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623B1 - 노면 청소차 - Google Patents

노면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623B1
KR101214623B1 KR1020120026105A KR20120026105A KR101214623B1 KR 101214623 B1 KR101214623 B1 KR 101214623B1 KR 1020120026105 A KR1020120026105 A KR 1020120026105A KR 20120026105 A KR20120026105 A KR 20120026105A KR 101214623 B1 KR101214623 B1 KR 10121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unit
suction
vehicle body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석
손정욱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01H1/0845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for the dirt to be sucked- up,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3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vertica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부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노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를 갖는 차량 본체, 노면의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제1 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과 상기 제1 흡입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을 갖는 측면 흡입부, 상기 차량 본체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는 롤링 브러쉬 조립체, 상기 차량 본체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링 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중앙 흡입부 및 상기 중앙 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2 안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입부에 구비된 종동기어는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면 청소차{ROAD SWEEPER}
본 발명은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노면에 쌓인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특히,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의 처리는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한 청소는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 특성상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노면 청소 작업에는 적은 인력으로도 어렵지 않게 노면을 청소할 수 있는 노면 청소차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노면 청소차는 일반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대단위 공단, 비행장 활주로, 대운동장 등에 버려진 쓰레기를 청소하게 된다.
여기서, 노면 청소차는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 들이고, 빨아들인 이물질에 의해 더렵혀진 공기를 여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노면 청소차는 작동 방식에 따라 건식 노면 청소차와 습식 노면 청소차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습식 노면 청소차는 물분사가 이루어지며 노면을 청소하게 되는 방식으로서, 동절기에는 기온저하로 인해 물이 얼어붙기 때문에 사용시 어려움이 많다. 특히 물분사로 인해 노면이 얼어붙는 경우 도로교통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편, 건식 노면 청소차는 노면 청소시 물분사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동절기에도 사용가능하지만, 노면 청소시 미세 먼지가 많이 날리게 되어 민원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노면 청소차가 지나가는 차량의 하면에는 적재부로 이물질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흡입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노면 청소차가 지나가는 차량의 하면에 대해 노면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입부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를 갖는 차량 본체, 노면의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제1 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과 상기 제1 흡입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을 갖는 측면 흡입부, 상기 차량 본체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는 롤링 브러쉬 조립체, 상기 차량 본체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링 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중앙 흡입부 및 상기 중앙 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2 안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입부에 구비된 종동기어는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되는 제1 흡입유닛, 상기 제1 흡입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입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제2 흡입유닛, 상기 제2 흡입유닛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종동기어, 상기 제2 흡입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며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3 흡입유닛,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전부에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제3 흡입유닛에 지지되는 전방 보호부재, 상기 제3 흡입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유닛을 보호하는 테두리 보호부재, 일단부는 상기 제2 흡입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방 보호부재의 상부와 연결된 링크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3 흡입유닛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제3 흡입유닛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유닛이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측면 보조 바퀴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흡입유닛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 상기 보호 케이스에 지지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는 상기 구동기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흡입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 흡입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흡입유닛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상하 