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545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545A
KR20110132545A KR1020110126419A KR20110126419A KR20110132545A KR 20110132545 A KR20110132545 A KR 20110132545A KR 1020110126419 A KR1020110126419 A KR 1020110126419A KR 20110126419 A KR20110126419 A KR 20110126419A KR 20110132545 A KR20110132545 A KR 2011013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supply voltage
point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2545A/ko
Publication of KR2011013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전원전압 및 패널 전류를 판독하여 전원전압이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의 경계 지점인 포화 지점에 대응하는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여 표시영역으로 하고, 각 화소에 주사선과 데이터선을 연결하여 화소에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를 한다. 표시장치는 화소의 구동방식에 따라 패시브(Pass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장치와 액티브(Act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장치로 구분된다. 이 중 해상도, 콘트라스트, 동작속도의 관점에서 단위 화소 마다 선택하여 점등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PDA 등의 휴대 정보단말기 등의 표시장치나 각종 정보기기의 모니터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액정 패널을 이용한 LCD,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플라즈마 패널을 이용한 PDP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무게와 부피가 작은 각종 발광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나며 응답속도가 빠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식에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수동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음극 라인과 양극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방식이고,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커패시터를 각 화소 내에 집적하여 커패시터의 용량에 의해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 방식이다. 이 중 능동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포화 영역(saturation region)에서 동작해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및 온도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박막 트랜지스터를 정전류원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 전압 인가시 소정 범위의 마진을 두고 있다. 이러한 마진은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에 변화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의 변화 정도에 따라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패널 전류를 판독하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의 경계 지점인 포화 지점에 대응하는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소정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기준 포인트와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오름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와 대응하는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는 두 개의 제1 비교 포인트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보다 큰 값의 패널 전류 및 전원 전압으로 설정한다. 상기 포화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는 두 개의 제1 비교 포인트를 각각 시작 포인트 및 마지막 포인트로 하고, 시작 포인트 및 마지막 포인트 사이에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오름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와 대응하는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면, 해당되는 두 개의 제2 비교 포인트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소정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기준 포인트와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상기 기준 포인트와 가장 가까운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비교 포인트 순으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 계수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미분 계수의 차이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미분계수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가장 높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낮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순차적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제1 미분 계수와 상기 제1 미분 계수 다음에 산출되는 제2 미분 계수의 차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미분계수 간의 차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미분 계수에 대응하는 두 비교 포인트 및 상기 제2 미분 계수에 대응하는 두 비교 포인트의 평균 포인트를 상기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가장 낮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높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순차적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제1 미분 계수 및 제1 미분 계수에 다음에 산출된 제2 미분 계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1 미분계수가 상기 제2 미분계수보다 크면, 상기 제2 미분 계수에 대응하는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을 상기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표시 패널;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판독하여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의 변화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의 변화 정도에 따라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원전압 제어부는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영역과 상기 비포화 영역의 경계 지점인 포화 지점에 대응하는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한다. 