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830A -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830A
KR20110014830A KR1020090072389A KR20090072389A KR20110014830A KR 20110014830 A KR20110014830 A KR 20110014830A KR 1020090072389 A KR1020090072389 A KR 1020090072389A KR 20090072389 A KR20090072389 A KR 20090072389A KR 20110014830 A KR20110014830 A KR 2011001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ircuit
train
control device
machine room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352B1 (ko
Inventor
김상엽
유도균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9007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61L1/18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6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열차검지 장치는 열차의 점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궤도회로의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현장 제어장치와;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저장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는 기계실 제어장치와;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수신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와 스위칭되는 궤도계전기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차검지 방법은 분기부 궤도회로가 무여자되는 과정과;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궤도회로의 수신부와 연결되어 있던 궤도계전기가 기계실 제어장치로 스위칭되는 과정과; 메인 컴퓨터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현장 제어장치가 상기 명령을 받아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센서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을 특징한다.
분기부 궤도회로, 궤도계전기, 초음파 센서, 선로전환기

Description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Train checking apparatus and method in track circuit}
본 발명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선로전환기의 수동 취급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열차가 정상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선로전환기의 수동 취급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열차가 정상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분기부 궤도회로를 사용하여 열차의 점유 여부를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회로 각각의 레일 끝점에는 열차 검출용의 신호를 연속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00)가 배치되어 있고, 다른 끝에는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1)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차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신측의 장치가 보낸 신호가 수신측의 장치에 도달하여 궤도계전기(102)를 여자시켜 열차의 강상(열차 무점유)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열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열차의 차륜에 의해서 궤도가 단락되기 때문에, 송신부가 전송한 신호가 수신측에 미치지 않아, 궤도계전기가 무여자(낙하)되어 열차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열차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레일절연 불량등에 따른 오작동으로 궤도회로가 단락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열차의 정상적인 운행에 지장을 주고 있다. 특히, 분기부 궤도회로에서는 수동취급을 위한 현장출동과 선로전환기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므로 열차운행 지연에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수동취급시 안전조치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어 2차 안전사고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분기부 궤도회로 오작동시 수동취급 조치에 따른 종래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기부 궤도회로에 장애가 발생되면 궤도회로가 무여자(낙하)되어, 마치 상기 궤도회로에 열차가 진입한 것처럼 판단한 후행 열차는 분기부 궤도회로에 진입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가 위치한 역은 자동으로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고 있는 종합관제실에 현장(LOCAL)전환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종합관제실의 승낙이 있으면, 해당역에서는 자체적으로 장애원인을 찾아 복구하기 위한 현장출동을 하게 된다.
이후, 선로전환기는 수동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 원인을 찾아 복구하였다 하여도 열차운행은 대략 5분에서 15분가량 지연되게 된다. 또한, 열차운행이 수신호로 허락되어도 레일을 통해 정상적인 신호를 받지 못하여 일정 시간은 안전을 위해 서행(약 15km/h)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첫째, 분기부 궤도회로 오작동시 선로전환기의 수동 취급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열차의 정상 운행을 목적으로 하며, 둘째,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2차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하고,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 원인을 점검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열차검지 장치는 열차의 점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궤도회로의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현장 제어장치와;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저장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는 기계실 제어장치와;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수신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와 스위칭되는 궤도계전기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선로전환기의 수동 