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97A -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97A
KR20110013697A KR1020090071291A KR20090071291A KR20110013697A KR 20110013697 A KR20110013697 A KR 20110013697A KR 1020090071291 A KR1020090071291 A KR 1020090071291A KR 20090071291 A KR20090071291 A KR 20090071291A KR 20110013697 A KR20110013697 A KR 2011001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circuit board
dispos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740B1 (ko
Inventor
이석우
한창규
전민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7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에 따라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 상기 컨트롤 핑거에 대응하여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의 근접 상태 변화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NON-CONTACT TYPE SWITCHING UNIT DETECTING NEUTRAL RANGE OF VEHICULAR GEA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조로 조작 작동성을 증대시키고 이물 유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는 전자화 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엔진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은 트랜스미션을 거쳐 차량의 구동휠로 전달되는데,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 레인지는 차량의 적절한 주행 상태 제어를 위한 필수 감지 신호로 사용된다. 차량의 트랜스미션의 중립 상태 정보는 운전자의 주행 의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 신호로 사용되는데, 중립 상태에서의 무부하 가속으로 인한 공회전시 부하 상태 대비하여 연료량을 조절함으로써 공회전으로 인한 매연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트랜스미션의 중립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중립 스위치가 트랜스미션에 구비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중립 스위치는 단순한 접촉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중립 스위치는 트랜스미션의 컨트롤 레버에 의하여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차량 트랜스미션의 중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자간의 접촉식 구조의 중립 스위치는 내구성이 저하되고, 특히 고온의 미션 오일과 같은 이물에 의하여 접촉 상태가 불안정화될 수도 있는 등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에 따라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 상기 컨트롤 핑거에 대응하여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의 근접 상태 변화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 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차량 트랜스미션이 중립 변속 레인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마그네트와 상기 컨트롤 핑거는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와 상기 컨트롤 핑거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가 수용 배치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는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관통 형성되는 기판 장착구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 장착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형성되는 프레임 기판 장착부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 기판 장착구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장착부에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 기판 장착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프레임 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가요성을 갖는 서브 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 기 감지 센서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서브 회로기판 홀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가 수용 배치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에 수용되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홀더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진동 융착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는 서로 체결되는 바디 결합부 및 베이스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어 체결되고, 상기 바디 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 결합부의 외주에는 하우징 미디엄이 오버 몰딩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는, 비접촉식 스위치 감 지부를 구비하여 반복적인 작동에 의한 감지부에서의 마모 문제를 배제하여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는,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종래의 접촉 단자 간에 이물로 인한 접촉 불량으로 감지 불능 상태 야기 문제를 배제하고 정확한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는, 감지 마그네트의 장착 구조를 사다리꼴 형상 장착 구조를 이룸으로써 조립시 극성 방향의 배치 오류로 인한 불량률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자동차 트랜스 미션(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 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 프레임 및 감지 마그네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고,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등이 도시되고, 도 9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제조 과정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2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8 내지 2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1)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4 및 도 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2,10-3)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하우징(10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컨트롤 핑거(30)가 배치되는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는 자동차의 차량 트랜스미션(1)에 장착된다.
차량 트랜스미션(1)과 연결되는 미션 컨트롤 레버(20)의 동작에 의하여 차량 트랜스미션(1)의 미션 컨트롤 샤프트(2)가 가동된다. 이때, 미션 컨트롤 샤프트(2)의 외주에는 컨트롤 핑거(30)가 배치된다. 즉, 컨트롤 핑거(30)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컨트롤 레버(20)와 연결되어, 컨트롤 레버(20)를 통한 차량 트랜스미션(1)의 기어 변속에 따라 컨트롤 레버(20)가 가동되는데, 컨트롤 레버(20)의 가동에 의하여 미션 컨트롤 샤프트(2), 궁극적으로 컨트롤 핑거(30)가 가동된다.
