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474A -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474A
KR20110042474A KR1020090099153A KR20090099153A KR20110042474A KR 20110042474 A KR20110042474 A KR 20110042474A KR 1020090099153 A KR1020090099153 A KR 1020090099153A KR 20090099153 A KR20090099153 A KR 20090099153A KR 20110042474 A KR20110042474 A KR 2011004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marker
imag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정용욱
이정선
김무항
김승경
김동환
석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474A/ko
Publication of KR2011004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제품의 코드 데이터와, 상기 코드 데이터에 따른 각 제품의 ID와, 상기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품의 ID를 검색하는 ID 판단부; 및 상기 ID를 입력받은 제품의 영상에 상기 제품의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정합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품의 종류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필요한 제품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내의 제품정보의 표시위치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물품정보, 영상처리, 혼합현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of augmented reality-based product viewer}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종류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필요한 제품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내의 제품정보의 표시위치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써 현실세계를 보충하여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의 영상을 제공한다. 이에,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하여 현실감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증강현실 기술은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의 경우, 각 제품에는 마커가 부착되고 시스템에는 마커 및 해당 마커가 부착된 제품의 정보가 저장된다.
구매자가 매장에 진열된 특정 제품을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하면, 시스템은 영상 내의 제품 이미지로부터 마커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마커의 제품정보를 검색한다. 해당 제품의 제품정보가 검색되면, 실시간 영상 내의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위치에 제품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의 경우,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된 마커가 검색 대상 제품정보를 판단하고 제품정보를 표시할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제품의 종류가 증가하는 경우 마커의 종류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마커에 대응되는 제품정보를 검색하는 시간과 제품정보를 표시할 위치를 인식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즉, 제품의 종류가 증가하는 경우 영상인식 속도가 지연되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제품의 종류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필요한 제품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내의 제품정보의 표시위치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은, 복수개의 제품의 코드 데이터와, 상기 코드 데이터에 따른 각 제품의 ID와, 상기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품의 ID를 검색하는 ID 판단부; 및 상기 ID를 입력받은 제품의 영상에 상기 제품의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정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은,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ID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ID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고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품과 상기 제품에 부여된 마커의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마커의 위치에 상기 로딩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 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제품의 종류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필요한 제품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내의 제품정보의 표시위치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을 적용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소정 제품(10)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해당 제품(10)의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제품(10)에는 제품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ID 코드(12)와 영상 내 제품(1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마커(marker)(14)가 부여된다.
ID 코드(12)는 코드 리더기를 통해 인식이 가능한 바코드, RFID, QR코드, 컬 러코드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 등의 형태로 부여될 수 있다.
마커(14)는 제품(10)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내에서 가상 개체인 제품정보 컨텐츠의 영상을 투영할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커(14)는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14)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10)의 외관에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육안으로는 인지되지 아니하는 적외선 도료 등을 이용하여 제품(10)에 프린트하는 경우 제품(10)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마커(14)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는 ID 코드(12)와 마커(14)를 포함하는 제품(10)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20)에는 제품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ID 코드(22)와 실시간 영상 내에서 제품정보 컨텐츠를 표시할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할 마커(24)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마커(24)가 있는 위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마커(24)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소정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마커(24)는 도 2에 우측 하단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정형화된 모양이나 패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24)는, 그림(예를 들면, 슈퍼맨, 스파이더맨 등) 자체가 될 수 있다.
ID 코드(22)는 사용자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코드 리더기 등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제품(20)의 외관에 표시될 수 있다.
마커(24)는 촬영 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에서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으로는 인지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제품(10)에 부 여된 ID 코드(12)를 인식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인식부(110)와, 인식된 코드 데이터로부터 해당 제품(10)의 ID를 판단하는 ID 판단부(120)와, 제품정보 컨텐츠가 저장된 제품정보 컨텐츠 DB(Data Base)(130)와, ID 판단부(120)를 통해 판단된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제품정보 컨텐츠 DB(130)로부터 검색하여 로딩하는 컨텐츠 로더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제품(10)의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입력부(150)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마커(14)의 위치를 인식하는 마커위치 인식부(160)와, 마커위치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마커(14)의 위치에 컨텐츠 로더부(140)가 로딩한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는 영상 정합부(170)를 포함한다.
