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51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512A
KR20110014512A KR1020100070295A KR20100070295A KR20110014512A KR 20110014512 A KR20110014512 A KR 20110014512A KR 1020100070295 A KR1020100070295 A KR 1020100070295A KR 20100070295 A KR20100070295 A KR 20100070295A KR 20110014512 A KR20110014512 A KR 2011001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ctuator
supported
connection object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649B1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노부카즈 가토
마사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커넥터는,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액츄에이터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가압부를 갖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held)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는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는, 스프링부와, 당해 스프링부에 지지된 피(被)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지지부는, 밀어붙임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밀어붙임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가압부를 밀어붙이는 한편으로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력을 상기 가압부로부터 받는 것이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반력에 의해 상기 밀어붙임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켜졌을 때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27558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또한,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27558호에 개시된 커넥터는, 양면에 접점부를 갖는 FPC를 접속 대상물로 하는 것으로,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turnable)하게 유지된(held) 액츄에이터와, FPC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부와 접촉하는 제1 콘택트와, FPC의 이면에 형성된 접점부를 접촉하는 제2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콘택트는, 선단에 접점부를 갖고 그리고 후단에 피(被)압압부(press section)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콘택트는, 피압압부를 액츄에이터의 압압부에 의해 상측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접점부가 FPC의 표면의 접점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즉, 제1 콘택트는 시소(seesaw)와 같이 동작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27558호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콘택트의 접점부와 제2 콘택트의 접점부에서 FPC를 끼워지지함으로써, 제1 콘택트의 접점부 및 제2 콘택트의 접점부와 FPC의 양면에 형성된 접점부와의 접촉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나열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27558호의 0017 단락 참조). 즉,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27558호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한쪽의 콘택트의 배열을 행할 때에 다른 한쪽의 콘택트의 배열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어, 콘택트의 배열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설령 2종류의 콘택트를 갖고 있던 경우라도 콘택트를 서로 독립적으로 배열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insertion slot)와, 액츄에이터와, 콘택트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가압부(pusher)를 갖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는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는, 스프링부와, 당해 스프링부에 지지된 피지지부(supported section)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지지부는, 밀어붙임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밀어붙임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가압부를 밀어붙이는 한편으로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력을 상기 가압부로부터 받는 것이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반력에 의해 상기 밀어붙임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켜졌을 때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에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츄에이터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액츄에이터의 가압부와 그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의한 커넥터는, 하측의 콘택트를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금속제의 콘택트(부가적 콘택트)(10)와, 콘택트(10)를 유지(hold)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액츄에이터(40)와, 금속제의 콘택트(탄성지지 부재;biasing member)(6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과 액츄에이터(40)는 절연성을 갖고 있다. 