상기 전원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저항; 상기 감지 저항 양단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 전압에 따라 패널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상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제2 전원전압(ELVSS)과 패널 전류(Ivss) 사이의 특성을 나타낸 곡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상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직류-직류 컨버터(40) 및 전원 전압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직류-직류 컨버터(40)로부터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고, 주사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복수의 주사 신호와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signal line)(S1~Sn, D1~Dm), 제1 및 제2 전원선(P1, P2)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선(S1~Sn, D1~Dm)은 복수의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평행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제1 전원선(P1)은 직류-직류 컨버터(40)의 제1 출력단(OUT1)과 표시 패널(10)을 연결한다. 제2 전원선(P2)은 제2 출력단(OUT2)과 표시 패널(10)을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선(P1)은 복수의 화소(PX) 각각까지 연장되어,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을 복수의 화소(PX) 각각에 공급한다. 제2 전원선(P2)은 복수의 화소(PX) 각각까지 연장되어, 제2 출력단(OUT2)을 통해 출력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을 복수의 화소(PX) 각각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선(P2)은 복수의 화소(PX) 각각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어 있어, 표시 패널(10)의 복수의 화소(PX)에 흐르는 전류가 모두 합해진 패널 전류(Ivss)가 제2 전원선(P2)에 흐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화소(PX), 예를 들면 주사선(S1)과 데이터선(D1)에 연결된 화소(PX)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M2)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소스 단자로 제1 전원전압(ELVDD)을 입력 받고, 드레인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전류(IOLED)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흘린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는 주사선(S1)과 연결되어 있고, 소스 단자는 데이터선(D1)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1)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 온 되면 데이터선(D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즉 데이터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 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캐소드 전극으로 제2 전원전압(ELVSS)을 입력받는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가 공급하는 전류(IOLE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M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트랜지스터(M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 중 적어도 하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1), 스위칭 트랜지스터(M2),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화소(PX)는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한 예이며,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구동부(20)는 표시 패널(10)의 복수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주사선(S1~Sn)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표시 패널(1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직류-직류 컨버터(40)는 입력단(IN)으로 입력 전압(Vbat)을 입력받아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을 생성한다. 직류-직류 컨버터(40)는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제2 전원전압(ELVSS)을 제어한다.
전원 전압 제어부(50)는 감지 저항(DR1), 증폭부(5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 피드백 제어부(56) 및 피드백 전압 생성부(58)를 포함한다. 감지 저항(DR1)은 제2 전원선(P2) 상에 위치하며, 감지 저항(DR1)에 제2 전원선(P2)에 흐르는 패널 전류(Ivss)가 흐르므로, 감지 저항(DR1)의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한다. 전원 전압 제어부(50)는 감지 저항(DR1)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패널 전류(Ivss)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감지 저항(DR1)의 양단 전압 차를 감지 전압(VS)이라 한다.
증폭부(52)는 감지 전압(VS)을 증폭하여, 증폭된 감지 전압(VS)(이하, 증폭 전압(AMV)이라 함.)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로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4)는 증폭 전압(AMV)에 따라 패널 전류(Ivss)에 대한 데이터(CRD)(이하, 패널 전류 데이터라 함.)를 출력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제2 전원전압(ELVSS)에 따른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표시 패널(10)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PX)의 구동 트랜지스터(M1)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2 전원전압(ELVSS)을 제어한다. 제2 전원 전압(ELVSS)과 패널 전류(Ivss) 사이의 특성에 따르면, 제2 전원 전압(ELVSS)이 소정 전압 이상이면, 제2 전원 전압(ELVSS)의 변화에 따른 패널 전류(Ivss)의 변화 정도에 따라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화 영역은 비포화 영역에 비해 그 기울기가 완만하다. 제2 전원 전압(ELVSS)과 패널 전류(Ivss) 사이의 특성은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변화 없이 제2 전원 전압(ELVSS)을 변화시킬 때, 패널 전류(Ivss)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알 수 있다. 도 4는 제2 전원 전압과 패널 전류 사이의 특성을 나타낸 곡선으로, 제2 전원 전압(ELVSS)이 포화 전압(Vsat)보다 작은 영역이 포화 영역이다. 도 4의 특성 곡선에서 포화 전압(Vsat)에 대응하는 지점을 포화 지점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부(56)는 풀 화이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가 표시 패널(10)에 인가되는 기간 동안(이하, '테스트 기간'이라 함.) 제2 전원 전압(ELVSS)의 변화에 따라 패널 전류(Ivss)의 변화를 추적하여 도 4에 도시된 포화 지점을 찾고, 해당 포화 지점의 제2 전원 전압(ELVSS)으로 현재 전원 전압을 변경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제2 전원 전압(ELVSS)이 포화 전압(Vsat)보다 더 작은 전압이 될수록 제2 전원 전압(ELVSS)과 제1 전원 전압(ELVDD)간의 전압차가 증가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1)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양단 전압차가 증가하여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발생한다.
