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782A -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782A
KR20110018782A KR20090076412A KR20090076412A KR20110018782A KR 20110018782 A KR20110018782 A KR 20110018782A KR 20090076412 A KR20090076412 A KR 20090076412A KR 20090076412 A KR20090076412 A KR 20090076412A KR 20110018782 A KR20110018782 A KR 2011001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feedback
supply voltage
feedback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7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161B1 (ko
Inventor
안정근
신고 카와시마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7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161B1/ko
Priority to JP2009261284A priority patent/JP5313845B2/ja
Priority to US12/659,445 priority patent/US9136754B2/en
Priority to CN2010101516156A priority patent/CN101998733B/zh
Priority to TW99111749A priority patent/TWI435197B/zh
Priority to EP20100168182 priority patent/EP2306627A3/en
Publication of KR2011001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61B1/ko
Priority to JP2012110596A priority patent/JP5592434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고, 패널 전류 및 전원 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전압 제어부와,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 피드백 전압, 전원 전압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POWER SUPPL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여 표시영역으로 하고, 각 화소에 주사선과 데이터선을 연결하여 화소에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를 한다. 표시장치는 화소의 구동방식에 따라 패시브(Pass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장치와 액티브(Act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장치로 구분된다. 이 중 해상도, 콘트라스트, 동작속도의 관점에서 단위 화소 마다 선택하여 점등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PDA 등의 휴대 정보단말기 등의 표시장치나 각종 정보기기의 모니터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액정 패널을 이용한 LCD,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플라즈마 패널을 이용한 PDP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무게와 부피가 작은 각종 발광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나며 응답속도가 빠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유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동작 전압 범위가 표시 장치의 온도 및 표시 장치의 사용 시간에 따라 변화된다. 이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동작 전압 범위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 할 수 있도록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소정 범위의 마진을 두어 공급한다. 이런 마진은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전압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패널 전류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각각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 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피드백 전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전원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캐소드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패널 전류는 상기 전원선에 흐르며, 상기 전원선 상에 형성된 감지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저항 양단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증폭 전압에 따라 상기 패널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의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기준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2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제2 저항 각각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 중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복수의 제2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간의 전압차를 저항 분배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3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패널 전류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각각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피드백 전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 조절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기준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2 저항; 상기 복수의 제2 저항 각각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 중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복수의 제2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간의 전압 차를 저항 분배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3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발광 소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전류 및 전원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제1 저항과 복수의 제2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전압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저항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항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 간의 전압 차를 저항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상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직류-직류 컨버터(40) 및 전원 전압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직류-직류 컨버터(40)로부터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고, 주사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복수의 주사 신호와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signal line)(S1~Sn, D1~Dm), 제1 및 제2 전원선(P1, P2)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 선(S1~Sn, D1~Dm)은 복수의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평행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제1 전원선(P1)은 직류-직류 컨버터(40)의 제1 출력단(OUT1)과 표시 패널(10)을 연결한다. 제2 전원선(P2)은 제2 출력단(OUT2)과 표시 패널(10)을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선(P1)은 복수의 화소(PX) 각각까지 연장되어,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을 복수의 화소(PX) 각각에 공급한다. 제2 전원선(P2)은 복수의 화소(PX) 각각까지 연장되어, 제2 출력단(OUT2)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을 복수의 화소(PX) 각각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선(P2)은 복수의 화소(PX) 각각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어 있어, 표시 패널(10)의 복수의 화소(PX)에 흐르는 전류가 모두 합해진 패널 전류(Ivss)가 제2 전원선(P2)에 흐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화소(PX), 예를 들면 주사선(S1)과 데이터선(D1)에 연결된 화소(PX)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M2)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소스 단자로 제1 전원전압(ELVDD)을 입력받고, 드레인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전류(IOLED)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흘린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는 주사선(S1)과 연결되어 있고, 소스 단자는 데이터선(D1)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1)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 온 되면 데이터선(D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즉 데이터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 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캐소드 전극으로 제2 전원전압(ELVSS)을 입력받는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가 공급하는 전류(IOLE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M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트랜지스터(M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 중 적어도 하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1), 스위칭 트랜지스터(M2),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화소(PX)는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한 예이며,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구동부(20)는 표시 패널(10)의 복수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주사선(S1-Sn)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표시 패널(1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직류-직류 컨버터(40)는 입력단(IN)으로 입력 전압(Vbat)을 입력받아 제1 전원전압(ELVDD), 제2 전원전압(ELVSS) 및 기준전압(Vref)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전원전압(ELVDD) 및 기준전압(Vref)은 고정되고, 제2 전원전압(ELVSS)은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변화된다.
