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268B1 -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268B1
KR100952268B1 KR1020070114827A KR20070114827A KR100952268B1 KR 100952268 B1 KR100952268 B1 KR 100952268B1 KR 1020070114827 A KR1020070114827 A KR 1020070114827A KR 20070114827 A KR20070114827 A KR 20070114827A KR 100952268 B1 KR100952268 B1 KR 10095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cp
information
re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786A (ko
Inventor
박채영
신경호
김진수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1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2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의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을 통한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의 고장 유무,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송수신 전압 및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기의 단심검지, 선로전환기 전환력 및 전환횟수 계수, 계전기 동작상태, 궤도회로의 실시간 레벨 상태, 사전보수예고, 고장발생 알람, 열차추적 및 정보 분석을 위하여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를 ADC 및 필터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버를 통하여 장애사항과 레벨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후 문제 발생 개소의 유지보수를 지시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서버와 TCP/IP로 연결된 보안 S/W 설치된 CLIENT에서 실시간 원격 감시 및 필요 개소의 레벨 조정, 교체 예고 규정치에 다다른 개소를 유지보수를 통해 고장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CLIENT를 포함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TCP/IP, 레일, 원격, 고장, 유지보수

Description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Observation system of field equipment using TCP/IP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철도신호설비의 다양한 검지장치의 통합기능을 제공하고, 실시간 감시와 예고 기능의 확대, 교체 주기 예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기실에서 유지보수시 서버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설비를 유지보수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분소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고장 예고 및 장애 확인, 보고서 자동 출력 등 제반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안 S/W의 설치로 집, 회사, 유지보수자 숙소 등에서 실시간으로 장비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WMS(Total Wayside Monitoring System) 현장 설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 및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607호(이하 종래기술 1)에 개시된 철도 의 신호설비 고장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철도의 신호설비 고장감시 시스템은 각 역마다 설치되고, 해당 역 연동장치(10), 신호기 장치(40), 선로전환장치(50)의 각 계전기 상태신호와, 궤도회로 장치(20)의 송수신 주파수 및 전압과, 기계실(30)의 온도, 습도, 전압 등의 각종 환경감시신호를 수집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위역 감시정보 수집 및 전송장치(100)와, 상기 단위역 감시정보 수집 및 전송장치(100)의 수집된 정보를 요청하여 미리 저장된 분석 프로그램과 기준값들을 이용하여 고장발생 부위 예측, 고장상태 및 연동상태 등을 화면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경보를 하기 위한 단위역 모니터링 장치(200)와, 일정한 권역 내의 각 역마다 설치된 상기 단위역 감시정보 수집 및 전송장치(100)와 통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감시정보의 요청 및 기준값 설정 등을 제어하며 각 단위역 감시정보 수집 및 전송장치(100)로부터 감시정보들을 전송받아 미리 설치된 분석프로그램과 기준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단위역과 동일하게 고장발생부위 예측, 고장상태 및 연동상태와 관련된 분석결과를 감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경보를 하며, 분석된 감시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하여 두며,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프로그래밍시킨 열차운행 재현 프로그램에 의해 열차의 운행에 따른 동작상태를 재생시켜 고장 발생 원인을 정확히 분석 표시하기 위한 분소 모니터링장치(300)를 포함한다.
이같은 구성을 통한 종래기술 1은 지하철 및 철도의 주요신호 보안장치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분석, 저장,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기록 관리하고 사전예 방 정비로 설비의 정상운영과 신속하고 정확, 안전한 열차 수송으로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장애 및 사고발생시 신속한 복구와 과학적인 원인 분석으로 예방정비를 위한 보수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신호설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 1은 데이터수집, 전송을 DSU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분소모니터링장치에서도 DSU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를 재처리하기 때문에 접속장치의 부하분담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기준치와의 값만을 비교하고 상태를 표시하게 됨으로 오류 발생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보고서 작성 기능이 따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보고서 작성 작업을 재차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2는 특허공개번호 제10-1995-008263호(이하 종래기술 2)에 개시된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송신기(102)와 이 송신기(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양단을 레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시켜 주는 송신 케이블(110)과, 상기한 송신기(102)와 송신 케이블(11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신호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정합 트랜스(101)로 이루어지는 송신부(100)와; 레일(2T)의 종단에 각각 연결되는 수신 케이블(210)과, 상기한 수신 케이블(210)에 연결되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정합 트랜스(201)와, 상기한 정합 트랜스(201)에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열차의 이동 상태를 알려 주는 수신기(202~206)로 구성된 궤도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송신부(100)의 송신기(102)의 후단에 연결되어 송신기(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송신 신호 변환기(10)와; 상기한 수신부(200)의 정합 트랜스(201) 후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수신 신호 변환기(10')와; 상기한 송신 및 수신 신호 변환기(10,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 주는 고장 감시 신호 변환기(20)와; 상기한 수신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해 주는 열차 상태 신호 변환기(30)와; 상기한 고장 감시 신호 변화기(20)와 열차 상태 신호 변환기(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열차의 이동 상태와, 궤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회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알려주는 주처리 장치(40)를 포한한다.
