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62A -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62A
KR20110016362A KR1020090090497A KR20090090497A KR20110016362A KR 20110016362 A KR20110016362 A KR 20110016362A KR 1020090090497 A KR1020090090497 A KR 1020090090497A KR 20090090497 A KR20090090497 A KR 20090090497A KR 20110016362 A KR20110016362 A KR 20110016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operation handle
hole
latch body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742B1 (ko
Inventor
타카노리 소네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오토 로크 기구부의 부품점수를 줄이고, 구조를 간략화하여 장치 전체의 제작 비용을 절감한다.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자물쇠 매설부와 가이드 홈 구멍을 직교시켜 형성하고, 래치체의 상단부에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로크 홈부에 걸고 벗기는 로크 클로부를 형성하고, 래치체의 하단부에 래치체의 스프링 지지부를 형성하고, 자물쇠 유닛의 로터의 후단부에 구동 캠 돌기를 형성하고, 래치체의 중간부의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가로치수를 구동 캠 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에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사면부를 로크 홈부의 전측 위치에 형성한다. 캠 종동 구멍의 하변부를 구동 캠 돌기로 밀고, 로크 클로부를 로크 홈부로부터 이탈시킨다.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구동 캠 돌기의 직경의 치수 차분만큼 로크 클로부가 가이드 홈 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케이스 본체, 조작 핸들, 토글판, 래치체, 로크 클로부, 캠 종동 구멍, 구동 캠 돌기, 캠 사면부

Description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A LOCK HANDLE ASSEMBLY FOR DOORS}
본 발명은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에 몰입시킨 상태에서, 도어가 고정 프레임체에 대해서 시정(施錠)되어 있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를 폐쇄 시정한 후,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의 소정 위치에 압입하는 단일 동작에 의해 조작 핸들이 케이스 본체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로크되는 소위 오토 로크 기능을 가지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는 이미 존재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서는 케이스 본체의 일방의 단부에 래치체와 자물쇠 유닛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래치체는 스프링에 의해 조작 핸들의 선단부를 향하여 전진 가압되고, 걸어맞춤 클로부(claw portion)가 조작 핸들의 걸어맞춤 받이부에 걸고 벗겨지는 것이며, 상기 자물쇠 유닛은 로터가 해정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래치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입 가능한 한편 로터가 시정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압입 불가능하며, 압입시에 상기 걸어맞춤 클로부와 상기 걸어맞춤 받이부를 걸어맞추는 것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체를 후퇴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체에 설치한 홈 구멍의 기단부측 내벽면에는 캠 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 유닛의 후단부에는 상기 홈 구멍에 들어가도록 조작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체의 상기 캠 사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동 사면이 상기 조작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터의 후단부를 한 쌍의 긴 변과 이들의 양단에 교차하는 한 쌍의 짧은 변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긴 변의 길이를 상기 래치체의 상기 홈 구멍의 개구폭보다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짧은 변의 길이를 상기 홈 구멍의 개구폭 이하로 설정하며, 상기 자물쇠 유닛에 대해서 상기 로터가 시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긴 변이 상기 홈 구멍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자물쇠 유닛에 대해서 상기 로터가 해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긴 변이 상기 홈 구멍에 정렬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 종래예의 오토 로크 기능을 가지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서는 자물쇠 유닛이 케이스 본체측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기기의 도어 전면에서의 점유 면적이 쓸데없이 확대되어 버린다는 난점이 있다.