코드 인식부(110)는 제품(10)에 부여된 바코드, RFID, QR코드, 컬러코드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 등의 코드를 스캐너 등을 통해 입력받아 코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드 인식부(110)는 제품(10)에 부여된 ID 코드(12)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컬러코드 리더기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D 판단부(120)는 코드 인식부(110)에서 생성된 코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품(10)의 ID를 판단한다.
컨텐츠 로더부(140)는 ID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제품(10)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10)의 제품정보 컨텐츠를 로딩한다. 로딩된 제품정보 컨텐츠는 소정 메모리(미도시)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제품정보 컨텐츠 DB(130)에는 다수개의 제품(10)에 부여된 ID 코드(12)의 코 드 데이터와,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각 제품의 ID가 저장된다. 또한, 각 제품의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가 저장된다. 제품정보 컨텐츠는, 제품의 메뉴얼, 특성, 가격 등의 정보나,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 컨텐츠는 텍스트 형태나, 동영상, 3D 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제품정보 컨텐츠 DB(130)의 데이터 저장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 컨텐츠 DB(130)에는 제품(10)의 ID에 따른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 제1룩업 테이블(132)과, 제품(10)의 ID에 따른 제품정보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제2룩업 테이블(134)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룩업테이블(132)은 각 제품(10)들의 ID와 그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에, ID 판단부(120)는 코드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코드 데이터와 제1 룩업테이블(132)을 비교하여 제품(10)의 ID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룩업테이블(134)은 각 제품(10)들의 ID와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가 저장된다. 이에, 컨텐츠 로더부(140)는 ID 판단부(120)가 판단한 제품(10)의 ID와 제2 룩업테이블(134)을 비교하여 해당 제품(10)에 제공할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50)는 제품(10)의 이미지를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한다.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는 마커(14)가 포함되어 있다. 영상 입력부(150)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2차원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마커(14)의 패턴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영상 입력부(150)가 제공하는 실시간 영상의 프레임 데이터에서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을 검색하여 위치를 인식한다.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미리 저장된 마커의 이미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마커(14)를 인식할 수 있다.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인식된 마커(14)의 위치 방향 등을 산출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마커(14)를 인식한다.
영상 정합부(170)는 마커위치 인식부(160)가 인식한 3차원 공간에서의 마커(14)의 위치에, 컨텐츠 로더부(140)가 로딩한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10)에는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촬영되는 제품의 실시간 영상(212)과 함께, 가상 객체인 제품정보 컨텐츠(214)가 표시된다.
제품정보 컨텐츠(214)는 영상에 촬영된 마커(14)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품정보 컨텐츠는 해당 제품(10)에 대한 메뉴얼, 가격,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은 ID 코드(12) 및 마커(14)를 이용하여, ID 코드(12)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고, 마커(14)를 통해 제품정보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제품정보 제공을 위한 처리 과정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먼저, 제품(10)에 부착된 ID 코드(12)를 코드 인식부(110)에 입력한다(S100). 코드 인식부(110)는 코드 리더기, 혹은 스캐너 등을 포함하여 제품(10)에 부착된 ID 코드(12)를 입력받는다.
코드 인식부(110)는 입력된 ID 코드(12)의 종류를 판단한다(S110).
코드 인식부(110)는 입력된 ID 코드(12)의 종류에 따라 ID 코드(12)를 처리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ID 코드(12)가 바코드인 경우 바코드 인식기를 통해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1). ID 코드(12)가 RFID인 경우 RFID 리더기를 통해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S123), ID 코드(12)가 QR코드인 경우 QR코드 인식기를 통해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5). 또한, ID 코드(12)가 컬러코드인 경우 컬러코드 인식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S127), ID 코드(12)가 사용자가 정의한 코드인 경우 사용자 정의 코드 인식기를 통해 제품(10)에 부착된 ID 코드(12)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29).
ID 코드(12)를 인식하여 코드 데이터가 생성되면, ID 판단부(120)는 인식된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품 ID를 판단한다(S130). 여기서, ID 판단부(120)는 제품정보 컨텐츠 DB(130)에 저장된 제1 룩업테이블(132)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품 ID를 검색할 수 있다.