취급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열차가 정상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 원인을 점검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기부 궤도회로의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열차검지 장치는 열차의 점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궤도회로의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현장 제어장치와;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저장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는 기계실 제어장치와;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수신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와 스위칭되는 궤도계전기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열차검지 방법은 분기부 궤도회로가 무여자되는 과정과;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궤도회로의 수신부와 연결되어 있던 궤도계전기가 기계실 제어장치로 스위칭되는 과정과; 메인 컴퓨터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현장 제어장치가 상기 명령을 받아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센서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을 특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열차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기부 궤도회로에 장애가 발생되면 궤도회로가 무여자(낙하)되어, 수신부와 연결되어 있던 2위식 궤도계전기(Trick Realy)는 반대방향으로 스위칭된다. 이렇게 되면, 송신부(100)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부(101)에서 수신 할 수 없어 궤도계전기(102)가 무여자(낙하)되고, 기존 궤도회로는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때 메인 컴퓨터에 고장 표시가 나타난다.
이후, 메인 컴퓨터(303)에서는 분기부 궤도회로를 강제로 여자시키기 위해 명령어를 입력하면, 기계실 제어장치(302)에서는 상기 명령어를 받아 현장 제어장치(에 전달한다. 그러면, 현장 제어장치(304)는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301)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게 된다. 명령어를 받은 복수의 센서는 분기부 궤도회로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위치하여 열차의 입ㆍ출입을 초음파로 감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분기부 궤도회로에서 열차검지 장치로 강제적인 전환이 완료되면, 이후 과정에서는 열차검지 장치로 열차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열차가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에 입ㆍ출입하면, 입구와 출구쪽에 있는 초음파 센서가 열차가 진입 또는 통과했다는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 장치(304)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현장제어 장치는 상기 신호를 받아 기계실 제어장치(302)로 전달하고, 기계실 제어장치는 이를 받아 메인 컴퓨터(303)에 전달하면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하여 열차의 점유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열차검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에는 고유의 열번(열차번호)이 있어, 분기부 궤도회로에 진입과 통과를 기계실에 있는 종합관제실과 현장에 있는 운전취급실에서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종합관제실과 운전취급실에서 특정한 열번의 열차가 분기부 궤도회로에서 이탈하였다는 신호를 받았음에도 다시 분기부 궤도회로가 열차가 해당 궤도에 있음(무여자)으로 표시되는 신호를 받게되면, 해당 분기부 궤도회로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는 무여자(낙하)되고, 기존 궤도회로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기부 궤도회로에 진입하려는 후행하는 열차는 진입하지 못하고, 운행이 중단되게 된다. 이후,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가 위치한 역은 자동으로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고 있는 종합관제실에 현장(LOCAL)전환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종합관제실의 승낙이 있으면, 해당역에서는 자체적으로 장애원인을 찾아 복구하기 전에 분기부 궤도회로에 있는 선로전환기의 고장 유무만을 현장에서 판단후, 이상이 없으면 기계실의 메인 컴퓨터에서는 기존의 궤도회로를 열차검지 장치로 강제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명령어를 입력한다.
기존 궤도회로와는 다르게 상기 열차검지 장치를 이용하면, 선로전환기의 수동취급에 따른 열차지연을 최소 5분에서 15분, 최대 1시간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 즉, 기존 궤도회로에서는 궤도회로에 장애가 발생된면, 장애원인을 바로 찾았다고 하여도 선로전환기의 수동취급에 따라 열차지연을 피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인 열차검지 장치를 이용하면, 후행하는 열차는 종합관제실에 현장(LOCAL)전환을 위한 시간 및 현장 출동 선로전환기 상태점검(정상유무)에 필요한 시간(약 1분에서 5분)만 열차운행이 중단된다.
이후, 열차운행은 상기 열차검지 장치를 이용하여 분기부 궤도회로에 진입과 통과를 기존 궤도회로와 같이 계속 확인할 수 있으며, 열차를 중단없이 계속 운행 시키면서, 장애원인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에서 장애원인을 찾고, 복구하였으면 궤도계전기를 기존 궤도회로의 수신부에 스위칭시켜, 열차검지 장치에서 기존 궤도회로로 다시 강제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복귀된 후에는 열차가 레일을 통해 정상적인 신호를 받을 수 있어, 열차정상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분기부 궤도회로를 열차검지 장치로 전환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메인 컴퓨터에서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보가 기계실 제어장치를 거쳐 현장 제어장치로 입력되면, 현장 제어장치에 있는 키 스위치(KEY SWITCH)를 현장에서 수동으로 작동시켜 열차검지 장치로 전환 시킬수 있는 방법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분기부 궤도회로를 사용하여 열차의 점유 여부를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분기부 궤도회로 오작동시 수동취급 조치에 따른 종래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열차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열차검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신부 101 : 수신부
102 : 궤도계전기 301 : 센서
302 : 기계실 제어장치 303 : 메인 컴퓨터
304 : 현장 제어장치

Claims (10)

