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8903A1 -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8903A1
WO2014038903A1 PCT/KR2013/008117 KR2013008117W WO2014038903A1 WO 2014038903 A1 WO2014038903 A1 WO 2014038903A1 KR 2013008117 W KR2013008117 W KR 2013008117W WO 2014038903 A1 WO2014038903 A1 WO 20140389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tag
identification code
data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1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Park Sang-Hy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Sang-Hyun filed Critical Park Sang-Hyun
Publication of WO20140389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89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g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dle in which identification codes such as QR codes are bundled into a plurality of series formats, and a system for storing and reproducing data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data using the same. It is about.
  • Barcodes are identification codes that store certain information in black and white bar-shaped symbols to make them easy to scan or input using a computer, etc. These barcodes are automatically read by an optical mark reader, It is widely used for book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documents.
  • the barcode is a one-dimensional information storage method
  •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stored is extremely limited, and the same information is uniformly provided without distinguishing users without personalizing most of the information.
  • QR code is a representative two-dimensional image code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by the patentee Denso Wave to disclose the technology and not to exercise all rights, and is currently an international standard managed by ISO.
  • the QR code is used only in special cases, such as advertising or logistics, but has not been widely used by individual user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individual QR cod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g series bundle in which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are printed in a tag format, so that users can easily store specific data online And play i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ttach a tag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o any place desired by the user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tore and reproduce data match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 tag by utilizing an online server operating in the past.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g series bund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 tags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he unit tag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stores at least one of i) information of the unit tag itself and ii) location information of a dedicated server 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nline.
  • the tag series bundle is provided with a bundle identifier or a bundle identification code for obtaining the tag series bundle.
  •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and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unit tag.
  • the unit tag stores a unique unit number that is continuous with another adjacent unit tag.
  • a recording space for a not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nit tag.
  • the back of the unit tag is coated with a tacky material so that the unit tag can be attached to any place.
  •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QR cod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unit tag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wherein the unit tags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stores at least one of i) information of the unit tag itself and ii) location information of a dedicated server 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nline.
  •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or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tag series bundle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unit tags.
  • the tag series bundle is wound in a roll shape, one end of which protrudes out of the storage space.
  •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one end of the tag series bundle protrudes into the opening, and the tag series bundle is sequen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and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unit tag, and the unit unique number stored in the unit tag is continuity with the unit unique number of another adjacent unit tag. have.
  • an adhesive material is coated on the back side of the unit tag so that the unit tag can be attached at any pla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g series bundl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tags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and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and recognizes specific data and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code. And a dedicated server storing online location for storing specific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 dedicated server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a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 the dedicated server may include a unique number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a bundle unique number or a unit unique number of an identification code of a tag series bundl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tag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 a storage server for storing the storage location; and i) storing / acquiring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or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and ii) storing /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alth.
  • the dedicated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specific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and a history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a record of a user's storage / acquisition request. Any one or more is further provided.
  • the terminal may be any one of i) a portable terminal with an embedded application, ii) a device for data storage / playback system using a tag series bundle with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thereon, or iii) a computer with a dedicated plug-in for a web browser.
  • the online storage is a data storage of the dedicated server.
  • a method for acquiring data acquiring information including a unit unique number of an identification code from a unit tag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and obtaining the data into an online storage.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in which the data is stored, and transmitting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to a dedicated server.
  • a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from a unit tag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an arbitrary place is printed and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server; And obtaining a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matching the unit unique number,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to the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and reproduc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nline storage.
  •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is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data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 the step of obtaining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unit t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if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obtained identification code is not in use stat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torage mode.
  • the transmission of the unit unique number is a dedicated device or dedicated application
  • the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matching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from the dedicated server, and ii) if the transmission of the unit unique number is not a request from a dedicated device or a dedicated application.
  • the contents guide for purchasing a dedicated device,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or storing / reproducing a data is derived.
  • At least one of i) data stored in the online storage or ii) information stored in the dedicated server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may be changed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obtaining a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unit t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e unit unique number and the specific data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server And a unit unique number obtained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and receiving specific data matching the unit unique number from the dedicated serv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obtaining a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unit tag,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the step of obtaining data,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btained
  • a data storag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o a dedicated server, and obtaining a unit unique number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and receiving the data matching the unit unique number from the dedicated server. And a data reproducing method.
  • an individual tag instead of print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required URL or specific data, an individual tag is easily designated by indicating that a unit tag points to specific data by using each unit tag of a tag series bundle that is already manufactur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 Identification code can be us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tilize the identification code more efficiently.
  • the unit tag can be attached to any place in the form of a sticker through the adhesive material provided on the back, the user can utilize a tag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in a variety of ways, and can access the data more intuitively. There is also an advantage.
  • the present invention by scanning the t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etc., the user can easily store or read data using the t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nytime, anywhere, and share the data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becomes easier and more convenient.
  • the tag o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ll or a dispenser,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identification code more easily.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toring specific data and assigning it to the identification cod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data on the online server, such as the existing server, instead of a separate server, so that no separate storage space is required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storing and playing back data.
  • Figure 1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nit tag constituting a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g sheet is separated from the unit tag of Figure 1 (a).
  • Figure 2 (a) to Figure 2 (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a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storage / playback system using a tag series bundle is printed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ata storage / playback system using a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nd reproducing data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data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 FIG. 7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reproducing data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data by using a graphic user interface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data using a graphic user interface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data using a graphic user interface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unit tags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re provided to form a tag series bundle, and the unit tags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it tag includes i) information of the unit tag itself and ii) dedicated.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er 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nline is stored.
  • the tag series bundle may include a bundle identifier or a bundle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tag series bundle, and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and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may be stored in the unit tag. It is.
  • the unit tag is stored in the unit tag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unique unit unique number, one side of the unit tag is formed a recording space for the note, the back of the unit tag is coated with a sticky material
  • the unit tag can be attached at any place.
  •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QR code.
  • Figure 1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tag constituting the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b) to separate the tag sheet from the unit tag of Figure 1 (a)
  • One aspect is shown in plan view
  • Fig. 2 (a) to Fig. 2 (c) shows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tag series bund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inted.
  • the tag series bund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nstitutes a bundle of a plurality of tags in one bundle.
  • the tags o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printed are each formed as a unit tag 10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user can separate and use each unit tag 10 individually.
  • FIG. 1A One unit tag 10 is illustrated in FIG. 1A, and as shown, the unit tag 10 is provided to separate the tag sheet 20.
  • the tag sheet 2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portion on the back thereof and may be attached at any place, and the unit tag 10 may have a detachable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portion of the tag sheet 20 may be easily separated. (13) is provided.
  •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ag sheet 20 of the unit tag 10 as described above.
  • the identification code 25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and can decode the identification code 25 using various reader devices.