하우징(100)은 차량 트랜스미션(1)에 삽입 장착되는데, 하우징(100)은 컨트롤 핑거(30)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하기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상호 작용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일뿐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다른 구성요소들의 안정적인 배치 및 가동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단 외면에는 바디 장착부(111)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바디 장착부(111)는 나사 가공 배치되고 바디 장착부(111)는 차량 트랜스미션(1)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여 안정적인 장착 구조를 이룬다.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는 다른 구성 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바디 공간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의 외주에는 바디 장착부(113)가 배치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진동 융착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바디(110)의 체결을 공고히 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10)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베이스 공간부(131)가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단으로 하우징 바디(110)를 향한 단부의 외주에는 베이스 장착부(133)가 배치되는데, 베이스 장착부(133)는 바디 장착부(113)와 결합되어 양자 간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측에는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가 배치되는데,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를 통하여 하기되는 기판 커넥터(210)의 커넥터 핀(212)이 관통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타단은 베이스 커넥터(135)로 구성되는데,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를 관통한 커넥터 핀이 외부 전기 장치와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14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 프레임(140)은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블록(144)과 프레임 로드(142)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하우징 프레임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블록(144)은 하우징 베이스(130) 측에 배치되고 프레임 로드(142)는 일단이 프레임 블록(144)의 일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바디(11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프레임 블록(144)은 하우징 베이스(130)에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되어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을 이루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블록(144)에는 하기되는 기판 커넥터(210)가 배치된다. 프레임 로드(142)에는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가 형성되는데,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기판 관통구(201)가 배치된다. 하우 징(100)은 하우징 프레임 핀(1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하우징 프레임 핀(150)은 인쇄회로기판(200)을 하우징 프레임(14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 핀(150)은 프레임 핀 바디(151)와 프레임 핀 쐐기(153)와 프레임 핀 스톱퍼(155)를 포함한다. 프레임 핀 바디(151)의 일단에는 프레임 핀 쐐기(153)가 배치되는데, 프레임 핀 바디(151)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프레임 핀 쐐기(153)는 U자형 프레임 핀 바디(151)의 단부에 배치된다. 프레임 핀 바디(151)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되는 기판 관통구(201)를 관통하고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에 삽입 수용되는데, 프레임 핀 바디(151)의 단부에 형성된 프레임 핀 쐐기(153)가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프레임 핀 바디(151)는 U자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소정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의 프레임 핀 쐐기(153)가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 핀 바디(151)의 타단에는 프레임 핀 스톱퍼(155)가 배치되는데, 프레임 핀 스톱퍼(155)는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보다 큰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 핀 스톱퍼(155)가 인쇄회로기판(200)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 로드(142)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하우징 프레임 핀(150)이 기판 관통구(201)를 관통하여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에 삽입 장착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프레임 핀(1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궁극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회로 배선(미도시), 각종 전기 소자(220) 및 기판 커 넥터(210)가 배치되는데, 기판 커넥터(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핀(212)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기판 커넥터(210)는 커넥터 기판 단자(211)도 포함하는데, 커넥터 기판 단자(211)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된 단자 관통구(203)에 연결된다. 기판 커넥터(210)는 별도의 개별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기판 커넥터(210)는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프레임(140)에 인서트 사출되어 하우징 프레임(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커넥터(210)는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프레임(140)에 인서트 사출되어 하우징 프레임(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는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차량 트랜스미션(1)의 컨트롤 레버(20)를 통한 기어 변속에 따라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30)에 의하여 가동된다.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는 인쇄회로기판(300) 상에 장착된다.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는 감지 센서(310)와 감지 마그네트(320)를 포함하는데, 감지 센서(310)는 자장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자기장 센서로 구현된다.