전원 전압 제어부(50)는 감지 저항(DR1), 증폭부(5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 피드백 제어부(56) 및 피드백 전압 조절부(58)를 포함한다. 감지 저항(DR1)은 제2 전원선(P2) 상에 위치하며, 감지 저항(DR1)에 제2 전원선(P2)에 흐르는 패널 전류(Ivss)가 흐르므로, 감지 저항(DR1)의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한다. 전원 전압 제어부(50)는 감지 저항(DR1)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패널 전류(Ivss)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감지 저항(DR1)의 양단 전압 차를 감지 전압(VS)이라 한다.
증폭부(52)는 감지 전압(VS)을 증폭하여, 증폭된 감지 전압(VS)(이하, 증폭 전압(AMV)이라 함.)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로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는 증폭 전압(AMV)에 따라 패널 전류(Ivss)에 대한 데이터(CRD)(이하, 패널 전류 데이터라 함.)를 출력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패널 전류 데이터(CR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FBC1~FBCn)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부(56)는 패널 전류 데이터(CR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A)을 검출하고 목표 값(A)에 제2 전원 전압(ELVSS)이 같아지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여기서, 목표 값(A)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에서 급격하게 기울기가 변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도 4에 도시된 전압-전류 특성 곡선은 제1 전원전압(ELVDD)의 레벨은 고정시키고, 제2 전원전압(ELVSS)의 레벨을 소정 범위 내에서 가변시켜 제2 전원전압(ELVSS)에 따른 패널 전류(Ivss)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전압-전류 특성 곡선에서 목표 값(A)은 표시 패널(1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전원전압(ELVSS)을 목표 값(A)보다 작은 값(도 4의 가로축에서 좌측 방향)으로 설정하면 제2 전원전압(ELVSS)을 생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발생하고, 목표 값(A)보다 큰 값(도 4의 가로축에서 우측 방향)으로 설정하면 표시 패널 전류를 제한하게 되어, 풀 화이트 계조를 표현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직류-직류 컨버터(40)가 피드백 전압(Vfb)이 낮아지면 제2 전원전압(ELVSS)을 높이고, 피드백 전압(Vfb)이 높아지면 제2 전원전압(ELVSS)을 낮추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피드백 제어부(56)는 패널 전류 데이터(CRD)가 목표 값(A)보다 낮으면 피드백 전압(Vfb)을 낮추고, 패널 전류 데이터(CRD)가 목표 값(A)보다 높으면 피드백 전압(Vfb)을 높인다. 그러면, 제2 전원전 압(ELVSS)은 표시 패널(10)의 구동 특성에 대응하여 정확한 값으로 조절된다.
피드백 전압 조절부(58)는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FBC1~FBCn)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조절하여 직류-직류 컨버터(40)로 전달한다. 피드백 전압 조절부(58)는 저항(R1), 복수의 저항(CR1~CRn)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를 포함한다. 저항(R1)은 직류-직류 컨버터(40)의 제2 출력단(OUT2)과 노드(A)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저항(CR1~CRn)은 노드(A)와 직류-직류 컨버터(40)의 제3 출력단(OUT3)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는 복수의 저항(CR1~CRn) 각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FBC1~FBCn)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저항(R1)과 복수의 저항(CR1~CRn) 간의 저항비가 조절되어 노드(A)의 전위, 즉 피드백 전압(Vfb)의 레벨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 중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되면, 스위칭 소자(SW1)의 온(on) 저항과 저항(CR1)이 병렬 연결된다. 이때, 스위칭 소자(SW1)의 온(on) 저항은 매우 낮으므로 스위칭 소자(SW1)의 온(on) 저항과 저항(CR1)의 합이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 중 턴 온된 스위칭 소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복수의 저항(CR1~CRn)의 총 저항값은 작아진다. 복수의 저항(CR1~CRn)의 총 저항값이 작아지면 결국 피드백 전압(Vfb)이 낮아져 제2 전원전압(ELVSS)이 높아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가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FBC1~FBCn)가 고전압 레벨이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는 턴 온되고, 저전압 레벨이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는 턴 오프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n)가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전원 전압 제어부(60) 및 직류-직류 컨버터(7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10), 주사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도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전압 제어부(60)는 감지 저항(DR2), 증폭부(6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62), 피드백 제어부(63),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64), 버퍼(65) 및 피드백 전압 생성부(66)를 포함한다.