또 자물쇠 유닛이 래치체 조작용의 누름 버튼을 구성하고 있는 종래예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서는 오토 로크 기구부의 부품점수가 많아 구조가 간략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늘어나는 것이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288356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오토 로크 기구부를 조작 핸들 그 자체의 하단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오토 로크 기구부의 부품점수를 줄이고, 간략 구조로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오토 로크 기구의 해제와 조작 핸들의 인출이라는 일련의 조작을, 자물쇠 유닛의 텀블러 및 열쇠산에 부담을 주지 않고, 한쪽 손의 손가락끝으로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는 조작상의 편리성을 구비한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특징은 도어에 고착되는 케이스 본체의 세로로 긴 정면 오목부에 조작 핸들이 수용되고, 케이스 본체의 상단 배면측의 베어링 통부에 시정축이 수용되고, 당해 시정축의 전단 보스부와 상기 조작 핸들의 머리부가 수평 피봇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작 핸들이 당해 수평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정면 오목부로부터 인출 회전되고, 당해 인출 회전 후에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시정축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정축에 고착한 토글판이 고정 프레임체측의 받이금속부로부터 이탈하여, 당해 고정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시정을 해제하 도록 한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자물쇠 매설부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자물쇠 매설부의 후단부에 직교시켜 가이드 홈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가이드 홈 구멍에 판형상의 래치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당해 래치체의 상단부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로크 홈부에 걸고 벗기는 로크 클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하단부에 래치체의 밀어 올림 가압용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중간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캠 종동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자물쇠 매설부에 자물쇠 유닛을 매설 고정하고, 당해 자물쇠 유닛의 로터의 후단부에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 형성한 구동 캠 돌기를 래치체의 상기 캠 종동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가로치수의 어느 쪽도 상기 구동 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에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사면부를 상기 로크 홈부의 전측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로터의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로 상기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 종동 구멍의 하변부를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측면부로 미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치체를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 후퇴시키고,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를 케이스 본체의 상기 로크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열쇠에 의한 상기 로터의 회전을 멈추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직경의 치수 차분만큼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상기 정면 오목부에 밀어넣을 때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가 케이스 본체측의 상기 캠 사면부에 밀림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체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에 압입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 1의 발명의 상기 특징에 더하여 상기 조작 핸들의 세로방향 치수를 케이스 본체의 상기 정면 오목부의 세로방향 치수보다 짧게 설정하고, 양자의 세로방향 치수의 치수 차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의 몰입 상태에서 상기 정면 오목부의 하단부에 손가락끝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당해 손가락끝 삽입부의 상변을 구획하는 손끝 걸이부를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도어가 폐쇄되어 토글판이 받이금속부에 걸어맞춰져 있는 도어 시정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은 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에 압입되어 있고, 래치체의 로크 클로부가 케이스 본체측의 로크 홈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조작 핸들은 몰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래치체와 로크 홈을 걸어맞춘 상태는 조작 핸들의 가이드 홈 구멍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로터의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를 돌려, 캠 종동 구멍의 하변부를 구동 캠 돌기의 측면부로 미는 것에 의해 래치체가 가이드 홈 구멍 내로 되돌려지고, 래치체의 로크 클로부가 케이스 본체의 로크 홈부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케이스 본체에 대한 조작 핸들의 로크가 해제된다.
열쇠를 당초의 회전 위치에 유지한 채, 수평 피봇축을 중심으로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정면측으로 비스듬히 인출한다. 그리고 열쇠를 로터의 열쇠구멍으로부터 빼내면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래치체가 밀려 올라가 로크 클로부가 가이드 홈 구멍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후, 조작 핸들을 시정축 둘레에 회전시킴으로써 토글판과 받이금속부의 걸어맞춤이 풀려, 고정 프레임체에 대한 도어의 시정이 해제된다.
도어를 개방하여 필요한 작업을 종료한 후, 도어를 다시 폐쇄하고, 조작 핸들을 시정축 둘레로 역회전시켜, 토글판을 받이금속부에 걸어맞추므로써 도어가 고정 프레임체에 대해서 다시 시정된다.
