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963B1 -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963B1
KR101391963B1 KR20130109324A KR20130109324A KR101391963B1 KR 101391963 B1 KR101391963 B1 KR 101391963B1 KR 20130109324 A KR20130109324 A KR 20130109324A KR 20130109324 A KR20130109324 A KR 20130109324A KR 101391963 B1 KR101391963 B1 KR 10139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sensor
clean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금
주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Priority to KR2013010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963B1/ko
Priority to CN201480061251.9A priority patent/CN105705702A/zh
Priority to SG11201509745YA priority patent/SG11201509745YA/en
Priority to PCT/KR2014/008026 priority patent/WO20150378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01H1/0845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for the dirt to be sucked- up, e.g. brushes, scr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보행과 함께 저속으로 주행하며 지능적으로 노면에 흩어져 있는 각종 청소물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통해 매우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틈새나 구석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어 특히 인도, 공원, 골목길 등 기존의 차량용 청소차의 진입이 어려운 공간의 청소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체가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소음 및 탄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노면상의 청소물을 수거하기 위한 청소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주행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주행핸들이 구비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구동부와; 소정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적재부와; 노면의 청소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청소물이 배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흡입체와, 내부로 공기유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단 및 출구단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단이 상기 흡입체의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된 본체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흡입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공기유도공간 내에 설치된 회전팬과, 상기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팬과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흡입청소부와; 상기 주행구동부 및 상기 흡입청소부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WALKING-TYPE INTELLIGENT ROBOT ROAD SWEE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보행과 함께 저속으로 주행하며 지능적으로 노면에 흩어져 있는 각종 청소물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통해 매우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틈새나 구석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어 특히 인도, 공원, 골목길 등 기존의 차량용 청소차의 진입이 어려운 공간의 청소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체가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소음 및 탄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도로나 고속 도로, 주차장, 대단위 공단, 비행장 활주로, 대운동장 등에 버려진 낙엽, 모래 등의 쓰레기(이하, '노상 쓰레기'라 함)는 주로 청소 도구를 탑재한 노면 청소용 차량에 의해 청소된다.
또한, 상기 노면 청소차에 의해 노상 쓰레기가 제거되더라도 노면상에는 여전히 미세한 먼지나 차량의 타이어의 잔재물 등이 붙어 있게 된다. 이러한 먼지등은 차량 등이 통행할 때마다 비산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노면의 쓰레기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상기 노면 청소용 차량은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식과, 차량의 양측부에 수평회전하는 브러시를 설치하여, 회전브러시의 회전으로부터 노면에 쌓인 먼지나 흙, 낙엽 등의 노면 쓰레기를 청소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식과, 회전브러시를 회전하는 방식들은 노면 쓰레기를 차량내에 집진하지 못하고, 노면의 가장자리로 모으는데에 국한되어 있는 관계로, 노면쓰레기에 대한 청소에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이중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집된 청소물을 별도의 수거함에 적재하도록 하는 청소차와 같은 노면청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3642호 "노면 청소 차량의 청소 장치"와 같은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0)에 롤러브러시(110), 쓰레받기부(120), 보조집진부(130), 메인집진부(140), 제1 흡입팬(150), 흡입마우스(160) 등이 구성되어 상기 롤러브러시(110)가 구동모터에 의해 노면쓰레기를 차량의 전방으로 모으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쓰레받기부(120)를 통해 노면쓰레기를 집진시키는 등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와 같은 기술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므로, 일반도로 등을 제외한 학교 등의 각종 공공장소 주변의 골목길과 카트가 이동하기 위한 골프장 등의 협소한 도로에서 사용하기가 힘들고, 틈새와 구석진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청소 설비가 구비되도록 기존 차량을 개조시킨 특수차량을 제조하여야 함에 따라 그 제작 비용이 매우 고가이며, 그에 따른 취급 및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복잡한 전자 장비 등이 함께 구비됨으로써 고장 시 수리비용이 발생되어 유지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고출력의 트럭 등을 주로 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료 소비가 많으며, 소음과 인체에 해로운 각종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보행과 함께 저속으로 주행하며 지능적으로 노면에 흩어져 있는 각종 청소물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통해 매우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틈새나 