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967B1 -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 Google Patents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967B1
KR100469967B1 KR10-2003-0028950A KR20030028950A KR100469967B1 KR 100469967 B1 KR100469967 B1 KR 100469967B1 KR 20030028950 A KR20030028950 A KR 20030028950A KR 100469967 B1 KR100469967 B1 KR 10046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hock absorbing
elevator car
shock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119A (ko
Inventor
전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to KR10-2003-002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시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주는 완충장치가 카의 저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보면,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저면중 하부프레임을 회피한 지점에 추락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완충수단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케이지에 대해 위치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Having a buffer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시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주는 완충장치가 카의 저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을 태우기 위한 케이지(1)와, 이 케이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과, 이 수직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프레임(3)과 하부프레임(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카는 도 2에서와 같이 추락사고시 충격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승강로(5)의 바닥면에 완충수단(6)이 설치된다. 이때, 완충수단(6)은 도 3a와 같이 케이지(1) 바닥면(1a)의 중점에 조준되게 단일로 설치하거나, 또는 도 3b와 같이 완충수단(6)을 복수개 설치하되 케이지 바닥면(1a)의중점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완충수단(6)이 케이지 바닥면의 중점에 조준되는 경우는 하부프레임(4)이 케이지(1)의 중점을 횡단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완충지점은 케이지의 바닥면이 아닌 하부프레임(4)이 될 것이다. 따라서, 승강로의 바닥공간에 해당되는 피트(pit)의 깊이(H)가 하부프레임의 높이(h1)와 완충수단의 길이(h2)를 합한 길이보다 최소한 깊어야 하기 때문에 피트(P)의 깊이(H)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이렇게 피트(P)의 깊이(H)가 깊어질 경우에는 피트의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지 못하고 장기간 고여있게 되므로 이의 부폐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과, 유입된 지하수의 증발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전자제어부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완충수단(6)이 피트(P)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고인경우 고인물에 의해 완충수단의 부식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완충수단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단기간내에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완충수단(6)이 하부프레임(4)을 회피하여 케이지(1)의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문제점과 동일한 문제점이 지적되며, 이에 더하여 케이지의 중앙이 아닌 위치에 완충수단을 설치할 경우에는 중점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지만 케이지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렵고, 또한 잘못 설치된 경우에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인해 위치교정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완충수단을 케이지의 바닥면에 설치한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수단을 복수개 설치하되, 각각 또는 그룹별로 완충수단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완충력을 다르게 하므로써 추락충격력의 감쇠성능을 보다 강화한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수단의 설치위치를 보다 쉽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카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카의 설치상태도
도 3a는 종래 완충수단의 설치위치도 1
도 3b는 종래 완충수단의 설치위치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로서,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a)는 에어스프링, b)는 코일스프링, c)는 고무패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을 제 1완충수단과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부 구성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지 11 : 하부 프레임
20 : 완충부재 21 : 제 1완충부재 22 : 제 2완충부재
30 : 브라켓 310 : 암 브라켓 311 : 결합편
312 : 슬롯 313 : 체결공
320 : 숫 브라켓 321 : 걸림부 322 : 상대 체결공
323 : 연결부
40 : 고무패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저면중 하부프레임을 회피한 지점에 추락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완충수단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케이지에 대해 위치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케이지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이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이 결합편으로부터 다단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롯이 구비되며, 또 슬롯의 주변에는 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암 브라켓과; 상기 슬롯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슬롯의 윗부분에 걸려 안착되며 상기 체결공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상대 체결공을 갖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또 상기 걸림부와 완충수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슬롯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슬롯내에 인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숫 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와 브라켓 사이에는 고무패드가 개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 쇼크 업쇼버, 공압실린더, 에어스프링, 고무패드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1완충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되 상기 제 1완충수단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1완충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되 상기 제 1완충수단에 비해 완충력이 작은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는 케이지(10)의 저면(바닥면)중 하부프레임(11)을 회피한 위치에 추락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완충수단(20)이 직접 설치되되, 이 완충수단은 브라켓(30)을 매개로 하여 케이지에 대해 위치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0)은 케이지(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암 브라켓(310)과, 완충수단(20)에 고정 또는 형성되는 숫 브라켓(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 브라켓(310)은 상부 양측에 케이지(10)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311)이 구비되고, 이 결합편으로부터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롯(312)이 구비되며, 또한 슬롯의 주변에는 수 개의 체결공(3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숫 브라켓(320)은 상기 슬롯(312)의 폭(b) 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슬롯의 윗부분에 걸려 안착되며 상기 체결공(313)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상대 체결공(322)을 갖는 걸림부(321)가 구비되고, 또 상기 걸림부와 완충수단(20)을 연결하면서 상기 슬롯(312)의 폭(b)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슬롯내에 인입되는 연결부(32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암 브라켓(310)에 숫 브라켓(320)을 결합함에 따라 케이지(10)의 저면에 완충수단(20)을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암 브라켓(310)의 체결공(313)에 대한 숫 브라켓(320)의 상대 체결공(322)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케이지에 대하여 숫 브라켓(320)과 이에 연결된 완충수단(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지(10)의 바닥면과 암 브라켓(310) 사이에는 완충수단(20)에의해 방어되지 못한 잉여의 충격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판형 완충재, 예컨데 고무패드(40)등이 개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무패드는 케이지의 추락사고시 완충수단(2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지만 완충수단으로부터 전도되는 2차 충격력이 숫 브라켓(320)과 암 브라켓(320)을 통해 케이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완충수단(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어스프링(20a), b)고무패드(20b), c)코일스프링(20c), 또는 도 5에 도시된 쇼크 업쇼버(shock absorber)등 통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되, 이에 특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20)은 도 7과 같이 성능향상을 위해서 상기 케이지(10)의 바닥면중 하부프레임(1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설치되는 제 1완충수단(21)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되 상기 제 1완충수단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 2완충수단(22)으로 세분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H1>H2),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완충수단(20)을 제 1완충수단과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분되게 구성하되, 제 2완충수단의 완충력이 제 1완충수단에 비해 작게하는 것도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2완충수단(21,22)의 길이에 차이를 두거나 또는 완충력에 차이를 두게 되면 추락충격이 작용되었을 때 길이가 길거나 완충력이 센 제 1완충수단(21)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력이 감쇠되고, 이 제 1완충수단에 의해 감쇠되지 않은 충격력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완충력이 약한 제 2완충수단(22)에의해 2차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완충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완충수단이 케이지의 바닥면중 하부프레임을 회피한 위치에 직접 설치되므로써 피트의 깊이를 깊게 하지 않아도 되며, 또 피트내에 고이는 물에 의해 부식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수단의 위치를 브라켓에 의해 적정범위내에서 쉽게 교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위치가 잘못되더라도 교정작업이 수월하다.