  •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composed of a QR code 25,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QR code 25 as an example.
  •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a variety of examples that can be identified by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barcode or RFID.
  • the QR code 25 i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g sheet 20, and a recording space 2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QR code 25.
  • the recording space 28 is for allowing the user to arbitrarily record the type of the tag sheet 20 or the type of stored data to be described later.
  • the writing space 28 can be written with writing instruments or attached to an attachment such as a sticker. Corresponds to space.
  • Vario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QR code 25.
  • the information of the unit tag 10 itself may be a manufacturing date, a type of the unit tag 10, and a unit unique number assigned to each unit tag 10.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25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That is, the QR code 25 may include a URL including the above information, scan the data using an existing reader, go to the corresponding URL, and read the data.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the unit unique number, etc. are not stored in advance, but may be stored arbitrarily when the user uses it later. That is, after the user scans the QR code 25 with the terminal 100 or the like, the user may set any unit unique number desired by the QR code 25 through the terminal 100.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25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That is, the QR code 25 may include a URL including the above information, scan the data using an existing reader, go to the corresponding URL, and read the data.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the identification tag 12 is printed on the unit tag (10).
  • the identifier 12 is used to indicate a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and may be the same as or part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25. That is, for example, the identifier 12 may contain information such as the manufacturing date, type, serial number, etc. of the unit tag 10. Of course, the identifier 12 may be omitted and the QR code 25 may be substitu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dentifier 12 is printed in the place where the tag sheet 20 is separated.
  • the unit tags 10 are combined to form one bundle.
  •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o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printed is one tag series bundle ( B).
  • the tag series bundle B may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2A to 2C.
  • the tag series bundle B includes a housing 30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unit tags 1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this purpose, a perforation line 17 may be formed between each unit tag 10.
  • the cut line 17 allows the user to easily cut and use each unit tag 10.
  •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are continuously inserted in the housing 30 in a continuous state in a long direction and wound in a roll form. That is,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are used in the form of a kind of adhesive tap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unit tags 10 bundles of the roll form may be sequentially cut and used through rotation.
  • the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stores various data for distinguishing the tag series bundle B itself. For example, various types such as the type, manufacturing date, quantity, manufacturer's homepage, etc. of the tag series bundle B are stored. Information can be implied.
  • a separate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may not be printed on the housing 30, and data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B may be stored in each unit tag 10.
  • the information of the tag series bundle B may be known by scanning the unit tag 10 without a separate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 FIG. 2 (b) Another kind of tag series bundle B is illustrated in FIG. 2 (b).
  •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are stacked in the housing 30 and the housing 30.
  • Each unit tag 10 may be sequentially discharged through an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 a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 the information of the tag series bundle (B) itself You can also save.
  •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 may include a variety of designs, including the character.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b), the housing 30 is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design of the various shapes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 can increase the aesthetics of the tag series bundle (B), purchase this Various kinds of tag series bundles (B)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uyer's inclination.
  • the design of the housing 30 may be set to be unified with the graphic user interface (GUI) in the process of storing or reproducing data using the tag series bundle (B).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identification code 25 itself may also be shown in the content, such as trademarks, images, and the like.
  •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a QR code 25
  • the identification code 25 can be recognized so that the design of the code can be modified within the limits.
  • the tag series bundle B when used in a place where a special design such as a factory, office or logistics management is unnecessary, the tag series bundle B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imple white adhesive species or a simple film. .
  • the tag series bundle B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tags 10 on one large sheet.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icker.
  • the tag series bundle B may be provided with a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and a bundle identification symbol 45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undle identification code 40.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storage / reproducing system using a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a tag series bundl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storage / reproduction system embodiment used is shown in a block diagram.
  • the data storage / playback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ata storage / playback system") using the tag series bund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s largely the tag series bundle (B), the terminal 100, and the online. It comprises a storage 200 and a dedicated server 300. Hereinafter, these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 the tag series bundle B is a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tags 10 are bundled and manufactured and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QR code 25 is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 the tag series bundle 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tags 10 to provide a convenience for a user to use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continuously, and as described below, one tag series bundle (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included in B) have unique numbers that are sequential to each other so that the scanning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25 can be omitted when using them continuously.
  • the terminal 100 can decode the identification code 25 of each unit tag 10 included in the tag series bundle (B), the terminal 100 has a QR code (identification code 25) ( A scanner or a camera capable of recognizing 25 is provided.
  • the terminal 100 is a smartphone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embedded therei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terminal 100 stores data using a tag series bundle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t may be either a dedicated device for a playback system or a computer with a dedicated plug-in for a web browser.
  • a dedicated device for a playback system or a computer with a dedicated plug-in for a web browser.
  • a separate video input device capable of decoding the QR code 25 is required, and the video input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computer through a USB or the like. have.
  • a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may be a conventional QR code 25 reader / scanner application. This is because the data storage /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tag series bund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terminal 100 is printed, merely serves as a relay for redirecting to a place where the data is located (online storage 200).
  •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who stores data is designated as T1
  •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who reproduces the data is designated as T2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 the two terminals 100 may be the same terminal 100 or the same type of terminal 100.
  • a dedicated application when storing data in the terminal 100,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used. By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like this, it is possible to follow a specific method promised to store data and to inform the server of the storage address.
  • the terminal 100 generates / acquires and transmits data, and performs a function as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dedicated server 300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scanning and decoding the QR code 25. That is, the terminal 100 may also perform a role of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of whether the generated / obtained data is disclosed or login information.
  • the online storage 200 is a space for receiving data from the terminal 100 and storing the data.
  • the online storage 200 may be a server provided separately for the tag series bundle B, or may be a file upload server previously used commercially / commercially. have. That is, the online storage 200 may be a database of an online upload site that is already used, such as YouTube, Google Drive, Dropbox, and flickr.com.
  • the online storage 200 may obtain an address (URL) where the data is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ype of data to be stored, and store or view data using an external terminal 100 or the like. It is possible if a web server or the like with an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 URL address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the online storage 200 has a connectable address for each storage location, and this address is stored in the dedicated server 300. More precisely, the dedicated server 300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in which data is stored and a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25.
  • the dedicated server 300 is matched with the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in which specific data is stored and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QR code 25 which is the identification code 25 used when storing the data. Since it is stored in the state, the user can easily recall and reproduce the stored data by decoding the QR code 25 later.
  • the dedicated server 300 is stored at least one of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B) or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25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the unit tag 10 is stored It includes a unique number storage unit 340, a storage location storage unit 350, and the system server 310 to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 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340, storage location storage unit 350, etc. form one database (DB, 320),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ystem server unit (310).