구석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어 특히 인도, 공원, 골목길 등 기존의 차량용 청소차의 진입이 어려운 공간의 청소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체가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소음 및 탄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노면상의 청소물을 수거하기 위한 청소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주행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주행핸들이 구비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구동부와; 소정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적재부와; 노면의 청소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청소물이 배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흡입체와, 내부로 공기유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단 및 출구단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단이 상기 흡입체의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된 본체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흡입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공기유도공간 내에 설치된 회전팬과, 상기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팬과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흡입청소부와; 상기 주행구동부 및 상기 흡입청소부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차체프레임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충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음성 또는 화면으로 경고 및 표시하고,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 상기 주행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재부에 수거된 청소물의 적재량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의 청소물이 일정 적재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흡입체는, 노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청소물이 배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흡입관과, 노면 청소물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로 모아지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방 하부에서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회전브러시가 구비되되,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구가 노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차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이루면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흡입체는, 유연하게 굽어지는 관체로서 토출구가 상기 본체하우징 입구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게 연장된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가 노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덕트 일측에 지지되어 노면에 구름 접촉되는 캐스터와,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작업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차체프레임은, 상기 흡입덕트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와, 상기 거치대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거치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주행구동부 및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주행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구동모터를 일정 속도로 감속시키고, 상기 거치센서에서 거치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 주변에 설치된 범위측정센서와, 상기 범위측정센서의 일정 범위 내의 거리에 진입한 경우 상기 범위측정센서로 진입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된 진입감지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감지부가 상기 범위측정센서의 일정 범위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진입감지부가 상기 범위측정센서로부터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작업자의 보행과 함께 저속으로 주행하며 지능적으로 노면에 흩어져 있는 각종 청소물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통해 매우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틈새나 구석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어 특히 인도, 공원, 골목길 등 기존의 차량용 청소차의 진입이 어려운 공간의 청소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체가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소음 및 탄소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노면 청소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이하에서는 "지능로봇 청소장치"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노면상의 청소물을 수거하기 위한 지능형 노면 청소장치인 것으로, 차체프레임(10), 주행구동부(20), 적재부(30), 흡입청소부(40), 센서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은, 후술하기 위한 상기 주행구동부(20), 상기 적재부(30), 상기 흡입청소부(40), 상기 센서부(50), 상기 제어부(60)가 구성될 수 있도록 지능로봇 청소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기존의 노면 청소 차량 등에 비해 제품을 소형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지능로봇 청소장치의 주행과 함께 보행하면서 노면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차체프레임(10)은 하부에 주행 가능한 바퀴(11)가 구비되고, 후방 일측에 상기 바퀴(1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주행핸들(12)이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주행구동부(20)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주행구동부(20)는 상기 바퀴(1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모터(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모터(21)는 배터리(2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22)는 간편한 전기 충전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주행모터(21)의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로부터 공해물질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적재부(30)는 