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814A -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814A
KR20110015814A KR1020090073221A KR20090073221A KR20110015814A KR 20110015814 A KR20110015814 A KR 20110015814A KR 1020090073221 A KR1020090073221 A KR 1020090073221A KR 20090073221 A KR20090073221 A KR 20090073221A KR 20110015814 A KR20110015814 A KR 2011001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earing member
case
bearing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910B1 (ko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09007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910B1/ko
Priority to PCT/KR2009/005895 priority patent/WO2011019108A1/ko
Priority to EP09848294.6A priority patent/EP2465713B1/en
Priority to US13/390,050 priority patent/US20120141192A1/en
Publication of KR2011001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910B1/ko
Priority to US14/795,758 priority patent/US201503084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1,2베어링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피벗 가능한 볼과, 상기 볼의 일측에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볼 조인트, 조향 장치, 서스펜션 장치

Description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BALL JOINT AND METHI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조인트는 차륜현가장치 및 차축을 차체에 연결을 위한 주요 구성 부품으로서 자동차 차대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각 바퀴는 차륜 지지 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차륜 지지 장치는 연결봉(connecting rod)을 거쳐 차체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봉은 흔히 상기 차륜 지지 장치 쪽의 단부들에 볼조인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차륜 지지 장치에서 연결봉의 선회 운동점을 이룬다. 또한 상기 볼조인트들은 차축부분의 연결봉 및 회전 지점 등에도 사용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로, 종래의 볼 조인트의 구조를 설명한다.
종래의 볼 조인트(10)는 케이스(1), 베어링(2), 캡(3), 볼 스터드(4), 그리고 더스트 커버(5)를 포함한다.
케이스(1)는 볼 베어링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하단에는 변형부(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2)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되며,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진다. 상기 베어링(2)은 그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볼 스터드(4)의 볼이 삽입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캡(3)은 상기 베어링(2)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의 하단부를 폐쇄한다. 즉, 베어링(2)을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캡(3)으로 상기 케이스(1)의 하단부를 막는다. 이 때, 상기 케이스(1)의 변형부(8)는 캡(3)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있으며, 캡(3)을 케이스(1)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변형부(8)를 캡(3)을 향하여 코킹한다.
볼 스터드(4)는 그 일단에 상기 베어링(2)의 공간에 삽입되어 피벗되는 볼(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나사산(7)이 형성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5)는 상기 베어링(2)과 볼(9)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고무 등의 탄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볼 스터드(4)에 끼워져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더스트 커버(5)는 그 상단 및 하단을 고정해주는 고정부재(6)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볼 조인트는 주물로 금속 재질의 케이스를 제작하고 그 표면을 연마하여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이에 따라 볼 조인트의 중량 및 제조 원가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차량에는 통상적으로 수개에서 수십개의 볼 조 인트가 사용되므로 하나의 볼 조인트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면 차량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차량의 연비를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볼 스터드(4)의 볼(9)을 베어링(2)에 압입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베어링(2)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더 나아가, 케이스(1)의 변형부(8)를 캡(3)쪽으로 코킹함으로써 볼 조인트(10)의 조립을 마무리하게 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코킹 과정에서 캡(3)과 베어링(2)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와 베어링부재에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1,2베어링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피벗 가능한 볼과, 상기 볼의 일측에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 드;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2베어링 중 하나에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베어링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단차부에 대응하며 외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단차부가 밀착됨으로써 인서트 몰딩 시 용융 수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인서트 몰딩 시 시트부재와 베어링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2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인서트 몰딩 시 시트부재와 케이스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널링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는 상기 베어링부재와 상기 볼 사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볼 스터드의 볼을 감싸도록 베어링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부재가 장착된 볼 스터드를 케이스 내부에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상기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재를 장착하는 단계는 상단에 제1단차부가 형성된 제1베어링을 볼 스터드의 볼의 하단부에 장착하는 단계; 그리고 하단에 상기 제1단차부에 대응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 제2베어링을 상부로부터 볼에 끼워 넣어 제1,2단차부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서트 몰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트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2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더스트 커버를 상기 볼 스터드의 상단으로부터 밀어 넣은 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케이스와 베어링부재에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별개로 제조된 제1,2베어링을 볼에 장착하기 때문에, 볼 스터드의 볼을 베어링부재에 압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베어링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할 때, 베어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2지지부가 함께 형성되도록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코킹 공정이 생략되고 베어링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풀 아웃(pull out)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력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또는 로워암 등 차륜현가장치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장치에 적용된다.
