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417A -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 Google Patents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417A
KR20110023417A KR1020090081288A KR20090081288A KR20110023417A KR 20110023417 A KR20110023417 A KR 20110023417A KR 1020090081288 A KR1020090081288 A KR 1020090081288A KR 20090081288 A KR20090081288 A KR 20090081288A KR 20110023417 A KR20110023417 A KR 2011002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formation
shape
modul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허종길
김봉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417A/ko
Publication of KR2011002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공정에 있어서 판넬 통판 부재 마킹 공정시 마킹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네스팅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CAD 전문 인력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네스팅 작업을 수행하여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모듈과;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 정보 DB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네스팅 작업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설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스팅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마킹 장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까지의 작업공수를 최소화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판넬, 통판, 마킹, 네스팅

Description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Panel Plate Shape Embodi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건조 공정에 있어서 판넬 통판 부재 마킹 공정시 마킹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 시에는 선체를 구성하는 여러 부재를 제작하고, 제작된 부재를 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설계 단계에서 설계된 설계 정보에 따라 여러 장의 판넬 부재를 용접하여 판넬 통판 부재를 제작하고 제작된 판넬 통판 부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조립하는 생산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생산 단계에서는 판넬 통판 부재의 정밀한 절단을 위하여 절단 공정 이전에 절단할 판넬 통판 부재에 미리 마킹(Marking)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마킹은 절단, 굽힘 및 조립 작업에 필요한 선과 기호를 기입하는 작업이다.
마킹은 사용되는 도구나 장비에 따라 수 마킹, 투영 마킹, 전자사진 마킹, NC(Numerical Control) 마킹 등이 있으며, 현재에는 그 편리성 때문에 전용 컴퓨터 를 이용한 수치 제어에 의해 필요한 형상을 자동으로 그리는 NC 마킹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박 건조 시 마킹 공정 수행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스팅(Nesting) 작업자가 설계 단계에서 설계 작업자의 CAD(Computer Aided Design) 작업을 통해 구현된 여러 장의 판넬 형상을 붙여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부재 절단을 위한 마킹 정보를 표기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표기된 마킹 정보를 이용하여 마킹 장비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면, 생산 작업자가 해당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마킹 장비로 입력하여, 마킹 장비로 하여금 입력된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실제 판넬 통판 부재에 마킹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이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설계 작업자가 CAD 프로그램 툴(Tool) 상에서 여러 장의 판넬 형상을 설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네스팅(Nesting) 작업자가 CAD 프로그램 툴을 사용하여 각 판넬 형상을 선택 및 이동시켜 붙이는 네스팅 작업을 수행하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붙여진 각 판넬 사이의 이음매(Seam)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즉, 종래에는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CAD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작업자를 네스팅 작업에 투입해야만 하며, 복잡한 CAD 작업에 의한 네스팅 작업을 진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CAD 전문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의 낭비를 초래하며, 마킹 장비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까지 많은 작업공수(M/H)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박 건조 공정에 있어서 판넬 통판 부재 마킹 공정시 마킹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네스팅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CAD 전문 인력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네스팅 작업을 수행하여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모듈과;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 정보 DB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네스팅 작업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설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스팅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에 의하면, 선박 건조 공정에 있어서 판넬 통판 부재 마킹 공정시 마킹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네스팅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CAD 전문 인력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네스팅 작업을 수행하여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어,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마킹 장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까지의 작업공수를 최소화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선박 건조 시의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모듈(10)과,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 정보 DB(20)와, 입력모듈(10)로부터 네스팅 작업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설계 정보 DB(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스팅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는 제어모듈(30)과,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및 출력물 인쇄 장비 등과 같은 주변 기기를 포함한 컴퓨터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는 각 판넬 부재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호선 식별코드, 블록 식별코드 등)별로 각 판넬 부재의 형상을 그리기 위해 필요한 각 판넬 부재의 규격 정보(예를 들어, 두께, 폭, 길이 등)가 매칭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제너릭(Generic) 파일 형태로 설계 정보 DB(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설계 정보 DB(20)에 업데이트시킨다.
