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996B1 -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996B1
KR101399996B1 KR1020120020202A KR20120020202A KR101399996B1 KR 101399996 B1 KR101399996 B1 KR 101399996B1 KR 1020120020202 A KR1020120020202 A KR 1020120020202A KR 20120020202 A KR20120020202 A KR 20120020202A KR 101399996 B1 KR101399996 B1 KR 10139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dentifier
processing unit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584A (ko
Inventor
박정서
한상동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9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2Scale-space analysis, e.g. wavelet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 은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식별자 처리부, 상기 부재의 이미지나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정합부 및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생산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산업은 대표적인 수주산업으로 선주의 요구에 따라 선박의 기능 및 외형이 달라진다. 각 선주는 선박을 투입하는 위치, 목적 등을 고려하여 선박의 기능을 결정하므로 동일한 선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시리즈 선박(선주에 의한 동일 선박 발주)의 경우에 동형의 선박 여러 척이 건조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른 선형을 갖기 때문에 매번 선박에 대한 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 
 앞에서와 같이 설계 관점에서 봤을 때, 선박마다 다른 설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관점에서도 선박마다 서로 다른 생산 정보가 필요하다. 특히 선박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재질, 목적 등에 따라 곡성형, 용접, 도장 등의 생산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각 특징에 맞는 생산정보를 산출하여 도면에 기입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해 줘야 한다. 
 이처럼 조선산업과 같은 수주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이라는 산업의 특성상 자동차 산업과 같이 라인을 구축하고 자동화하는 생산이 불가능하므로 설계도면을 통한 작업지시를 바탕으로 선박을 건조한다.
즉, 소조립이나 절단과 같은 선박 건조 초기단계의 내업공정을 제외하고는 자동화된 사례가 거의 없으며, 용접 등의 자동화는 주로 캐리지 타입(carriage type)의 자동화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고 고품질의 용접이 가능하나, 용접정보 등은 생산작업 지시도면에서 제공되거나 노하우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생산 방식으로 인해 한 번 출도된 설계도면은 재사용되기 어렵고, 야드에서 동시에 수십 척의 배를 건조하고 있는 조선산업의 특성상 설계도면은 각 호선별, 블록별로 출도되어 관리가 어렵게 된다. 또한 과도하게 많은 설계도면으로 인한 관리 소홀로 기술보안상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55507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계도면없이 부재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식별자 처리부, 상기 부재의 이미지나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정합부 및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은 상기 부재 정보에 따른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의 생산 정보는 상기 부재의 절단, 용접 또는 조립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은 부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가 상기 위치 벡터와 상기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부재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부재의 이미지에서 추출된 부재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가 마커인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마커의 변형된 이미지와 원래 마커 사이의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합부는 회전 행렬 및 수평 이동 벡터를 상기 형상 정보로부터 얻은 설계 위치 벡터에 적용하여 적용 결과가 상기 위치 벡터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회전 행렬 및 상기 수평 이동 벡터를 상기 위치 벡터에 적용하여 적용 결과가 상기 형상 정보로부터 얻은 설계 위치 벡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상기 정합부 및 상기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상기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생산정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정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부재의 이미지나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재 정보에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은 부재의 이미지나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이미지 상의 부재와 형상 정보에서의 부재를 정합함으로써 부재 이미지 상에 부재의 생산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부재의 용접 과정에서 설계도면없이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식별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식별자로 사용가능한 마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다양한 변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은 설계 데이터베이스(110), 이미지 생성부(120), 식별자 처리부(130), 이미지 처리부(140), 정합부(150), 및 생산정보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는 부재 정보에 따른 부재의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는 특정 부재에 해당하는 부재의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는 부재의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 이외에 부재 정보에 따른 일정 정보와 같이 부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정보는 부재의 이름,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의 이름, 해당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의 형상 정보는 부재의 꼭지점, 꼭지점을 잇는 모서리, 모서리로 이루어진 면과 관련된 캐드(CAD : Computer Aided Design) 정보일 수 있다. 부재의 생산 정보는 부재의 절단, 용접 또는 조립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들을 조립하기 위한 용접 방법, 용접 순서 및 용접 속도나, 용접기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재의 일정 정보는 부재의 조립 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20)는 부재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부(120)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일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에 포함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은 이미지 생성부(120) 없이 외부에서 입력된 부재의 이미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식별자 처리부(130)는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식별자의 이미지는 배경과 배경 상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별자 처리부(130)는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배경을 제외한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식별자 처리부(130)는 추출된 식별자를 판독하여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데이터 포맷(data format)의 부재 정보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별자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코드(bar code) 또는 마커(marker)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별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식별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코드는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이 때, 이차원 바코드는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이다.