덧붙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특성 곡선에 변화가 생기고, 포화 지점 역시 변한다. 본 발명의 피드백 제어부(56)는 제2 전원 전압(ELVSS)과 패널 전류(Ivss)간의 특성을 감지하여 제2 전원 전압(ELVSS)이 포화 전압(Vsat)이 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피드백 제어부(56)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드백 전압 생성부(58)는 피드백 제어부(56)의 출력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하여 직류-직류 컨버터(40)에 인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피드백 제어부(56)는 테스트 기간 동안 제2 전원전압(ELVSS)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시킨다. 여기서, 테스트 기간은 일정한 주기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발생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제2 전원 전압(ELVSS) 및 제2 전원전압(ELVSS)에 따른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저장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도 5에 도시된 소정의 기준 포인트(A)과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를 설정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각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기준 포인트(A)와 가장 멀리 떨어진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교 포인트(이하, 내림 차순) 순으로, 기준 포인트(A) 간의 미분 계수(Δ)를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이와 역순(이하, 오름차순)으로 미분 계수를 순차적으로 산출하며 대응하는 두 미분 계수의 크기를 비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준 포인트(A)는 가장 큰 값의 패널 전류 데이터(CRD)로 설정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결과, 내림 차순에 따라 생성된 미분 계수가 오름 차순에 따라 생성된 미분 계수보다 작아지면, 해당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 포화 지점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1) 간의 미분계수(Δ(A-B1))를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n) 간의 미분계수(Δ(A-Bn))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분계수(Δ(A-Bn))가 미분계수(Δ(A-B1))보다 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2) 간의 미분계수(Δ(A-B2))를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n-1) 간의 미분계수(Δ(A-Bn-1))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분계수(Δ(A-Bn-1))가 미분계수(Δ(A-B2))보다 크면 다음 두 비교 포인트를 비교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는 중에, 예를 들어 미분계수(Δ(A-Bn-x-1))가 미분계수(Δ(A-Bx)) 보다 작으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n-x-1) 사이의 가운데 지점이 포화 지점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n-x-1) 각각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의 중간 값이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는 제2 전원전압(ELVSS)의 마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도 5에서 검출된 두 개의 비교 포인트(Bx, Bn-x-1)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제어부(56)는 검출된 비교 포인트(Bx, Bn-x-1) 사이에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다시 설정하고, 새로 설정된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두 개의 포인트 각각에 대한 미분계수를 산출 및 비교한다. 즉,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를 첫번째 비교 포인트(C1)로 설정하고, 비교 포인트(Bn-x-1)를 마지막 비교 포인트(Cn)로 다시 설정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새로 설정된 복수의 비교 포인트(C1~Cn)를 이용하여 포화 지점을 찾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보다 좀 더 정확하게 포화 지점을 찾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부(56)는 소정의 기준 포인트(A)와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를 설정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제1 비교 포인트간의 미분 계수를 생성하고, 기준 포인트(A)와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제2 비교 포인트간의 미분 계수를 생성하며, 두 미분 계수의 차를 소정의 임계값(α)과 비교한다.제1 비교 포인트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가장 가까운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설정되고, 제2 비교 포인트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제1 비교 포인트에 인접한 비교 포인트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제어부(56)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및 제2 비교 포인트 중 기준 포인트(A)와 더 가까운 제1 비교 포인트와 제1 비교 포인트에 바로 인접한 제2 비교 포인트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제1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에서 기준 포인트(A)와 제2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 계수를 빼서 임계값(α)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미분계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크거나 같으면, 두 비교 포인트는 포화 지점과 무관한 포인트이다. 피드백 제어부(56)는 이와 같은 동작을 기준 포인트(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결과, 미분계수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작으면, 해당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 포화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기준 포인트(A)와 비교되는 두 개의 비교 포인트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만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연산 및 비교를 수행한다. 따라서, 메모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포화 지점을 찾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먼저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 및 비교 포인트(B1, B2)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1) 간의 미분계수(Δ(A-B1))와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2) 간의 미분계수(Δ(A-B2))의 차이를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미분계수의 차이와 임계값(α)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분계수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2, B3)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2) 간의 미분계수(Δ(A-B2))와 기준 포인트(A)와 비교 포인트(B3) 간의 미분계수(Δ(A-B3))의 차를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미분계수의 차와 임계값(α)을 비교한다. 