소정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사각형의 넓은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상기 흡입청소부(40)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흡입된 노면 청소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며, 이하의 흡입청소부(40)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입청소부(40)는 흡입체(41), 본체하우징(42), 배출관(43), 회전팬(44), 구동모터(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입체(41)는 흡입관(411)과 회전브러시(41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관(311)은 노면에서 소정높이만큼 이격되게 흡입구(411a)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411a)를 통해 흡입된 청소물이 배출되기 위한 토출구(411b)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브러시(412)는 노면에 흩어져 있는 낙엽, 모래 등 각종 노면 청소물이 상기 흡입관(411)의 흡입구(411a)로 모아지도록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서 한 쌍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이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회전브러시(412)는 상기 흡입구(411a) 방향을 향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노면의 청소물을 모으게 되고,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흡입관(411)을 통해 노면 청소물이 쉽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관(411)은 상기 흡입구(411a)가 노면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전진하는 방향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411a)에서 상기 토출구(411b)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차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이루면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진공청소기의 구조와 유사한 원리로서, 후술되는 상기 회전팬(44)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411a)와 상기 토출구(411b) 사이에서 압력차이가 발생된 경우 압력이 낮은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노면 청소물이 함께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하우징(42)은 상기 회전팬(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관(411)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회전팬(44)이 수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하우징(42)은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팬(44)을 보호하도록 상기 회전팬(44)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팬(44) 주변과 인접한 내벽(42a)을 갖는 공기유도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42)은 상기 공기유도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단(42b) 및 출구단(42c)이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단(42b)은 상기 흡입관(411)의 토출구(411b)와 연결되고, 출구단(42c)은 상기 회전팬(44)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43)은 상기 흡입관(411)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본체하우징(42)의 출구단(42c)을 통해 배출되는 청소물이 상기 적재부(30)에 수거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일측이 상기 본체하우징(42)의 출구단(42c)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30)의 내부공간으로 길게 연장되되, 신장 가능한 주름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팬(44)은 상기 본체하우징(42)의 내부 공기유도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입관(411)과 상기 배출관(43) 사이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 노면의 청소물이 상기 흡입관(411)으로 흡입되어 상기 적재부(3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팬(44)은 중심부가 상기 토출구(411b)와 정면으로 마주보게 수직하게 설치되는데, 그 중심부에는 상기 토출구(411b)와 동일한 중심을 갖는 중심축(44a)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411b)에 이웃하여 회전되는 다수의 회전날(44b)이 상기 중심축(44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회전팬(44)은 상기 다수의 회전날(44b)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관(411)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본체하우징(42) 내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다수의 회전날(44b)의 회전을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44)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하우징(42)의 내벽(42a)을 따라 유도되어 상기 출구단(42c)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하우징(42)의 공기유도공간의 주변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동 현상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5)는 상기 회전팬(44)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팬(44)과 회전축(45a)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모터(45)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팬(44)의 중심축(44a)과 전후 방향으로 커플링 결합된 회전축(45a)을 통해 상기 회전팬(44)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5)는 상기 배터리(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주행모터(21)와 같이 공해물질과 소음 발생을 유발하지 않도록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상기 회전팬(44)은 다수의 회전날(44b) 각각에서 상기 토출구(411b)와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톱니 형태의 커터부(4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부(44c)는 상기 다수의 회전날(44b) 각각의 말단부에서 정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낙엽 등 부피가 큰 노면 청소물이 상기 흡입관(411)을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42)의 공기유도공간으로 흡입된 경우,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날(44b)의 상기 커터부(44c)에 충격되어 분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본체하우징(42)으로 