또한, 길이가 길거나 완충력이 센 완충수단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완충력이 약한 완충수단을 함께 설치하므로써 추락시 발생되는 케이지에 대한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저면중 하부프레임을 회피한 지점에 추락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완충수단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케이지에 대해 위치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2.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은,
    케이지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이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이 결합편으로부터 다단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롯이 구비되며, 또 슬롯의 주변에는 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암 브라켓과;
    상기 슬롯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슬롯의 윗부분에 걸려 안착되며 상기 체결공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상대 체결공을 갖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또 상기 걸림부와 완충수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슬롯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슬롯내에 인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숫 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3.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지와 브라켓 사이에 고무패드가 개입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4. 제 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 쇼크 업쇼버, 공압실린더, 에어스프링, 고무패드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5. 제 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1완충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되 상기 제 1완충수단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6. 제 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1완충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되 상기 제 1완충수단에 비해 완충력이 작은 제 2완충수단으로 세분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KR10-2003-0028950A 2003-05-07 2003-05-07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KR10046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50A KR100469967B1 (ko) 2003-05-07 2003-05-07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50A KR100469967B1 (ko) 2003-05-07 2003-05-07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19A KR20040096119A (ko) 2004-11-16
KR100469967B1 true KR100469967B1 (ko) 2005-02-02

Family

ID=3737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50A KR100469967B1 (ko) 2003-05-07 2003-05-07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9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30B1 (ko) * 2008-12-30 2009-06-25 태성이엔씨(주) 다중 감쇄형 유압실린더 방식을 응용한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승강기
CN102849560A (zh) * 2012-09-17 2013-01-02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厢梯停靠减震装置
CN107438575A (zh) * 2015-04-07 2017-12-05 奥的斯电梯公司 可触及式电梯缓冲器
KR200491647Y1 (ko) 2019-01-11 2020-05-13 김성욱 장애인 차량용 운전자 보호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806B (zh) * 2013-12-26 2016-01-27 徐建新 一种电梯井道人员坠落防护系统
CN109502450A (zh) * 2018-12-27 2019-03-22 西威电梯江苏有限公司 一种带有组架结构的电梯缓冲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30B1 (ko) * 2008-12-30 2009-06-25 태성이엔씨(주) 다중 감쇄형 유압실린더 방식을 응용한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승강기
CN102849560A (zh) * 2012-09-17 2013-01-02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厢梯停靠减震装置
CN107438575A (zh) * 2015-04-07 2017-12-05 奥的斯电梯公司 可触及式电梯缓冲器
US20180127237A1 (en) * 2015-04-07 2018-05-10 Otis Elevator Company Accessible elevator buffer
CN107438575B (zh) * 2015-04-07 2021-03-16 奥的斯电梯公司 可触及式电梯缓冲器
KR200491647Y1 (ko) 2019-01-11 2020-05-13 김성욱 장애인 차량용 운전자 보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19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83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101737822B1 (ko)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WO2011142763A1 (en)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KR100469967B1 (ko)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JP2007284153A (ja) エレベータの防振構造
US5613667A (en) Shock absorber for elevators or the like
JP2001151435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およびエレベータ
JP2001163543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の設置方法
CN211496514U (zh) 一种曳引机布置结构
WO2005121012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KR200310303Y1 (ko) 방진 스프링 마운트
CN211572173U (zh) 一种幕墙
JP380657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
CN209740465U (zh) 轿厢轿底及其带轿厢托架的一体式下梁
CN220537260U (zh) 一种电梯导轨组件
US9834412B2 (en) Elevator car arrangement and a connection element
CN218371118U (zh) 一种加装电梯用轿厢缓冲预防装置
CN220079705U (zh) 一种带液压阻尼的减隔震支座
JP200124727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枠
CN105645235A (zh) 一种电梯曳引机机架
CN209767969U (zh) 一种可有效减少电子限速器误动作的电路板盒子
CN216889625U (zh) 轿厢独立悬挂系统和配备有该轿厢独立悬挂系统的电梯
CN205555819U (zh) 一种电梯曳引机机架
CN213864955U (zh) 一种浅底坑轿底组件
WO2021220436A1 (ja) 釣合い錘用サブウェ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