식별자가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1차원 바코드인 경우 식별자는 부재의 위치 벡터(vector)와 스케일(scale)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식별자가 2차원 바코드이거나 마커인 경우, 2차원 바코드나 마커는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식별자 처리부(130)에 의하여 변환된 부재 정보는 부재의 이름, 부재가 사용되는 블록의 이름, 해당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이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식별자 처리부(130)가 다양한 식별자로부터 부재 정보를 얻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가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질 경우, 식별자 처리부(130)는 식별자의 계조(gray scale)와 식별자가 표시된 부재의 계조 사이의 차이를 기준값이나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를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에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자의 추출은 이상에서 설명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별자가 바코드인 경우, 식별자 처리부(130)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바코드를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가 마커인 경우, 식별자 처리부(130)는 마커 내부의 백색 부분을 추출하며, 이 때 마커 내부의 백색 부분은 부재의 식별자에 해당될 수 있다. 마커 내부의 백색 부문은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이며, 식별자 처리부(130)는 이차원 코드를 판독하여 이차원 코드를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커는 검은 부분과, 검은 부분 내부의 하얀 부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마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는 검은 테두리 부분과, 테두리 내부의 하얀 부분, 그리고 하얀 부분 내부의 검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검은 부분이 부재의 식별자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의 마커는 격자 형태이지만, 마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커로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커로부터 부재의 식별자를 얻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한 패턴으로 식별자 정보가 인코딩(encoding) 되어 있는 마커를 디코딩(decoding)하여 부재의 식별자를 얻는 것일 수도 있고, 식별자 정보가 그림이나 형상으로 표현되어 마커 내의 그림이나 형상이 인지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형상과 매칭시켜 부재의 식별자를 얻을 수도 있다.
식별자 처리부(130)가 수행하는 바코드 또는 이차원 코드의 판독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1의 이미지 처리부(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의 이미지나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vector)와 스케일(scale) 정보를 획득한다. 즉,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식별자(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1차원 바코드 등)의 경우,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원 바코드 또는 마커의 경우, 이미지 처리부(140)는 이차원 바코드 또는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처리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차원 바코드 또는 마커는 상대적으로 큰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가 코드화되어 이차원 바코드 또는 마커로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40)가 부재의 이미지를 통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의 이미지에서 추출된 부재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40)가 복수의 이미지 생성부들(120)의 위치를 저장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위치의 이미지 생성부들(120) 각각이 동일한 부재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서로 다른 위치의 이미지 생성부들(120)로부터 전송된 부재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부재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의 3차원 이미지로부터 부재의 특징점(예를 들어, 부재의 꼭지점)을 추출한 후 이미지 생성부(120)의 위치를 이용하여 특징점의 위치를 계산하고 특정 좌표계의 원점으로부터 특징점으로 향하는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이미지 처리부(140)가 식별자의 이미지를 통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된 도 4의 마커와 같은 식별자는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내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의 테두리는 정사각형이지만 이미지 생성부(120)가 마커를 비스듬하게 찍는다면 이미지 상의 마커는 정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이나 마름모꼴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생성부(120)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 생성부(120)가 생성하는 마커의 이미지는 원래 마커의 모양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원래 마커와 변형된 마커 사이의 변형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변형량에 해당하는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원래 마커와 변형된 마커 사이의 변형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이미지 처리부(140)는 변형된 마커와 원래 마커 각각의 내부를 격자화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변형된 마커의 격자와 원래 마커의 격자를 비교하여 격자의 변형량을 계산하고 변형량에 해당하는 위치 벡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처리부(140)는 변형량에 따른 위치 벡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40)는 변형량을 이용하여 변형된 마커의 격자로부터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커의 격자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격자의 면적을 원래 마커의 격자 면적과 비교함으로써 마커의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커의 변형량을 계산하여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문자, 숫자, 기호 또는 1차원 바코드 등의 변형량을 계산하여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정합부(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정합부(150)는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의 형상 정보와,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합부(150)는 회전 행렬(rotation matrix)과 수평이동 벡터를 이용하여,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상 정보는 부재의 형상과 관련된 캐드 정보이므로 정합부(150)는 캐드 정보로 표현된 부재의 설계 위치 벡터를 얻을 수 있다.