이러한, 제어모듈(30)은 네스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입력모듈(10)로부터 네스팅 작업 개시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네스팅 프로그램을 불러와 구동시켜 네스팅 작업을 개시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네스팅 작업이 개시되면,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30)은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을 통해 프로젝트 생성 화면에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면, 입력된 프로젝트명을 폴더명으로 하는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 다음에, 설계 정보 DB(20)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복사하여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시킴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0)은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를 구비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게 되는데, 메모리 영역의 특정 드라이버의 하위 디렉토리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프로젝트 로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프로젝트 폴더를 로딩하여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한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은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는 제1화면 영역과, 제1화면 영역에 보여지는 판넬 부재 중 선택된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2화면 영역을 포함하되, 제1화면 영역에 출력된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을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3화면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화면 영역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은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모듈(10) 조작을 통해 각각 선택하여 드래그,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화면 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제어모듈(30)은 사용자의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제3화면 영역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 각각을 드래그,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시켜 정렬하게 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사용자의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판넬 부재 선택 화면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 중 판넬 통판 형상 구현을 위한 판넬 부재가 선택되고, 그 선택된 판넬 부재의 임시 배치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입력모듈(10)로부터 판넬 부재 선택 정보 및 선택된 판넬 부재의 임시 배치 요청 정보를 전달받 아, 전달받은 판넬 부재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들을 판넬 통판 형상으로 임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화면 출력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선택된 판넬 부재 형상들의 상하좌우 방향을 일정 기준에 따라 정렬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판넬 부재 형상 접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임시 배치된 판넬 부재 형상을 접합하고 그 접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이음매 부분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제어모듈(30)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마킹 정보를 형성하여, 그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모듈(30)과 외부 장비(예를 들어, 마킹 장비 또는 출력물 인쇄 장비 등) 간의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제어모듈(30)은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마킹 장비로 전송하여 마킹 장비의 제어 데이터로 입력하거나, 출력물 인쇄 장비(예를 들어, 프린터 등)로 전송하여 설계 도면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네스팅 작업이 개시되면,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S200).
상기한 단계 S200에서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네스팅 작업 개시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네스팅 프로그램을 불러와 구동시켜 네스팅 작업을 개시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네스팅 작업이 개시되면,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입력모듈(10) 조작을 통해 프로젝트 생성 화면에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면, 입력된 프로젝트명을 폴더명으로 하는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 다음에, 설계 정보 DB(20)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복사하여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시킴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0)은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를 구비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게 되는데, 메모리 영역의 특정 드라이버의 하위 디렉토리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200을 통해 생성된 프로젝트 로딩시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210).
상기한 단계 S210에서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프로젝트 로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프로젝트 폴더를 로딩하여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한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을 생성 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는 제1화면 영역과, 제1화면 영역에 보여지는 판넬 부재 중 선택된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2화면 영역을 포함하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화면 영역에 출력된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을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3화면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화면 영역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은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통한 입력모듈(10) 조작을 통해 각각 선택하여 드래그,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제어모듈(30)은 사용자의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제3화면 영역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 각각을 드래그,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시켜 정렬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출력된 판넬 부재 선택 화면에서 판넬 통판 형상 구현을 위한 소정의 판넬 부재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들을 화면 상에 임시 배치한다(S220).
상기한 단계 S220에서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제어모듈(30)은 사용자의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판넬 부재 선택 화면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 중 판넬 통판 형상 구현을 위한 판넬 부재가 선택되고, 그 선택된 판넬 부재의 임시 배치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입력모듈(10)로부터 판넬 부재 선택 정보 및 선택된 판넬 부재의 임시 배치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들을 판넬 통판 형상으로 임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화면 출력한 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선택된 판넬 부재 형상들의 상하좌우 방향을 일정 기준에 따라 정렬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220 이후, 임시 배치된 판넬 부재 형상을 접합하고 그 접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이음매 부분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구현한다(S230).