이 후, 수평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에 압입 회전시키면 압입 회전의 종단 영역에서 래치체의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가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캠 사면부에 맞닿는다. 맞닿은 후, 추가로 조작 핸들이 압입되면 래치체가 캠 사면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 로크 클로부가 가이드 홈 구멍에 들어간다. 조작 핸들이 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에 제대로 압입되어 가이드 홈 구멍과 로크 홈부가 대면한 순간에, 래치체는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고, 로크 클로부가 로크 홈부에 다시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는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에 압입한다는 단일 동작에 의해 조작 핸들이 케이스 본체에 로크된다는 오토 로크 기능을 가지는 것인데, 이 오토 로크 기구부는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매 설된 자물쇠 유닛과, 조작 핸들의 가이드 홈 구멍에 삽입된 판형상의 래치체와,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로크 홈부와, 가이드 홈 구멍의 바닥부와 래치체의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 부재와, 자물쇠 유닛의 로터의 후단부에 편심시켜 형성된 구동 캠 돌기와,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캠 사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구동 캠 돌기가 삽입되는 래치체의 중간부의 종동 캠 구멍을 세로치수와 가로치수의 어느 쪽이나 구동 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오토 로크 기구부의 부품점수는 극한까지 절감되어 간략화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오토 로크 기구부의 주요부는 조작 핸들 그 자체의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의 길이를 단축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의 상기 효과에 더해, 조작 핸들의 세로방향 치수를 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의 세로방향 치수보다 짧게 설정하고, 양자의 세로방향 치수의 치수 차에 의해 조작 핸들의 몰입 상태에서 정면 오목부의 하단부에 손가락끝 삽입부를 형성하고,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손가락끝 삽입부의 상변을 구획하는 손가락끝 걸이부가 자물쇠 유닛 매설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쇠를 잡은 손가락과 동일한 손의 다른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에 삽입하고, 그 손가락끝을 상기 손가락끝 걸이부에 거는 것에 의해 조작 핸들을 한 쪽의 손만에 의해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는 조작상의 편리성이 있다.
자물쇠 유닛 매설부에 근접하여 조작 핸들에 손가락끝 걸이부가 없을 때에는 열쇠를 로크 해제 위치로 돌린 채 앞쪽으로 당기고, 자물쇠 유닛의 로터에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 텀블러나 핀 텀블러와 열쇠산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 핸들을 인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열쇠의 사용법은 상기 텀블러와 열쇠산의 손잡이부에 무리한 부담을 주어 그들의 마모 손상을 초래하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열쇠를 로크 해제 위치에 유지한 채, 자물쇠 유닛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손가락끝 걸이부에 손가락끝을 걸고, 조작 핸들을 인출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텀블러의 열쇠산과의 접촉부나 열쇠산 자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기기 격납 박스 본체 등의 고정 프레임체(1)의 정면 개구부(2)를 개폐하는 도어(3)는 도 5의 우측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한 힌지에 의해 고정 프레임체(1)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4)의 고착용 개구(5)는 도어(3)의 좌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어(3)의 정면측으로부터 고착용 개구(5)에 끼워맞춰진 케이스 본체(4)는 외주 플랜지부(6)가 도어(3)의 정면에 맞닿아 있다. 케이스 본체(4)의 배면측으로부터는 단면 U자형의 와셔체(7)가 씌워지고, 와셔체(7)의 받이구멍(8)에 통과시킨 2개의 태핑 비스(46)를 케이스 본체(4)의 배면벽부(9)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와셔체(7)가 패킹(10)을 사이에 두고 도어(3)의 배면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3)에 고착된 케이스 본체(4)의 세로로 긴 정면 오목부(11)에는 조작 핸들(12)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케이스 본체(4)의 상단 배면 측의 베어링 통부(13)에는 시정축(14)이 수용되어 있다. 시정축(14)의 외주 홈부(16)에는 O-링(47)이 수용되어 있다. 시정축(14)의 전단 보스부(15)에는 조작 핸들(12)의 머리부가 수평 피봇축(17)에 의해 연결되고, 조작 핸들(12)은 수평 피봇축(17)을 중심으로 정면 오목부(11)로부터 인출 회전된다. 케이스 본체(4)로부터 비스듬히 돌출된 조작 핸들(12)을 시정축(14)의 둘레에 회전시킴으로써 토글판(18)이 고정 프레임체측의 받이금속부(19)로부터 이탈하고, 고정 프레임체(1)에 대한 도어(3)의 시정이 해제된다.