여기서, 차륜현가장치 및 조향장치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100)는 볼 스터드(110), 케이스(140), 베어링부재(120), 시트부재(130), 그리고 더스트 커버(150)를 포함한다.
볼 스터드(110)는 그 하단에 볼(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로드(1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114)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11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은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혹은 로어암의 브라켓에 결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112)은 구 형태이다.
케이스(140)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볼 조인트(10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프레스(press) 가공 또는 인발(drawing)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안착부(142)를 형성한다. 상기 볼 조인트(100)가 차륜현가장치 또는 조향장치에 장착될 때 각 장치의 부재들은 상기 안착부(142)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0) 외주면 상단부에는 스냅링 장착홈(14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142)에 안착된 각 장치의 부재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냅링 장착홈(144)에 스냅링(도시하지 않음)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스냅링 대신 상기 케이스(140)가 각 장치의 부재들에 압입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40)의 내주면은 널링(knurling)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널리 가공된 케이스의 내주면은 시트부재(130)의 인서트 몰딩 시 케이스(140)와 시트부재(13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은 케이스(140)와 시트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120)는 제1,2베어링(122, 124)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공간은 상기 볼(112)의 크기와 유사한 구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볼 스터드(110)의 볼(112)은 상기 베어링부재(120)의 공간에 피벗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볼(112)의 외표면과 상기 베어링(120)의 내표면은 상호 회전이 원활해야 하므로 별도의 윤활 유가 도유될 수 있도록 유로(미도시) 또는 오일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어링(122)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혀있는 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베어링(124)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구된 환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베어링(122)의 상단에는 그 내주면이 축방향(여기에서는 볼 스터드의 축(또는 로드)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측으로 돌출된 제1단차부(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베어링(122)의 외주면에는 제1요철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베어링(124)의 하단에는 그 외주면이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단차부(126)에 대응하는 제2단차부(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베어링(124)의 외주면에는 제2요철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베어링(122, 124)의 결합 시, 상기 제1단차부(126)는 상기 제2단차부(128)에 밀착됨으로써 용융된 수지가 베어링부재(12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2요철부(123, 125)는 상기 시트부재(130)의 인서트 몰딩 시 용융된 수지가 요부(凹部)에 삽입되어 응고됨으로써 시트부재(130)와 상기 베어링부재(1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별개로 제작된 제1,2베어링(122, 124)을 결합함으로써 베어링부재(120)를 형성하면, 볼 스터드(110)의 볼(112)을 베어링부재(120)의 내부 공간에 압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베어링부재(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볼(11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제1베어링(122)을 볼(112)에 장착하고, 제2베어링(122)을 상부로부터 상기 볼(112)에 끼워 넣어 제1,2단차부(123, 125)를 밀착시킴으로써 볼 스터드(110)와 베어링부재(120)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시트부재(130)는 볼 조인트(100)의 중량을 줄이고 그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용융된 합성수지(이하, '용융 수지'라 한다.)를 상기 케이스(140)와 베어링부재(120)에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케이스(140)와 시트부재(130)를 동일한 금속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볼 조인트(100)의 무게가 많이 나갔었다. 그러나, 케이스(140)를 얇게 형성하고 케이스(140)와 베어링부재(120) 사이를 합성수지 재질인 시트부재(130)로서 결합함으로써 볼 조인트(100)의 중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내주면이 널링 가공된 케이스(140)와 외주면에 제1,2요철부(123, 125)가 형성된 베어링부재(120)에 시트부재(130)를 인서트 몰딩하기 때문에 시트부재(130)와 케이스(140) 및 베어링부재(120) 사이의 결합력이 강하고, 이에 따라 볼 조인트(120)의 풀 아웃(pull out) 강도(베어링부재가 케이스로부터 이탈될 때까지 견딜 수 있는 축방향의 힘)가 향상된다.