유입된 낙엽 등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날(44b)을 통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 현상에 의해 상기 본체하우징(42)의 공기유도공간 내벽(42a)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터부(44c)로 충격된 낙엽 등은 작은 부피로 분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적재부(30)로 수거된 노면 청소물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상기 차체프레임(10)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51)가 구비된 센서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주행구동부(20) 및 상기 흡입청소부(40)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우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방측에 마련된 메인컨트롤러(61)와, 상기 주행핸들(12) 주변에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모드전환스위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충돌감지센서(51)를 포함하여 리미트센서(52), 근접센서(53), 거치센서(54), 범위측정센서(5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각 센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충돌감지센서(51)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 방향에 나타난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 및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장애물의 출현 여부와 측정된 거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드전환스위치(62)의 설정이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충돌감지센서(51)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외부에 경고 및 표시하고,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는 상기 주행구동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상기 제어부(60)의 메인컨트롤러(61)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알람수단 또는 디스플레이(도면미도시)를 통해 장애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작업자에게 음성 또는 화면으로 경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이 발생될 수 있는 근접 거리에서 자동으로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충돌감지센서(51)로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노면의 청소 작업중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장애물 등을 회피하도록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 방향만을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자동으로 노면의 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메인컨트롤러(61)에서 제어 가능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상기 지능로봇 청소장치(1)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지그비 통신 모듈(도면미도시)과의 지그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60)의 프로세서로 원격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적재부(30)에 수거된 청소물의 적재량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센서(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센서(52)는 상기 적재부(30)의 내부공간 일측 상단 부분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적재부(30)로 수거된 노면 청소물이 점차적으로 쌓이면서 상단 부분까지 만충된 경우 상기 리미트센서(52)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로 과다 적재량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적재부(30)의 청소물이 일정 적재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구동모터(45)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팬(44)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상기 흡입관(411)으로부터 더 이상 노면의 청소물이 흡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도면미도시)과의 지그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부(50)의 각 센서로부터 감지 및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스트림 데이터 관리와 충돌회피, 자동주행, 신호처리 알고리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드전환스위치(62)를 통해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의 자동주행, 장애물 인지 및 회피, 자동흡입, 자동속도, 청소범위의 측정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상기 흡입체(41)는 흡입덕트(413)와, 캐스터(414)와, 작업손잡이(4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덕트(4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관(411)을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흡입덕트(413)는 상기 흡입관(411)과는 다르게 유연하게 굽어지는 관체로서 토출구(413b)가 상기 본체하우징(42)의 입구단(42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기존의 노면 청소 차량 등은 별도의 동력을 통해 단순 구동하는 청소수단 또는 흡입수단을 통해 노면 청소물을 수거 및 청소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노면의 각진 부분이나 계단식으로 단차가 있는 부분의 청소가 어렵게 되어 효율적인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 부분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동 및 수동 주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W)가 노면의 청소물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며 흡입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413)는 토출구(413b)가 상기 본체하우징(42)의 입구단(42b)에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꼼꼼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대로변에서 사용시 상기 흡입관(411)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흡입관(411)은 상기 토출구(411b)가 상기 본체하우징(42)의 입구단(42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스터(414) 및 상기 작업손잡이(415)는 작업자(W)가 상기 흡입덕트(413)를 가지고 청소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흡입덕트(413)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캐스터(414)는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가 노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덕트(413) 일측에 지지되어 노면에 구름 접촉된다.