토글판(18)은 시정축(14)의 후단 각축부(20)에 끼워지고, 회전 각도 규제반(21)과 와셔(22)를 사이에 두고 볼트(23)에 의해 시정축(14)에 고착되어 있다. 조작 핸들(12)의 머리부(17)의 배면에는 서로 역경사의 사면(24, 25)이 형성되어 있고, 사면(24, 25)을 종단하는 분할 홈부(26)에 시정축(14)의 전단 보스부(15)가 삽입되어 있다. 전단 보스부(15)의 근원 부분에는 스프링판(27)이 끼워맞춰져 있고, 스프링판(27)은 조작 핸들(12)의 머리부(17)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머리부(17)의 상기 2개의 사면(24, 25)의 회합 능선은 점(P)에서 스프링판(27)의 전면에 압접되어 있고, 조작 핸들(12)이 케이스 본체(4)의 정면 오목부(11)에 제대로 몰입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압접점(P)은 시정축(14)의 중심 축선(L)의 상위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판(27)의 탄성 반발력은 도 7에서 수평 피봇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고, 조작 핸들(12)은 당해 몰입 상태로 견지(堅持)되어 있다.
조작 핸들(12)의 세로방향 치수는 케이스 본체(4)의 정면 오목부(11)의 세로 방향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이 양자간의 세로방향 치수 차에 의해 조작 핸들(12)의 몰입 상태에서 정면 오목부(11)의 하단부에 손가락끝 삽입부(28)가 형성된다. 조작 핸들(12)의 하단부에는 손가락끝 삽입부(28)의 상변을 구획하는 손가락끝 걸이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12)의 하단부에는 자물쇠 매설부(30)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자물쇠 매설부(30)의 후단부에 직교시켜 가이드 홈 구멍(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의 래치체(32)는 가이드 홈 구멍(3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래치체(32)의 상단부에는 케이스 본체(1)의 배면벽부(9)에 설치한 로크 홈부(33)에 걸고 벗기는 로크 클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체(32)의 하단부에는 래치체(32)를 밀어 올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35)의 스프링 지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체(32) 중간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캠 종동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자물쇠 매설부(30)에 매설 고정한 자물쇠 유닛(38)은 공지된 실린더 자물쇠 타입의 것이며, 자물쇠 유닛(38)의 로터(39)의 후단부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 구동 캠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캠 돌기(40)가 삽입되는 래치체(32)의 캠 종동 구멍(37)의 세로치수와 가로치수는 모두 구동 캠 돌기(40)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4)의 배면벽부(9)에는 래치체(32)의 로크 클로부(34)의 배면부(41)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사면부(42)가 로크 홈부(33) 전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로터(39)의 열쇠구멍(43)에 삽입한 열쇠(44)에 의해 로터(39)를 소정 방향으 로 소정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140도) 회전시키면, 캠 종동 구멍(37)의 하변부(49)가 구동 캠 돌기(40)의 측면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래치체(32)가 가이드 홈 구멍(31) 내로 후퇴되고, 래치체(32)의 로크 클로부(34)가 케이스 본체(4)의 로크 홈부(33)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 본체(4)에 대한 조작 핸들(12)의 로크를 해제한 후, 열쇠(44)를 잡고 있는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이외의 동일한 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약손가락(45)을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28)에 삽입하고, 그 손가락끝을 상기 손가락끝 걸이부(29)에 걸어 조작 핸들(12)을 케이스 본체(4)로부터 인출 회전시킨다. 조작 핸들(12)의 머리부(17)의 2개의 사면(24, 25)의 회합 능선과 스프링판(27)의 압접점(P)이 시정축(14)의 중심 축선(L)을 하측으로 넘은 순간에 스프링판(27)의 탄성 반발력의 작용 방향은 반전하고, 조작 핸들(12)은 스프링판(27)의 조력을 받아 케이스 본체(4)로부터 돌출 회전된다.
열쇠(44)의 회전 조작과 조작 핸들(12)의 인출 조작을 동일한 한쪽 손의 손가락에 의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상의 편리성이 있다.
