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44A -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44A
KR20110013644A KR1020090071194A KR20090071194A KR20110013644A KR 20110013644 A KR20110013644 A KR 20110013644A KR 1020090071194 A KR1020090071194 A KR 1020090071194A KR 20090071194 A KR20090071194 A KR 20090071194A KR 20110013644 A KR20110013644 A KR 2011001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upper body
air buffe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021B1 (ko
Inventor
지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to KR102009007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0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완충부재의 내부에 에어 쿠션 기능을 하는 에어완충실을 구비하되 충격의 강도가 클수록 압축률도 상승하여 그 완충효과가 극대화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는 본체(2)의 안착턱(2')과 덮개(1)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나누어져, 상부몸체(10)는 덮개(1)에 고정되고, 하부몸체(20)는 안착턱(2')에 고정되어 덮개(1) 안착시 양 몸체(2)가 서로 포개어지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몸체(10)는 덮개(1)의 하부를 받치는 밀착판(11) 상부에 하부로 개구된 에어완충실(1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는 고정판(21) 상부에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로 삽입되는 인써트(22)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는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면 완충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완충실의 공기가 압축되어 에어 쿠션 기능을 함으로써 완충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 몸체는 압축 공기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몸체 자체에는 큰 무리가 가지 않아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구연한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몸체를 고정할 때 상부몸체를 덮개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밀착판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을 통해 안착턱에 나사를 틀어박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설치오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잠금, 완충, 에어, 공기, 맨홀, 그레이팅, 배수로, 덮개, 뚜껑