위 종래기술 2는 철도 및 지하철 등의 궤도에서 운행하는 열차의 점유 및 무점유(정차 및 주행시의 열차 유무)를 감지하는 궤도회로장치 고장 시에 고장 위치 및 고장 원인을 모니터를 통해 보수 작업자에게 표시해 주고, 궤도 감시 회로의 송수신 레벨 값을 표시해 주는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주파수를 갖는 궤도회로 부분만을 검지하는 장치로서 모든 궤도회로 검지가 불가능하고 궤도추적논리가 없어 열차에 의한 낙하인지 고장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특허등록번호 제20-0262950호(이하 종래기술 3)에 개시된 철도의 상용주파수 궤도회로 누설전류 검지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상용주파수 궤도회로 누설전류 검지기는 코일이 몸체 에 감긴 마그네트로 구비되어 궤도회로 절연부의 누설전류로 인한 자력선을 감지하는 센싱부(10), 상기 센싱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20), 상기 증폭된 신호와 비교를 위한 상용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기(40),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와 상용주파수와 비교하는 비교기(30), 상기 비교기(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2증폭기(50)에서 증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지시계기(60)를 포함한다.
위 종래기술 3은 상용주파수 궤도회로 누설전류 검지기에 관한 것으로, 궤도상에 열차 또는 모터카를 검지하기 위하여 상용주파수 궤도회로가 설치되는데, 레일에 흐르는 전류가 직류인 관계로 자력선이 발생하여 레일은 자화되고 이로 인하여 레일과 차륜의 마찰로 생겨난 쇠가루들이 PF궤도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절연을 무력화시키는 장애 개소를 신속히 찾을 수 있는 상용주파수 궤도회로 누설전류 검지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 3은 단순히 누설전류 검지기 자체만을 개시하고 있어, 누설전류 검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철도신호설비의 다양한 검지장치의 통합기능을 제공하고, 실시간 감시와 예고 기능의 확대, 교체 주기 예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기실에서 유지보수시 서버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설비를 유지보수하는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철도신호설비의 다양한 검지장치의 통합기능을 제공하고, 실시간 감시와 예고 기능의 확대, 교체 주기 예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기실에서 유지보수시 서버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설비를 유지보수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분소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고장 예고 및 장애 확인, 보고서 자동 출력 등 제반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안 S/W의 설치로 집, 회사, 유지보수자 숙소 등에서 실시간으로 장비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WMS(Total Wayside Monitoring System) 현장 설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의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의 고장 유무,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전압, 및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 계전기,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실시간 상태, 사전보수예고, 열차추적, 고장발생 알람, 및 정보 분석을 위하여 상기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 계전기,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를 ADC 및 필터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버를 통하여 장애사항과 레벨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후 문제 발생 개소의 유지보수를 지시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서버와 TCP/IP로 연결되어 서버의 권한 부여에 따라 실시간 원격 감시 및 필요 개소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고, 교체 예고 규정치에 다다른 개소를 유지보수하여 고장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보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 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 고장 유무, 또는 궤도회로 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전압, 및 전류의 정보를 표 및 그래프 형식으로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입력 타입에 따라 기준치, 전압, 또는 전류의 타입설정을 변경하여 호환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보조처리장치는 TCP/IP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신호설비의 다양한 검지장치의 통합기능을 제공하고, 실시간 감시와 예고 기능의 확대, 교체 주기 예고, 열차추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기실에서 유지보수시 서버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설비를 유지보수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분소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고장 예고 및 장애 확인, 보고서 자동 출력 등 제반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안 S/W의 설치로 집, 회사, 유지보수자 숙소 등에서 실시간으로 장비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WMS(Total Wayside Monitoring System) 현장 설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레일(100), 상기 레일의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의 고장 유무, 