감지 센서(31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어 회로배선(미도시) 및 기판 커넥터(210)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감지 센서(310)는 본 실시예에서 자기 센서로 구현되는데, 감지 마그네트(320)는 감지 센서(3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감지 마그네트(320)는 이극 배치 구조를 이루는데,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 마그네트(320)는 하우징(100)에,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프레임(140)에 장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310)는 하우징 프레임(140)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프레임(140)의 프레임 로드(142)의 단부에는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가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 프레임 핀(150)에 의하여 하우징 프레임(140)과 결합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310)는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에 안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의 외주에는 프레임 로드(1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센서 지지부(147)가 배치되는데, 프레임 센서 지지부(147)는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를 연속적으로 또는 복수 개가 이격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취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촉에 의하여 감지 센서(310)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 마그네트(320)와 감지 센서(310)는 서로 마주하도록 일렬 배치되는데, 감지 마그네트(320)와 감지 센서(310)는 차량 트랜스미션이 중립 변속 레인지에 도달하는 경우, 컨트롤 핑거(30),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핑거 로드(31)와도 일직선을 이루는 일렬 배치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310)는 차량 트랜스미션의 중립 변속 레인지에서 컨트롤 핑거(30)의 컨트롤 핑거 로드(31)와 하우징 프레임(140)에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차량 트랜스미션의 변속 레인지의 변화에 따라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30)의 컨트롤 핑거 로드(31)와 감지 마그네트(320) 간의 자장 변화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310)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감지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감지 마그네트(320)도 하우징 프레임(140)에 장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 마그네트(320)는 하우징 프레임(140)의 프레임 로드(142)에 배치된다. 프레임 로드(142)에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는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와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의 사이에 형성되어 중립 변속 레인지의 경우 감지 센서(310)가 감지 마그네트(320) 및 컨트롤 핑거 로드(3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는 감지 마그네트(320)의 장착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에 수용되는 감지 마그네트(320)는 적어도 한면에 교차 선분을 기준으로 분할된 양측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 및 감지 마그네트(320)는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에 삽입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320)는 감지 마그네트(320)의 일면 a-a에 대하여 선 Ⅰ-Ⅰ을 기준으로 분할할 경우 양측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구비한다. 즉, 감지 마그네트(320)는 본 실시예에서 이극 마그네트로 구현되는데, 감지 마그네트(320)가 감지 마그네트 N극부(321)와 감지 마그네트 S극부(323)를 구비하는 경우 감지 마그네트(320)의 특정 영역이 감지 센서(310)와 근접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마그네트 N극부(321)가 감지 센서(3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마그네트(32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조립자가 혼동 발생없이 보다 용이하게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에 보다 정확하게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 로써 감지 마그네트 및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가 정사각형 내지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 발생 가능한 오조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100)은 진동 융착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진동 융착(vibration welding)을 통하여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양자의 결합을 공고히 하고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미션 오일과 같은 이물이 유입되어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40)이 준비되는데, 하우징 프레임(140)의 하우징 프레임 로드(14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가 배치된다.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에 삽입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320)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감지 마그네트(320)는 소정의 극성이 감지 센서(31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오조립 가능성이 방지 내지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그런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마그네트(320)가 장착된 하우징 프레임(140)은 인쇄회로기판(2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하우징 프레임 핀(150)은 인쇄회로기판(2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 프레임(140)과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전기 소자(220)이 실장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 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310)도 배치된다.
하우징 프레임 핀(150)은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된 기판 관통구(201) 및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정렬되는데, 하우징 프레임 핀(150)의 일단, 즉 프레임 핀 바디(151)의 단부에 배치된 프레임 핀 쐐기(143)가 인쇄회로기판(200)의 기판 관통구(201)를 관통하여 프레임 기판 장착부(141)에 삽입 배치되고 프레임 핀 스톱퍼(145)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하우징 프레임(140)의 반대면에 배치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 프레임(140)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7 참조).