상기 작업손잡이(415)는 상기 흡입덕트(413)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W)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W)의 키높이에 맞도록 상기 흡입덕트(413)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덕트(413)는 상기 캐스터(414) 및 작업손잡이(415)를 통해 노면에서의 방향전환 및 이동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10)을 저속으로 주행하며 노면에 흩어져 있는 각종 청소물을 상기 제어부(60)의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통해 매우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작업자(W)가 보행하면서 틈새나 구석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어 기존의 노면 청소 차량 등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와 같이 상기 흡입덕트(413)를 가지고 작업자(W)가 수작업으로 노면의 청소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노면의 청소물을 모으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브러시(412)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브러시(412)가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도록 제어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은 상기 흡입덕트(413)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53)와, 상기 거치대(13)에 흡입덕트(413)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거치센서(5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센서(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 (413a) 주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면서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60)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작업자(W)가 노면의 청소를 위해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 부분을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근접센서(53)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하(예를 들면, 100mm이하)인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20) 및 상기 구동모터(45)를 작동시키고, 상기 근접센서(53)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하(예를 들면, 100mm이상)인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구동모터(45)를 일정 속도로 감속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청소 작업을 위해 작업자(W)가 상기 흡입덕트(413)를 수직 방향에 가깝게 세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팬(44)의 구동과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W)가 다른 작업을 위해 상기 흡입덕트(413)를 손에서 놓게 되면 상기 흡입덕트(313)가 수평 방향에 가깝게 눕혀지며 상기 흡입구(413a) 부분이 들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청소 작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바퀴(12)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을 멈추게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회전팬(44)을 회전을 감속시키며 청소 대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13)는 작업자(W)가 청소 작업을 마치도록 상기 흡입덕트(413)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거치센서(54)는 상기 거치대(13)에 내설되어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 주변에 설치된 걸이부재(413b)가 상기 거치대(13)에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거치센서(54)에서 거치 신호가 감지된 경우 노면의 청소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45)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지능로봇 청소장치(1)는 작업자(W)가 수작업을 통해 노면의 청소 작업을 마친 경우 상기 흡입덕트(413)를 상기 거치대(13)에 거치하는 작업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회전팬(4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간편하게 청소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 주변에 설치된 범위측정센서(55)와, 상기 범위측정센서(55)의 일정 범위 내의 거리에 진입한 경우 상기 범위측정센서(55)로 진입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된 진입감지부(5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감지부(55a)가 상기 범위측정센서(55)의 일정 범위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20)를 정지시키고, 상기 진입감지부(55a)가 상기 범위측정센서(55)로부터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범위측정센서(55)는 노면 청소를 위해 흡입 작업중인 상기 흡입덕트(413) 방향으로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주행하게 되면서 상기 차체프레임(10)과 상기 흡입덕트(413)의 흡입구(413a) 부분이 일정 범위로 좁혀진 경우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면서 작업자가 상기 흡입덕트(413)를 통해 수작업으로 청소 작업을 하는 중에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지능로봇 청소장치 10 차체프레임
11 바퀴 12 주행핸들
13 거치대 20 주행구동부
21 주행모터 30 적재부
40 흡입청소부 41 흡입부
411 흡입관 412 회전브러시
413 흡입덕트 414 캐스터
415 작업손잡이 42 본체하우징
43 배출관 44 회전팬
45 구동모터 50 센서부
51 충돌감지센서 52 리미트센서
53 근접센서 54 거치센서
55 범위측정센서 55a 진입감지부
60 제어부

Claims (7)