궤도회로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및 전압, 전류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200), 상기 정보수집모듈(200)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각종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 궤도회로장치 등 시설물의 실시간 상태, 사전보수예고, 열차추적, 고장발생 알람, 정보 분석을 위하여 전압, 전류, 주파수를 ADC 및 필터링(Filtering)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버(300)를 통하여 장애사항과 레벨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후 문제 발생 개소의 유지보수를 지시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서버(300)와 TCP/IP로 연결되어 서버의 권한 부여에 따라 실시간 원격 감시 및 필요 개소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고, 교체 예고 규정치에 다다른 개소를 유지보수하여 고장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보조처리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서버(300)는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 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 고장 유무, 궤도회로 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및 전압, 전류 등의 정보를 자체 검증 알고리즘에 의해 표, 그래프 형식으로 자동분석하여 자동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정보수집모듈(200)은 설비에 따라 시스템을 재설계하여야 하는 기존 설비와 달리 입력 타입(TYPE)에 따라 기준치와 전압, 전류의 타입설정을 통해 유연한 감시가 가능하고, 자체 궤도회로 검지논리(상태천이방정식)에 의해 궤도 부정 낙하인지 열차 진입인지 유무를 연동장치 데이터가 아닌 자체검증기능을 갖춰 연동장치의 데이터와 독립적인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궤도상태 현시, 시간천이 관련 로직을 이용한 자동 궤도 추적 기능, 송신/수신/체크 포인트(CHECK POINT) 정보를 보유하고 다양한 궤도회로 적용시 추가 개발 없이 ADC 모듈의 교체만으로 여러 궤도회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신호기의 전류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한 뒤 예고 기준치를 설정함으로써 LED 신호기와 같이 실단심이 아니나 단심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해당 신호기의 단심 조정 검지 범위를 조정하여 신호기 특성에 따라 단심 검지가 독립적으로 가능하고 일정레벨 이하인 경우 단심 예고 현시, 규정치 이하이면 신호기의 고장(단심)을 표시하도록 한다. 선로전환기의 경우 선로전환기 전환력 및 동작횟수를 입력 받아 교체 주기 표시 및 전환력 불균등시 쇄정 조정을 현시하여 유지보수자의 편의를 돕는다.
이와 같은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면 기준치 설정 및 알람 및 메시지 기능을 통해 고장 발생 시기 및 고장 사전 예고 등의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 외에도 유지보수자가 원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처리장치(400)를 이용하여 TCP/IP 접속 방식으로 각 장치가 설치된 개소에 실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PF 궤도의 경우 TX(송신전압), RX(수신전압), RE(계전기 동작전압)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실효치를 표시하고 기준치(유지보수자 조정가능) 이하일 경우 고장을 현시하도록 설계되며, 궤도낙하와 궤도고장을 판별하기 위해 인접궤도와 연동하여, 데이터 상태 천이 방정식에 따라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열차 자동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그래프로 정보분석, 데이터 축적, 축적 그래프, 리플레이(REPLAY), 자동 보고서 작성이 가능하다.
DC/AF/HVI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데이터 변환(Converting)을 위한 모듈의 교체만으로도 동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선로전환기의 경우 정위제어력, 반위제어력, 선로전환기 토크, 전환횟수를 체크하여 유지점검 포인트를 알려주도록 한다. 신호기의 경우 LED형과 전구형으로 분리되어 실시간으로 단심 유무를 검지하며, 축적 및 리플레이 자동보고서 및 예고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실시간 궤도 데이터 정보를, 도 6은 선형 레벨 정보를, 도 7은 축적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을, 도 8은 자동 보고서 작성 과정을, 도 9는 기준치 변경과정을, 도 10은 실시간, 축적 그래프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은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도 12는 신호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지하철 및 철도의 주요 신호 보안장치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분석,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기록, 자동보고서 작성 관리하고, 그래프를 이용 시스템 및 각 회로의 변화율을 통해 문제를 사전 예측 가능하며, 고장나기 전에 알람 기능을 통해 사전예방 정비함으로써 설비의 정상운영과 신속하고 정확한 장애 분석 및 사고발생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원격 감시 신호설비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TCP/IP를 이용한 익스플로러(EXPLORE) 접속방식으로 접속장치의 부하분담율을 없애 즉각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보고서 작성시에도 원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불러와서 처리함으로써 로딩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고장인지 아닌지를 재검증하는 시스템을 갖추어, 데이터 수집 후 모든 처리는 소프트웨어(S/W)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유연성이 크고 데이터의 정밀도가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 다.