  • the system server 310 may include i) storage / acquisition request of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B or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25, and ii)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It plays a role of relaying storage / acquisition request. That is, the system server 310 matches and stores the unit unique number (or bundle uniqu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25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so that the terminal 100 later has a QR code 25. ) To easily reproduce previously stored data.
  • the database 320 of the dedicated server 30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330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a data storage unit 360 for storing specific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and a user's storage / At least one or more of the history storage unit 370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cquisition request record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online storage 200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dedicated server 300.
  •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ing data is connected to both the online storage 200 and the dedicated server 30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and all of these connections can be made wireless.
  • the user generates data using the terminal 100, stores the data in the online storage 200, and simultaneously stores data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25 of the unit tag 10. I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20 of (300).
  • th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may be obtained from the server 300, and may be moved to a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through redirection in this process.
  • vario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20.
  • a unit unique number of a specific unit tag 10 and a specific address of the online storage 200 in which data is stored are matched and stored. Done.
  • it may further include a place or date data was created, the name of the creator and login information.
  • Table 1 lists the various data stored in the database 320 of the dedicated server 300, more specifically, the tag unique number storage unit 340, storage location storage unit 350 included in the database 320 and have.
  • system server 310 matches such various data with each other, and provides a pair when a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 is generated later.
  • the database 320 of the dedicated server 300 includes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and the URL address on the online storage 200 corresponding to the unit tag 10, and additionally whether or not to be publicly disclosed and logged in. More information is included.
  • each unit tag 10 can be edited / modifi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nd reproducing data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data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shows a flow chart of a process of reproducing data us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erminal (100) app (application) in which the application is stored.
  • the user first obtains desired data through the terminal 100 (S101).
  • the type of data may be a photo, a video, music, text, a UR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ata may be various kinds of data encoded / compressed by industry standards such as JPEG, MP4, MP3, MOV, html, and the like.
  • the method of acquiring data may be obtained by immediately photographing through a camera or the like of the terminal 100 to obtain data, or to transmit data already stored in the terminal 100 or to transmit data existing on the Internet. Way.
  •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is a unit unique number encoded in the QR code 25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tag 10, and scans the QR code 25 using the terminal 100.
  • the unique number can be obtained by (S102).
  •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data to the online storage 200 and stores the data (S103).
  • the address (URL) of the online storage 200 is stored at the same time. (S104)
  •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address of the online storage 200 and the unit unique number obtained earlier to the dedicated server 300 (S105) in which the dedicated server 300 is matched with each other.
  • the data is stored in the database 320 (S301).
  • the user can store the desired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unit tag 10 is matched,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ata is to be reproduced, the unit tag 10 (QR code 25).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ata reproduction simply by scanning.
  • the dotted line a at the top of FIG. 5 illustrates a series of methods for storing the above-described data and a system therefor.
  • the user may be a user who has previously stored data or another user who has obtained the unit tag 10.
  • the unit tag 1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on the back thereof, and the unit tag 10 is attached to a letter or a postcard to be delivered to a third party, or a note, a wallet, a calendar, or the like. You can also attach it in place.
  • the unit tag 10 may be attached to the shipment, or the unit tag 10 itself may be printed on a postcard, pamphlet, or the like. have.
  • the user must first obtain a unit unique number encoded in the unit tag 10 attached to an arbitrary place using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unit tag 10 is obtained by decoding the unit tag 10.
  • the unit tag 10 is a QR code 25
  • the unit unique number can be obtained by scanning it using the terminal 100. .
  • the unit unique code is thus obtained because data i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unit unique number (S150).
  •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nit unique number to the dedicated server 300, and the dedicated server 300 is a database 320. ) Is searched for the storage location of the online storage 200 that matches the unit unique number, that is, the URL.
  • the searched and obtained UR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again (S352), and the terminal 100 make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to the online storage 2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RL.
  • the dedicated server 300 may directly redirect to the corresponding online storage 200 so that the terminal 100 may obtain data without a separate procedure.
  • the on-line storage 200 transmits the requested data to the terminal side (S251), the previously stored data is reproduced in the terminal 100.
  •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unit tag 10 can easily retrieve and reproduce the stored data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scanning the unit tag 10.
  • the upper dotted line b in FIG. 5 shows a series of methods for reproducing previously stored data and a system therefor.
  • FIGS. 8 to 10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data, a process of editing data, and a process of reproducing data us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selects a mode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o generate the data.
  • the generation mode is selected, the type of data to be generated is selected.
  • the data may be a photo, a video, a music, a document, or the like, and the desired data may be selected among them.
  • the user will again generate the data through the terminal 100 or whether to transfer the data previously stored on a specific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or online You can also select.
  • the user interface may run automatically.
  • the user After selecting the type of data and acquiring the data, the user inputs a bundle unique number through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bundle itself, which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 of the tag series bundle B, is input to th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This can be done by typing or scanning the QR code 25.
  •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bundle unique number may be omitted.
  • the input of the bundle unique number may be omitted when the next unit tag 10 is used sequentially.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have unit unique numbers consecutive to each other.
  • the terminal 100 may induce to omit the input of the bundle unique number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dure for the continuous input.
  • the user scans the QR code 25 of the unit tag 10 using the terminal 100 to obtain a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Since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is encoded in the QR code 25, the unit unique number can be easily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25 using the terminal 100 in this manner.
  • the bundle unique number encoded in the QR code 25 is input when the QR code 25 of each unit tag 10 is scanned without obtaining the bundle unique number of the tag series bundle B separately. May be That is, not only the unit unique number but also the bundle unique number may be encoded in the QR code 25 of the unit tag 10.
  • the unit unique number is obtained by scanning the QR code 25 using the terminal 100, if the obtained unit unique number and the unit unique number printed on the actual unit tag 10 do not match, the user You can also modify this by entering the unit unique number directly.
  • FIG. 8 (d) when the image data unique to the tag series bundle B or the unit tag 10 is stored, such an image may be expressed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That is, as shown in FIG. 8 (d), if an image or character is set in the tag series bundle B or the unit tag 10 after the bundle unique number or unit unique number is acquired, such an image or character Is represent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uch image or character data may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edicated server 300.
  • the image represented in FIG. 8 (d) corresponds to the image printed on the housing 30 of the salping tag series bundle B in FIG. 2 b, and thus the housing 30 of the tag series bundle B is thus. ),
  • the same image as the image printed in Fig. 3) may appear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 Such an image or character may be activated in consideration of a user's use of the tag series bundle (B) or a unit tag 10 or a propensity of a user to purchase the tag series bundle (B).
  • a service mark or CI of a company may be included.
  • the user transmits and stores the data generated above to the online storage 200.
  • the operation of storing the data in the online storage 200 may be performed by a series of processes that are automatically connected after acquiring a unit unique number using the terminal 100.
  • the user should select from the online storage 200 appearing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8 (d), which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previously generated.