감지 저항(DR2)은 제2 전원선(P2) 상에 위치하며, 감지 저항(DR2)에 제2 전원선(P2)에 흐르는 패널 전류(Ivss)가 흐르므로, 감지 저항(DR2)의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한다. 전원 전압 제어부(60)는 감지 저항(DR2)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패널 전류(Ivss)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감지 저항(DR2)의 양단 전압 차를 감지 전압(VS)라 한다. 증폭부(61)는 감지 전압(VS)을 증폭하여, 증폭된 감지 전압(VS)(이하, 증폭 전압(AMV)이라 함.)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62)로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62)는 증폭 전압(AMV)에 따라 패널 전류(Ivss)에 대한 데이터(CRD)(이하, 패널 전류 데이터라 함.)를 출력한다. 피드백 제어부(63)는 패널 전류 데이터(CRD) 및 제2 전원전압(ELVSS)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RVD)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부(63)는 도 4에 도시된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패널 전류 데이터(CR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A)을 검출하고, 목표 값(A)에 제2 전원 전압(ELVSS)이 같아지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64)는 기준전압 데이터(RVD)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출력한다. 버퍼(65)는 기준전압(Vref)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64)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한다. 피드백 전압 생성부(66)는 제2 전원전압(ELVSS)과 기준전압(Vref)의 전압 차를 저항(R2)와 저항(R3) 간의 저항비로 전압 분배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출력한다. 따라서, 기준전압(Vref)이 높아지면 피드백 전압(Vfb)이 높아지고, 기준전압(Vref)이 낮아지면 피드백 전압(Vfb)이 낮아진다. 피드백 전압(Vfb)이 낮아지면 제2 전원전압(ELVSS)이 높아지고, 피드백 전압(Vfb)이 높아지면 제2 전원전압(ELVSS)이 낮아지므로 결국 제2 전원전압(ELVSS)은 항상 목표 값(A)과 같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기준전압(Vref)을 제어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전압 생성부(66)는 저항(R2, R3)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저항(R2)은 직류-직류 컨버터(70)의 제2 출력단(OUT2)과 노드(B)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저항(R3)은 노드(B)와 버퍼(65)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1)는 버퍼(65)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C1)는 버퍼(65)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Vref)을 소정 시간 홀딩 시킨다. 직류-직류 컨버터(70)는 입력단(IN)으로 입력 전압(Vbat)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전원전압(ELVDD, ELVSS)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전원전압(ELVDD)은 고정된 레벨이며, 제2 전원전압(ELVSS)은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변화된다.
즉, 본원발명은 표시 패널의 패널 전류를 감지하여, 패널 전류와 전원전압(ELVSS)에 대응하는 목표 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전원전압(ELVSS)이 목표 값과 같아지도록 피드백 전압을 제어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에 전원전압을 마진없이 공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상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Claims (21)

  1.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전압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패널 전류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피드백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전원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캐소드 전 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패널 전류는 상기 전원선에 흐르며, 상기 전원선 상에 형성된 감지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저항 양단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증폭 전압에 따라 상기 패널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기준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2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제2 저항 각각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 중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복수의 제2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결정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간의 전압차를 저항 분배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3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공급 장치.
  11.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패널 전류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피드백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조절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기준 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2 저항;
    상기 복수의 제2 저항 각각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 중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복수의 제2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결정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전압 간의 전압 차를 저항 분배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에 일단이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3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버퍼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복수의 발광 소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전류 및 전원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제1 저항과 복수의 제2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전압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피드백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저항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항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 전류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 데이터 및 상기 전원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목표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값에 상기 전원 전압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는 기준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전압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 간의 전압 차를 저항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90076412A 2009-08-18 2009-08-18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6412A KR101107161B1 (ko) 2009-08-18 2009-08-18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9261284A JP5313845B2 (ja) 2009-08-18 2009-11-16 電源供給装置、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2/659,445 US9136754B2 (en) 2009-08-18 2010-03-09 Power supply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10101516156A CN101998733B (zh) 2009-08-18 2010-04-06 电源装置、包括电源装置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99111749A TWI435197B (zh) 2009-08-18 2010-04-15 電源供應裝置、包含電源裝置之顯示裝置及使用其之驅動方法
EP20100168182 EP2306627A3 (en) 2009-08-18 2010-07-01 Power supply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110596A JP5592434B2 (ja) 2009-08-18 2012-05-14 電源供給装置、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6412A KR101107161B1 (ko) 2009-08-18 2009-08-18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82A true KR20110018782A (ko) 2011-02-24
KR101107161B1 KR101107161B1 (ko) 2012-01-25

Family

ID=4360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76412A KR101107161B1 (ko) 2009-08-18 2009-08-18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6754B2 (ko)
EP (1) EP2306627A3 (ko)
JP (2) JP5313845B2 (ko)
KR (1) KR101107161B1 (ko)
CN (1) CN101998733B (ko)