이동 실린더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흡입부가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흡입유닛의 중심 수직선상으로부터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 흡입부는 상기 차량 본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롤링 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중앙 흡입유닛, 상기 중앙 흡입유닛의 상측에 구비되며 연통된 상기 중앙 흡입유닛과 제2 안내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중앙 개폐 실린더, 상기 중앙 흡입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 흡입유닛이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중앙 보조 바퀴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프레임과 착탈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 상기 제1 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의 후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 및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으로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물질이 건조한 상태의 경우에는 제1 안내부의 하측에 측면 흡입부를 결합하여 노면 청소차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에 대한 노면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별도로 측면 브러쉬 조립체없이 노면 청소차의 측면 공간에 대해 노면 청소할 수 있으므로 측면 브러쉬 조립체의 파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측면 브러쉬 조립체의 회전 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측면 브러쉬 조립체없이 노면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기에 미세먼지가 날리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제1 흡입부는 회전부의 작동에 의해 손쉽게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제1 흡입부가 장애물과의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노면 청소차에는 차량 본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앙 흡입부가 구비되어 노면 청소차가 지나가는 노면 청소차의 하면에 대한 노면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제1 안내부의 하측에는 제1 흡입부와 제2 흡입부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이루어지고, 결합 프레임에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이루어져 노면의 이물질 상태조건에 따라 노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제1 안내부에 측면 흡입부가 결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청소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주행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후부에 구비된 중앙 흡입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에 측면 브러쉬 조립체와 제2 흡입부가 구비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제1 안내부에 측면 흡입부가 결합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청소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주행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후부에 구비된 중앙 흡입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1000)는 차량 본체(100), 제1 안내부(200), 측면 흡입부(300),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 중앙 흡입부(500) 및 제2 안내부(6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면 청소차(1000)는 동절기에 사용되는 건식 노면 청소차로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 도 7참조)가 구비되지 않는 상태에서 노면 청소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 본체(100)에는 적재부(110), 연결하우징(120), 배출덕트(130) 및 송풍력 발생부(1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측면 흡입부(300)와 중앙 흡입부(500)로부터 흡입된 노면의 이물질은 적재부(110)에 수용된다.
이러한, 적재부(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연결하우징(120)에 결합된 여과부(121)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배출덕트(130)를 통해 노면 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송풍력 발생부(140)는 측면 흡입부(300)와 중앙 흡입부(500)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고 적재부(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한 후 배출덕트(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여과부(121)는 연결하우징(120)과 탈착되도록 이루어져 여과부(121)는 연결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된 후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부품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하우징(120)은 배출덕트(130)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져 노면의 이물질이 습한 상태의 경우에는 연결하우징(120)을 배출덕트(13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노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노면의 이물질이 건조한 상태인 경우에는 측면 흡입부(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측면 흡입부(300)는 제1 안내부(200)의 하측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며, 노면의 이물질이 건조한 상태는 노면이 빗물 또는 물 등에 의해 젖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하고, 노면의 이물질이 습한 상태는 노면이 빗물 또는 물 등에 의해 젖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측면 흡입부(300)는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적재부(110)로 안내하게 된다. 즉, 노면의 가장자리를 청소하게 된다.