  • the type of storage 200 may also be changed.
  • the data is stored using the new unit tag 10 included in the tag series bundle B, not the unit tag 10 previously used.
  •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should be obtained.
  • the QR code 25 of the new unit tag 10 is not scanned again using the terminal 100 as in the above process.
  • the unit unique number entered previously and the new consecutive unit unique number may be automatically acquired.
  • multiple inputs of FIG. 8 (d) may be selected.
  • a process for setting the generated single data to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is performed. More precisely, in this case, since the same data is used, the process of generating data in the foregoing process is not repeated, and only the process of scanning the QR codes 25 of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through multiple inputs is repeated. Will be done.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data, a plurality of users each scanning a plurality of unit codes reproduce the same data (picture, video, etc.).
  • the process of scanning the QR codes 25 of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may be omitted.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have unit unique numbers consecutive to each other, if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consecutive to each other are used, the next unit unique automatically without scanning the QR code 25. You can also enter a number.
  •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after generating the data is performed sequentially, but the order may be changed. That is, after the user first obtains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using the terminal 100, a procedure of selecting or newly generating data to be stored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 the terminal 100 when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100 is a new one that has not been used previously, the terminal 100 automatically generates a process without selecting a generation mode and a reproduction mode. You can also activate the creation mode. To this end, whether or not the acquired unit unique number is not used in the previous storage process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by connecting to the dedicated server 30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t unique number is provided separately in the dedicated server 300 It may be stored in the history storage unit 370 of.
  • data editing means modifying data, etc. already stored in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unit tag 10, and requires modification or reuse of the used unit tag 10. In this case, it means the process to be performed.
  • the data In order to edit the data, it may be started by first selecting the generation mode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and then selecting the edit mode again from the new generation and edit modes.
  •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ermission to edit the data may be performed. Such permission may be obtained by logging in or obtaining consent from the user who created the initial data. have.
  • the user When entering the edit mode of the data, the user enters the unit unique number.
  • this unit unique number input procedure may be made prior to the mode selection.
  • the edited content is not only stored data such as a picture and a video,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can be changed, such as a change of access authority or a change of the online storage 200 in which the data is stored.
  • the chang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edicated server 300. Therefore, when the QR code 25 of the unit tag 10 is scanned later, the edited data is reproduced.
  • editing of such data may also include addition of data.
  • the data for example, a recipient of the unit tag
  • the data is added to the unit.
  • the tag 10 may be sent to another user (eg, the original sender of the unit tag) and used as a concept of replying a message.
  • the user having the unit tag 10 selects a generation mode by activating a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may be capable of both storing and generating data, and thus, reproducing the data by selecting a reproducing mode, rather than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for reproducing the data. Can be enabled.
  • the existing QR code scanner application may be used at this time.
  • the step of inputting the unit unique number of the unit tag 10 proceeds.
  • the unit unique number may use the scanning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or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identification number printed on the unit tag 10, and reproduce the plurality of unit tags 10 continuously.
  • the continuous mode can be selected by simply selecting the continuous mode.
  • the input of the unit unique number may be made prior to the mode selection.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activated, the unit unique number input procedure may be performed. Alternatively, whe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not activated, the application may be immediately activated by scanning the QR code 25 of the unit tag 10 using the terminal 100.
  • the terminal 100 When the unit unique number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server 300, and the dedicated server 300 calls out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torage which is matched with the unit unique number to the terminal 100. Will be delivered.
  • the dedicated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applying for the viewing of the data is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selectively guide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if the connection to the dedicated server 300 is not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it may be redirected to a guide page for install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 the terminal 100 receives the data and accesses the online storage 200 to play the stored data.
  • the terminal 100 may immediately play data by redirecting the dedicated server 300.
  • the user may end us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select another unit tag 10, and continuously play back or edit data.
  • the data may be reproduced only by inputting it.
  • a password may be set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g series bundle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a data storage /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data storage /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URL이나 특정 데이터에 맞추어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대신 이미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제조된 태그 시리즈 번들의 각 단위태그를 이용하여, 단위태그가 특정 데이터를 가리키도록 지정함으로써 개인사용자도 용이하게 식별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별코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큐알코드와 같은 식별코드가 다수개의 시리즈형식으로 묶인 번들 및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으로서,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바코드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이를 스캔 또는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해, 특정 정보를 흑과 백의 바형태 기호로 저장한 식별코드로서, 이러한 바코드는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로 자동 판독되며, 상품의 종류, 도서 분류, 신분증명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코드는 1차원적인 정보 저장방식이므로, 저장되는 정보량이 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화하지 않은 채로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정보를 일률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되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 QR코드를 이용한 정보 저장/제공 방식이다. QR코드는 대표적인 이차원 이미지 코드 기술로서, 특허권자인 덴소웨이브가 기술을 공개하고 모든 권한을 행사하지 않기로 함으로써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ISO가 관리하는 국제 표준이다.
그러나 기존 QR코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특정 데이터나 페이지를 QR코드를 통해 저장하고 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해당 페이지를 위한 QR코드를 인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아직까지 QR코드는 광고나 물류 등 특수한 경우에 한정되어 사용될 뿐 개인 사용자들에게 까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개인 사용자가 이를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식별코드가 태그 형식으로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통해 특정 데이터를 온라인 상에 용이하게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기존에 운용되는 온라인 서버를 활용하여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하기 위한 번들식별기호 또는 번들식별코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및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인접한 다른 단위태그와 서로 연속성 있는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태그의 일측에는 노트를 위한 기록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위태그의 배면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단위태그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하다.
이때,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식별코드가 인쇄된 다수개의 단위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로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기호 또는 식별코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은 롤형태로 권취되고, 그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및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 저장된 단위고유번호는 인접한 다른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와 서로 연속성 있다.
이때, 상기 단위태그의 배면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단위태그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과,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하고 특정 데이터 및 상기 인식된 식별코드를 온라인 전송 가능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되는 전용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고유번호저장부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위치저장부와, i)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의 저장/획득요청과 i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의 저장/획득요청을 중계하는 시스템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용서버에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전송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사용자의 저장/획득요청 기록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i)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단말기, ii)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전용기기, 또는 iii) 웹브라우저용 전용플러그인이 설치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는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저장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를 포함한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데이터가 온라인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임의의 장소에 부착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어 상기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에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는 단계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재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가 상기 식별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변경된다.
이때,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에서, 획득된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미사용상태인 경우에는 저장모드로 자동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임의의 장소에 부착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어 상기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에서, i) 상기 단위고유번호의 전송이 전용기기 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가 획득되고, ii) 상기 단위고유번호의 전송이 전용기기 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의 획득에 앞서 전용기기의 구매,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에 관한 내용 안내가 유도된다.
