
본 발명은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일 주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전동차 이용 고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가 지나가는 지하 터널 내에는 전동차 운행시 차륜과 레일의 마모, 레일 연마작업 등으로 쇳가루 등 금속성 미세먼지가 발생하고, 그 외에도 각종 보수작업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산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 오물 등 오염물질이 존재하여 터널 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쇳가루 등 금속성 미세먼지는 열차 풍으로 부유 되어 터널 내 공기를 오염시켜 전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며, 각종 전동차 전자장비의 고장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종래에는 전동차 운영기관에서 터널 및 지하역사의 공기 질 관리를 위해 환기시설 운용, 고압 살수차를 이용한 터널 내 물청소, 물탱크를 이용한 물청소, 역사 물청소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흡음재 설치구간, 콘크리트 도상 바닥, 침목 주변, 배수로 주변 등에는 쇳가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있어 열차 풍에 의한 공기 질 오염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쇳가루,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여 배출함으로써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할 수 있는 청소방법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을 포함한 지하 터널 내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레일 주변에 존재하는 쇳가루, 미세먼지, 슬러지 등의 오염물질을 진공 상태로 흡입한 후 복수의 여과과정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전동차 이용 고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하는 전륜과 후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륜과 후륜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트롤리 및 상기 설치대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구비된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한 1차필터링과 2차필터링에 의해 잔류시키는 제1여과장치 및 집진필터를 구비하여 제1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제2여과장치를 구비한 청소기를 포함한다.
제1여과장치는 흡입부를 통해서 흡입된 오염물질을 유입시키는 유입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1차필터링하는 제1필터링부, 1차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2차필터링하는 제2필터링부, 2차필터링을 거치면서 여과된 공기를 제2여과장치로 유입시키는 배출관 및 1차필터링과 2 차필터링을 거치면서 여과된 오염물질을 적재하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륜 및 후륜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 전륜과 후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 및 주행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포텐셔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는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 앞뒤를 밝히는 조명부,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청소수단을 작동시키며, 조명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보관되는 전선보관부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는 제1여과장치에 장착되는 흡입호스, 흡입호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트롤리를 이동시키고,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제1조작패널 및 흡입호스의 일측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오염물질에 직접 접촉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는 청소기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트롤리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및 트롤리의 앞뒤 이동을 작동시키는 제2조작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트롤리는 청소기가 안착되는 거치대 및 거치대에 청소기를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을 포함한 지하 터널 내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레일 주변에 존재하는 쇳가루, 미세먼지, 슬러지 등의 오염물질을 진공 상태로 흡입한 후 복수의 여과과정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전동차 이용 고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가 견인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작업 위치가 상당히 먼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움직이는 별도의 견인차량(B)에 진공청소장치(A)가 연결되어서 레일(Rail; C)을 따라 청소할 작업 현장까지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진공청소장치(A)는 견인차량(B)에서 분리된 후 단독으로 이동을 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진공청소장치(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C)을 따라 앞뒤 양방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궤도용 트롤리(trolley; 이하 '트롤리'로 칭함)(200) 상부에 레일 주변의 각종 오염물질을 진공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건, 습식 겸용 진공청소기(이하 '청소기'로 칭함; 100)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트롤리(200)에는 철판 형태의 설치대(210)가 구비되고, 설치대(210)의 하부에는 레일(C) 상에서 왕복 이동하기 위한 차륜에 해당하는 전륜(221)과 후륜(222)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트롤리(200)의 하부인 전륜(221)과 후륜(222) 사이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가 장착되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륜(221)과 후륜(222)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240)가 트롤리(200)의 하부인 후륜(222) 부근에 장착된다.
구동부(240)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륜(221) 및 후륜(222)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241), 전륜(221)과 후륜(22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242), 주행모터(241)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미도시) 및 제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롤리(200)는 견인차량(B)의 도움없이 자체 배터리(230) 및 구동부(240)를 통하여 레일(C)을 따라 자주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배터리(230)를 동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매연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작업 현장은 지하철 및 철도의 레일, 도상, 배수로, 침목 측간, 타이바 하부 및 레일 하부 등이 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은 전동차 운행 시간이 끝난 시간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어서, 청소작업이 마무리되면 진공청소장치(A)는 견인차량(B)에 다시 연결된 후 작업 현장을 벗어나게 된다.