제품 ID가 검색되면, 컨텐츠 로더부(140)는 제품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여 소정 메모리(미도시)에 로딩할 수 있다(S140). 여기서, 컨텐츠 로 더부(140)는 제품정보 컨텐츠 DB(130)에 저장된 제2 룩업테이블(134)을 이용하여, 제품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50)는 제품(10)의 이미지를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하고(S150),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영상 입력부(150)가 제공하는 프레임 데이터 상에서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한다(S170).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미리 저장된 마커의 이미지 패턴을 이용하여,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0),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제품(10)의 영상을 촬영하는 S150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 마커(14)의 이미지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커위치 인식부(160)는 인식된 마커(14)의 위치 및 방향 등을 산출하여 3차원 공간에서 제품정보 컨텐츠가 표시될 위치를 인식한다(S190).
제품정보 컨텐츠가 표시될 위치가 인식되면, 영상 정합부(170)는 마커위치 인식부(160)가 인식한 마커(14)의 위치에 컨텐츠 로더부(140)가 로딩한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한다(S2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감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은 코드 인식부(110)로서 바코드 인식기(112)를 구비하고, 영상 입력부(150)로서 카메라(15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0)로서 모니터(220)를 구비할 수 있다.
바코드(32)와 마커(34)를 구비한 제품(30)의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모니터(220)에는 "바코드를 인식시켜주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제품(30)의 바코드(32)를 바코드 인식기(112)에 인식시키면 카메라(152)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바코드 인식기(112)가 제품(30)의 바코드(32)를 인식하는데 실패한 경우, "바코드를 인식시켜주세요"라는 메시지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바코드(32)는 제품(30)의 종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코드(32) 인식에 성공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2) 앞에 서있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제시한 제품(30)의 영상이 모니터(220)에 표시된다. 여기서, 모니터(220)에는 "제품을 카메라 앞에 놓아주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220)에 표시된 제품(222)에는 마커(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카메라(152)로 촬영되는 제품(30)의 영상 내에서 마커(34)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마커(34)의 인식이 완료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220)에 표시되는 실시간 영상에 제품정보 컨텐츠(224)가 함께 표시된다. 제품정보 컨텐츠(224)는 영상 내의 마커(34)의 위치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들고 있는 제품(222)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3차원 공간 상의 위치로 제품정보 컨텐츠(224)가 변경 되어 보여진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품정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정보 컨텐츠는 텍스트 형식 또는 애니메이션 형식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음으로, 텍스트나 음성만으로는 기술하기 어려운 정보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제품정보를 검색하는 형태가 아니라, 실재 제품을 카메라(152) 앞에 가져가면 바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로서, 제품정보 제공을 위한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제품(30)의 코드(예: 바코드, QR코드, RFID, 컬러코드, 사용자 정의코드)를 입력하면(S300),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해당 코드(32)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한다(S310).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영상 입력부(150)를 통해 제품의 영상을 촬영하고(S320), 촬영된 영상 내에서 마커(34)의 위치를 인식한다(S330).
마커(34)의 위치가 인식되면, 제품정보 컨텐츠를 마커(34)의 위치에 정합하여 제품(30)의 실시간 영상과 함께 모니터(220)에 디스플레이 한다(S340).