여기서, 측면 흡입부(300)는 제1 흡입부(310)와 회전부(3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제1 흡입부(310)는 제1 안내부(200)의 하측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흡입부(310)는 송풍력 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350)는 노면 청소차(1000)의 주행시 또는 청소 작업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흡입부(3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 흡입부(310)는 제1 흡입유닛(311), 제2 흡입유닛(312), 제3 흡입유닛(313), 종동기어(314), 전방 보호부재(315), 테두리 보호부재(316), 조절 실린더(317), 측면 보조 바퀴부재(318), 연결 프레임(319) 및 상하 이동 실린더(3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흡입유닛(311)은 제1 안내부(200)의 하측과 연결되며 제1 흡입유닛(311)은 제1 안내부(200)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흡입유닛(312)은 제1 흡입유닛(3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1 흡입유닛(31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베어링부(미도시)의 외륜은 제1 흡입유닛(311)의 내측과 결합되고, 베어링부(미도시)의 내륜은 제2 흡입유닛(312)의 외측과 결합되어 제2 흡입유닛(312)은 베어링부(미도시)에 의해 제1 흡입유닛(311)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입유닛(311)은 제1 안내부(200)와 결합되며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 구성요소이고, 제2 흡입유닛(312)은 회전부(35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종동기어(314)는 제2 흡입유닛(312)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며, 구동기어(미도시)와 치합되어 구동기어(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흡입유닛(312)이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제3 흡입유닛(313)은 제2 흡입유닛(312)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2 흡입유닛(312)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구성요소로,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1 안내부(2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3 흡입유닛(313)의 양단부는 제2 흡입유닛(312)의 중심 수직선상(V)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제1 흡입부(310)가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제2 흡입유닛(312)의 중심 수직선상(V)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 흡입유닛(313)의 단부지점인 제1지점(321)까지의 거리(L1)는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 흡입유닛(313)의 단부지점인 제2지점(322)까지의 거리(L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제1 흡입부(310)가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함에 있어 차량 본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노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방 보호부재(315)는 제3 흡입유닛(313)의 전부에 구비되어 제3 흡입유닛(313)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 보호부재(315)는 조절 실린더(317)의 작동에 따라 제3 흡입유닛(313)으로부터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 실린더(317)는 전방 보호부재(315)의 회동을 통해 제3 흡입유닛(313)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조절 실린더(317)의 일단부는 제2 흡입유닛(312)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323)에 지지되고, 조절 실린더(317)의 타단부는 전방 보호부재(315)의 상부와 연결된 링크부재(324)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 실린더(317)의 조절 로드(325)는 전진 또는 후퇴를 통해 전방 보호부재(315)가 제3 흡입유닛(313)으로부터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테두리 보호부재(316)는 제3 흡입유닛(313)과 결합되며 제3 흡입유닛(313)의 테두리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 보호부재(315)와 테두리 보호부재(316)는 제3 흡입유닛(313)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보조 바퀴부재(318)는 제3 흡입유닛(313)의 후부에 결합되어 제3 흡입유닛(3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 보조 바퀴부재(318)는 제3 흡입유닛(313)과 전방 보호부재(315) 및 테두리 보호부재(316)가 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노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319)의 일단은 제1 흡입유닛(311)과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319)은 메인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하 이동 실린더(32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50)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1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 프레임(319)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로드(326)의 전진 또는 후퇴에 따라 제1 흡입유닛(311)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319)과 상하 이동 실린더(320)는 측면 흡입부(300)의 높낮이 조절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흡입부(3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50)는 보호 케이스(351), 구동부(352) 및 구동기어(미도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호 케이스(351)는 제1 흡입유닛(311)에 결합되며 구동기어(미도시)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부(352)는 보호 케이스(351)에 지지 고정되며 제1 흡입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구동기어(미도시)는 보호 케이스(351)의 내측에 구비되며 종동기어(314)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기어(미도시)는 구동부(352)의 회전력을 종동기어(314)로 전달하여 제2 흡입유닛(3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구동기어(미도시)는 웜 기어(worm gear)로 이루어져 구동부(352)의 작동에 따라 제2 흡입유닛(31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부(352)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통해 제2 흡입유닛(31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는 메인 프레임(150)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 본체(100)의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게 된다.
여기서,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는 차량의 진행방향, 즉 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노면의 폭 방향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틸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는 차량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은 차량 본체(100)의 후부에 구비된 중앙 흡입부(500)에 의해 흡입된다.
그리고, 중앙 흡입부(500)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은 중앙 흡입부(500)와 연결된 제2 안내부(600)를 통해 적재부(110)로 이동된다.