정합부(150)는 회전 행렬 및 수평 이동 벡터를 설계 위치 벡터에 적용하여 적용 결과가 이미지 처리부(140)에 의하여 획득된 위치 벡터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의 위치와 이미지 상의 부재의 위치가 정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합부(150)가 회전 행렬 및 수평 이동 벡터를 설계 위치 벡터에 적용하였으나 회전 행렬 및 수평 이동 벡터를 위치 벡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합부(150)는 스케일 정보를 이용하여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의 스케일과 이미지 상의 부재의 스케일을 정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생산정보 출력부(1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생산정보 출력부(160)는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의 생산 정보를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이미지 출력부(미도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출력부는 생산 정보와 부재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생산 정보와 부재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터(prin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재의 용접 방법, 용접 순서, 용접 속도 및 용접기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 등과 같은 다양한 생산정보가 해당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생산정보를 이용하여 부재에 대한 조립이나 용접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까지 도 1를 주로 참조하여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각 구성부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해당 구성부의 기능이 세분화되어 복수개의 구성부로 구현되거나, 반대로 여러 구성부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부로서 통합되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방법을 설명하면서,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부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식별자 처리부(130)는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식별자 처리부(130)가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한다(S510). 이와 같은 식별자의 추출 및 부재 정보로의 변환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의 이미지나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vector)와 스케일(scale) 정보를 획득한다(S520). 이와 같은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의 획득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정합부(150)는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의 형상 정보와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한다(S530). 이와 같은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생산정보 출력부(160)는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의 생산 정보를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이미지 출력부를 제어한다(S540). 생산 정보를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다양한 변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의 생산관리시스템의 경우, 설계 데이터베이스(110), 식별자 처리부(130), 이미지 처리부(140), 정합부(150), 및 생산정보 출력부(160)가 하나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client)(300)와 서버(server)(400)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클라이언트(300) 및 서버(400) 각각에 포함된 네트워킹 수행부(350, 450)는 특정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클라이언트(300)와 서버(4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300) 및 서버(400)가 인터넷 5계층 기반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면 네트워킹 수행부(350, 450)는 physical layer, data link layer, network layer, transport layer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클라이언트(300)의 식별자 처리부(130)는 부재 정보에 따른 형상 정보를 서버(400)로 요청하면,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70)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하여 해당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클라이언트(300)에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0)의 정합부(150)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생산정보 출력부(160)는 부재의 이미지에 생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생산관리시스템의 경우, 식별자 처리부(130)는 부재 정보에 따른 형상 정보를 서버(400)로 요청하고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 또는 식별자의 이미지 처리에 따른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70)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부재 정보에 따른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검색하고, 정합부(150)는 형상 정보와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이용하여 정합을 수행한다. 정합부(150)는 정합 결과와 더불어 생산 정보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300)의 생산정보 출력부(160)는 부재의 이미지에 생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생산관리시스템의 경우, 클라이언트(300)의 이미지 생성부(120)는 부재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정합 수행을 요청한다. 서버(400)의 식별자 처리부(130)는 부재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추출 및 판독하여 식별자에 해당되는 부재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400)의 이미지 처리부(140)는 부재 또는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70)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부재 정보에 따른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검색하고, 정합부(150)는 형상 정보와 위치 벡터 및 스케일 정보를 이용하여 정합을 수행한다. 정합부(150)는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정합 결과와 더불어 생산 정보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300)의 생산정보 출력부(160)는 부재의 이미지에 생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클라이언트(300)가 이미지 생성부(120)를 포함하나, 클라이언트(300)는 외부에서 부재의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클라이언트(300)는 노트북(note book),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작업자는 휴대형 컴퓨터 장치를 몸에 지닌 채 이동하면서 휴대형 컴퓨터 장치의 이미지 생성부(120)를 통하여 부재의 이미지 또는 식별자의 이미지를 찍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은 부재의 이미지 또는 식별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부재 정보, 부재의 위치 벡터 및 부재의 스케일 정보를 생성하고,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한 후 부재의 이미지 상에 생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휴대형 컴퓨터 장치의 스크린을 통하여 형상 정보에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와 더불어 생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크린의 표시된 부재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부재의 용접순서, 용접속도, 용접방법, 용접시 공급해야 할 전류 및 전압 등)를 설계도면 없이 즉각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식별자 처리부;
    상기 부재의 이미지 또는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부재 정보에서 추출되는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정합부; 및
    상기 부재 정보에서 추출되는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생산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정보에 따른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 및 생산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는 상기 부재의 꼭지점, 상기 꼭지점을 잇는 모서리, 또는 상기 모서리로 이루어진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CAD 정보인 생산관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생산 정보는 상기 부재의 절단, 용접 및 조립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부재의 이미지에서 추출된 부재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하는 생산관리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와, 기저장된 식별자의 이미지 사이의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생성하는 생산관리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는
    회전 행렬 및 수평 이동 벡터를 상기 형상 정보로부터 얻은 설계 위치 벡터에 적용하여 적용 결과가 상기 위치 벡터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회전 행렬 및 상기 수평 이동 벡터를 상기 위치 벡터에 적용하여 적용 결과가 상기 형상 정보로부터 얻은 설계 위치 벡터가 되도록 하는 생산관리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상기 정합부 및 상기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상기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합부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생산정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식별자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정합부를 포함하는 생산관리시스템.