TW (1) TWI43519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604A (ko) * 2013-02-27 2014-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42110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3593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952954B2 (en) 2012-03-14 2015-02-10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150016008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트롤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293519B2 (en) 2013-02-21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60061483A (ko) * 2014-11-21 2016-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7756A (ko) * 2020-03-26 2020-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70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83925B1 (ko) * 2011-04-08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60539B1 (ko) * 2012-08-08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120168A (ko) * 2013-04-02 2014-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4036721B (zh) * 2014-05-15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4050915B (zh) * 2014-05-30 2015-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moled显示面板和amoled显示装置
CN104409046A (zh) * 2014-12-18 2015-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阵列基板、补偿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257575B1 (ko) 2015-05-20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
KR102317451B1 (ko) * 2015-06-19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전압 결정 장치 및 구동 전압 결정 방법
CN105304025B (zh) * 2015-12-08 2018-01-1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驱动控制方法和系统
KR102197116B1 (ko) 2016-03-03 2020-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d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 방법
CN106646275B (zh) * 2017-03-03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dc/dc测试系统及方法
CN108922487B (zh) * 2018-08-24 2020-06-26 惠科股份有限公司 电压调节电路及显示装置
KR102548853B1 (ko) * 2018-11-09 2023-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전압에 대한 피드백 루프를 가지는 표시 장치
WO2021125394A1 (ko) * 2019-12-19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직류 전압 공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7014A (en) * 1991-01-09 1994-03-22 Canon Kabushiki Kaisha Switching DC power supply apparatus
JPH0990320A (ja) * 1995-09-28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0215179A (ja) * 1997-01-30 1998-08-11 Rohm Co Ltd D/aコンバータ
KR100381954B1 (ko) * 2000-10-26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셀의 과소거를 방지할 수 있는 소거 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553681B1 (ko) * 2003-03-06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불 휘발성 반도체메모리 장치
JP2004311635A (ja) * 2003-04-04 2004-11-04 Olympus Corp 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並びに、その照明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4148827B2 (ja) * 2003-04-28 2008-09-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7057359B2 (en) 2003-10-28 2006-06-06 Au Op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current of illumination source in a display system
JP2005181890A (ja) 2003-12-22 2005-07-0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00929A (ja) * 2004-04-12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4622389B2 (ja) * 2004-08-30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6276713A (ja) 2005-03-30 2006-10-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El表示装置の電源回路
JP2006284859A (ja) * 2005-03-31 2006-10-19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US7291987B2 (en) 2005-06-17 2007-11-0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ower supply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JP2007004420A (ja) 2005-06-23 2007-01-11 Seiko Epson Corp 電源回路
GB2430069A (en) * 2005-09-12 2007-03-14 Cambridge Display Tech Ltd Active matrix display drive control systems
JP2007310033A (ja) * 2006-05-16 2007-11-29 Eastman Kodak Co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08195B1 (ko) * 2006-06-1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
JP4965308B2 (ja) 2007-03-28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1473807B1 (ko) * 2007-07-20 2014-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885966B1 (ko) * 2007-07-27 2009-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944420B2 (en) * 2007-09-28 2011-05-17 Osram Sylvania Inc. Light emitting diode driver providing current and power control
KR20090084444A (ko) * 2008-02-01 2009-08-0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232775B2 (en) * 2008-07-04 2012-07-31 Vampire Labs Limitation of vampiric power consumption with decoupling of an inductive power apparatus and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2954B2 (en) 2012-03-14 2015-02-10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431903B2 (en) 2012-03-14 2016-08-30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293519B2 (en) 2013-02-21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40108604A (ko) * 2013-02-27 2014-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42110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3593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50016008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트롤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61483A (ko) * 2014-11-21 2016-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7756A (ko) * 2020-03-26 2020-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8733B (zh) 2013-12-18
CN101998733A (zh) 2011-03-30
EP2306627A2 (en) 2011-04-06
JP5592434B2 (ja) 2014-09-17
US20110043505A1 (en) 2011-02-24
TW201107922A (en) 2011-03-01
EP2306627A3 (en) 2011-09-14
US9136754B2 (en) 2015-09-15
JP5313845B2 (ja) 2013-10-09
TWI435197B (zh) 2014-04-21
JP2012198547A (ja) 2012-10-18
JP2011039471A (ja) 2011-02-24
KR101107161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161B1 (ko)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01470A (ko)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6541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017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0134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7347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859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297181B2 (en) System of sensing AMOLED pixel driving property and AMOLED display device
US20140152642A1 (en) Error compensa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607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826970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8009087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2409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이미지 보상 방법
KR20120015076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5338838A (ja) 発光表示装置用電源供給装置および発光表示装置
KR2012002241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2493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686982B2 (en) Current genera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JP200729333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チャネル干渉補償方法及びデータ信号駆動制御装置
KR100578840B1 (ko) 발광표시 장치용 전원공급 장치
KR2011013254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00302286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5835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50097034A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데이터 구동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