도 1은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607호(이하 종래기술 1)에 개시된 철도의 신호설비 고장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특허공개번호 제10-1995-008263호(이하 종래기술 2)에 개시된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특허등록번호 제20-0262950호(이하 종래기술 3)에 개시된 철도의 상용주파수 궤도회로 누설전류 검지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궤도 데이터 정보(열차추적포함)를 나타낸 도
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벨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적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고서 작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치 변경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축적 그래프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4)

  1. 레일의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의 전환력 검사, 선로전환장치의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의 고장 유무,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전압, 및 전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 계전기,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실시간 상태, 사전보수예고, 열차추적, 고장발생 알람, 및 정보 분석을 위하여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장치, 계전기, 또는 궤도회로장치의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를 ADC 및 필터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버를 통하여 장애사항과 레벨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후 문제 발생 개소의 유지보수를 지시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서버와 TCP/IP로 연결되어 서버의 권한 부여에 따라 실시간 원격 감시 및 필요 개소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고, 교체 예고 규정치에 다다른 개소를 유지보수하여 고장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보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원격제어 및 원격모니터링, 열차추적, 신호기의 단심검지장치, 선로전환 장치의 전환력 검사, 동작횟수 및 교체주기 관리, 계전기 고장 유무, 또는 궤도회로 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전압, 및 전류의 정보를 표 및 그래프 형식으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입력 타입에 따라 기준치, 전압, 또는 전류의 타입설정을 변경하여 다른 감시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보조처리장치는 TCP/IP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CP/IP 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KR1020070114827A 2007-11-12 2007-11-12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KR10095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27A KR100952268B1 (ko) 2007-11-12 2007-11-12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27A KR100952268B1 (ko) 2007-11-12 2007-11-12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86A KR20090048786A (ko) 2009-05-15
KR100952268B1 true KR100952268B1 (ko) 2010-04-09

Family

ID=4085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827A KR100952268B1 (ko) 2007-11-12 2007-11-12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52B1 (ko) * 2009-08-06 2012-01-05 서울메트로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KR101654356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차상제어장치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KR101654345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선로전환기 및 신호기를 이용하는 철도신호 시스템
KR101654354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역사 감시부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CN109131442A (zh) * 2018-08-06 2019-01-04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高速综合检测列车的车载远程控制装置及信号检测系统
KR102029725B1 (ko) * 2018-12-04 2019-10-08 대아티아이 (주) Ip기반 전자연동장치용 안전 네트워크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07A (ko) * 1999-03-26 2000-02-07 이경락 철도의신호설비고장감시시스템및방법
KR20030034326A (ko) * 2001-10-22 2003-05-09 (주)누리텔레콤 원격검침 시스템
KR20060127701A (ko) * 2005-06-08 2006-12-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열차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열차정보운용장치와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07A (ko) * 1999-03-26 2000-02-07 이경락 철도의신호설비고장감시시스템및방법
KR20030034326A (ko) * 2001-10-22 2003-05-09 (주)누리텔레콤 원격검침 시스템
KR20060127701A (ko) * 2005-06-08 2006-12-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열차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열차정보운용장치와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86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268B1 (ko) Tcp/ip원격제어를 통한 통합 현장설비 감시 시스템
KR100288950B1 (ko) 철도의 신호설비 고장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9381B1 (ko) 자동열차방호장치의 발리스 에러 검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091069A1 (zh) 一种轨道电路故障诊断系统及诊断方法
EP0878373A2 (en) Trai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044681B1 (ko) 레일 파손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058940B1 (ko) 철도용 터널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KR20060108877A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장치
KR102105321B1 (ko) 발리스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20110071691A (ko)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KR200187418Y1 (ko) 철도 및 지하철의 궤도회로장치
KR200391711Y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장치
KR20130048014A (ko) 철도 전기설비 기술지원 시스템
KR20190133939A (ko) 궤도회로 고장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04317B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2008924B1 (ko) 작업자 선로 횡단 안전 시스템
KR101989378B1 (ko) 궤도회로 안전 점검장치를 이용한 점검 방법
RU2622316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на участке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бильного комплекса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ой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стрелками и светофорами
KR0121731B1 (ko) 궤도 회로 고장 검지 장치
KR101916084B1 (ko) 철도 지상 신호 제어 시스템
Ackroyd et al. Remote ride quality monitoring of Acela train set performance
KR101988269B1 (ko) 레일 절손 감지 보완 회로와 영상 신호를 통한 철도 신호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Lee et al. Condition based monitoring in railway
KR20100111421A (ko) 이중화 구조로 이루어진 통합 자동폐색시스템
KR102069238B1 (ko) 궤도회로 안전 점검장치를 이용한 점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