  12. 삭제
KR1020120020202A 2012-02-28 2012-02-28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10139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02A KR101399996B1 (ko) 2012-02-28 2012-02-28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02A KR101399996B1 (ko) 2012-02-28 2012-02-28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84A KR20130098584A (ko) 2013-09-05
KR101399996B1 true KR101399996B1 (ko) 2014-05-28

Family

ID=4945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202A KR101399996B1 (ko) 2012-02-28 2012-02-28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083B1 (ko) * 2016-09-28 2018-10-02 삼성중공업(주) 부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8-07-31 김재학 생산관리시스템
KR102221405B1 (ko) 2019-04-29 2021-03-02 주식회사 알피네트웍스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254449B1 (ko) 2019-04-29 2021-05-21 주식회사 알피네트웍스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724618B1 (ko) * 2024-02-02 2024-10-31 제이와이스틸 주식회사 철재 계단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2660416B1 (ko) * 2024-02-02 2024-04-23 박흥순 대형 철재 구조물 제작을 위한 철판 연속 가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965A (ja) * 1998-01-08 1999-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2次元バーコードを用いた工作精度管理方法
KR20050055507A (ko) * 2003-12-08 2005-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품 정비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3417A (ko) * 2009-08-31 2011-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KR2011004247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965A (ja) * 1998-01-08 1999-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2次元バーコードを用いた工作精度管理方法
KR20050055507A (ko) * 2003-12-08 2005-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품 정비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3417A (ko) * 2009-08-31 2011-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판넬 통판 부재 형상 구현 장치
KR2011004247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84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96B1 (ko)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US10380469B2 (en) Method for tracking a device in a landmark-based reference system
AU2017235889B2 (en) Digitizing physical sculptures with a desired control mesh in 3d
JP4374331B2 (ja)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1925928B (zh) 呈现将印刷在三维产品的曲面上的平面设计
US20170340419A1 (en) Tooth type judgment program, tooth type position judgment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JP2016167257A5 (ko)
JP2017108401A5 (ja) スマートフォンベースの方法、スマートフォン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30077856A1 (en) Processes and systems for training machine typesets for character recognition
WO2018100669A1 (ja) 個体識別装置
CN105701757B (zh) 基于数字水印和图形码的产品防伪方法及装置
CN110321750A (zh) 一种图片中的二维码识别方法及系统
JP4886640B2 (ja) パーツカタログ生成装置、パーツカタログ生成方法、パーツカタログ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832471B2 (en) Description encoding/decoding of information from a graphic information unit
JP7101381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部品管理方法
JP201500522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ラベ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1223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riv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n unfolded blank and for cost estimation based upon the same
KR101411485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생산관리장치 및 생산관리방법
CN105373822A (zh) 一种矩形防伪标签、以及对其进行识读的方法与系统
TWI788206B (zh) 判讀工程圖面內容之方法及系統
JP5158162B2 (ja)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拡張現実表示方法および拡張現実表示プログラム
CN110909187B (zh) 图像存储方法、图像读取方法、图像存储器及存储介质
JP3903436B2 (ja) 印影の認証システム
JP2014186659A (ja) 画像照合装置、画像照合方法、画像照合プログラム
CN113111966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图像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