  1. 분기부 궤도회로의 레일 끝에 열차 검출용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된 신호가 레일을 따라 반대측 레일 끝으로 전달되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스위칭되어 있는 궤도계전기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컴퓨터가 배치되어 있는 선로전환기가 포함된 궤도회로의 오작동시,
    열차의 점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회로의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현장 제어장치와;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저장된 신호를 받아 저장하는 기계실 제어장치와;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수신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와 스위칭되는 궤도계전기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지 장치는
    상기 선로전환기가 정상 작동될 때에만 작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 컴퓨터로부터 명령받아 상기 현장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 컴퓨터로부터 받은 명령을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를 통하여 전달받아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궤도회로에서 상기 열차검지 장치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 컴퓨터의 명령을 받아 상기 열차검지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키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7. 분기부 궤도회로가 무여자되는 과정과;
    상기 궤도회로가 무여자되어, 상기 궤도회로의 수신부와 연결되어 있던 궤도계전기가 기계실 제어장치로 스위칭되는 과정과;
    메인 컴퓨터가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현장 제어장치가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로부터 명령을 받아 레일절연부에 위치한 센서에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지 방법은
    상기 분기부 궤도회로에 포함된 선로전환기가 정상 작동될때에만 작동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지 방법은
    상기 센서가 초음파로 열차의 입ㆍ출입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현장 제어장치가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기계실 제어장치가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궤도계전기를 통하여 메인 컴퓨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컴퓨터에서 상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지 방법은
    상기 궤도회로가 복구되면 궤도회로가 여자되어 상기 궤도계전기가 기계실 제어장치에서 상기 수신부로 스위칭되는 과정을 더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방법.
KR1020090072389A 2009-08-06 2009-08-06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KR10110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89A KR101102352B1 (ko) 2009-08-06 2009-08-06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89A KR101102352B1 (ko) 2009-08-06 2009-08-06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30A true KR20110014830A (ko) 2011-02-14
KR101102352B1 KR101102352B1 (ko) 2012-01-05

Family

ID=4377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389A KR101102352B1 (ko) 2009-08-06 2009-08-06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44B1 (ko) 2019-07-11 2019-11-14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점검장치
KR102044545B1 (ko) 2019-07-11 2019-11-14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KR20210008236A (ko) 2019-07-11 2021-01-21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확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20B1 (ko) * 2013-09-10 2015-07-22 서울메트로 철도 분기부 궤도회로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31B1 (ko) * 1993-09-15 1997-11-25 송재호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
KR100730388B1 (ko) * 2005-06-23 2007-06-19 유경제어 주식회사 선로변 통합제어장치
KR100800110B1 (ko) 2007-04-09 2008-02-01 유경제어 주식회사 원격제어가능한 전자식 계전 연동 제어시스템.
KR100952268B1 (ko) * 2007-11-12 2010-04-09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44B1 (ko) 2019-07-11 2019-11-14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점검장치
KR102044545B1 (ko) 2019-07-11 2019-11-14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KR20210008236A (ko) 2019-07-11 2021-01-21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352B1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951B1 (ko) 레일 손상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US757520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latively constant warning time at highway-rail crossings
EP4198240A1 (en) Rail transit vehicle, and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ail transit vehicle
CN102085874A (zh) 无线列车控制系统
KR101102352B1 (ko)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KR102211350B1 (ko) 궤도회로 고장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57806B1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66912B1 (ko) 광통신을 이용하는 자동폐색장치
KR100873322B1 (ko) 열차점유검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3392B1 (ko) 스크린도어 제어시스템
KR100975286B1 (ko)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4698565B2 (ja) 電子軌道端末装置
JP2001322547A (ja) 列車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通信方法
JP2010076653A (ja) 移動閉塞方式atc論理装置を用いた常用系信号とバックアップ系信号を有するバックアップ機能を備えた信号システム
JP6505525B2 (ja) 踏切制御装置
KR101049551B1 (ko) 이중화 구조로 이루어진 통합 자동폐색시스템
JP2664339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JP2664341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JP2814162B2 (ja) 移動式作業ロボットの救助装置
KR100965555B1 (ko) Trs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고장 정보의 이중화 전송시스템 및 방법
JP2002024959A (ja) トンネル防災設備
KR100598479B1 (ko) 티더블유씨 장치
US10202134B2 (en) Train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JPH11180304A (ja) 鉄道車両用モニタ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