한편, 데이터가 연속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데이터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에서, 획득된 단위고유번호와 연속된 고유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또한, 인증절차를 거쳐 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i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전용서버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특정 데이터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및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로부터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단위고유번호에 매칭되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상기 획득된 데이터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및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로부터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단위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URL이나 특정 데이터에 맞추어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대신 이미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제조된 태그 시리즈 번들의 각 단위태그를 이용하여, 단위태그가 특정 데이터를 가리키도록 지정함으로써 개인사용자도 용이하게 식별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별코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단위태그는 배면에 구비된 점착성 물질을 통해 스티커 형식으로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를 활용할 수 있고, 보다 직관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스캔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관 또는 열람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공유 또한 한층 쉽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가 롤형태나 디스펜서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식별코드를 활용하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식별코드에 지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서버가 아니라 기존에 운용중인 온라인 서버 등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저장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는 단위태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단위태그로부터 태그시트을 분리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편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별하기 위한 번들식별기호 또는 번들식별코드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및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인접한 다른 단위태그와 서로 연속성 있는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일측에는 노트를 위한 기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태그의 배면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단위태그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는 단위태그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단위태그로부터 태그시트을 분리한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이 예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은 기본적으로 다수개 태그가 하나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번들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코드(25)가 인쇄된 태그는 각각 단위태그(10)로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단위태그(10)를 분리하여 낱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a)에는 단위태그(10) 하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단위태그(10)에는 태그시트(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그시트(20)는 그 배면에 점착부가 구비되어 임의의 장소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단위태그(10)에는 상기 태그시트(20)의 점착부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분리면(13)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단위태그(10)의 태그시트(20) 표면에는 식별코드(25)가 인쇄된 상태이다. 상기 식별코드(25)는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다양한 리더장치를 이용하여 식별코드(25)를 디코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코드(25)는 QR코드(25)로 구성되고, 이하에서는 QR코드(25)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식별코드(25)는 바코드나 RFID와 같이 전자장비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상기 태그시트(20)의 상면에는 QR코드(25)가 인쇄되고, 상기 QR코드(25) 일측에는 기록공간(28)이 형성된다. 상기 기록공간(28)은 사용자가 상기 태그시트(20)의 종류나 후술할 저장 데이터의 종류 등을 임의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기구로 필기하거나 또는 스티커와 같은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는 여유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QR코드(25)에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i) 상기 단위태그(10)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300)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다. 여기서 단위태그(10) 자체의 정보란, 단위태그(10)의 제조일자, 타입, 각 단위태그(10)에 부여된 단위고유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QR코드(25)에 저장되는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QR코드(25)가 상기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URL을 내포함으로써 기존의 리더를 이용하여 이를 스캔하여 해당 URL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열람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QR코드(25)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단위고유번호 등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고, 차후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이를 임의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0) 등으로 QR코드(25)를 스캔한 후에, 단말기(100)를 통하여 QR코드(25)에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단위고유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QR코드(25)에 저장되는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QR코드(25)가 상기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URL을 내포함으로써 기존의 리더를 이용하여 이를 스캔하여 해당 URL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열람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태그(10)에는 식별기호(12)가 인쇄된다. 상기 식별기호(12)는 상기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QR코드(25)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식별기호(12)는 상기 단위태그(10)의 제조일자, 타입, 일련번호 등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식별기호(12)가 생략되고 상기 QR코드(25)가 이를 대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기호(12)는 상기 태그시트(20)가 분리되고 남는 자리에 인쇄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단위태그(10)는 다수개가 합쳐져 하나의 묶음(bundle)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식별코드(25)가 인쇄된 단위태그(10) 다수개가 하나의 태그 시리즈 번들(B)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은 도 2(a)~(c)에서 보듯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2(a)를 먼저 설명하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다수개의 단위태그(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 단위태그(10) 사이에는 절취선(1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취선(17)을 통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단위태그(10)를 용이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져 롤(roll)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0)에 삽입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일종의 접착테이프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는 것인데, 이를 통하여 상기 롤 형태의 다수개의 단위태그(10) 묶음이 회전을 통해 순차적으로 절취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외면에는 번들식별코드(40)가 구비된다. 상기 번들식별코드(40)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 자체를 구별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의 종류, 제조일자, 수량, 제조자의 홈페이지 등 다양한 정보가 내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30)에 별도의 번들식별코드(40)가 인쇄되지 않고, 상기 각각의 단위태그(10)에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의 식별번호와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별도의 번들식별코드(40) 없이도, 상기 단위태그(10)를 스캔함으로써 태그 시리즈 번들(B)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는 다른 종류의 태그 시리즈 번들(B)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적층되고, 하우징(30)의 일측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단위태그(10)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b)의 경우에도, 상기 도 2(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30)의 외면에 번들식별코드(40)가 구비되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 자체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외면에는 캐릭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디자인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30)의 외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이 인쇄된 상태로 하우징(30)이 제조됨으로써 태그 시리즈 번들(B)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이를 구매하게 될 구매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태그 시리즈 번들(B)을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30)의 디자인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태그 시리즈 번들(B)을 이용한 데이터의 저장이나 재생과정에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와 통일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식별코드(25) 자체에도 상호나 상표, 이미지 등과 같은 내용이 도시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코드(25)가 QR코드(25)인 경우에는 그 코드가 일부 손상된 상태이더라도 식별코드(25)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그 한도 내에서 코드의 디자인은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이 공장이나 사무용 또는 물류 관리용 등과 같은 특별한 디자인이 불필요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백색 접착종이나 간단한 필름 형태로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이 제작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2(c)에는 태그 시리즈 번들(B)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은 하나의 커다란 시트 상에 다수개의 단위태그(10)가 스티커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에는 번들식별코드(40)가 구비될 수 있고, 번들식별코드(40)와 별도로 번들식별기호(4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실시예의 구성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이하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이라 한다)은 크게 태그 시리즈 번들(B), 단말기(100), 온라인 스토리지(200) 및 전용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태그(10)가 묶인 단위로서, 식별코드인 QR코드(25)가 전면에 인쇄된 상태로 제조되고 공급된다.