이와 같은 과정를 진행하는 중에, 예를 들어 미분계수(Δ(A-Bx))와 미분계수(Δ(A-Bx+1))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작으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x+1) 사이의 가운데 지점이 포화 지점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x+1) 각각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의 중간 값이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를 설정한다. 도 10에서는 설정된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비교 포인트(B1)가 가장 높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이고, 비교 포인트(Bn)가 가장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인 것으로 도시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가장 높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두 개의 미분계수 차이를 소정의 임계값(α)과 비교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두 개의 미분계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작으면 두 미분 계수의 비교 포인트 중 가운데 위치한 비교 포인트를 포화 지점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1, B2, B3)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 다음, 비교 포인트(B1, B2) 간의 미분계수(Δ(B1-B2))와 비교 포인트(B2, B3) 간의 미분계수(Δ(B2-B3))를 산출한다. 그리고, 두 개의 미분계수의 차이와 임계값(α)를 비교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결과, 미분계수의 차이가 임계값(α)보다 크면 다음 비교 포인트(B3, B4, B5)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비교 포인트(B3, B4) 간의 미분계수(Δ(B3-B4))와 비교 포인트(B4, B5) 간의 미분계수(Δ(B4-B5))를 산출한다. 그리고, 두 개의 미분계수의 차이와 임계값(α)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분계수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크면 다음 비교 포인트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중에, 예를 들어 비교 포인트(Bx-1, Bx) 간의 미분계수(Δ(Bx-1-Bx))와 비교 포인트(Bx, Bx+1) 간의 미분계순(Δ(Bx-Bx+1))의 차이가 임계값(α) 보다 작으면, 피드백 제어부(56)는 3 개의 비교 포인트(Bx-1, Bx, Bx+1) 중 가운데 비교 포인트인 비교 포인트(Bx)를 포화 지점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이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비교 포인트(B1, B2)와 비교 포인트(B2, B3)와 같이 공통된 비교 포인트(B2)를 포함하여 연산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교 포인트(B1, B2)와 비교 포인트(B3, B4)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좀 더 빠른 속도로 포화 지점을 찾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를 설정한다. 도 11에서는 설정된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비교 포인트(B1)가 가장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이고, 비교 포인트(Bn)가 가장 높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인 것으로 도시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B1, B2, B3, … , Bn-1, Bn) 중 가장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높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두 개의 미분계수를 비교한다. 피드백 제어부(56)는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가 높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 보다 크면, 낮은 패널 전류 데이터(CRD)에 해당하는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 포화 지점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포화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1, B2, B3)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 다음,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1, B2) 간의 미분계수(Δ(B2-B1))와 비교 포인트(B2, B3) 간의 미분계수(Δ(B3-B2))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미분계수(Δ(B2-B1))와 미분계수(Δ(B3-B2))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피드백 제어부(56)는 미분계수(Δ(B2-B1))가 미분계수(Δ(B3-B2)) 보다 작으면 다음 비교 포인트(B2, B3, B4)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 및 패널 전류 데이터(CRD)를 추출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2, B3) 간의 미분계수(Δ(B3-B2))와 비교 포인트(B3, B4) 간의 미분계수(Δ(B4-B3))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미분계수(Δ(B3-B2))와 미분계수(Δ(B4-B3))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피드백 제어부(56)는 미분계수(Δ(B3-B2))가 미분계수(Δ(B4-B3)) 보다 작으면 다음 비교 포인트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중에, 예를 들어 비교 포인트(Bx-1, Bx) 간의 미분계수(Δ(Bx-Bx-1))가 비교 포인트(Bx+1, Bx) 간의 미분계수(Δ(Bx+1-Bx)) 보다 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x+1) 사이의 가운데 지점이 포화 지점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피드백 제어부(56)는 비교 포인트(Bx)와 비교 포인트(Bx+1) 각각에 해당하는 제2 전원전압(ELVSS)의 중간 값이 표시 패널(10)에 공급되도록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전원전압(ELVSS)에 따른 패널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화 지점을 검출함으로써 패널의 특성에 대응하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마진 없이 공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표시 패널 및 일단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로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에 변화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의 변화 정도에 따라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저항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패널 전류를 판독하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의 경계 지점인 포화 지점에 대응하는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소정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기준 포인트와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오름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와 대응하는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는 두 개의 제1 비교 포인트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복수의 제1 비교 포인트 보다 큰 값의 패널 전류 및 전원 전압으로 설정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는 두 개의 제1 비교 포인트를 각각 시작 포인트 및 마지막 포인트로 하고, 시작 포인트 및 마지막 포인트 사이에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포인트로부터 