청소기(100)는 설치대(2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원심사이클론 방식으로 원심력과 중력을 이용하는 제1여과장치(110), 카트리지 필터(cartridge)와 해파 필터(hapa filter) 등의 집진필터(미도시)가 구비된 제2여과장치(120)를 포함한다.
제1여과장치(110)의 일측에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130)가 구비되어 연결되며,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은 제1여과장치(110)를 통과되면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오염물질은 잔류 되고,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여과된 공기는 배출된다.
아울러, 청소기(100)는 건, 습식 겸용이므로, 배수로 등의 습기를 포함한 슬러지(sludge), 폐수 등도 흡입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여과장치(1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부(130)를 통해서 흡입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111), 제1여과장치(110)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이 지나면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1차필터링이 이루어지는 제1필터링부(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여과장치(110)의 내측으로는 1차필터링이 이루어진 오염물질이 다시 지나면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2차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필터링부(117)가 구비된다.
제1여과장치(110)의 상부에는 2차필터링을 통해서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제2여과장치(120)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출관(119)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1여과장치(110)의 하부에는 1차필터링 및 2차필터링 과정을 거치면서 분리되는 오염물질이 적재되는 집진부(115)가 구비된다.
제1여과장치(110)에서는 1차필터링 과정에서는 흡입된 오염물질에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질, 쓰레기, 슬러지, 폐수 등이 분리되어 집진부(115)에 모이고, 2차필터링 과정에서는 미세먼지, 수분 등의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염물 질이 분리되어 집진부(115)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1차필터링 및 2차필터링의 2중의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배출관(119)을 통하여 제2여과장치(12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2여과장치(1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는 제1여과장치(110)에서 미처 분리되지 못한 미세먼지, 부유물질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공기는 제2여과장치(120)의 집진필터를 거치면서 입자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um) 이하로 여과되도록 하여 깨끗한 청정공기가 제2여과장치(1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여과장치의 하부에도 집진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여과장치를 거치면서 분리되는 오염물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되어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흡입부(130)는 제1여과장치(110)에 장착되는 흡입호스(131), 흡입호스(13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트롤리(200)의 앞뒤 이동 및 청소기(100)를 작동시키는 제1조작패널(135) 및 흡입호스(131)의 일측단에 탈부착 되는 노즐(133)을 포함한다.
노즐(13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작업을 하기 위해 오염물질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바닥용, 구석 틈새용 또는 사각 솔 등의 종류별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좁은 틈새 등의 청소하기가 곤란한 부분이 있더라도 문제없이 적절한 형태의 노즐(133)을 사용하여 청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레일(C) 주변에 존재하는 쇳가루 및 미세먼지 및 배수로 주변에 슬러지도 같이 흡입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흡음재 설치구간, 콘크리트 도상 바닥, 침목 주변 및 환기실 등에서 환기, 물청소 등으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쇳가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아울러, 청소기(100)는 지상을 포함한 지하터널 내부의 레일, 차륜 마모로 인한 쇳가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진공 상태로 흡입하므로 부유물질이 날리지 않게 되어 작업장 주변의 공기오염을 방지한다.
한편, 2인 이상이 동시에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1여과장치(110)에는 흡입부(130)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흡입부(130)를 2개 구비하였다.
제1조작패널(135)은 청소기(100)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등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으며, 트롤리(200)의 앞뒤 이동도 조작할 수가 있다. 그래서, 현재 위치에서 청소가 마무리된 후 다른 위치에서 청소를 하기 위해서, 제1조작패널(135)을 통하여 트롤리(200)를 청소할 작업 현장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트롤리(200)의 상부, 즉, 설치대(210)의 상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등의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250), 앞뒤를 밝히는 조명부(270) 및 전선을 권선하여 보관시키는 전선보관부(260)가 구비된다.
조명부(270)는 설치대(210)의 양 측단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데, 사각형상의 설치대(210)는 모서리가 4개이므로, 4개의 조명부(2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명부(270)는 LED를 이용한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할로겐 조명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선보관부(260)는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자동으로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으며, 전선보관부(260)에 권선되는 전선은 길이가 58미터(m) 내지 62미터(m) 이다.
그리고, 전선보관부(260)에서 풀어진 전선은 터널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콘센트(미도시)에 연결되어 배터리(230)를 충전시키고, 청소기(100)를 작동시키며, 조명부(270)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트롤리(200)는 배터리(230)를 충전시키고, 청소기(100)를 작동시키며, 조명부(27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아울러, 지하철 터널 내부에는 78미터 내지 82미터 간격으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콘센트에 전선을 연결하여 진공청소장치(A)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진공청소장치(A)에는 분전반(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콘센트를 통한 전원은 제어부를 거쳐서 배터리(230) 충전, 트롤리(200)의 앞뒤 이동 및 조명부(270)를 작동시키기 위해 공급된다.