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은 다수개의 단위태그(1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단위태그(10)를 사용하는데 편의를 제공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하나의 태그 시리즈 번들(B)에 포함된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서로 순차적인 고유번호를 가짐으로써 이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식별코드(25)의 스캔작업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이러한 태그 시리즈 번들(B)에 구비된 각 단위태그(10)의 식별코드(25)를 디코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100)에는 식별코드(25)인 QR코드(25)를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그 내부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을 위한 전용기기이거나 또는 웹브라우저용 전용플러그인이 설치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가 전용플러그인이 설치된 컴퓨터인 경우에는 QR코드(25)를 디코딩할 수 있는 별도의 영상 입력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영상 입력장치는 USB 등을 통하여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일 경우에도, 반드시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QR코드(25) 리더/스캐너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단말기(100)를 포함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이 단순히 데이터가 위치하는 곳(온라인 스토리지(200))으로 리다이렉트 해주는 중계역할을 할 뿐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 3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T1으로 지정하고, 데이터를 재생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T2로 지정하여 서로 구별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두 단말기(100)는 동일한 단말기(100)이거나 같은 종류의 단말기(100)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토리지주소를 서버에 알려주기 위해 미리 약속된 특정한 방법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테이터를 생성/획득하고 전송하며, QR코드(25)를 스캔하여 디코딩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와 전용서버(300)의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생성/획득된 데이터의 공개여부나 로그인 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 의해 생성되거나 선택된 데이터는 온라인 상에 저장되는데, 그 저장 공간을 온라인 스토리지(200)라 한다.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태그 시리즈 번들(B)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서버이거나, 또는 기존에 상업/비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업로드 서버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는 유투브, 구글드라이브, 드롭박스, flickr.com과 같이 이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업로드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는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형식 및 종류에 맞고, 데이터가 저장된 곳의 주소(URL)를 획득할 수 있으며, 외부의 단말기(100)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열람할 수 있도록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공개된 웹서버 등이라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는 각각의 저장위치마다 그 연결가능한 주소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주소는 전용서버(300)에 저장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용서버(300)에는 데이터가 저장된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위치정보, 상기 식별코드(25)의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용서버(300)에는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저장위치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된 식별코드(25)인 QR코드(25)의 단위고유번호가 서로 매칭된 상태로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차후에 QR코드(25)를 디코딩함으로서 용이하게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용서버(300)는 상기 단위태그(10)가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B)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식별코드(25)의 단위고유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고유번호저장부(340)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위치저장부(350) 그리고 시스템서버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유번호저장부(340), 저장위치저장부(350) 등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B, 320)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상기 시스템서버부(310)와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서버부(310)는 i)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상기 식별코드(25)의 단위고유번호의 저장/획득요청과 i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위치정보의 저장/획득요청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시스템서버부(310)는 식별코드(25)의 단위고유번호(또는 번들고유번호)와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단말기(100)가 QR코드(25)를 디코딩하여 앞서 저장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용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저장부(330)와, 사용자가 전송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360) 및 사용자의 저장/획득요청 기록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저장부(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부를 포함함으로써, 방대한 자료가 정확히 분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향후 데이터를 활용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온라인 스토리지(200) 역시 상기 전용서버(300)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 사이의 연계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는데,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온라인 스토리지(200) 및 전용서버(300) 양측에 각각 연결가능하며, 이러한 연결은 모두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저장하며, 동시에 단위태그(10)의 식별코드(25)에 내장된 식별번호와 같은 데이터를 전용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가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저장되면, 상기 단위태그(10)를 보유한 다른 사용자 또는 앞서 데이터를 생성한 동일한 사용자는 단말기(100)로 상기 단위태그(10)를 디코딩하여, 상기 전용서버(300)로부터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위치를 획득하고, 이 과정에서 리다이렉션을 통하여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저장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특정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 및 데이터가 저장된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특정주소를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나 날짜, 생성한 자의 이름과 로그인 정보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아래 표1은 상기 전용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 보다 정확하게는 데이터베이스(320)에 포함되는 태그고유번호저장부(340), 저장위치저장부(35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서버부(310)는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매칭시켜, 차후에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하나의 쌍으로 제공하게 된다.
아래 표1에서 보듯이, 상기 전용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 상의 URL주소가 포함되고, 추가적으로 공개여부 및 로그인 정보 등이 더 포함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각 단위태그(10)와 매칭되는 정보들은 편집/수정도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단위고유번호 온라인 스토리지 주소(URL) 데이터 생생시간 데이터 생성장소 데이터 생성자 공개여부 로그인 정보
Rst120531Ap0032/005 http://dl.dropbox.com/u/16712843/qrcode_test/4.jpg 2012년6월12일13시45분34초 41°51’32"N71°24'23"W anonymous public id:aaapw:vvv
Rst120531Ap0032/006 http://www.youtube.com/watch?v=aexfm_xYYXg&feature=g-upl - - anonymous public -
Rmt120413Bp0672/001 http://QRTagserver/sstorage/name1/folder1/example.txt 2012년6월12일 17시12분09초 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102-4 name1 private id:bbbpw:ccc
Dsd120601Ag0083/021 http://google.com/patents 2012년6월12일 17시13분11초 - name2 public id:rrrpw:zzz
이하에서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단말기(100) 앱(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단말기(100)를 통하여 원하는 임의의 데이터를 획득한다.(S101) 이때, 상기 데이터의 종류는 사진, 동영상, 음악, 텍스트, URL,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JPEG, MP4, MP3, MOV, html 등과 같이 업계의 표준으로 인코딩/압축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획득방법은 단말기(100)의 카메라 등을 통해 즉시 촬영하여 데이터를 얻거나, 또는 이미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데이터의 전송에 앞서, 사용자는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해야 한다. 상기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란, 상기 단위태그(10)의 외면에 인쇄된 QR코드(25)에 인코딩된 단위고유번호로서,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QR코드(25)를 스캔함으로서 상기 고유번호를 얻을 수 있다.(S102)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와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획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데이터는 온라인 스토리지(200)로 전송하여 이를 저장하고,(S103) 동시에 저장된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주소(URL)를 획득하게 된다.(S104)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주소 및 앞서 획득한 단위고유번호를 전용서버(300)에 전송하고,(S105) 상기 전용서버(300)는 이를 서로 매칭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게 된다.(S301)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단위태그(10)에 매칭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데이터를 재생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위태그(10, QR코드(25))를 스캔하는 등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데이터 재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5에서 상부의 점선ⓐ는 앞서 설명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련의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란, 앞서 데이터를 저장한 사용자이거나 또는 단위태그(10)를 입수한 또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단위태그(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배면에 점착면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단위태그(10)를 편지나 엽서에 붙여 이를 제3자에서 송달하거나, 또는 노트, 지갑, 달력 등 임의의 장소에 이를 부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단위태그(10)가 물건의 배송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배송물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단위태그(10) 자체가 별개물로 제작되지 않고, 엽서나 팜프렛 등에 인쇄된 상태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먼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 부착된 상기 단위태그(10)에 인코딩된 단위고유번호를 얻어야 한다. 즉, 상기 단위태그(10)를 디코딩하여 단위고유번호를 얻게 되는 것인데, 단위태그(10)가 QR코드(25)인 경우에는 단말기(100)를 이용해 이를 스캔함으로써 상기 단위고유번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고유코드를 획득하는 것은, 단위고유번호마다 각각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S150)