열쇠(44)에 의한 로터(39)의 회전을 멈추었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35)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캠 종동 구멍(37)의 세로치수와 구동 캠 돌기(40)의 직경의 치수 차분만큼 래치체(32)의 로크 클로부(34)가 가이드 홈 구멍(31)으로부터 상방 돌출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조작 핸들(12)은 비스듬히 돌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로크 클로부(34)와 가이드 홈 구멍(31)이 예기치 않게 다시 걸어맞춰지는 오작동은 일어날 수 없다.
도어(3)를 개방하여 필요한 작업을 종료한 후, 도어(3)를 다시 폐쇄하고, 조작 핸들(12)을 시정축(14) 둘레로 역회전시켜, 토글판(18)을 받이금속부(19)에 걸어맞춤으로써 도어(3)가 고정 프레임체(1)에 대해서 다시 시정된다.
이 후, 수평 피봇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 핸들(12)을 케이스 본체(4)의 정면 오목부(11)에 압입 회전시키면 압입 회전의 종단 영역에서 래치체(31)의 로크 클로부(34)의 배면부(41)가 케이스 본체(4)의 배면벽부(9)의 캠 사면부(42)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후, 추가로 조작 핸들(12)이 압입되면 래치체(32)가 캠 사면부(42)에 의해 밀려 내려가고, 로크 클로부(34)가 가이드 홈 구멍(31)에 들어간다. 조작 핸들(12)이 케이스 본체(4)의 정면 오목부(11)에 제대로 압입되어, 로크 홈부(33)와 가이드 홈 구멍(31)이 상하로 대면한 순간에, 래치체(32)는 스프링 부재(35)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고, 로크 클로부(34)가 로크 홈부(33)에 다시 걸어맞춰진다. 즉, 조작 핸들(12)과 케이스 본체(4)의 로크가 자동적으로 성립한다.
래치체(32)의 로크 클로부(34)의 배면부(41)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물쇠 유닛(38)으로서 로터(39)에 디스크 텀블러(48)를 장전한 공지된 디스크 텀블러 방식의 실린더 자물쇠를 사용했지만, 자물쇠 유닛으로서는 공지된 핀 텀블러 방식의 실린더 자물쇠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회전 조작형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서의 오토 로크 기구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고정 프레임체
2…고정 프레임체의 정면 개구부
3…도어
4…케이스 본체
5…케이스 본체의 고착용 개구
6…케이스 본체의 외주 플랜지부
7…와셔체
8…와셔체의 받이구멍
9…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
10…패킹
11…케이스 본체의 정면 오목부
12…조작 핸들
13…케이스 본체의 베어링 통부
14…시정축
15…시정축의 전단 보스부
16…시정축의 외주 홈부
17…수평 피봇축
18…토글판
19…고정 프레임체측의 받이금속부
20…시정축의 후단 각축부
21…회전 각도 규제반
22…와셔
23…볼트
24…조작 핸들의 머리부의 사면
25…조작 핸들의 머리부의 사면
P…사면끼리의 회합 능선
L…시정축의 중심 축선
26…조작 핸들의 분할 홈부
27…스프링판
28…정면 오목부의 손가락끝 삽입부
29…조작 핸들의 손가락끝 걸이부
30…조작 핸들의 자물쇠 매설부
31…조작 핸들의 가이드 홈 구멍
32…래치체
33…케이스 본체의 로크 홈부
34…래치체의 로크 클로부
35…스프링 부재
36…래치체의 스프링 지지부
37…래치체의 캠 종동 구멍
38…자물쇠 유닛
39…자물쇠 유닛의 로터
40…구동 캠 돌기
41…로크 클로부의 배면부
42…케이스 본체측의 캠 사면부
43…로터의 열쇠구멍
44…열쇠
45…약손가락
46…태핑 비스
47…O-링
48…자물쇠 유닛의 디스크 텀블러

Claims (2)

  1. 도어에 고착되는 케이스 본체의 세로로 긴 정면 오목부에 조작 핸들이 수용되고, 케이스 본체의 상단 배면측의 베어링 통부에 시정축이 수용되고, 당해 시정축의 전단 보스부와 상기 조작 핸들의 머리부가 수평 피봇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작 핸들이 당해 수평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정면 오목부로부터 인출 회전되고, 당해 인출 회전 후에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시정축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정축에 고착한 토글판이 고정 프레임체측의 받이금속부로부터 이탈하여, 당해 고정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시정을 해제하도록 한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자물쇠 매설부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자물쇠 매설부의 후단부에 직교시켜 가이드 홈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가이드 홈 구멍에 판형상의 래치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당해 래치체의 상단부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로크 홈부에 걸고 벗기는 로크 클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하단부에 래치체의 밀어 올림 가압용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중간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캠 종동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자물쇠 매설부에 자물쇠 유닛을 매설 고정하고, 당해 자물쇠 유닛의 로터의 후단부에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 형성한 구동 캠 돌기를 래치체의 상기 캠 종동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가로치수의 어느 쪽도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에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사면부를 상기 로크 홈부의 전측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로터의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로 