콘택트(60)는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또는 FFC)(5)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FPC(또는 FFC)(5)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배선 패턴 등의 접촉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10)는, 하우징(20)의 FPC(또는 FFC)(5)의 삽입측인 전단(front end; 20a)으로부터 후단(rear end; 20b)측을 향하여 압입되어, 그에 의해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10)는, FPC(5)의 하면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점부(부가적 접촉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점부(12)는, 콘택트(10)의 스프링성에 의해, 커넥터(1)의 두께 방향(Z방향)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은, 커넥터(1)의 폭 방향(Y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축수용부(22)와, 커넥터(1)에 대한 FPC(5)의 삽입 방향(X방향)에 있어서 축수용부(22)와 전단(20a)과의 사이에 형성된 회동 규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축수용부(22)는, Y방향으로 오목하고 그리고 Z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축수용부(22)는, 후술하는 액츄에이터(40)의 부착 공정을 고려하여, 상방의 모서리부(角部)가 베벨 가공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24)는, 액츄에이터(40)의 일부를 받음으로써, 액츄에이터(4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1 및 도 3 참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콘택트(60)는, 하우징(20)의 후단(20b)으로부터 전단(20a)측을 향하여 압입되어, 그에 따라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 콘택트(60)는, 하우징(20)의 후단(20b)측에 유지된 피유지부(62)와, 피유지부(62)에 지지된 스프링부(64)와, 스프링부(6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피지지부(6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지지부(66)는, 손가락 형상 또는 라이플(rifle)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액츄에이터(40)의 가압부(50)(후술)를 압압하는 밀어붙임부(68)와, FPC(5)의 상면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점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피지지부(66)는, 밀어붙임부(68)와 접점부(70)와의 사이에 피지지점(66c)을 갖고 있으며, 스프링부(64)는 피지지점(66c)을 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66)는 상측의 연부(edge)인 제1 연부(66a)와 하측의 연부인 제2 연부(66b)를 갖고 있다. 밀어붙임부(68)와 접점부(70)는 제2 연부(66b)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지지점(66c)은 제1 연부(66a)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피지지부(66)는, 밀어붙임부(68)와 접점부(70)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스프링부(6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지지부(66)의 하측과 하우징(20)과의 사이에 FPC(5)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지지부(66)는, 피지지점(66c)이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부(64)에 지지되어 있는 한편으로, 밀어붙임부(68) 및 접점부(70)와 피지지점(66c)을 포함하는 계(系)에 있어서는 밀어붙임부(68)와 접점부(70)는 피지지점(66c)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부(64)에 지지되어 있다. 즉, 피지지부(66)는, 피지지점(66c)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계에 있어서는, 피지지점(66c)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지지부(66)가 도 3에 나타나는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피지지부(66)의 밀어붙임부(68)를 위를 향하여 밀어올리면, 접점부(7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접점부(70)의 이동에 의해,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FPC(5)의 상면에 형성된 접촉부에 대하여, 접점부(70)가 밀어붙여지게 된다(도 4 참조). 상세하게는, 밀어붙임부(68)가 가압부(50)(후술)를 FPC(5)에 대하여 밀어붙이면, 그 반력으로서 FPC(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측)을 향하는 힘을 받아, 그에 의해 밀어붙임부(68)가 상측으로 이동시켜짐과 함께 접점부(70)가 하측(접점부(70)로부터 보아 FPC(5)측)으로 이동시켜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0)는, Y방향의 양단(兩端)에 형성된 회동축부(42)와, 수용부(44)와, 피수부(facing portion; 46)와, 연통 슬릿(communication slit; 48)과, 가압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42)는, 액츄에이터(40)의 양단으로부터 Y방향 회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하우징(20)의 축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다. 회동축부(42)가 축수용부(22)에 수용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츄에이터(40)는, 열림 위치(도 3)와 닫힘 위치(도 4)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회동축부(42)는, XZ평면 내에 있어서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이 회동축부(42)의 직경은, 하우징(20)의 축수용부(22)의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즉, 축수용부(22)를 구성하는 홈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수용부(22) 내에 있어서의 회동축부(42)의 회동이나 Z방향을 따른 이동은 허용되는 한편으로, 회동축부(42)의 X방향을 따른 이동은 규제되고 있다.
피수부(46)는, 액츄에이터(40)의 Y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액츄에이터(40)의 전면(前面) 및 상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 및 「상」은, 액츄에이터(4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하고 있다. 이하, 액츄에이터(40)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40)의 피수부(46)는, 회동 규제부(24)에 의해 받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액츄에이터(40)가 열림 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40)를 삽입 방향(+X방향)을 향하여 쓰러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액츄에이터(40)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츄에이터(40)를 삽입 방향과 역방향(-X방향)을 향하여 쓰러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게 해도 좋다. 이 경우, 회동 규제부(24)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축수용부(22)와 하우징(20)의 후단(20b)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피수부(46)는 액츄에이터(40)의 상면과 후면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수용부(44)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20)의 후단(20b)측을 수용하는 부위이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통 슬릿(48)은, 액츄에이터(40)의 전면과 수용부(44)를 연통하는 슬릿으로, 콘택트(탄성지지 부재)(60)마다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60)의 피지지부(66), 특히 밀어붙임부(68)는, 각 연통 슬릿(48) 내에 위치하고 있다.