상술한 실시예들은 3차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서, 증강현실은 2차원에도 구현가능하므로 본원 발명은 2차원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 스템 및 제공방법은, 제품의 ID를 인식하기 위한 ID 코드와 제품정보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마커를 함께 사용한다. 이에, 제품의 종류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필요한 제품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내의 제품정보의 표시위치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본 발명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을 적용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품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제품정보 컨텐츠 DB의 데이터 저장 상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30: 제품 12, 22: ID 코드
14, 24, 34: 마커 100: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110: 코드 인식부 120: ID 판단부
130: 제품정보 컨텐츠 DB 140: 컨텐츠 로더부
160: 마커위치 인식부 170: 영상 정합부
200, 210 : 디스플레이부 220: 모니터
212, 222: 제품영상
214, 224: 제품정보 컨텐츠 영상

Claims (15)

  1. 복수개의 제품의 코드 데이터와, 상기 코드 데이터에 따른 각 제품의 ID와, 상기 ID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컨텐츠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품의 ID를 검색하는 ID 판단부; 및
    상기 ID를 입력받은 제품의 영상에 상기 제품의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정합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제품들의 ID와 각 ID에 대응되는 상기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룩업테이블; 및
    상기 복수개의 제품들의 ID와 각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가 저장된 제2 룩업테이블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부여된 마커의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는 마커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합부는, 상기 마커위치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마커의 위치에 상기 컨텐츠 로더부에 로딩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부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컬러코드 리더기,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D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ID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여 로딩하는 컨텐츠 로더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합부는, 상기 컨텐츠 로더부에 의해 로딩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상기 ID를 입력받은 제품의 영상에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기 제품에 부여된 상기 마커의 실시간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위치 인식부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마커의 위치 및 방향 등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상기 마커의 위치를 산출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합부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9.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ID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ID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검색하고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품과 상기 제품에 부여된 마커의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마커의 위치에 상기 로딩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품들의 ID와 각 ID에 대응되는 상기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룩업테이블과, 상기 복수개의 제품들의 ID와 각 ID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가 저장된 제2 룩업테이블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부여된 ID 코드를 입력받아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컬러코드 리더기,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는,
    텍스트, 애니메이션, 3D영상,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과 상기 제품에 부여된 마커의 실시간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기 마커의 위치에 상기 로딩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를 정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마커의 위치 및 방향 등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상기 마커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상기 마커의 위치에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의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컨텐츠가 정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KR1020090099153A 2009-10-19 2009-10-19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042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153A KR20110042474A (ko) 2009-10-19 2009-10-19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153A KR20110042474A (ko) 2009-10-19 2009-10-19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74A true KR20110042474A (ko) 2011-04-27

Family

ID=4404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153A KR20110042474A (ko) 2009-10-19 2009-10-19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47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985A1 (en) *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Alternate visual presentations
WO2014038903A1 (ko) * 2012-09-07 2014-03-13 Park Sang-Hyun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KR101399996B1 (ko) * 2012-02-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20150091334A (ko) * 2012-11-30 2015-08-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상호작용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1283A (ko) * 2014-06-09 2015-12-18 한상선 제품증강현실 시스템
KR101684626B1 (ko) * 2015-10-16 2016-12-08 (주)디지엔터테인먼트 색칠하기 용지의 그림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방법
KR101718991B1 (ko) * 2016-09-25 2017-03-2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58326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WO2020032404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소울핑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96670B1 (ko) * 2022-10-06 2023-10-31 임진희 Ar 마커가 인쇄된 제품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985A1 (en) *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Alternate visual presentations
KR101399996B1 (ko) * 2012-02-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WO2014038903A1 (ko) * 2012-09-07 2014-03-13 Park Sang-Hyun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KR20150091334A (ko) * 2012-11-30 2015-08-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상호작용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1283A (ko) * 2014-06-09 2015-12-18 한상선 제품증강현실 시스템
KR101684626B1 (ko) * 2015-10-16 2016-12-08 (주)디지엔터테인먼트 색칠하기 용지의 그림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방법
KR101718991B1 (ko) * 2016-09-25 2017-03-2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056542A1 (ko) * 2016-09-25 2018-03-2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58326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WO2020032404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소울핑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1534518A (ja) * 2018-08-08 2021-12-09 パピーレッド インク. 拡張現実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96670B1 (ko) * 2022-10-06 2023-10-31 임진희 Ar 마커가 인쇄된 제품을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247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01210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8814048B2 (en) Content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KR102118000B1 (ko) 타겟 대상 표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91903B1 (ko) 광학 캐릭터 인식을 사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032776B2 (ja) 複合現実感表示装置及び方法、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31823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US10650264B2 (e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6066360A (ja) テキストベース3d拡張現実
WO2015182134A1 (en) Improved setting of virtual illumination environment
Viyanon et al. AR furniture: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enhance interior design using marker and markerless tracking
JP5816393B1 (ja) 商品評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13891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activation area within a representation scenery of a viewer interface
CN112598805A (zh) 一种提示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767460B (zh) 增强现实的展示方法和装置
JP6687199B2 (ja) 商品棚位置登録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197126B1 (ko) 인쇄물과 동영상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11610375B2 (en) Modulated display AR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KR102274647B1 (ko)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0777A (ko) 감각형 오브젝트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및 증강현실제공 방법
CN110597397A (zh) 增强现实的实现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879102B1 (ko) 증강현실 시스템 구현 방법
US118102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content of external device
CN111857341B (zh) 一种展示控制方法及装置
JP74774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