오름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와 대응하는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내림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가 상기 오름차순에 따라 산출된 미분계수보다 작아지면, 해당되는 두 개의 제2 비교 포인트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소정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기준 포인트와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상기 기준 포인트와 가장 가까운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비교 포인트 순으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각각과 상기 기준 포인트 간의 미분 계수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미분 계수의 차이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미분계수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해당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을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로 가변 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패널 전류로 정의되는 복수의 비교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교 포인트 중 가장 낮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로부터 가장 높은 패널 전류에 해당하는 비교 포인트 순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비교 포인트 간의 미분계수를 순차적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제1 미분 계수 및 제1 미분 계수에 다음에 산출된 제2 미분 계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1 미분계수가 상기 제2 미분계수보다 크면, 상기 제2 미분 계수에 대응하는 두 비교 포인트 사이의 가운데 지점을 상기 포화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화 지점에 해당하는 전원전압을 상기 포화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7.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표시 패널;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흐르는 패널 전류를 판독하여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전압 제어부;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일단이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의 변화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의 변화 정도에 따라 포화 영역과 비포화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원전압 제어부는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영역과 상기 비포화 영역의 경계 지점인 포화 지점에 대응하는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고,
    상기 패널 전류 판독은 상기 감지 저항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제어부는
    상기 패널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저항;
    상기 감지 저항 양단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 전압에 따라 패널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전원전압에 따른 상기 패널 전류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포화 전압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10126419A 2011-11-30 2011-11-3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132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19A KR20110132545A (ko) 2011-11-30 2011-11-3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19A KR20110132545A (ko) 2011-11-30 2011-11-3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127A Division KR20110024934A (ko) 2009-09-03 2009-09-03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545A true KR20110132545A (ko) 2011-12-08

Family

ID=4550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419A KR20110132545A (ko) 2011-11-30 2011-11-30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2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742B2 (en) 2019-12-06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manager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generating corrected supply volt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742B2 (en) 2019-12-06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manager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generating corrected supply volt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161B1 (ko)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742029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6177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0134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01003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53131B1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137447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1002493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607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7347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7669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voltage setting method thereof
US20120293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KR20120001470A (ko)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424560B (zh) 显示面板中驱动晶体管阈值电压的检测方法及装置
KR20020057538A (ko) 표시 소자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구동 회로
JP2008224864A (ja) 画像表示装置
KR20180078933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016338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2449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0197645B (zh) 像素电路的驱动方法和补偿方法
KR2011013254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319094B2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352148A (ja) アクティブ駆動型発光表示装置および同表示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US20100302286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448545B1 (ko) Oled 표시 장치의 특성 편차에 따른 센싱 데이터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