가압부(50)는, 액츄에이터(40)의 전면의 하측 부근(전연(front edge)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연통 슬릿(48) 내에 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50)는, 콘택트(60)의 피지지부(66)와 연통 슬릿(48) 내에 있어서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부(42)가 XZ평면 내에 있어서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가압부(50)는, XZ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타원 형상 또는 대략 경기용 트랙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40)의 회동에 의해 가압부(50)와 콘택트(10)의 접점부(12)와의 사이의 거리를 바꿀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가압부(50)는 비교적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액츄에이터(40)와 하우징(20)은, FPC(5)를 X방향을 따라서 삽입 가능한 삽입구(2)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10)의 접점부(12)는 삽입구(2) 내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구(2)에 FPC(5)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40)를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까지 회동하면, 액츄에이터(40)의 가압부(50)는 콘택트(60)의 밀어붙임부(68)에 의해 하측을 향하여 탄성지지되어 있다. 즉,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40)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가압부(50)가 실질적으로 Z방향만을 따라서 FPC(5)를 압압하도록, 콘택트(60)의 피지지부(66)는 가압부(50)를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때, 밀어붙임부(68)는 가압부(50)로부터 상측(FPC(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력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어붙임부(68)가 상측으로 이동시켜지면, 접점부(70)가 하측(FPC(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그에 의해, FPC(5)의 상측에 형성된 접촉부에 대하여 콘택트(60)의 접점부(70)가 밀어붙여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는, 콘택트(60)의 접점부(70)와 콘택트(10)의 접점부(12)에서 FPC(5)를 끼워지지하는 구성이 아니라, 액츄에이터(40)의 가압부(50)와 콘택트(10)의 접점부(12)에서 FPC(5)를 끼워지지하는 한편으로, 콘택트(60)의 접점부(70)를 FPC(5)의 상측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시키게 한 점에서, 콘택트(60)의 배열과 콘택트(10)의 배열을 서로 독립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액츄에이터(40)의 가압부(50)에 의해, 제일 먼저 FPC(5)가 압압되어 FPC(5)를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콘택트(60)의 접점부(70)가 이동하여, 즉, FPC(5)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콘택트(60)의 접점부(70)와 FPC(5)의 상측의 접촉부와의 접촉을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FPC(5)가 양면에 접촉부를 갖는 것이었지만,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면에만 접촉부가 형성된 FPC(7)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커넥터(1')는, 하측의 콘택트(10)를 갖지 않는 것으로, 삽입된 FPC(7)를 하우징(20')과 액츄에이터(40)의 가압부(50)로 끼워지지하는 것이다. 이 도 6에 나타나는 커넥터(1')에 있어서도, 가압부(50)는 Z방향을 따라서 FPC(7)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고, 그리고, 가압한 상태에 있어서, 그 반력을 이용하여 접점부(70)를 FPC(7)의 접촉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가압부를 이용하여 접속 대상물(예를 들면 FPC나 FFC)의 유지를 행하는 한편으로 가압부를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밀어붙였을 때에 가압부로부터 받는 반력을 이용하여 콘택트의 접점부를 접속 대상물상의 접점부와 접촉시키게 했기 때문에,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의 반대측에 있는 부가적 콘택트를 피치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나열할 필요는 없다. 즉, 접속 대상물의 반대측에 있는 부가적 콘택트의 배열을 고려하는 일 없이, 콘택트의 배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에서 접속 대상물을 고정한 후에 콘택트의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점부와의 접촉을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효과는, 부가적 콘택트가 없는 경우(즉, 가압부와 하우징으로 접속 대상물을 끼워지지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2009년 7월 28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2009―175671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커넥터
2 : 삽입구
5 : FPC
10, 60 : 콘택트
12, 70 : 접점부
20 : 하우징
22 : 축수용부
24 : 회동 규제부
40 : 액츄에이터
42 : 회동축부
44 : 수용부
46 : 피수부
48 : 연통 슬릿
50 : 가압부
62 : 피유지부
64 : 스프링부
66 : 피지지부
68 : 밀어붙임부

Claims (5)