Description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Cover for the suspension structure}
본 발명은 우수통 본체의 안착턱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부재의 내부에 하중을 가할수록 내부의 공간이 축소되어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에어완충실을 구비하여 상부로 부터 발생된 충격을 완화 하여 소음방지는 물론이고 내구연한을 연장함과 아울러 덮개의 이탈방지 및 잠금기능을 구비한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나 우수통(집수통)의 양측 상단에는 앵글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안착턱이 있고, 우수통(집수통)의 상단과 맨홀받침의 상단 내측에도 안착턱이 구성된다. 이 안착턱에는 다양한 형태의 덮개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덮개는 다수의 평철을 절단하고 이를 용접하여 구성한 그레이팅이나 주철그레이팅 및 맨홀뚜껑 등과 같은 것들을 통칭한다.
상기 덮개는 안착턱에 안착되더라도 하부 전면이 안착턱에 접촉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약간씩 들떠 있게 되므로 그 상부로 행인이나 차량이 지나가게 될 경우에는 상기 덮개가 유동하여 소음이나 충격음이 발생되거나 이탈되어 개방되는 현상 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덮개의 하부나 측면 또는 안착턱에 패킹을 설치하여 소음이나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완충부재는 단순히 링 형상으로 대부분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이 대부분으로써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부터 발생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특징이 없었다.
또한, 덮개가 항상 닫혀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도 항상 눌린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완충 기능도 저하되고 경화되어 흔들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등 패킹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안착턱으로부터 쉽게 개방되기 때문에 도난에 의한 분실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완충부재 내에 에어완충실을 구비하여 완충부재 자체의 완충기능과 더불어 에어완충실의 에어 쿠션기능이 부가도어 덮개에 큰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완충부재의 변형 없이 뛰어난 완충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난을 목적으로 덮개를 개방할 때에는 역으로 에어완충실에 삽입된 인써트가 빠지면서 에어완충실내의 기압을 낮추어 진공에 의한 개방 억제 효과가 발생되어 도난에 의한 덮개 분실을 방지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안착턱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나누어져, 상부몸체는 덮개에 고정되고, 하부몸체는 안착턱에 고정되어 덮개 안착시 양 몸체가 서로 포개어지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덮개의 하부를 받치는 밀착판 상부에 하부로 개구된 에어완충실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는 고정판 상부에 상부몸체의 에어완충실로 삽입되는 인써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몸체의 밀착판에는 나사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나사 삽입공을 통해 나사를 삽입하여 하부몸체의 고정판을 나사로 안착턱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는 고무재로 형성하고, 상부몸체의 에어완충실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가느다란 미세공을 형성하여 양 몸체 결합 및 분리시 에어완충실로 공기의 유통을 지연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완충실의 외측면에는 덮개의 틀과 보강살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워지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는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면 완충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완충실의 공 기가 압축되어 에어 쿠션 기능을 함으로써 완충부재 자체의 완충효과와 더불어 에어쿠션에 의한 완충효과가 더해져 완충기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 몸체는 압축 공기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몸체 자체에는 큰 무리가 가지 않아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구연한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몸체를 고정할 때 상부몸체를 덮개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의 밀착판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을 통해 안착턱에 나사를 틀어박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설치오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우수통 및 덮개에 설치되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통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는 덮개(1)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몸체(10)와 본체(2)의 안착턱(2')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몸체(20)로 이루어져 덮개(1)가 본체(2)에 안착시 서로 밀착되도록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재는 덮개(1)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상부몸체(10)는 덮개(1)의 저면 즉, 덮개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틀(1a)의 저면 및 틀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수직 설치되는 보강살(1b)의 저면을 받치는 밀착판(11)이 구비되고, 이 밀착판(11)의 중앙으로부터 에어완충실(12)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완충실(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볼 때 외부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덮개(1)의 틀(1a)과 보강살(1b)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고, 내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몸체(20)의 인써트(22) 결합이 용이토록 한다. 그리고 에어완충실(12)은 밀착판(11) 하부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20)는 상기 밀착판(11)과 대응되는 면적의 고정판(21)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21)으로부터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로 삽입되는 수직의 인써트(2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인써트(22)는 에어완충실(1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여 억지 끼워맞춤에 의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양 몸체(10)(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인써트(22)가 에어완충실(12) 보다 큰 지름이더라도 자체 탄성력에 의해 확장 및 수축이 되므로 강제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써트(22)의 말단은 반구와 같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에어완충실(12)에 인써트(22)가 삽입될수록 에어완충실(12)의 내부 공기가 점차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충격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에어 쿠션 역할을 하여 완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 외부 둘레에는 덮개(1)의 틀(1a)과 보강살(1b)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이탈방지 홈(13)이 형성된다. 상기 틀(1a)과 보강살(1b)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와 하부의 양측면이 두껍게 돌출 형성 된다. 즉, 하부의 두꺼운 부위가 상기 이탈방지 홈(13)에 위치되어 상부몸체(10)가 덮개(1)의 틀(1a)과 보강살(1b) 사이에 개재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는 나사(SC)에 의해 본체(2)의 안착턱(2')에 고정 설치되는데, 하부몸체(20)의 고정판(21) 양측에 나사공(23)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SC)는 머리가 묻히는 접시머리 나사(SC)가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공(23)도 머리가 묻힐 수 있도록 접시머리 모양으로 자리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몸체(10) 결합시 나사 머리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0)의 밀착판(11)에도 나사공(23)과 대응되는 나사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이 나사 삽입공(14)을 통해 나사(SC)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몸체(20)를 안착턱(2')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몸체(20)를 안착턱에 고정하면 덮개(1) 개방 후 재안착시 양 몸체(10)(20)는 오차 없이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0)는 덮개(1)의 틀(1a) 외측에서 나사(SC)를 박아 틀(1a)을 관통하여 내부에 개재된 상부몸체(10)에 체결함으로써 틀(1a)과 보강살(1b)에 끼워진 상부몸체(10)가 탈착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덮개(1)를 본체(2)의 안착턱(2')에 안착시키게 되면 덮개(1)에 부착된 상부몸체(10)가 하강하면서 하부몸체(20)의 인써트(22)가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로 삽입된다. 이때, 인써트(22)의 말단이 구 형상을 갖기 때문에 조금의 오차가 있더라도 에어완충실(12)로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삽입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몸체(20)의 인써트(22)는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에어완충실(12) 내의 공기는 압축되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1)의 상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면 덮개(1)가 살짝 하향하면서 에어완충실(12) 내의 공기가 인써트(22)에 의해 압축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이 사라지면 덮개(1)가 다시 원상태로 상향 복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를 이루는 상기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가느다란 미세공(1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양 몸체(10)(20) 분리 및 결합시 외부의 공기가 에어완충실(12)로 조금씩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미세공(15)은 에어완충실(12)내로 공기의 배출 및 유입을 허용하기는 하지만 그 유통속도를 대폭 지연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덮개(1)는 자체 중량의 경우에는 상시 완충부재에 가해지겠지만 이정도의 하중은 완충부재 자체가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연한에 그리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반면 차량과 같은 큰 하중이 갑작스럽게 가해지게 될 경우에는 그 힘이 완충부재에 가해져 충격을 받기 때문에 내구연한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그렇다하더라도 이러한 하중도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만 대응을 할 수 있다면 완충부재의 내구연한을 늘이는데 큰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본 발명 완충부재의 상부몸체(10)에 형성된 미세공(15)은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 인써트(22)에 의해 압축된 에어완충실(12) 내의 압축공기로 인해 1차 에어쿠션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미세공(15)을 통해 약간씩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에 완충효과는 더욱더 향상되며, 완충부재는 가해진 하중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된다.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면 다시 자체 탄성에 의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간의 거리가 복원되면서 에어완충실(12)내의 인써트(22)가 천천히 후퇴하게 되고 미세공(15)을 통해 배출되었던 외부공기도 서서히 유입되어 에어완충실(12) 내의 공간이 다시 복원되어 차후에 발생될 하중 충격에 대비할 수있게 된다.
또한 덮개(1)를 분리할 때에는 인써트(22)가 에어완충실(12) 내에서 빠져나가게 되면서 에어완충실(12)내의 기압을 낮추게 된다. 다시말해 에어완충실(12) 내부가 진공상태와 같은 낮은 기압을 이루기 때문에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하지만 미세공(15)을 통해 천천히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덮개(1)를 개방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되면 상부몸체(10)는 하부몸체(20)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몸체(10)(20)가 개방되는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이탈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도난의 의지를 꺾어 도난으로 인한 분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가 우수통 및 덮개에 설치되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통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덮개 2 - 본체
2' - 안착턱 10 - 상부몸체
11 - 밀착판 12 - 에어완충실
13 - 이탈방지 홈 14 - 나사 삽입공
15 - 미세공 20 - 하부몸체
21 - 고정판 22 - 인써트
23 - 나사공 SC - 나사