한편, 전선은 길이가 58미터 내지 62미터 정도이므로, 콘센트에 한번 연결된 후 콘센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앞뒤로 약 60미터 정도의 작업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약 120미터 정도의 작업 거리를 콘센트 한번 연결로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흡입부(130)에 구비된 제1조작패널(135)을 이용하여 트롤리(200)를 약 120미터 정도 이동시키면서 청소작업을 할 수 있으며, 청소가 끝나면 다른 콘센트에 전선을 연결한 후 다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아울러, 설치대(210)의 양측면에는 충돌사고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280)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일측면에 2개, 타측면에 2개 모두 4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완충기(280)와 완충기(280) 사이에 체결부(285)가 구비된다. 체결부(285)는 견인차량(B)에 의해 이동될 때 견인차량(B)과 트롤리(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면에 1개, 타측면에 1개 모두 2개가 구비된다.
또한, 트롤리(200)의 상면 즉, 설치대(210)의 상면에는 청소기(100)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트롤리(200)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및 트롤리(200)의 앞뒤 이동을 작동시키거나 주, 정차를 조작 및 전선보관부(260)를 조작하여 전선이 풀리거나 또는 감기도록 조작하는 제2조작패널(290)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와 청소기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트롤리(200)의 상부 즉, 설치대(210)의 상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기(100)가 안착되는 거치대(300)가 구비되고, 거치대(300)에 안착 된, 청소기(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310)가 거치대(300)에 구비된다. 그래서, 트롤리(200)가 이동하더라도, 청소기(100)는 트롤리(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 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장치는(A)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트롤리(200)가 견인차량(B)을 통하여 터널 내의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트롤리(200)로부터 견인차량(B)은 분리된다.
이어서, 제2조작패널(290)을 조작하여 트롤리(200)를 레일(C)을 따라 이동시켜 청소할 위치에 정차시킨다.
이어서, 제2조작패널(290)을 조작하여 전선보관부(260)에 감긴 전선을 풀어서 터널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전선을 연결한다.
이어서, 흡입부(130)를 청소할 위치에 이동시킨 후 제1조작패널(135)을 통하여 청소기(100)를 작동시켜 청소작업을 하게 된다.
청소작업 중 구석 틈새 등의 청소작업할 공간이 좁거나 청소작업 하기에 불편한 곳이 있으면, 노즐(133)을 청소작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교체를 하여 청소작업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노즐(133)을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은 먼저 제1여과장치(110)로 유입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집진부(115)에 쌓이게 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여과된 공기는 제2여과장치(120)로 유입된다.
이어서, 제2여과장치(120)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필터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 등이 걸러져서 제2여과장치 하단의 집진부에 적재되고, 부유물질이 걸러진 청정공기가 제2여과장치(120) 외부로 배출되면서 철도 주변의 공기 질이 향상된다.
이어서, 청소작업 종료 후 제1여과장치(110) 하단의 집진부(115)와 제2여과장치(120) 하단의 집진부에 적재된 미세먼지, 쇳가루, 폐수, 집진필터에 의해 걸러져서 적재된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은 지정된 처리장소로 이동시켜 처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가 견인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와 청소기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청소기 110: 제1여과장치
120: 제2여과장치 130: 흡입부
200: 트롤리 210: 설치대
221: 전륜 222: 후륜
230: 배터리 240: 구동부
C: 레일

Claims (7)

  1.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하는 전륜과 후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륜과 후륜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트롤리 및
    상기 설치대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구비된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한 1차필터링과 2차필터링에 의해 잔류시키는 제1여과장치 및 집진필터를 구비하여 제1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제2여과장치를 구비한 청소기
    를 포함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여과장치는
    흡입부를 통해서 흡입된 오염물질을 유입시키는 유입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1차필터링하는 제1필터링부;
    1차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2차필터링하는 제2필터링부;
    2차필터링을 거치면서 여과된 공기를 제2여과장치로 유입시키는 배출관 및
    1차필터링과 2차필터링을 거치면서 여과된 오염물질을 적재하는 집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륜 및 후륜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