상기한 단계 S230에서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제어모듈(30)은 입력모듈(10)로부터 판넬 부재 형상 접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한 단계 S220을 통해 임시 배치된 판넬 부재 형상을 접합하고 그 접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이음매 부분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한 단계 S230 이후, 사용자의 상기 입력모듈(10) 조작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출력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마킹 정보를 형성하여, 그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한 단계 S200에서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제어모듈(30)은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마킹 장비로 전송하여 마킹 장비의 제어 데이터로 입력하거나, 프린터 등의 출력물 인쇄 장비로 전송하여 설계 도면 형태로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입력모듈 20: 설계 정보 DB
30: 제어모듈 40: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0)

  1.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모듈과;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 정보 DB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네스팅 작업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설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스팅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의 형상을 구현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설계 정보 DB에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네스팅 작업 개시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네스팅 프로그램을 불러와 구동시켜 네스팅 작업을 개시하고, 네스팅 작업이 개시되면,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시키고,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설계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복사하여 상기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시킴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프로젝트 로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한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부재 선택 화면은,
    상기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출력하는 제1화면 영역과;
    상기 제1화면 영역에 보여지는 판넬 부재 중 선택된 판넬 부재의 설계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2화면 영역과;
    상기 제1화면 영역에서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을 출력하여 보여주는 제3화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3화면 영역에 출력된 판넬 부재 형상들 각각을 드래그,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시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판넬 부재 선택 정보 및 선택된 판넬 부재의 임시 배치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판넬 부재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판넬 부재의 형상들을 판넬 통판 형상으로 임시 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하고,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판넬 부재 형상 접합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 면, 임시 배치된 판넬 부재 형상을 접합하고 그 접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이음매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마킹 정보를 형성하여, 그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폴더 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과 마킹 장비 또는 출력물 인쇄 장비 간의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마킹 정보가 형성된 판넬 통판 부재 형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마킹 장비로 전송하여 상기 마킹 장비의 제어 데이터로 입력하거나, 상기 출력물 인쇄 장비로 전송 하여 설계 도면 형태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부재별 설계 정보는,
    각 판넬 부재의 식별정보별로 각 판넬 부재의 형상을 그리기 위해 필요한 각 판넬 부재의 규격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제너릭(Generic) 파일 형태로 상기 설계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KR1020090081288A 2009-08-31 2009-08-31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KR20110023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88A KR20110023417A (ko) 2009-08-31 2009-08-31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88A KR20110023417A (ko) 2009-08-31 2009-08-31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17A true KR20110023417A (ko) 2011-03-08

Family

ID=4393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88A KR20110023417A (ko) 2009-08-31 2009-08-31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4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868A (ko) * 2011-11-03 2013-05-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설계 시 형강류 절단도면 자동 생성 및 자재 bom 자동 추출 방법
KR20130117470A (ko) * 2012-04-18 2013-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절단 부재를 위한 자동 브리지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99996B1 (ko) * 2012-02-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868A (ko) * 2011-11-03 2013-05-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설계 시 형강류 절단도면 자동 생성 및 자재 bom 자동 추출 방법
KR101399996B1 (ko) * 2012-02-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20130117470A (ko) * 2012-04-18 2013-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절단 부재를 위한 자동 브리지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50098A (ja) 施工プロセス可視化方法
US878688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int job tracking using assignable mobile devices
KR20110023417A (ko)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JP2007034599A (ja) 設計支援方法および設計支援装置
JP2006236310A (ja) 制作管理装置、制作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ドキュメント制作システム
JP4277206B2 (ja) ラダープログラム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6882137B2 (ja) 作業指示システム
JP2008225596A (ja) 作業進捗確認支援システム
JP2019174967A (ja) 操作性を向上した統合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11149497A (ja) 書類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て行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EP4040354A1 (en) Work management device, work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00043883A1 (fr) Unite peripherique de controleur programmable
JP2007209991A (ja) 溶接打点の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4071651A (ja) 工程管理システム
JP2009146048A (ja) プロ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
JPH07114467A (ja) システム監査支援用システム
CN110573976B (zh) 系统构建辅助装置及系统构建辅助方法
JP2016189149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8242722A (ja) 業務管理方法および業務管理システム
JP20171172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09564A (ja) データ生成装置、制御用表示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58468B1 (ko) 선박 셀의 부속품 마크 자동 표시시스템과 표시방법
JP2007226446A (ja) 数値制御装置、工作機械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14177A (ko) 선박설계시 조립도 표지 자동생성방법
JP2021086526A (ja) 工程表作成方法、工程表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工程表作成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