  1. 노면상의 청소물을 수거하기 위한 청소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주행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주행핸들이 구비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구동부와; 소정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적재부와; 노면의 청소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청소물이 배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흡입체와, 내부로 공기유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단 및 출구단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단이 상기 흡입체의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된 본체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흡입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공기유도공간 내에 설치된 회전팬과, 상기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팬과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흡입청소부와; 상기 주행구동부 및 상기 흡입청소부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체는, 유연하게 굽어지는 관체로서 토출구가 상기 본체하우징 입구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게 연장된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가 노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덕트 일측에 지지되어 노면에 구름 접촉되는 캐스터와,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작업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충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음성 또는 화면으로 경고 및 표시하고, 어느 일정 거리 이하에서 상기 주행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재부에 수거된 청소물의 적재량을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의 청소물이 일정 적재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은, 상기 흡입덕트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와, 상기 거치대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거치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주행구동부 및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주행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구동모터를 일정 속도로 감속시키고, 상기 거치센서에서 거치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구 주변에 설치된 범위측정센서와, 상기 범위측정센서의 일정 범위 내의 거리에 진입한 경우 상기 범위측정센서로 진입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된 진입감지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감지부가 상기 범위측정센서의 일정 범위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진입감지부가 상기 범위측정센서로부터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행구동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6. 삭제
  7. 삭제
KR20130109324A 2013-09-11 2013-09-11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KR10139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324A KR101391963B1 (ko) 2013-09-11 2013-09-11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CN201480061251.9A CN105705702A (zh) 2013-09-11 2014-08-28 行走式智能机器人清扫装置
SG11201509745YA SG11201509745YA (en) 2013-09-11 2014-08-28 Walking type intelligent robot cleaning device
PCT/KR2014/008026 WO2015037843A1 (ko) 2013-09-11 2014-08-28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324A KR101391963B1 (ko) 2013-09-11 2013-09-11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963B1 true KR101391963B1 (ko) 2014-05-07

Family

ID=5089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324A KR101391963B1 (ko) 2013-09-11 2013-09-11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91963B1 (ko)
CN (1) CN105705702A (ko)
SG (1) SG11201509745YA (ko)
WO (1) WO2015037843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533B1 (ko) * 2014-09-18 2015-06-17 주식회사 일엽지추 차량용 거치대가 구비되는 실외용 진공청소기
KR20160059331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CN105926502A (zh) * 2016-05-19 2016-09-07 吴江玲 一种可降噪的桥梁路面清理装置
CN105926510A (zh) * 2016-05-19 2016-09-07 晋江市佳卫斯锁业有限公司 一种建筑桥梁的路面清理设备
KR20200025466A (ko) * 2018-08-30 2020-03-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그웨이 기반의 탑승형 청소기
KR20210022997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유승 자동화된 도로 도색 장치
CN114291262A (zh) * 2021-12-22 2022-04-0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换水道路清扫方法、系统及装置
CN114737508A (zh) * 2022-03-08 2022-07-12 杰瑞环境科技有限公司 清扫装置及环卫车
KR102545545B1 (ko) * 2022-02-21 2023-06-22 주식회사 그린우전 융복합 다기능 청소기
CN117368102A (zh) * 2023-08-28 2024-01-09 中国铁路广州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工程的桥梁裂缝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900171A (zh) * 2024-03-20 2024-04-19 华芯智上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导轨清洁车
KR20240065455A (ko) 2022-10-28 2024-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자동방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차량 자동 방역 방법
WO2024136166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한아 자율 주행형 노면 청소 장치
KR102690006B1 (ko) * 2024-04-09 2024-07-30 주식회사 동명씨앤아이 터널 노면 복합 청소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4158A (zh) * 2015-06-12 2017-01-04 李犁 智能清扫机器人
CN106544972B (zh) * 2016-11-08 2018-07-27 界首市绍恩精机机械有限公司 一种含有障碍识别系统的光伏增程式锂电清扫车及其使用方法
CN107318671A (zh) * 2017-08-16 2017-11-07 北方民族大学 一种牲畜粪便全自动智能清扫设备
CN107600202A (zh) * 2017-10-17 2018-01-19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适用复杂地形的智能除草机器人
WO2019220467A1 (en) * 2018-05-14 2019-11-21 T.S.M. S.R.L. Self-propelled apparatus for suction cleaning
CN108755536A (zh) * 2018-07-24 2018-11-06 安徽工程大学 轮边驱动智能遥控式落叶吹扫车
CN108824316A (zh) * 2018-09-11 2018-11-16 辽宁健德电动环卫车辆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吸扫结合式的电动清扫车
CN110989591A (zh) * 2019-12-02 2020-04-10 长沙中联重科环境产业有限公司 基于路沿识别进行辅助作业控制的环卫机器人