    전륜과 후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 및
    주행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포텐셔미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트롤리는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
    앞뒤를 밝히는 조명부;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청소수단을 작동시키며, 조명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보관되는 전선보관부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흡입부는
    제1여과장치에 장착되는 흡입호스;
    흡입호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트롤리를 이동시키고,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제1조작패널 및
    흡입호스의 일측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오염물질에 직접 접촉하는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트롤리는
    청소기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트롤리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및 트롤리의 앞뒤 이동을 작동시키는 제2조작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롤리는
    청소기가 안착되는 거치대 및 거치대에 청소기를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KR1020090087355A 2009-09-16 2009-09-16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KR20110029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55A KR20110029606A (ko) 2009-09-16 2009-09-16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55A KR20110029606A (ko) 2009-09-16 2009-09-16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06A true KR20110029606A (ko) 2011-03-23

Family

ID=4393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55A KR20110029606A (ko) 2009-09-16 2009-09-16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60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496A (zh) * 2012-05-31 2012-09-12 上海理工大学 便携式多用途手动吸尘器
KR101351011B1 (ko) * 2013-08-16 2014-01-13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철도 도상 청소용 흡입청소장치
CN109235345A (zh) * 2018-09-28 2019-01-18 北京市城市管理研究院(北京市环境卫生监测中心) 一种路侧停车位区域路面清扫设备
KR20190050529A (ko) * 2017-11-03 2019-05-13 서울교통공사 다중전원을 활용한 집진용 작업차량의 전원관리 시스템
KR20210135813A (ko) 2020-05-06 2021-11-16 천운궤도주식회사 터널의 고압세척장치
KR102562148B1 (ko) * 2023-05-04 2023-08-02 디프리기술연구원(주) 다목적 활용 가능한 소형 동력차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496A (zh) * 2012-05-31 2012-09-12 上海理工大学 便携式多用途手动吸尘器
KR101351011B1 (ko) * 2013-08-16 2014-01-13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철도 도상 청소용 흡입청소장치
KR20190050529A (ko) * 2017-11-03 2019-05-13 서울교통공사 다중전원을 활용한 집진용 작업차량의 전원관리 시스템
CN109235345A (zh) * 2018-09-28 2019-01-18 北京市城市管理研究院(北京市环境卫生监测中心) 一种路侧停车位区域路面清扫设备
CN109235345B (zh) * 2018-09-28 2024-04-12 北京市城市管理研究院(北京市环境卫生监测中心) 一种路侧停车位区域路面清扫设备
KR20210135813A (ko) 2020-05-06 2021-11-16 천운궤도주식회사 터널의 고압세척장치
KR102562148B1 (ko) * 2023-05-04 2023-08-02 디프리기술연구원(주) 다목적 활용 가능한 소형 동력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70960B (zh) 一种铁路道床清污方法
KR20110029606A (ko)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KR100797057B1 (ko) 미세 물입자와 에어커튼을 이용한 지하철 터널용 먼지 저감장치
KR101214623B1 (ko) 노면 청소차
KR101035622B1 (ko) 지하철 터널 내의 선로 고속 주행용 하이브리드 세정차량
KR101835788B1 (ko) 초미세먼지 제거용 공기 정화 무동력 열차
JPH0224401A (ja) 軌道上部構造の清掃用軌道走行式機械およびその機械を用いてとくに著しく汚れた砕石床を清掃する方法
KR101396204B1 (ko) 전동차 부착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928671B1 (ko) 후방으로 누설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 무동력 열차
CN102908857A (zh) 一种集成重力和袋式除尘的集污装置
KR101351011B1 (ko) 철도 도상 청소용 흡입청소장치
KR102117154B1 (ko) 궤도 청소차량의 금속성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532780A (zh) 铁路道床除沙车
KR20160136534A (ko) 선로용 청소차
CN112301937A (zh) 一种铁路隧道轨枕内道床吸煤车组及相应的吸煤方法
KR100889328B1 (ko) 열차 터널용 청소차량
CN209227310U (zh) 钢轨除锈车
JP4280799B2 (ja) 路面清掃車
CN106592354A (zh) 钢轨铣磨车
CN202945514U (zh) 轨道打磨集尘系统和打磨车
CN110172945B (zh) 轨道道床除沙车
CN208309478U (zh) 公铁两用清洁车
KR20160097896A (ko) 선로 세척 장치
CN204644949U (zh) 一种轨道侧面辅助吸煤、吸沙装置及其相应的轨道除沙车
CN112176918A (zh) 一种铁路隧道全断面清洁作业车及其相应的作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