그런 후, 인쇄회로기판(200)과,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 프레임 핀(150)을 통하여 장착된 하우징 프레임(140)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 배치된다. 하우징 프레임(140) 및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 바디(110)에 수용된 경우, 하우징 프레임(140) 및 인쇄회로기판(200)의 다른 단부 측에는 하우징 베이스(130)가 배치된다(도 8). 이때, 하우징 바디(110)의 진동 융착 공정 전의 바디 장착부(113a)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진동 융착 공정 전의 베이스 장착부(133a)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진동 융착(vibration welding) 공정 전의 바디 장착부(113a)는 돌기 산 구조를 이루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각각의 진동 융착 공정기(미도시)의 각각의 척에 바디 장착부(113a)와 베이스 장착부(133a)가 맞닿도록 배치된 후 하우징 바디(110) 및 하우징 베이스(130)에 인가되는 소정의 진동에 의하여 바디 장착부(113a)와 베이스 장착부(133a)는 진동 융착되어 소정의 결합부로서의 바디 장착부(113) 및 베이스 장착부(133)를 형성할 수 있 다(도 10 및 도 11). 이와 같은 진동 융착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베이스가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베이스가 형성하고 하우징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 내부 공간을 밀봉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으로 컨트롤 핑거(30)를 향한 단부 측에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는 하우징 캡(160)이 배치된다. 하우징 캡(160)은 별도의 구성요소로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 기밀 결합되는데, 경우에 따라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과정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 트랜스미션(1)이 정상 상태, 즉 기어 레인지가 비중립 상태인 경우,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20)와 연결되는 미션 컨트롤 샤프트(2)는 컨트롤 핑거(30),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핑거(30)가 구비되는 컨트롤 핑거 로드(31)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킵(160)과 이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 경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310)는 비중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에서의 신호 출력을 나타낸다. 즉, 감지 마그네트(32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은 도면 부호 G(도 14 참조)와 같은 자장 패턴을 형성하고 외부 조건에 의하여 감지 마그네트(320)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변화하지 않고 소정의 일정한 신호 출력을 형성함으로써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되 는 신호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
그런 후, 운전자에 의하여 변속 레인지가 변화되어 중립 변속 레인지에 도달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와 연결되는 컨트롤 핑거(30)가 가동되고 컨트롤 핑거(30)에 연결되는 컨트롤 핑거 로드(31)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 캡(16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컨트롤 핑거 로드(31)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데, 컨트롤 핑거 로드(31)가 근접 배치되어 컨트롤 핑거 로드(31), 감지 센서(310) 및 감지 마그네트(320)의 순서로 일렬 배열되는 경우, 감지 마그네트(320)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컨트롤 핑거 로드(31)에 의하여 소정의 자장 변화를 일으킨다. 즉,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핑거 로드(31), 감지 센서(310) 및 감지 마그네트(320)가 근접하도록 일렬 배치되는 경우, 감지 마그네트(320)의 자기장은 도면 부호 Gn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방향의 패턴을 갖는 자장으로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된 자기장에 의하여 감지 센서(310)는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감지 센서(310)가 감지한 변화된 전기적 신호의 출력을 인쇄회로기판(200) 및 기판 커넥터(210)를 거쳐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내지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되어 소정의 제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입력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고 이들이 진동 융착 공정을 통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발명의 하우징 결합 구조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변형예가 도시되는데,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1)는 하우징(100-1)을 구비하는데, 하우징(100-1)은 하우징 바디(110-1), 하우징 미디엄(120-1) 및 하우징 베이스(130-1)를 포함하고, 하우징(100-1)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10-1), 하우징 미디엄(120-1) 및 하우징 베이스(130-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하우징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 프레임 핀(15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의 감지 센서(310)는 하우징 바디(110-1)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1)에는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프레임(140)과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기판 커넥터(210)의 커넥터 핀(212이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를 관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1)에는 바디 연장부(112)가 형성되는데, 바디 연장부(112)는 하우징 베이스(130-1)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바디 연장부(112)의 단부는 하우징 베이스(130-1)의 내부로 수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바디 연장부(112)의 외주에는 바디 장착부(113-1)가 배치되고, 바디 장착부(113-1)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베이스(130-1)에는 베이스 장착부(133-1)가 배치된다. 베이스 장착부(133-1)는 하우징 바디(110-1)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일면에 홈 내지 관통구를 구비하는데,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 장착부(113-1)가 베이스 장착부(133-1)와 맞물리어 양자의 결합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장착부는 홈/관통구 구조를 그리고 바디 장착부가 돌기 구조를 취하였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이룰 수도 있는 등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하는 결합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8 내지 도 23에는 본 발명의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1)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먼저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전기 소자(220)가 배치되고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300)가 배치된다. 하우징 프레임(140)과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베이스(130-1)에 삽입되는데, 커넥터 핀(212)은 베이스 커넥터 핀 관통구(132)에 삽입 관통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1)에는 베이스 프레임 안착부(134)가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 안착부(134)의 외측에는 베이스 프레임 가이드(135)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 가이드(135)의 가이드 구조를 통하여 하우징 프레임(140)의 프레임 블록(142)은 하우징 베이스(130-1)의 베이스 프레임 안착부(134)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19 참조).