상기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 종동 구멍의 하변부를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측면부로 미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치체를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 후퇴시키고,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를 케이스 본체의 상기 로크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열쇠에 의한 상기 로터의 회전을 멈추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직경의 치수 차분만큼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상기 정면 오목부에 밀어넣을 때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가 케이스 본체측의 상기 캠 사면부에 밀림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체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에 압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2. 도어에 고착되는 케이스 본체의 세로로 긴 정면 오목부에 조작 핸들이 수용되고, 케이스 본체의 상단 배면측의 베어링 통부에 시정축이 수용되고, 당해 시정축의 전단 보스부와 상기 조작 핸들의 머리부가 수평 피봇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작 핸들이 당해 수평 피봇축을 중심으로 상기 정면 오목부로부터 인출 회전되고, 당해 인출 회전 후에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시정축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정축에 고착한 토글판이 고정 프레임체측의 받이금속부로부터 이탈하여, 당해 고정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시정을 해제하도록 한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세로방향 치수를 케이스 본체의 상기 정면 오목부의 세로방향 치수보다 짧게 설정하고, 양자의 세로방향 치수의 치수 차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의 몰입 상태에서 상기 정면 오목부의 하단부에 손가락끝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당해 손가락끝 삽입부의 상변을 구획하는 손가락끝 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핸들의 하단부에 자물쇠 매설부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자물쇠 매설부의 후단부에 직교시켜 가이드 홈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고, 당해 가이드 홈 구멍에 판형상의 래치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당해 래치체의 상단부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의 로크 홈부에 걸고 벗기는 로크 클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하단부에 래치체의 밀어 올림 가압용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체의 중간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캠 종동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자물쇠 매설부에 자물쇠 유닛을 매설 고정하고, 당해 자물쇠 유닛의 로터의 후단부에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 형성한 구동 캠 돌기를 래치체의 상기 캠 종동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가로치수의 어느 쪽도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벽부에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사면부를 상기 로크 홈부의 전측 위치에 형성 하고,
    상기 로터의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로 상기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 종동 구멍의 하변부를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측면부로 미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치체를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 후퇴시키고,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를 케이스 본체의 상기 로크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열쇠에 의한 상기 로터의 회전을 멈추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의해 상기 캠 종동 구멍의 세로치수와 상기 구동 캠 돌기의 직경의 치수 차분만큼 래치체의 상기 로크 클로부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을 케이스 본체의 상기 정면 오목부에 밀어넣을 때 상기 로크 클로부의 배면부가 케이스 본체측의 상기 캠 사면부에 밀림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밀어 올림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체가 상기 가이드 홈 구멍에 압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KR1020090090497A 2009-08-10 2009-09-24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KR101145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5368A JP4825287B2 (ja) 2009-08-10 2009-08-10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JP-P-2009-185368 2009-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62A true KR20110016362A (ko) 2011-02-17
KR101145742B1 KR101145742B1 (ko) 2012-05-16

Family