  1.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액츄에이터와,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held)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는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것이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는, 스프링부와, 당해 스프링부에 지지된 피지지부(supported section)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밀어붙임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밀어붙임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가압부를 밀어붙이는 한편으로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력을 상기 가압부로부터 받는 것이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반력에 의해 상기 밀어붙임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켜졌을 때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밀어붙임부와 상기 접점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지지점을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피지지점을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제1 연부(edge)와 제2 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었을 때에, 접속 대상물로부터 먼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접속 대상물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상기 밀어붙임부와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연부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지지점은 상기 제1 연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부가적 접점부를 갖는 부가적 콘택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 대상물은, 제1면에 형성된 제1 접촉부와 제2면에 형성된 제2 접촉부를 갖는 평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것이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부가적 콘택트의 상기 부가적 접점부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부가적 접점부를 향하여 압압(press)하여, 그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부가적 접점부를 접촉시키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접점부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끼워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00070295A 2009-07-28 2010-07-21 커넥터 KR101121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5671 2009-07-28
JP2009175671A JP4917129B2 (ja) 2009-07-28 2009-07-2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512A true KR20110014512A (ko) 2011-02-11
KR101121649B1 KR101121649B1 (ko) 2012-03-08

Family

ID=4352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95A KR101121649B1 (ko) 2009-07-28 2010-07-21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77571B2 (ko)
JP (1) JP4917129B2 (ko)
KR (1) KR101121649B1 (ko)
CN (1) CN101986467B (ko)
TW (1) TWI4064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68791B1 (ja) *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413315B (zh) * 2011-08-30 2013-10-21 Wistron Corp 連接器及其電子裝置
JP5746953B2 (ja) * 2011-11-01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1324975A (zh) * 2011-12-13 2013-06-16 Aces Electronic Co Ltd 電連接器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0387B2 (ja) * 2015-09-18 2019-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262B2 (ja) * 2002-07-01 2006-1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4127558A (ja) 2002-09-30 2004-04-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3619822B2 (ja) * 2002-11-26 2005-02-16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017170B2 (ja) * 2004-09-07 2007-12-05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06147491A (ja) * 2004-11-24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6278320A (ja) * 2005-03-01 2006-10-1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コネクタ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5029151B2 (ja) * 2007-06-06 2012-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649B1 (ko) 2012-03-08
US20110028018A1 (en) 2011-02-03
CN101986467B (zh) 2013-07-10
JP4917129B2 (ja) 2012-04-18
TWI406450B (zh) 2013-08-21
US8177571B2 (en) 2012-05-15
TW201108515A (en) 2011-03-01
CN101986467A (zh) 2011-03-16
JP2011029086A (ja)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649B1 (ko) 커넥터
TW477092B (en)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KR101138116B1 (ko) 커넥터 장치
KR101235237B1 (ko) 커넥터
EP2003739A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23171B1 (ko) 커넥터
US2008018811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34130B2 (en) Cable connector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WO2011040448A1 (ja) コネクタ
KR20130100699A (ko) 커넥터
JP5010043B1 (ja) コネクタ
JP2013098025A (ja) コネクタ
JP470761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77028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7194017A (ja) Fpc/ffc用コネクタ
JP2008235183A (ja) 電気コネクタ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1143827A (ja) 板状物用コネクタ
WO2009017699A1 (en) Cable connector
JP4938113B2 (ja) コネクタ
JP2013026033A (ja) コネクタ装置
JP2018081800A (ja) コネクタ装置
JP2001110494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サーキット用コネクタ
JP201608162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