그런 후,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40) 및 인쇄회로기판(200)이 장착된 하우징 베이스(130-1)와 하우징 바디(110-1)는 일렬 배치되고 결합되는데, 이때 하우징 베이스(130-1)의 베이스 장착부(133-1)는 하우징 바디(110-1)의 바디 장착부(113-1)과 맞물리어 양자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1)와 하우징 베이스(130-1)가 결합되어 체결된 경우, 하우징 바디(110-1)의 외주에서 연장 형성된 바디 연장부(112)와 하우징 베이스(130-1)의 외주에 배치되는 소정의 연장 단부에는 하우징 미디엄(120)이 오버 몰딩되어 형성된다(도 23). 즉, 하우징 바디(110-1)와 하우징 베이스(130-1)의 결합된 모듈은 소 정의 몰딩 장치에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110-1)와 하우징 베이스(130-1)가 결합된 바디 연장부(112) 부분에 연질의 합성 수지가 몰딩 가공되어 하우징 바디(110-1)와 하우징 베이스(130-1)의 연결된 부위를 덮어 몰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하우징 바디(110-1)와 하우징 베이스(130-1) 간의 결합 틈으로 인하여 외부 이물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비접촉 스위치 감지부의 감지 센서가 오작동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 몰딩되는 하우징 미디엄(120)은 하우징 바디(110-1) 및 하우징 베이스(130-1)보다 연성을 갖는 연질 재료로 선택되어 오버 몰딩 공정시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는 일체의 인쇄회로기판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구조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2)는 복수 개의 기판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2)는 인쇄회로기판(200-2)과 서브 회로기판(200-2a)를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200-2)은 메인 기판으로 작용하는데, 본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200-2)은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길이 방향 배치되지 않고,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130) 및 하우징 프레임(140-1)에 안착하여 수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0-2)과 연결되는 기판 커넥터(210)도 직선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200-2)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앞선 실시예에서의 하우징 프레임과 기판 커넥터의 인서트 사출 구조를 배제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서브 회로기판(200-2a)은 가요성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로 구성될 수 있는데, 서브 회로기판(200-2a)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200-2)과 연결되어 양자 간의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서브 회로기판(200-2a)의 타단은 하우징 바디(110)를 향하여 배치된다. 서브 회로기판(200-2a)은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데, 서브 회로기판(200-2a)의 타단은 하우징 프레임(140-1)의 단부에 배치된다. 서브 회로기판(200-2a)의 소정의 길이로 인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으로 서브 회로기판(200-2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 회로기판(200-2a)은 하우징 프레임(140-1)에 위치 고정되도록 배치도리 수 있다. 즉, 하우징 프레임(140-1)에는 프레임 서브 회로기판 홀더(142-1)가 배치되는데, 프레임 서브 회로기판 홀더(142-1)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을 폐쇄된 형상을 구비하여 서브 회로기판(200-2a)이 개방된 측을 통하여 프레임 서브 회로기판 홀더(142-1)에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서브 회로기판(200-2a)의 단부에는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300)의 감지 센서(310)가 배치되는데, 감지 센서(310)가 배치된 서브 회로기판(200-2a)의 단부는 하우징 프레임(140-1)의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에 배치되고 프레임 센서 지지부(147)를 통하여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하며 하우징 프레임(140-1)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센서 안착부(145)의 인근에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가 배치되는데, 이극 구조의 감지 마그네트(320)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에 삽입 배치된다.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는 프레임 블록의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감지 마그네트(320)는 하우징 프레임(140-1)의 프레임 로드에 측면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측면 삽입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320)가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프레임(140-1)에는 마그네트 홀더부(321)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감지 마그네트(320)가 삽입 배치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의 인근에는 마그네트 홀더부 고정부(141-1)가 배치되는데, 마그네트 홀더부(321)는 "ㄴ"자 형상을 구비하여 마그네트 홀더부(321)의 일단이 프레임 마그네트 홀더부 고정부(141-1)에 삽입 배치되고 타단이 감지 마그네트(320)가 수용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143-1)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구성요소들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원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오동작 내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하우징의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진동 융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과 서브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하우징은 진동 융착 공정을 통한 결합 구조 이외에 오버 몰딩 장착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3)는 하우징(100-1)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200-2)과 서브 회로기판(200-2a)을 구비하되, 하우징(100-1)은 하우징 바디(110-1), 하우징 베이스(130-1) 및 이들의 사이 외주를 감싸도록 연질 재료로 형성하는 하우징 미디엄(120-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내부 공간 배치를 간결하게 이루되 내부 밀봉 구조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은 차량 트랜스미션의 중립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컨트롤 핑거 로드의 근접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자동차 트랜스 미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1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프레임 및 감지 마그네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이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제조 과정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중립 스위치