상기 시트부재(130)는 제1,2지지부(132, 136)와 숄더(134)를 포함한다. 상기제1,2지지부(132, 136)와 숄더(134)는 시트부재(130)의 인서트 몰딩 시 함께 형성된다. 따라서, 볼 조인트(100)의 제조 과정이 단순화되고 제작 원가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시트부재(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나, 이러한 시트부재(130)의 재질은 베어링부재(12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지지부(132)는 상기 시트부재(130)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어링부재(120)가 시트부재(13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지지부(136)는 상기 시트부재(130)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어링부재(120)가 시트부재(130)로부터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베어링부재가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을 베어링부재에 하단에 배치하고 케이스의 하단부를 캡쪽으로 코킹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어링부재와 캡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36)가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시트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캡이 필요하지 않으며 케이스의 코킹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해진다.
숄더(134)는 상기 시트부재(13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숄더(134)는 상기 안착부(142)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스트 커버(150)는 상기 베어링부재(120)와 상기 볼(112) 사이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150)의 하단은 오링(152)에 의하여 상기 시트부재(130)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정되고 그 상단 내부에는 고정편(154)이 삽입되어 상기 볼 스터드(110)의 로드(114)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링이나 클립 등의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더스트 커버(15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150)는 고무 등의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의 제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 원통 형상의 케이스(140)를 준비한다(S210). 상기 케이스(140)는 금속 재질이며, 프레스 가공 또는 인발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0)의 내주면은 널링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볼 스터드(110)의 볼(112)을 감싸도록 제1,2베어링(122, 124)을 상기 볼(112)에 장착한다(S22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11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제1베어링(122)을 볼(112)에 장착하고, 제2베어링(122)을 상부로부터 상기 볼(112)에 끼워 넣어 제1,2단차부(123, 125)를 밀착시킴으로써 볼 스터드(110)와 베어링부재(120)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베어링(122, 124)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2요철부(123, 125)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 미리 제작된 금형에 상기 케이스(140)를 삽입하고, 상기 제1,2베어링(122, 124)이 장착된 볼 스터드(110)를 상기 케이스(140) 내부에 일정 간격(즉, 실링부재(130)가 채워질 간격)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인서트 몰딩 준비를 완료한다(S230).
상기와 같이 인서트 몰딩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금형 속으로 용융된 합성 수지(용융 수지)를 부어 상기 합성 수지가 상기 베어링부재(120)와 케이스(140)를 결합시키도록 시트부재(130)를 인서트 몰딩한다(S240). 이 때, 용융 수지는 널링 가공된 케이스(140)의 내주면과 제1,2요철부(123, 125)의 요부에 충분히 스며든 후 응고되므로 시트부재(130)와 케이스(140) 및 베어링부재(120)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풀 아웃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부재(120)가 제1,2베어링(122, 124)이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용융 수지가 베어링부재(120)를 통과하여 볼 스터드(110)의 볼(112)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볼 조인트(100)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베어링(122, 124)에는 각각 제1,2단차부(126, 128)를 형성하고, 이 제1,2단차부(126, 128)가 밀착되어 제1,2베어링(122, 124)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 수지가 볼 스터드(110)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더스트 커버(150)를 볼 스터드(110)의 로드(114)로부터 볼(112)쪽으로 밀어 넣은 후, 더스트 커버(150)의 하단을 오링(152)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재(130)의 상단에 고정함으로써 볼 조인트(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 대, 더스트 커버(150)의 상단 내부에는 고정편(154)이 삽입되어 상기 볼 스터드(110)의 로드(114)에 압입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더스트 커버(150)의 상단도 클립이나 링과 같은 고정 수단으로 상기 로드(114)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에 사용되는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에 사용되는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볼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원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1,2베어링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피벗 가능한 볼과, 상기 볼의 일측에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베어링 중 하나에는 내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베어링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단차부에 대응하며 외주면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단차부가 밀착됨으로써 인서트 몰딩 시 용융 수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인서트 몰딩 시 시트부재와 베어링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2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인서트 몰딩 시 시트부재와 케이스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널링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상기 베어링부재와 상기 볼 사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7. 원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1,2베어링이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삽입되는 볼이 형성된 볼 스터드,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 사이에서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 서,