ID=4376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97A KR101145742B1 (ko) 2009-08-10 2009-09-24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25287B2 (ko)
KR (1) KR101145742B1 (ko)
CN (1) CN101994419B (ko)
HK (1) HK1154062A1 (ko)
TW (1) TWI411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960A (zh) * 2012-12-04 2013-03-27 山东国强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推拉窗用隐形执手
JP2014234650A (ja) * 2013-06-04 2014-12-1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JP6479561B2 (ja) * 2014-11-04 2019-03-0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用帯電防止金具
JP6587836B2 (ja) * 2015-06-09 2019-10-0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南京錠施錠式平面ハンドル
KR101712087B1 (ko) *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JP2019085804A (ja) * 2017-11-09 2019-06-0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オートロック機能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
JP7025217B2 (ja) * 2018-01-15 2022-02-24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オートロック機能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
SE543130C2 (en) 2018-04-22 2020-10-13 Zenrobotics Oy A waste sorting robot gripper
SE544741C2 (en) 2018-05-11 2022-11-01 Genie Ind Bv Waste Sorting Gantry Robot and associated method
CN111485763B (zh) * 2020-04-26 2021-02-05 当涂县科辉商贸有限公司 一种锁具用旋转式限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853B2 (ja) * 1988-12-14 1994-05-2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640626B2 (ja) * 1994-08-19 1997-08-1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165901A (zh) * 1996-04-15 1997-11-26 泷源制造株式会社 拉出回转式门用锁手柄装置
JP2969118B1 (ja) * 1998-12-21 1999-11-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969119B1 (ja) * 1998-12-22 1999-11-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1003607A (ja) * 1999-06-22 2001-01-09 World Rokku Kk 平面ハンドル
JP3515083B2 (ja) * 2001-04-23 2004-04-0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TW550329B (en) * 2002-01-21 2003-09-01 Takigen Mfg Co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of dual lock type
JP3750940B2 (ja) * 2002-11-06 2006-03-0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
CN1590677B (zh) * 2003-04-25 2010-05-26 思嘎茨讷工业株式会社 平面手柄装置
TWM295676U (en) * 2006-03-16 2006-08-11 Jung-Mine Yu Improved structure of lock for lever latch
JP4100699B2 (ja) * 2006-07-03 2008-06-1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のオートロック転換用組立部品
JP4127712B2 (ja) * 2006-07-06 2008-07-3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5850A (en) 2011-02-16
JP2011038280A (ja) 2011-02-24
CN101994419A (zh) 2011-03-30
HK1154062A1 (zh) 2012-04-20
TWI411721B (zh) 2013-10-11
JP4825287B2 (ja) 2011-11-30
CN101994419B (zh) 2015-11-25
KR101145742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742B1 (ko)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4616866B2 (ja) 商品展示ケースの開閉施錠装置及び解錠装置
JP5789438B2 (ja) ラッチ装置
CN110541627B (zh) 按压式门锁以及具有其的洗衣机
KR10159311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잠금장치
CN109798291B (zh) 一种快速拆装插销
US20150191108A1 (en) Infant care device
KR20130065591A (ko) 슬라이드 레일
CN201317003Y (zh) 一种刀片储藏式美工刀
CN211691869U (zh) 一种锁芯
JP4023689B2 (ja) 商品展示ケースの開閉施錠装置及びその解錠装置
JP3062931U (ja) 開閉用のハンドル装置
CN114855425B (zh) 一种锁定结构、门锁及具有其的洗衣机
JP5943600B2 (ja) ポジショニング機構、及びポジショニング方法
JPH0536944Y2 (ko)
CN110670954A (zh) 一种锁芯
JP3348048B2 (ja)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2663236Y (zh) 汽车自动排档杆按键锁
CN114855424A (zh) 一种解锁结构、门锁以及具有该门锁的洗衣机
JPH0643400Y2 (ja) 押下げ解錠型平面ハンドル装置
JP3087409U (ja) ハンドル装置
JP2500035Y2 (ja) 引戸用錠装置
JP3084273U (ja) 横スライド型ドア用オートクローザ
JPH0532633U (ja) 防振型ロツ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