이러한, 중앙 흡입부(500)는 중앙 흡입유닛(510), 중앙 개폐 실린더(520) 및 중앙 보조 바퀴부재(5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앙 흡입유닛(510)은 차량 본체(1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롤링 브러쉬 조립체(4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 개폐 실린더(520)는 중앙 흡입유닛(510)의 상측에 구비되며 개폐판(522)을 통해 연통된 중앙 흡입유닛(510)과 제2 안내부(600)의 개폐 조절을 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 개폐 실린더(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중앙 흡입유닛(5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중앙 개폐 실린더(520)의 작동을 여부에 따라 측면 흡입부(300)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중앙 개폐 실린더(520)는 개폐 로드(521)의 전진 또는 후퇴에 따라 개폐판(522)은 이동하게 되어 연통된 중앙 흡입유닛(510)과 제2 안내부(60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 안내부(200)에도 연통된 제1 안내부(200)와 적재부(11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측면 개폐 실린더(210)가 구비되어 중앙 개폐 실린더(5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 보조 바퀴부재(530)는 중앙 흡입유닛(510)에 결합되며 중앙 흡입유닛(5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 보조 바퀴부재(530)는 중앙 흡입유닛(510)이 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노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하 이동 조절바(540)는 중앙 흡입부(50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 이동 조절바(540)는 노면 청소차(1000)가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중앙 흡입부(5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중앙 보조 바퀴부재(530)가 노면과 접촉되도록 이동시키고, 노면 청소차(1000)가 청소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앙 흡입부(5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중앙 보조 바퀴부재(530)가 노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하 이동 조절바(540)는 노면 청소차(1000)가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와 주행을 하는 경우에 따라 중앙 흡입부(5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을 참조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의 위치에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의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노면 청소차(1000)가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1 흡입부(31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직교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는, 제1 흡입부(310)가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함에 있어 차량 본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노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측면 보조 바퀴부재(318)는 노면에서 뜬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청소 작업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를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있어 먼저, 상하 이동 실린더(320)의 작동에 의해 제1 흡입유닛(311)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하 이동 실린더(320)는 전진된 상태에 있는 상하 이동 로드(326)를 후퇴시켜 제1 흡입부(3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측면 보조 바퀴부재(318)는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부(352)에 결합된 구동기어(미도시)는 구동부(352)의 정회전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미도시)와 치합된 종동기어(314)는 구동기어(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흡입유닛(3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3 흡입유닛(313)은 제2 흡입유닛(312)과 결합된 상태로 제2 흡입유닛(31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3 흡입유닛(313)의 제1지점(321)은 외부의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연결 프레임(319)의 하측으로 회전된다. 이에, 측면 흡입부(300)는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의 위치에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측면 흡입부(300)의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은 상술된 내용의 역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에 측면 브러쉬 조립체와 제2 흡입부가 구비된 부분 사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1100)는 제1 안내부(200)의 하측에는 제2 흡입부(700)가 연결되며, 제2 흡입부(700)의 전부에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가 구비된 노면 청소차(1100)이다.
이러한, 노면 청소차(1100)는 주로 하절기에 사용되는 습식 노면 청소차로, 노면 청소차(1100)에는 살수부(미도시)가 구비되어 노면에 물분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노면 청소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흡입부(700)는 제1 안내부(200)와 연결되며, 제2 흡입부(700)는 제1 안내부(200)의 하측과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는 메인 프레임(150)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프레임(152)과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는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게 된다.
이때, 제2 흡입부(700)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은 제2 흡입부(700)로 흡입되어 적재부(110)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노면의 이물질이 습한 상태의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의 분리 및 흡입이 어렵기에 노면 청소차(1100)에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는 이동부(900)에 의해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으로 이동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청소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900)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를 차량 본체(100)의 측면 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메인 프레임(150)의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흡입부(700)와 측면 브러쉬 조립체(800)는 메인 프레임(1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차량의 운행시 장애물과의 부딪힘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노면 청소차(1100)는 제2 흡입부(700)와 중앙 흡입부(500)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고 적재부(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한 후 배출덕트(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노면 청소차(1100)는 노면의 습한 이물질에 대해 노면 청소가 이루어지는 장치로, 노면 청소차(1100)에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여과부(121, 도 1참조)가 구비되지 않는다.