    상기 볼 스터드의 볼을 감싸도록 베어링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부재가 장착된 볼 스터드를 케이스 내부에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상기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를 장착하는 단계는,
    상단에 제1단차부가 형성된 제1베어링을 볼 스터드의 볼의 하단부에 장착하는 단계; 그리고
    하단에 상기 제1단차부에 대응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 제2베어링을 상부로부터 볼에 끼워 넣어 제1,2단차부를 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서트 몰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트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2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인서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베어링부재와 볼 사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더스트 커버를 상기 볼 스터드의 상단으로부터 밀어 넣은 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KR1020090073221A 2009-08-10 2009-08-10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21A KR101069910B1 (ko) 2009-08-10 2009-08-10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09/005895 WO2011019108A1 (ko) 2009-08-10 2009-10-14 볼조인트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EP09848294.6A EP2465713B1 (en) 2009-08-10 2009-10-14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390,050 US20120141192A1 (en) 2009-08-10 2009-10-14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4/795,758 US20150308490A1 (en) 2009-08-10 2015-07-09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21A KR101069910B1 (ko) 2009-08-10 2009-08-10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14A true KR20110015814A (ko) 2011-02-17
KR101069910B1 KR101069910B1 (ko) 2011-10-05

Family

ID=437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21A KR101069910B1 (ko) 2009-08-10 2009-08-10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9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879A1 (ko) * 2013-07-17 2015-01-22 주식회사 센트랄 볼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7014387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WO2017142322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2018006841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KR102228783B1 (ko)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청람자동차 딤플 조인트
KR102604385B1 (ko) * 2022-10-06 2023-11-23 주식회사 씨티알 코킹형 슬라이딩 부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80B1 (ko) 2016-08-10 2018-06-20 (주) 대원씨앤알 볼조인트용 더스트 커버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3490B2 (en) * 2001-01-05 2003-03-18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Isolation ball joint for steering and suspension
KR100614207B1 (ko) * 2003-10-22 2006-08-18 주식회사 동아오토모티브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 링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879A1 (ko) * 2013-07-17 2015-01-22 주식회사 센트랄 볼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EP3023652A4 (en) * 2013-07-17 2017-03-08 Central Corporation Ball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066661B2 (en) 2013-07-17 2018-09-04 Central Corporation Ball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7014387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WO2017142322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2018006841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KR102228783B1 (ko)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청람자동차 딤플 조인트
KR102604385B1 (ko) * 2022-10-06 2023-11-23 주식회사 씨티알 코킹형 슬라이딩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910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910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EP2465713B1 (en)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530924B (zh) 混合臂及其制造方法
US7938417B2 (en) Connector pie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components located in the suspension of a vehicle
KR101225742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CN103608595A (zh) 稳定器连杆及其制造方法
JP5826508B2 (ja)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KR20100116081A (ko) 차량의 콘트롤암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632655B1 (ko)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CN106103146B (zh) 撑杆式悬架装置
KR20100112846A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작 방법
US9909616B2 (en) Ball joint
KR101094423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002985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조인트
CN109421463B (zh) 球铰链、汽车横向稳定杆连接杆总成及其制备方法
KR20130019742A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077632B1 (ko) 차량의 콘트롤암
JPH0318740Y2 (ko)
KR101077631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US20220297360A1 (en) Trailing arm manufacturing method
KR100998508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조인트
KR100908651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7705A1 (en) Ball joint, particularly a ball joint for use in motor vehicle suspension system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