Claims (11)

  1. 차량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에 따라 가동되는 컨트롤 핑거
    상기 컨트롤 핑거에 대응하여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의 근접 상태 변화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차량 트랜스미션이 중립 변속 레인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센서와 상 기 감지 마그네트와 상기 컨트롤 핑거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와 상기 컨트롤 핑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가 수용 배치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는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관통 형성되는 기판 장착구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 장착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형성되는 프레임 기판 장착부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 기판 장착구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장착부에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 기판 장착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프레임 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가요성을 갖는 서브 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서브 회로기판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가 수용 배치되는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마그네트 장착부에 수용되는 상기 감지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홀더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진동 융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는 서로 체결되는 바디 결합부 및 베이스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어 체결되고,
    상기 바디 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 결합부의 외주에는 하우징 미디엄이 오버 몰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KR1020090071291A 2009-08-03 2009-08-03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KR10114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91A KR101142740B1 (ko) 2009-08-03 2009-08-03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91A KR101142740B1 (ko) 2009-08-03 2009-08-03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97A true KR20110013697A (ko) 2011-02-10
KR101142740B1 KR101142740B1 (ko) 2012-05-07

Family

ID=4377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91A KR101142740B1 (ko) 2009-08-03 2009-08-03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850A (zh) * 2013-12-20 2015-06-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齿轮检测开关
CN106411307A (zh) * 2016-10-26 2017-02-15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非接触式电子空倒档开关
CN106712759A (zh) * 2016-12-28 2017-05-24 吉林省德沃思汽车电子元件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电子开关及控制方法和一种车用档位开关
CN108351228A (zh) * 2015-11-16 2018-07-31 日本精机株式会社 旋转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405Y2 (ko) 1986-02-28 1992-11-20
KR200178185Y1 (ko) * 1996-12-31 2000-05-01 정몽규 수동 변속차량의 중립 상태시 엔진 회전수 조절장치
JPH11257487A (ja) * 1998-03-13 1999-09-21 Diamond Electric Mfg Co Ltd シフト位置検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850A (zh) * 2013-12-20 2015-06-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齿轮检测开关
US20150177336A1 (en) * 2013-12-20 2015-06-25 Hyndai Motor Company Gear detection switch
US9880231B2 (en) 2013-12-20 2018-01-30 Hyndai Motor Company Gear detection switch
CN108351228A (zh) * 2015-11-16 2018-07-31 日本精机株式会社 旋转检测装置
EP3379206A4 (en) * 2015-11-16 2019-05-22 Nippon Seiki Co., Ltd. ROTATION DETECTION DEVICE
CN106411307A (zh) * 2016-10-26 2017-02-15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非接触式电子空倒档开关
CN106712759A (zh) * 2016-12-28 2017-05-24 吉林省德沃思汽车电子元件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电子开关及控制方法和一种车用档位开关
CN106712759B (zh) * 2016-12-28 2023-12-01 吉林省德沃思汽车电子元件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电子开关及控制方法和一种车用档位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740B1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3534B2 (ja) 回転角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回転角センサを備えたスロットル制御装置
US7042212B2 (en) Rotational angle sensors
US7084620B2 (en) Magnetic detection apparatus
KR101142740B1 (ko) 비접촉식 중립 스위치 유니트
JP4317841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EP3246666B1 (en) Sensor unit and magnetism collecting module and sensor apparatus
JP2000049475A (ja) 基板取付装置
JP5189063B2 (ja) 回転角検出装置及び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7103498B2 (ja) 検出装置
JP3850199B2 (ja)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3899873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付自動変速機
JPH0849575A (ja) アクセルペダルの操作量検出装置
KR101133809B1 (ko) 중립 스위치 유니트
JP5189268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110233907A1 (en) Housing for an electrical circuit
JP2004332635A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5106779A (ja) 回転角センサ
JP5288257B2 (ja) 表示装置
KR20110129263A (ko) 인히비터 스위치 유니트
JP2005091275A (ja) 回転角センサ
KR100635264B1 (ko) 차량진단기용 커넥터
JP2005106781A (ja) 回転角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6780A (ja) 回転角センサ
CN213422511U (zh) 传感器单元
JP2018198238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