상기 단말기(100)에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가 식별되면, 단말기(100)는 상기 단위고유번호를 전용서버(300) 측으로 전송하고,(151) 전용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20)를 검색하여 상기 단위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저장위치, 즉 URL을 검색한다.(351)
그리고, 이렇게 검색 및 획득된 URL은 다시 단말기(100)로 전송되고,(S352) 상기 단말기(100)는 수신된 URL에 해당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데이터 전송요청을 하게 된다.(152) 물론, 상기 전용서버(300)는 별도의 절차 없이 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곧바로 해당 온라인 스토리지(200)로 리다이렉팅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200)가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면(S251), 상기 단말기(100)에는 앞서 저장된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태그(10)를 입수한 사용자는 단위태그(10)를 스캔하는 등과 같은 간단한 동작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쉽게 불러와 재생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상부의 점선ⓑ는 앞서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련의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편집/재생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 데이터를 편집하는 과정 및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이 각각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생성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생성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종류로는 사진, 동영상, 음악, 문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고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한 후에, 사용자는 다시 데이터를 단말기(100)를 통해 생성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에 단말기(100)나 온라인의 특정 위치 상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달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만약 단말기(100)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사진을 찍은 경우에, 생성된 사진을 상기한 단위태그(1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로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고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번들고유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의 하우징(30) 외면에 인쇄된, 번들 자체의 번들고유번호를 단말기(100)에 입력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도 8(c)에서 보듯이, 직접 번들고유번호를 입력하거나, QR코드(25)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번들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단위태그(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번들고유번호를 입력하였다면, 순차적으로 사용되는 다음 단위태그(10)의 사용시에는 번들고유번호의 입력을 생략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들이 서로 연속된 단위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이러한 연속입력에 대한 확인절차를 거쳐 번들고유번호의 입력을 생략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스캔하여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QR코드(25)에는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가 인코딩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QR코드(25)를 스캔하는 동작으로 단위고유번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때, 앞선 단계에서 태그 시리즈 번들(B)의 번들고유번호를 별도로 획득하지 않고, 각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스캔하면 상기 QR코드(25)에 인코딩된 번들고유번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위태그(10)의 QR코드(25)에는 단위고유번호 뿐 아니라, 번들고유번호가 함께 인코딩되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QR코드(25)를 스캔함으로써 단위고유번호가 얻어진 경우에, 얻어진 단위고유번호와 실제 단위태그(10)에 인쇄된 단위고유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단위고유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를 수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 또는 단위태그(10)에 고유의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이미지가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에 표현될 수도 있다. 즉, 도 8(d)에서 보듯이, 번들고유번호 또는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된 후에,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 또는 단위태그(10)에 이미지나 캐릭터 등이 설정되어 있으면, 이러한 이미지나 캐릭터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표현되는 것인데, 이러한 이미지나 캐릭터 자료는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전용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 8(d)에 표현된 이미지는 앞서 도 2(b)에서 살핀 태그 시리즈 번들(B)의 하우징(30)에 인쇄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태그 시리즈 번들(B)의 하우징(30)에 인쇄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나 캐릭터는 태그 시리즈 번들(B)이나 단위태그(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용도나, 이를 구매하는 사용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기업 등에서 태그 시리즈 번들(B) 또는 단위태그(10)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기업의 서비스표나 CI 등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앞서 생성한 데이터를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를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한 후 자동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8(d)와 같이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데,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앞서 생성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종류도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난 온라인 스토리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앞서 생성된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되고, 데이터의 저장 과정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도 8(e)에서 보듯이,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데이터를 연속하여 생성할 것인지 여부가 나타날 수 있고, 사용자가 연속생성을 선택할 경우에는 다시 도 8(b)로 돌아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사용한 단위태그(10)가 아니라, 태그 시리즈 번들(B)에 포함된 새로운 단위태그(1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에도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하여야 하나, 앞선 과정과 같이 단말기(100)를 이용해 새로운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다시 또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도 8(c)에서 보듯이 연속입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앞서 입력한 단위고유번호와 연속된 새로운 단위고유번호가 자동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B)에 포함된 다수개의 단위태그(10)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일일이 QR코드(25)를 스캔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데이터 생성방법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동일한 데이터, 예를 들어 동일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여러 개의 단위태그(10)에 각각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d)의 다중입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생성된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개의 단위태그(10)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앞선 과정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반복되지 않고, 다중입력을 통하여 다수개의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르 스캔하는 과정만이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단위코드를 각각 스캔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사진, 동영상 등)를 재생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다수개의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스캔하는 과정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는 서로 연속된 단위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연속된 다수개의 단위태그(10)를 사용한다면 QR코드(25)를 스캔하는 과정 없이, 자동으로 다음 단위고유번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선 데이터 저장과정에서는 먼저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먼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획득한 후에, 저장할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신규로 생성하는 절차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가 앞서 사용되지 않은 신규한 것일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00)는 생성모드와 재생모드의 선택과정 없이, 자동으로 생성모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획득된 단위고유번호가 앞서 저장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신규한 것인지 여부는 전용서버(300)에 연결하여 즉각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데, 이러한 단위고유번호와 관련된 정보는 전용서버(300)에 마련된 별도의 히스토리저장부(37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편집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데이터의 편집이란, 앞서 단위태그(10)를 사용하여 특정 장소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 등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 생성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수정이 필요하거나, 사용한 단위태그(10)를 재활용하는 경우에 수행하게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는 먼저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서 생성모드의 선택 후에, 신규생성 및 편집모드 중에서 다시 편집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와 같은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권한획득은 로그인이나 최초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의 동의를 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편집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는 단위고유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단위고유번호 입력절차는 모드선택에 앞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 편집내용 선택사항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편집내용은 반드시 사진, 동영상과 같은 저장된 데이터뿐 아니라, 접속권한의 변경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온라인 스토리지(200)의 변경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의 변경도 가능하다.