Claims (4)

  1. 본체(2)의 안착턱(2')과 덮개(1)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나누어져, 상부몸체(10)는 덮개(1)에 고정되고, 하부몸체(20)는 안착턱(2')에 고정되어 덮개(1) 안착시 양 몸체(2)가 서로 포개어지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몸체(10)는 덮개(1)의 하부를 받치는 밀착판(11) 상부에 하부로 개구된 에어완충실(1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는 고정판(21) 상부에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로 삽입되는 인써트(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의 밀착판(11)에는 나사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나사 삽입공(14)을 통해 나사(SC)를 삽입하여 하부몸체(20)의 고정판(21)을 나사(SC)로 안착턱(2')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재로 형성하고, 상부몸체(10)의 에어완충실(12)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가느다란 미세공(15)을 형성하여 양 몸체(10)(20) 결합 및 분리시 에어완충실(12)로 공기의 유통을 지연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완충실(12)의 외측면에는 덮개(1)의 틀(1a)과 보강살(1b)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워지는 이탈방지 홈(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KR1020090071194A 2009-08-03 2009-08-03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KR10114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4A KR101148021B1 (ko) 2009-08-03 2009-08-03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4A KR101148021B1 (ko) 2009-08-03 2009-08-03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44A true KR20110013644A (ko) 2011-02-10
KR101148021B1 KR101148021B1 (ko) 2012-05-24

Family

ID=4377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94A KR101148021B1 (ko) 2009-08-03 2009-08-03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474B1 (ko) * 2014-12-11 2015-06-09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수로 덮개
KR20200064517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이엠텍 충격 흡수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스피커 이어버드용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스피커 이어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432B1 (ko) * 2014-11-24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의 그레이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871A (ko) * 2004-12-24 2006-06-29 김남용 차로용 완충흡음 덮개
KR200390198Y1 (ko) * 2005-05-03 2005-07-20 정하음 완충부재를 구비한 배수로 덮개
KR200434102Y1 (ko) * 2006-09-21 2006-12-15 전병구 소음저감형 배수 트렌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474B1 (ko) * 2014-12-11 2015-06-09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수로 덮개
KR20200064517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이엠텍 충격 흡수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스피커 이어버드용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스피커 이어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021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904B (zh) 用于固定壁装式的物体的装置
KR101148021B1 (ko) 에어완충 기능을 갖는 덮개용 완충부재
US11148506B2 (en) Impact-absorbing pressure relief assembly having cover
JP6830523B2 (ja) 耐震補強用ダンパー
KR20070025561A (ko) 자동차 코일 스프링용 완충기
KR101889088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101305133B1 (ko) 자동차용 에어브리더
WO2010020135A1 (zh) 一种船用避震器
KR20110036659A (ko) 차량의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200493076Y1 (ko) 카 스토퍼
KR200483515Y1 (ko)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KR100550665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의 방진 쿠션
KR100469967B1 (ko)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KR200488051Y1 (ko) 완충 z-바
CN211202733U (zh) 一种基于机电设备便于安装的弹簧减振器
CN210118035U (zh) 车门玻璃升降器及具有其的车辆
KR200483805Y1 (ko)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장치
KR20170000268U (ko)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장치
CN113619363A (zh) 汽车门护板泡沫吸能器
GB2493928A (en) Vehicle stop buffer
CN215681982U (zh) 一种高防护低噪型车库门电机
KR101049794B1 (ko) 그레이팅용 완충부재
CN209894325U (zh) 吸盘式橡胶减震垫及包括其的电子秤
CN213109502U (zh) 一种能够调节高度且耐磨损的汽车底盘
CN214940410U (zh) 一种承压型的减震井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