CN111364400A (zh) * 2020-04-08 2020-07-03 衡水通途工程制品有限公司 一种桥梁伸缩缝型腔清理装置
CN113756164A (zh) * 2021-10-14 2021-12-07 河南翔瑞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沥青路面用养护装置
CN114237089A (zh) * 2021-11-15 2022-03-25 成都壹为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面向洗扫作业车的智能上装控制系统
CN113957835A (zh) * 2021-11-16 2022-01-21 吉林大学 一种可安装于牵引车辆的吸附式人行道清扫装置
CN114396005B (zh) * 2022-01-15 2023-07-28 江苏大学 一种集光电热一体化管理的新能源扫地车
CN116145604A (zh) * 2022-11-28 2023-05-23 李艳 一种自清洁型智能扫地设备用安全预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919A (ja) * 2002-04-12 2003-10-31 Arimitsu Industry Co Ltd 道床面などの洗浄車両
JP2006299703A (ja) 2005-04-22 2006-11-02 Maeda Road Constr Co Ltd 路面清掃車両および路面清掃装置
KR100915879B1 (ko) 2008-11-25 2009-09-07 (주)우림휀스 도로 및 교량 시설물의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4549A (en) * 1995-09-04 1997-03-26 Black & Decker Inc A wheeled blower vacuum device
US6519805B2 (en) * 2000-02-25 2003-02-18 Mtd Products Inc Adjustable vacuum nozzle
KR20040042560A (ko) * 2002-11-15 2004-05-20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능을 갖는 진공흡입식 도로청소차
KR20090063642A (ko) * 2007-12-14 2009-06-18 문종철 노면 청소 차량의 청소 장치
KR101103139B1 (ko) * 2009-01-23 2012-01-04 한국도로공사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한 도로청소차량
CN202981889U (zh) * 2012-12-13 2013-06-12 芜湖爱瑞特环保科技有限公司 商用机器人扫地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919A (ja) * 2002-04-12 2003-10-31 Arimitsu Industry Co Ltd 道床面などの洗浄車両
JP2006299703A (ja) 2005-04-22 2006-11-02 Maeda Road Constr Co Ltd 路面清掃車両および路面清掃装置
KR100915879B1 (ko) 2008-11-25 2009-09-07 (주)우림휀스 도로 및 교량 시설물의 세척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533B1 (ko) * 2014-09-18 2015-06-17 주식회사 일엽지추 차량용 거치대가 구비되는 실외용 진공청소기
KR20160059331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WO2016080643A1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CN105849336A (zh) * 2014-11-18 2016-08-10 追梦C&G有限公司 安装更换式袋子的路面清扫装置
KR101654866B1 (ko) * 2014-11-18 2016-09-0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CN105926502A (zh) * 2016-05-19 2016-09-07 吴江玲 一种可降噪的桥梁路面清理装置
CN105926510A (zh) * 2016-05-19 2016-09-07 晋江市佳卫斯锁业有限公司 一种建筑桥梁的路面清理设备
KR20200025466A (ko) * 2018-08-30 2020-03-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그웨이 기반의 탑승형 청소기
KR102099219B1 (ko) 2018-08-30 2020-04-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그웨이 기반의 탑승형 청소기
KR102257533B1 (ko) * 2019-08-21 2021-05-31 주식회사 유승 자동화된 도로 도색 장치
KR20210022997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유승 자동화된 도로 도색 장치
CN114291262A (zh) * 2021-12-22 2022-04-0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换水道路清扫方法、系统及装置
CN114291262B (zh) * 2021-12-22 2023-04-1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换水道路清扫方法、系统及装置
KR102545545B1 (ko) * 2022-02-21 2023-06-22 주식회사 그린우전 융복합 다기능 청소기
CN114737508A (zh) * 2022-03-08 2022-07-12 杰瑞环境科技有限公司 清扫装置及环卫车
KR20240065455A (ko) 2022-10-28 2024-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자동방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차량 자동 방역 방법
WO2024136166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한아 자율 주행형 노면 청소 장치
CN117368102A (zh) * 2023-08-28 2024-01-09 中国铁路广州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工程的桥梁裂缝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900171A (zh) * 2024-03-20 2024-04-19 华芯智上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导轨清洁车
CN117900171B (zh) * 2024-03-20 2024-06-04 华芯智上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导轨清洁车
KR102690006B1 (ko) * 2024-04-09 2024-07-30 주식회사 동명씨앤아이 터널 노면 복합 청소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5702A (zh) 2016-06-22
SG11201509745YA (en) 2015-12-30
WO2015037843A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963B1 (ko) 보행형 지능로봇 청소장치
KR101654866B1 (ko)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US11141032B2 (en) Autonomous vacuum
EP1825066B1 (en) Dust control system
KR101103139B1 (ko)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한 도로청소차량
KR101942482B1 (ko) 풍력을 이용한 자가발전형 노면 청소장치
KR101214623B1 (ko) 노면 청소차
KR101202065B1 (ko) 도로 도색면 제거 흡입기
CN105291112A (zh) 一种巡逻机器人
CN204120944U (zh) 一种新型智能清洁机器人
JP7147428B2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US11478115B2 (en) Autonomous traveling cleaner
US20120117754A1 (en) Street cleaning vacuum system
US7703173B2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roads and urban ares
CN103921812A (zh) 一种减少物品搬运时产生尘粒的推车
CN209733861U (zh) 一种智能楼梯清洁机器人
CN215669255U (zh) 一种智能清扫车机构
CN109998416A (zh) 一种吸尘机器人
KR102267856B1 (ko) 브러쉬 속도조절형 전기청소차
CN102793516B (zh) 手推式多功能清洁机
CN113009913A (zh) 一种基于多模块应用的agv导引系统及应用系统的agv小车
CN106759019A (zh) 环卫车
KR100917591B1 (ko) 노면 청소차
CN210712695U (zh) 环卫清洁设备
CN108345296A (zh) 智能自动清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