이는, 노면 청소차(1100)에 여과부(121, 도 1참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습한 이물질에 의해 여과부(121, 도 1참조)가 막히게 되어 배출덕트(130)를 통해 외부로 원활한 공기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면 청소차(1100)가 습한 이물질에 대해 노면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연결하우징(120, 도 1참조)을 배출덕트(130)로부터 분리시킨 후 노면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노면의 이물질의 상태에 따라 제1 안내부(200)에는 제1 흡입부(310, 도 2참조) 또는 제2 흡입부(7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노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 본체 200: 제1 안내부
300: 측면 흡입부 310: 제1 흡입부
311: 제1 흡입유닛 312: 제2 흡입유닛
313: 제3 흡입유닛 350: 회전부
400: 롤링 브러쉬 조립체 500: 중앙 흡입부
600: 제2 안내부 700: 제2 흡입부
800: 측면 브러쉬 조립체 1000, 1100: 노면 청소차

Claims (7)

  1. 노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를 갖는 차량 본체;
    노면의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제1 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와 상기 제1 흡입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갖는 측면 흡입부;
    상기 차량 본체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는 롤링 브러쉬 조립체;
    상기 차량 본체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링 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중앙 흡입부; 및
    상기 중앙 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제2 안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흡입부는, 상기 차량 본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롤링 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중앙 흡입유닛과, 상기 중앙 흡입유닛의 상측에 구비되며 연통된 상기 중앙 흡입유닛과 상기 제2 안내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중앙 개폐 실린더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입부에 구비된 종동기어는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되는 제1 흡입유닛;
    상기 제1 흡입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입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제2 흡입유닛;
    상기 제2 흡입유닛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종동기어;
    상기 제2 흡입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며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3 흡입유닛;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전부에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제3 흡입유닛에 지지되는 전방 보호부재;
    상기 제3 흡입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유닛을 보호하는 테두리 보호부재;
    일단부는 상기 제2 흡입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방 보호부재의 상부와 연결된 링크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3 흡입유닛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제3 흡입유닛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 흡입유닛이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측면 보조 바퀴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흡입유닛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
    상기 보호 케이스에 지지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는 상기 구동기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 흡입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흡입유닛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상하 이동 실린더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가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흡입유닛의 중심 수직선상으로부터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3 흡입유닛의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흡입부는, 상기 중앙 흡입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 흡입유닛이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중앙 보조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노면 청소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프레임과 착탈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 공간에 위치하는 노면을 청소하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
    상기 제1 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의 후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 및
    상기 차량 본체의 측면으로 상기 측면 브러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하측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
KR1020120026105A 2012-03-14 2012-03-14 노면 청소차 KR10121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05A KR101214623B1 (ko) 2012-03-14 2012-03-14 노면 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05A KR101214623B1 (ko) 2012-03-14 2012-03-14 노면 청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623B1 true KR101214623B1 (ko) 2013-01-14

Family