만일 데이터 내용을 변경할 경우에도, 최초에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했더라도, 이를 동영상이나 음악과 같은 다른 종류의 데이터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편집되면, 전용서버(300)에는 변경된 정보가 저장되고, 따라서 이후에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스캔하게 되면 편집된 데이터가 재생된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의 편집에는 데이터의 추가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태그(10)를 보유하게 된 사용자(예: 단위태그의 수신인)가 데이터(사진, 문서 등)를 재생한 후에, 이에 데이터(추가 사진, 추가 문서)를 추가하여 상기 단위태그(10) 다시 이를 다른 사용자(예: 단위태그의 최초발신인)에게 발송하여, 메시지를 회신하는 개념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위태그(10)를 보유한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생성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의 저장과 생성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때 기존의 QR코드 스캐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재생모드가 선택되면, 단위태그(10)의 단위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단위고유번호는 단말기(100)의 스캔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위태그(10)에 인쇄된 식별번호를 직접입력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단위태그(10)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연속모드를 선택하여 단위고유번호 입력을 간소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단위고유번호의 입력은 상기 모드 선택에 앞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바로 단위고유번호 입력절차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태그(10)의 QR코드(25)를 스캔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위고유번호까지 입력이 되면, 단말기(100)는 전용서버(300)에 접속되고, 전용서버(300)는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란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를 불러내어 단말기(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용서버(3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열람을 신청한 주체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용서버(300)로의 접속이 단말기(100)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안내페이지로 리다이렉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온라인 스토리지(200)에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용서버(300)의 리다이렉팅에 의해 단말기(100)가 바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종료하거나 다른 단위태그(10)를 선택하여 연속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를 편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c)에서 보듯이, 해당 단위태그(10)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입력하여야만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위태그(10)를 통해 전용서버(300)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특정인에게만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미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제조된 태그 시리즈 번들의 각 단위태그를 이용하여 단위태그가 특정 데이터를 가리키도록 지정함으로써 개인사용자도 용이하게 식별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별하기 위한 번들식별기호 또는 번들식별코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및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인접한 다른 단위태그와 서로 연속성 있는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의 일측에는 노트를 위한 기록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의 배면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단위태그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8.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식별코드가 인쇄된 다수개의 단위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위태그는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에는 i) 상기 단위태그 자체의 정보 및 ii) 전용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다수개의 단위태그로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기호 또는 식별코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은 롤형태로 권취되고, 그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는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및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상기 단위태그 내부에 저장된 단위고유번호는 인접한 다른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와 서로 연속성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그의 배면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단위태그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14.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과,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하고 특정 데이터 및 상기 인식된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를 온라인 전송 가능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저장되는 전용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단위태그가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고유번호저장부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위치저장부와,
    i) 상기 태그 시리즈 번들의 번들고유번호 또는 상기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의 저장/획득요청과 i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의 저장/획득요청을 중계하는 시스템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서버에는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전송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사용자의 저장/획득요청 기록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i)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단말기, ii)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전용기기, 또는 iii) 웹브라우저용 전용플러그인이 설치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는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저장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19. 데이터가 획득되고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를 포함한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데이터가 온라인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를 포함한 정보가 획득하는 과정은,
    i)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ii) 하나의 태그 시리즈 번들에 포함된 다수개의 서로 연속된 단위태그의 단위고유번호가 연속적으로 자동입력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임의의 장소에 부착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어 상기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에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는 단계와,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재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가 상기 식별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에서, 획득된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미사용상태인 경우에는 저장모드로 자동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장소에 부착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어 상기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에서,
    i) 상기 단위고유번호의 전송이 전용기기 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가 획득되고,
    ii) 상기 단위고유번호의 전송이 전용기기 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온라인 스토리지의 저장위치의 획득에 앞서 전용기기의 구매,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에 관한 내용 안내가 유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연속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데이터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에서, 획득된 단위고유번호와 연속된 고유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증절차를 거쳐 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ii) 상기 온라인 스토리지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전용서버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7.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특정 데이터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및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로부터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단위고유번호에 매칭되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28. 식별코드가 인쇄된 단위태그로부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식별코드의 단위고유번호 및 상기 획득된 데이터가 전용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및
    상기 단위태그의 식별코드로부터 단위고유번호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단위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
PCT/KR2013/008117 2012-09-07 2013-09-09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WO20140389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72A KR101413546B1 (ko) 2012-09-07 2012-09-07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KR10-2012-0099172 2012-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8903A1 true WO2014038903A1 (ko) 2014-03-13

Family

ID=5023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117 WO2014038903A1 (ko) 2012-09-07 2013-09-09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3546B1 (ko)
WO (1) WO2014038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424A (zh) * 2021-11-22 2022-03-01 青岛嘉泽包装有限公司 一种替代传统二维码喷码工艺的胶印印刷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6012A (zh) * 2016-08-30 2017-01-04 上海锐驰创通电子科技有限公司 物料存取设备以及在线式物料存取方法
WO2021241823A1 (ko) * 2020-05-29 2021-12-02 테이블온 주식회사 태그와 위치코드정보의 매칭 및 관리 방법 그리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54B1 (ko) * 2006-08-14 2009-03-19 차순용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KR2009007093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태그를 이용한 나만의 컨텐츠 플레이 서비스 장치 및방법
KR2011004247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03957U (ko) * 2010-11-26 2012-06-05 서영규 큐알코드가 인쇄된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91B1 (ko) 2008-04-23 2010-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54B1 (ko) * 2006-08-14 2009-03-19 차순용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인식장치
KR2009007093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태그를 이용한 나만의 컨텐츠 플레이 서비스 장치 및방법
KR2011004247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03957U (ko) * 2010-11-26 2012-06-05 서영규 큐알코드가 인쇄된 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424A (zh) * 2021-11-22 2022-03-01 青岛嘉泽包装有限公司 一种替代传统二维码喷码工艺的胶印印刷方法
CN114103424B (zh) * 2021-11-22 2023-12-08 青岛嘉泽包装有限公司 一种替代传统二维码喷码工艺的胶印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546B1 (ko) 2014-07-16
KR20140033270A (ko)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91210A2 (ko) 텍스트 정보를 활용하는 전자 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EP1309170A2 (en) Information storage output system and information storage output service
US20120300974A1 (en) Image related methods and systems
WO2011155703A2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US20040003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computer implement that method
WO2014038903A1 (ko)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WO2016093565A1 (ko) 증강현실을 접목한 제품과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통합 애플리케이션시스템
WO2012108661A2 (ko) 네트워크 통신망에서의 쌍방향 가입자 보안 인증 시스템과 방법 및 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16114493A1 (ko) 매체에 맞춰진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33835A1 (ko)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및 그 방법
WO2013036035A2 (ko)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17549A1 (en) CONTENT TRANSMISSION USING A CLOUD SERVER
US8699747B2 (en) Image-related methods and systems
WO2012134013A1 (ko) 모바일 컨텐츠 광고 시스템 및 모바일 컨텐츠 광고 방법
US8649067B2 (en) Document retrieving/printing system, digital multi-function machine, document retrieving/printing method, and program
WO2020149655A1 (ko) 장치 속성에 기반한 공유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9146864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73063A1 (ko)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0071785A1 (ko) 가상현실 갤러리 시스템 및 가상현실 갤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3075530A1 (ko) 온라인명함 서비스 방법
KR101413547B1 (ko)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
KR102512903B1 (ko) 디지털 영상 명함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24423A1 (ko) 웹사이트 자동 생성 플랫폼 운영 방법 및 시스템
WO2013006002A2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WO2023167569A1 (ko) 다이나믹 식별코드 판매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34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34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