ID=4784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105A KR101214623B1 (ko) 2012-03-14 2012-03-14 노면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2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35B1 (ko) * 2013-03-06 2013-09-23 박희자 도로 청소차량에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용 흡입구
KR101318140B1 (ko) 2013-04-12 2013-10-18 박희자 도로 청소차량에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용 흡입장치
KR101365132B1 (ko) 2013-02-21 2014-02-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터치형 컨트롤러를 적용한 다목적도로관리차
CN105113447A (zh) * 2015-08-07 2015-12-02 山东奥邦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干湿两用型清洗吸尘车
KR20150144465A (ko) 2014-06-17 2015-12-28 유운모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KR101680022B1 (ko) * 2016-09-01 2016-11-28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노면간격유지기능을 갖는 흡입장치가 부착된 분진진공흡입청소차
CN106760627A (zh) * 2016-12-09 2017-05-31 滕松 一种智能机器人马路垃圾清扫车
KR101777357B1 (ko) * 2016-06-13 2017-09-11 강성룡 청소차
WO2018117285A1 (ko) * 2016-12-20 2018-06-28 홍성필 줄눈보수용 살수흡입차량 및 이를 이용한 줄눈보수방법
CN108316209A (zh) * 2017-12-18 2018-07-24 沈梦佳 一种改进型的小型道路清扫车
KR101939769B1 (ko) 2018-09-12 2019-01-17 이텍산업 주식회사 Gps를 활용한 지능형 통합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도로관리차 및 그 운전방법
CN117385795A (zh) * 2023-09-08 2024-01-12 广东神州智绘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清扫机构的环卫车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10B2 (ja) 1997-09-24 2000-07-24 建設省中国地方建設局長 路面清掃装置
JP3097320B2 (ja) * 1992-05-29 2000-10-10 豊和工業株式会社 ブラシ式清掃車
KR20030045007A (ko) * 2003-05-26 2003-06-09 (주) 동문기업 배기량 1,200cc 이하의 경차량에 탑재되는 노면 청소장치
KR100938954B1 (ko) * 2008-03-31 2010-01-28 심창섭 도로노면의 낙엽 및 쓰레기 청소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320B2 (ja) * 1992-05-29 2000-10-10 豊和工業株式会社 ブラシ式清掃車
JP3067710B2 (ja) 1997-09-24 2000-07-24 建設省中国地方建設局長 路面清掃装置
KR20030045007A (ko) * 2003-05-26 2003-06-09 (주) 동문기업 배기량 1,200cc 이하의 경차량에 탑재되는 노면 청소장치
KR100938954B1 (ko) * 2008-03-31 2010-01-28 심창섭 도로노면의 낙엽 및 쓰레기 청소차량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32B1 (ko) 2013-02-21 2014-02-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터치형 컨트롤러를 적용한 다목적도로관리차
KR101309535B1 (ko) * 2013-03-06 2013-09-23 박희자 도로 청소차량에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용 흡입구
KR101318140B1 (ko) 2013-04-12 2013-10-18 박희자 도로 청소차량에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용 흡입장치
KR20150144465A (ko) 2014-06-17 2015-12-28 유운모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CN105113447A (zh) * 2015-08-07 2015-12-02 山东奥邦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干湿两用型清洗吸尘车
KR101777357B1 (ko) * 2016-06-13 2017-09-11 강성룡 청소차
KR101680022B1 (ko) * 2016-09-01 2016-11-28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노면간격유지기능을 갖는 흡입장치가 부착된 분진진공흡입청소차
CN106760627A (zh) * 2016-12-09 2017-05-31 滕松 一种智能机器人马路垃圾清扫车
WO2018117285A1 (ko) * 2016-12-20 2018-06-28 홍성필 줄눈보수용 살수흡입차량 및 이를 이용한 줄눈보수방법
CN108316209A (zh) * 2017-12-18 2018-07-24 沈梦佳 一种改进型的小型道路清扫车
KR101939769B1 (ko) 2018-09-12 2019-01-17 이텍산업 주식회사 Gps를 활용한 지능형 통합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된 다목적도로관리차 및 그 운전방법
CN117385795A (zh) * 2023-09-08 2024-01-12 广东神州智绘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清扫机构的环卫车及其方法
CN117385795B (zh) * 2023-09-08 2024-04-30 广东神州智绘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清扫机构的环卫车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23B1 (ko) 노면 청소차
KR101391963B1 (ko)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KR100926900B1 (ko) 사계절 운영이 가능한 도로 분진 청소차
ES2660374T3 (es) Dispositivo de trabajo asistido por un vehículo, sistema y método de limpieza
CN105603921B (zh) 一种城市路面清洁装置
CN204370367U (zh) 一种轻轨清理车
KR101202065B1 (ko) 도로 도색면 제거 흡입기
CN107829392B (zh) 道路洗扫设备
CN103306228A (zh) 一种小型电动环卫清扫收集一体车
KR20150144465A (ko)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KR101062704B1 (ko) 노면용 건식청소장비
KR101214624B1 (ko) 노면 청소차
KR102118684B1 (ko) 도로 터널의 벽면 청소 장치
CN203334228U (zh) 一种手推清扫车
KR20110029606A (ko) 철도 도상 청소용 진공청소장치
KR101168555B1 (ko) 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CN106638400A (zh) 一种城市道路吸尘除霾用清扫车
CN212175639U (zh) 一种用于清洁城市的防扬尘的吸尘式道路清扫车
KR100917591B1 (ko) 노면 청소차
CN104863079A (zh) 一种基于离心式水幕除尘技术的清扫车
CN106759032A (zh) 一种车载道路冲洗的环保车
CN204919452U (zh) 纯吸式道路清扫车
CN207159908U (zh) 一种自吸式负压除尘清洁车的吸嘴装置
KR101042566B1 (ko) 백필터장치가 설치된 도로 분진 흡입청소차
CN110172945A (zh) 轨道道床除沙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